KR910003400Y1 -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 Google Patents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400Y1
KR910003400Y1 KR2019870021935U KR870021935U KR910003400Y1 KR 910003400 Y1 KR910003400 Y1 KR 910003400Y1 KR 2019870021935 U KR2019870021935 U KR 2019870021935U KR 870021935 U KR870021935 U KR 870021935U KR 910003400 Y1 KR910003400 Y1 KR 910003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lat cable
flexible flat
magnetic
magnetic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1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640U (ko
Inventor
구니오 기도
도시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다나신 덴기 가부시기가시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 덴기 가부시기가시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 덴기 가부시기가시샤
Priority to KR2019870021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400Y1/ko
Publication of KR890014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Landscapes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가르키는데,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가요성 플랫 케이블로서 접속한 상태의 상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자기헤드와 앰프회로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종래의 자기헤드와 앰프회로와의 접촉구조를 나타내는 제 2 도와 동상도이다.
본 고안은 회전식의 자기헤드와 앰프회로와의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동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자동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에는 테이프 주행방향의 반전에 따라서 자기헤드를 180°반전시키는 형식의 것이 있는데,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테이프 레코오더에서의 자기헤드와 앰프 회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구조는 제 4 도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즉, 헤드 취부판 a위에 설치된 기대 b에 헤드 유지체 c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헤드 유지체 c에 고정된 자기헤드 d의 단자 e에 절연비닐 f로서 피복된 가는 도전선 g의 일단부를 납땜등에 의해서 고정한다.
상기 자기헤드 d의 단자 e는 2채널 헤드의 경우 4개의 신호단자와 헤드 본체의 어어드를 취하는 시일드 단자와의 합계 5개가 있으며 이들 각 단자 e로부터의 각 도전선 g의 오배선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비닐 f의 색을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절연비닐 f로서 피복된 복수의 도전선 g의 하단축을 상기 헤드 유지체 c의 회전중심에 따라서 설치된 도전선 삽통공 h를 통해서 이 헤드 유지체 c의 자기헤드 d와는 반대측의 외부로 꺼내서 각 도전선 g의 하단부를 앰프회로 i에 납땜등에 고정하므로서 자기헤드 d와 앰프회로 i와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었다.
상술한 것 같은 종래의 헤드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각 도전선 g를 피복하고 있는 절연비닐 f의 색을 각각 다르게 해야만 하는데 구성 및 배선의 작업이 복잡했다.
또, 납땜부와 도전선부와의 경계부 j는 제일 가늘게 되므로 자기헤드 d의 회전이나 헤드 취부판 a의 진퇴동작에 의해 도전선 g가 뒤플이 굴곡되므로서 단선되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도전선 g의 납땜부분에서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도전선 g의 단부를 절연비닐 f와 함께 납땜부 근방에서 접착제 k등으로서 고정해야만 해서 보다 한층 더 구성 및 배선작업이 복잡했다.
또, 도전선 g는 5개를 다발로 해서 헤드 유지체 c의 회전중심에 따라서 설치된 도전선 삽통공 h내에 삽통하는데 헤드 유지체 c의 정역 어느 회전방향에 대해서도 그 회전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저온이 될수록 이 경향이 강해지기 때문에 자기헤드 d의 반전기구(도시생략)의 회전력을 강하게 해야만 한다.
다시, 도전선 삽통공 h의 경을 크게 하는 것은 스페이스적으로 곤란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도전선 g대신에 프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삽통 시킬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조 및 배선작업을 간소화 하고 납땜 부분에서의 단선 사고를 없애며, 헤드 유지체의 반전을 방해하지 않게 한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기헤드를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자동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 케이블은 자기테이프 주행방향의 반전에 따라서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에서, 상기 자기 헤드의 단자에 접속되는 헤드측 접속부의 근방에 상기 자기헤드의 반전중심축을 둘러싸도록 만곡하는 만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자기 테이프의 주행방향의 반전에 따라서 180°반전하는 자기헤드와 앰프회로를 접속한 플랫케이블의 일부가 헤드유지체의 회전축을 둘러싸고 있으므로서 헤드 유지체의 반동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아래에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자기헤드와 앰프회로와의 사이를 본 고안의 가요성의 플랫케이블로서 접속한 상태의 상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자기헤드와 앰프 회로와 가요성 플랫케이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각 그림중 1은 헤드 취부판이며 그 상면에는 단면이자 모양의 기대 2가 설치되고 이 기대 2에는 헤드 유지체 3이 회전자재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헤드 유지체 3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그 축방향, 대략 중간부부터 1단측이 대경부 4가 되고 또한 타단측이 소경부 5로 되어 있다.
상기 대경부 4가 상기 기대 2의 일측벽 2a에, 또한 소경부 5가 타벽측 2b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상기 대경부 4내의 감장공 4a에는 자기헤드 6이 감합 고정되어 있다.
이 자기헤드 6은 테이프 접촉면 6a와 반대측의 면 6b에 복수개(예컨대, 5개)의 단자 7이 돌설되어 있다(제 3 도 참조).
상기 헤드 유지체 3의 소경부 5의 단부에는 기어 8이 고정되며 이 기어 8은 도시하지 않은 반전기구의 기어에 치합된다.
상기 헤드 유지체 3의 대경부 4내의 감장공 4a의 내저부부터 소경부 5의 외주측으로 향해서 관통하는 개구부 9가 대경부 4와 소경부 5와의 경계단부 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기 헤드 6의 단자 7에는 본 고안의 가요성 플랫케이블 11의 일단부가 납땜등에 의해서 고정되고 이 가요성 플랫케이블 11의 하단부는 앰프회로 12에 의해서 고정되며 이로서 상기 자기헤드 6과 앰프회로 12와의 사이가 가요성 플랫케이블 1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가요성 플랫케이블 11은 제 3 도에서와 같이 일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자기헤드 6의 단자 7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앰프회로 12에 접속되는 앰프축 접속부 14와 이들 양 접속부 13,14상호간을 연락하는 연락부 15로서 된다.
상기 연락부 15의 헤드축 접촉부 13의 근방에는 상기 자기헤드 6의 반전중심축을 둘러싸듯이 만곡하는 만곡부 16을 가지고 있다.
이 만곡부 16은 그 양 단위 거의 직각이고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상기 헤드축 접촉부 13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헤드 유지체 3의 개구부 9를 통해서 감장공 4a 내방에 삽입되어 상기 자기헤드 6의 단자 7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만곡부 16은 상기 헤드 유지체의 3의 소경부 5의 외면을 둘러싸는 것 같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만곡부 16과 앰프측 접속부 14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락부 15의 만곡부 16 근방 부분은 상기 기대 2의 타측벽 2b의 상단면 중앙에 설치되고 또한 상면 중앙에 개구부 17a를 가지는 슬릿 17내에 삽통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테이프 주행방향의 반전에 따라서 테이프 접속면 6a와 직교하는 측을 중심으로 180。 반전하면 헤드 유지체 3의 소경부 5의 외면을 둘러싸게, 즉 상기 자기헤드 6의 반전중심축을 둘러 싸듯이 만곡하는 만곡부 16은 헤드 유지체 3의 회전에 따라서 이 헤드 유지체 3을 말려들게 하듯이 혹은 그 말려들임을 풀어주는 것 같이 회동하기 때문에 헤드 유지체 3의 반전동작이 원활히 행해지며 이 헤드 유지체 3의 회전력이 자기헤드 6의 단자 7와 헤드측 접속부 13과의 고정부 혹은 앰프회로 12와 앰프축 접속부 14와의 고정부에 전해지는 일이 없으며 이들 고정부분이 헤드 유지체 3의 회전의 영향에 의해 단선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 11의 만곡부 16을 헤드 유지체 3의 소경부 5의 외면을 둘러싸듯이 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헤드 유지체 3에 대해서 가요성 플랫 케이블 11을 회전 가능하게 휘감기도록 해도 좋다.
또, 가요성 플랫 케이블 11은 도시한 것처럼 플렉시블 기판은 물론 평형 비닐 전선이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동역전식 테이프 레코어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 케이블은 자기 테이프 주행방향의 반전에 따라서 테이프 접촉면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반전하는 자기헤드와 엠프 회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자동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에서, 상기 자기헤드의 단자에 접속되는 헤드측 접속부의 근방에 상기 자기헤드의 반전중심축을 둘러싸도록 만곡하는 만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헤드의 반전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짐과 동시에 자기헤드의 반전동작시의 회전력은 만곡부에 의해 흡수되어 헤드측 접속부 및 앰프축 접속부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자기 헤드의 반전동작의 영향에 의해 헤드축 접속부 및 앰프측 접속부가 단선하는 일이 없다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자기 테이프 주행방향의 반전에 따라서 테이프 접촉면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반전하는 자기헤드와 앰프 회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모우드리 버스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에서, 상기 자기헤드의 단자에 접속되는 헤드측 접속부의 근방에 상기 자기헤드의 반전중심축을 둘러싸도록 만곡하는 만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 케이블.
  2. 상기 만곡부의 양단은 거의 직각이며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자동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 케이블.
KR2019870021935U 1987-12-12 1987-12-12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KR910003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935U KR910003400Y1 (ko) 1987-12-12 1987-12-12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935U KR910003400Y1 (ko) 1987-12-12 1987-12-12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40U KR890014640U (ko) 1989-08-11
KR910003400Y1 true KR910003400Y1 (ko) 1991-05-24

Family

ID=1927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1935U KR910003400Y1 (ko) 1987-12-12 1987-12-12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4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40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42574Y2 (ko)
EP3848291A1 (en) Three-axis pan-tilt base, and three-axis pan-tilt camera device
JPH0314596B2 (ko)
KR910003400Y1 (ko)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 접속용 가요성 플랫케이블
JPS5828184A (ja) 回転式電気的連結装置
US4046441A (en) Assemblies including electrical interconnections
JP6761665B2 (ja) 信号端子とグランド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JP2538523Y2 (ja) ツイストペア線用コネクタ
JP3612765B2 (ja) 電子機器回動機構
JPH0541578Y2 (ko)
JPH075955A (ja) 情報機器
JPH01144579A (ja) 回転型脱着可能接続器
JPH0628790Y2 (ja) 終端抵抗取付形コネクタ
JP2018116809A (ja) コネクタ
JP2576472B2 (ja) 可動部における信号線接続構造
JPH05110143A (ja) 簡易光モジユール
JPS6224888Y2 (ko)
JPH05301193A (ja) 自動機の関節部配線構造
JPS5918578Y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ケ−ブル
JP2907218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
JPS62218092A (ja) 産業用ロボツトのケ−ブル処理装置
JPS6244394A (ja) 産業用ロボツトのケ−ブル配線装置
JPS6359280B2 (ko)
JPS59130159U (ja) 机上用極座標位置検出装置
JPH03414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