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175B1 - 열교환용 코일의 조립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용 코일의 조립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175B1
KR910003175B1 KR1019870011490A KR870011490A KR910003175B1 KR 910003175 B1 KR910003175 B1 KR 910003175B1 KR 1019870011490 A KR1019870011490 A KR 1019870011490A KR 870011490 A KR870011490 A KR 870011490A KR 910003175 B1 KR910003175 B1 KR 91000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rod
tube
hairpin tube
hair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434A (ko
Inventor
레이 커리어 윌리엄
더글라스 부커 랜달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코오포레이숀
카렌 에프. 길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코오포레이숀, 카렌 에프. 길맨 filed Critical 캐리어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8000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21D53/085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with fins places on zig-zag tubes or paralle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77Tube with heat transfer means
    • Y10T29/49378Finned tube
    • Y10T29/4938Common fin traverses plurality of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13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Tyre Mould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교환용 코일의 조립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휜 코일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유동성 로드레이서 기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동성 로드레이서부의 평면 및 측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기구의 측면도.
제7도는 지지기구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을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안내로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 11 : 플레이트휜
13 : 플레이트휜다발 16, 17 : 튜브판
21 : 안내로드 27 : 유동로드레이서기구
28 : 레이싱 스테이숀 32 : 휜집적기
33 : 테이블 36, 37,38 : 레이크
47, 48, 49 : 클램프
본 발명은 열교환용 코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레이트휜형 열교환용 코일의 조립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트휜형 열교환용 코일은 통상적으로, 납작하고 평행하며, 가로방향으로 구멍이 간격져있는 여러개의 판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구멍에는 냉매튜브 즉, 헤어핀 튜브가 끼워진다. 플레이트휜다발의 각 단 부에는 비교적 무거운 재료로 된 튜브판이 설치되어 있고, 튜브판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헤어핀 튜브의 개방단부가 납땜등의 방법으로 이 개방단에 부착된 U자형 만곡관으로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코일이 냉동시스템에 장치되면, 냉매는 상기 헤어핀 튜브를 통해 흐르고, 냉각 또는 가열될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휜을 넘쳐흘러서, 이것에 의해 그 유체 사이에 열전달이 행해진다.
플레이트휜형 열교환기의 조립제 있어서는, 각가의 플레이트휜은 플레이트휜 집적기에 수용되고 다발로 만들어겨 여러개의 헤어핀 튜브로 이송할 수 있도록 로드조립체상에 적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이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졌었다. 그러나 이것은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는데, 그것을 정확한 수의 플레이트휜을 다발로 집적하고, 그러한 플레이트휜을 적정한 방향 으로 유지하고, 더구나 그들을 헤어핀 튜너와 결합한 상태로 이동시키고, 상기 플레이트휜과 헤어핀 튜브를 적절한 배치 및 결합으로 유지하고, 상기 헤어핀 튜브를 플레이트휜다발에 레이싱(lacing)하여 코일구조체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것이었다. 이러한점 때문에, 그후 헤어핀 튜브를 확경시켜서 플레이트휜과 밀접한 결합의 열교환 관계를 가져오기 위한 필요한 확장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플레이트휜에 형성된 구멍은 헤어핀 튜브보다도 극히 약간밖에 크지않은 것이었다. 따라서 조립하는 동안 플레이트휜과 헤어핀 튜브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는데 상당한 정밀성이 있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플레이트휜이 가장자리를 밀접하게 둘러싸고 있는 슈우트(shute)의 일단으로 플레이트휜을 급송하고, 이에따라 플레이트휜이 슈우트의 타단에 나타나면 그들이 정확하게 위치결정된 헤어핀 튜브에 의해 레이싱된 상태가 되도록, 플레이트휜의 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하나의 방법이 종래부터 채택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식은, 상기 플레이트휜이 매우 얇아서, 상기 슈우트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가장자리 위에 당접한 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실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플레이트휜형 열교환기를 조립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정확한 수의 플레이트휜을 집적하고, 방향 설정하여, 이 휜들이 여러개의 헤어핀 튜브상에서 조립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여러개의 헤어핀 튜브를 플레이트휜다발에 자동적으로 레이싱 시킬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실제 사용에 있어서 경제적이며 실용성이 있는 자동 플레이트휜 레이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이외의 본 발명이 갖는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좀더 구체적인 설명에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안내로드가 지지수단에 의해 소정의 평행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안내로드의 일단부에는 소정수의 플레이트휜을 이격하여 집적하고, 그후 그 플레이트휜다발을 안내로드의 타단부로 부터 인접하고 복수개의 헤어핀 튜브로 상기 플레이트휜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안내로드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안내로울로 부터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이것에 의 해 플레이트휜의 안내로드를 따라 소정의 이동을 수용하는 동시에 안내로드는 그 정렬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로드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향 및 하향 피봇 작동 되는 것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여러개의 아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의 아암은 수평으로 연재하는 안내로드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홈에 의해 수평로드와 정확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은 상기 안내로드의 홈속에 결합하는 교환가능한 삽입부를 그 단부에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우선 헤어핀 튜브의 개구단부를 안내로드의 일부에 끼우고, 이어서 플레이트휜을 헤어핀 튜브가 그들에 레이싱 될때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휜다발이 안내 로드로 부터 헤어핀 튜브로 이송된다. 안내로드의 제 1의 점차로 단면적이 변화하는 부분에 의해, 플레이트휜이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직경이 작은 부분으로부터 플헤이트휜이 안내로드에 밀접하게 결합하고, 이것 에 의해 헤어핀 튜브에 결합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인 비교적 직경이 큰 부분으로 플레이트휜이 이동된다. 이에따라 헤어핀 튜브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헤어핀 튜브가 더욱 전진된 위치에 있을때에는, 그들의 단부가 계단부에 접하고, 이것에 의해 플레이트휜이 안내로드로 부터 헤어핀 튜브로 이동하는 때에 통과하는 평활하고 연속적인면을 제공하도록, 각 안내로드에는 계단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휜을 수평으로 연재하는 안내로드 위로 이동시키고, 이 휜을 헤어핀 튜브로 이송시키는 장치는 각각 특정영역내에서 작동하는 여러개의 레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레이크의 구역중 제 1구역은 휜집적기와 상기 안내로드상의 세로위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마지막 구역은 상기 안내코드상의 마지막의 세로위치와 상기 헤어핀 튜브상의 세로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레이싱 위치가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한다. 이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장치에 따라 조립된 여러가지 구성요소와 함께 플레이트훤(platefin)형 코일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일렬의 구멍들(12)이 형성된 각각의 플레이트휜(11)은 이 구멍 (12)속에 헤어핀(hairpin) 튜브(14)를 수용하도록 축선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 다발(13)로 적층된다. 상기 플레이트휜(11)은 비교적 얇고(0.01㎝ 정도의 두께), 각가의 구멍(12)에 설치된 서로다 른 휜으로부터 이격된 칼라에 의해 비교적 높은 밀도(예를들면 1㎝당 8개의 휜정도)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휜다발(13)의 양단에는 상부, 즉 L자형상의 튜브판(16)과 하부, 즉 헤어핀 형상의 튜브판(17)이 있는데, 이 판들에는 플레이트휜(11)에 있는 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열(18, 19)이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10)은 서로 평행한 안내로드(그중 2개가 (21)로 도시되어 있다)가 조립된 상태에서 플레이트휜(11)들을 도시한 바와같이 적층시킨다. 이어서 튜브판(16, 17)은 테이퍼단부(22)를 이용하여 테이퍼단부(22)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안내로드(21)상에 장치되어, 이 안내로드(21)가 튜브판으로 부터 빠져나오면 동시에 헤어핀 튜브(14)로 치환시킨다. 서로 인접하는 각 1쌍의 튜브(14)는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에서 U자형 부분(23)에 의해 서로 접속하고 있다. 냉매가 흐르는 튜브(14)는 그 내부내로 벌릿(ballet)을 기계적으로 압입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확경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튜브의 외면이 확대되어 구멍 (12)과 밀접한 연결상태를 이루게되고, 이에따라 플레이트휜과의 사이의 열전달이 양호하게 행해지게 된다. 이어서 헤어핀 튜브(14)의 개방단(24)에 납땜등으로 부착된 U자형의 만곡관(26)에 의해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냉매회로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휜(11)에 안내로드(21)가 삽통된 상태에서 다발로 적층되어 상기 다발(13)이 헤어핀 튜브(14)로 이송되는 공정부분에 관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방법 및 장치는 이러한 공정을 자동적으로 달성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코일을 조립하기에 앞선 예비공정으로서, 각각의 플레이트휜(11)은 휜프레스(31)에 의해 일련의 평탄한 원료(29)로 부터 절단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동로드레이서(Lacer)기구(27)는, 일단부(34)에 있어서 휜집적기(32)로부터 플레이트휜(11)을 받아서, 그것을 다발로 하여 레이싱 스테이숀(lacing station)(28)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비교적 길고 평탄한 테이블(33)을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트휜의 위치 및 방향을 후술하는 신규의 실시예로서 지지된 안내로드에 의해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플레이트휜(11)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재료로는 알루미늄을 들수 있다. 재료가 휜프레스(31)를 통과하는 동안 하나씩의 절단된 플레이트휜(11)이 만들어지고, 이들은 휜집적기(32)에 모여진다. 이 집적기(32)에서 플레이트휜(1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정에 들어가기 위해 유동성로드레이서기구(27)쪽으로 보내진다.
상기 플레이트휜은 일련의 레이크(rake)에 의해 레이블(3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레이크는 그 작동위치로 부터 또는 그 작동위치로 상하동 하도록 되어있고, 클램프(47, 48, 49)들로 구성된 안내로드 지지수단의 작동과 동기하도록 되어있다. 상기레이크(36, 37, 38)는 상기 테이블(33)을 가로질러 위치하여, 이 레이크들이 플레이트휜의 뒤에 위치하도록 각기 하강하고, 그후 도시한 바와같은 구동기구(39) 및 스크류축(41)과 같은 적당한 구동수단에 의해 테이블을 따라서 이동되면, 이러한 레이크의 작동구역내에 있는 일단의 플레이트휜은 인접한 구역쪽으로 안내로드를 따라서 테이블상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레이크는 다시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원래의 위치에서는 상기 레이크가 다른 일군의 플레이트휜과 소정의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제 2구역에서는, 예를들어 일단의 휜이 소정의 갯수가 채위질때까지 계속 적층된다. 이러한 집적과정이 완료되면 제 2레이크(37)가 플레이트휜들을 제 3구역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며, 상기 제 3구역에서 이 휜들은 레이싱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제 3레이크(38)는 안내로드와 정밀하게 결합된 소망의 위치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헤어핀 튜브가 조립되도록 플레이트휜다발을 이동 시킨다.
레이싱 스테이숀(28)에 도달하기에 앞서서, 원료의 로울로부터 풀려나와 절단된 혜어핀 튜브는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콘베이어(42)를 이용해서 레이싱 스테이숀(28)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헤어핀 튜브는 이 튜브들이 레이싱 스테이숀(28)에서 대기하고 있는 튜브다발과 결속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배치와 순서를 갖도록 색인(index)되는 연속 왕복기구(43)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 튜브들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밀한 형상의 구획속에 넣어져 이동된다. 다발(13)과 헤어핀 튜브(14)의 U-자형부분(23)사이에 하부 튜브판(17)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헤어핀 튜브(14)가 튜브다발(13)과 레이싱되기전에 안내로드(21)상에 하부 튜브판(17)을 장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 튜브판 집적 및 위치 스테이숀(4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고, 휜이 레이싱 되기전에 헤어핀 튜브상에 상기 튜브판을 위치시키도록 작동한다. 레이싱 작업이 종료되면, 상부 튜브판(16)이 상부 튜브판 집적 및 위치 스테이숀(46)으로부터 조립체위에 장치된다. 그리고 나서 코일은 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확장 스테이숀으로 가고, 최종적으로는 U자형 만곡관(26)이 헤어핀 튜브(14)의 개방단부상에 납땜되는 스테이숀으로 이동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는 유동로드레이서기구(27)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3열의 클램프(47, 48, 49)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클램프는 윗쪽으로 돌출하여 안내로드를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안내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플레이트휜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테이블 아래쪽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하는 형식으로 테이블(도시생략)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들은 여러개의 긴 안내로드(51) 및 이것보다도 다수의 짧은 안내로드(52)를 상기 테이블상에 지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긴 안내로드(51)의 설치목적은 휜집적기(32)로 부터오는 플레이트휜(11)을 수용하고, 이 플레이트휜을 집적 및 위치 선정을 하여 그후 짧은 안내로드(52)에 최종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플레이트휜의 개구에 알맞는 수의 짧은 안내로드(52)가 마련된다. 상기 로드는 모두 그 단부가 테이퍼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플레이트휜이 로드상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헤어핀 튜브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짧은 안내로드(52)로부터 헤어핀 튜브(14)로 플레이트횐의 다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이싱 스테이숀(28)에서의 적절한 작업상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클램프(47, 48, 49)의 중심선상에 상기 안내로드를 매우 정확하게 유지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플레이트휜이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안내로드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클램프는 안내로드부터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테이블의 작업면 아래로 후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클램핑에 의한 고정 및 그 해제는 2개의 연속하는 클램프가 동시에 개방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47, 48, 49)외에도 구역(1)내에서 긴 안내로드의 지지되지 않은 단부의 아래에는 하나의 수축가능한 지지부(53)가 있다. 상기 지지부(53)는 제 1의 클램프가 개방되는 경우 플레이트휜을 집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에는 도시된 레이크(36, 37, 38)는 제3도 및 제4도에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그들의 작동구역은 제4도에 도시하였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같이, 레이크의 기능은 헤어핀 튜브가 안내로드에 레이싱 될때까지 상기 안내로드를 따라 휜들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제 1레이크는 제 1구역으로 부터 제 2구역 즉, 집적구역으로 횐을 이동시키고, 제 2레이크는 제 2구역으로 부터 제 3구역으로 휜을 이동시키며, 제 3구역에서는 휜은 짧은 로드(52)상에서 다발로 만들어진다. 제 3레이크는 상기 휜의 다발을 제 4구역으로 이동시키고, 이 구역에서 안내로드의 반대쪽의 단부가 튜브판의 단부와 다음에 상술한 방법을 통해서 결속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레이크는 테이블상에 위치한 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6, 7도에서는 클램프(47, 48, 49)에 대한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클램프즌 저어널 연결된 축(56)을 갖는 베어링(54)에 의해서 테이블(33)에 장치되며, 상기 축(56)에는 작동아암(57)과 클램프아암(58)이 키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 아암은 통상의 방식으로 수압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로드(59)와 실린더(61)에 의해 동력을 받는다. 플런저로드(59)가 전진 및 후퇴하면, 아앙(57)은 클램프 아암(58)을 후퇴시켜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로드(51 또는 52)와 연결시킨다. 상기 클램프 아암(58)에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개의 구멍(62)이 뚫려있다.
상기 클램프 아암(58)이 로드(51)와 결속하도록 해주는 구조는 제5도-제8도에서 도시된다. 상기 로드 (51)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홈(64)을 갖는 부위(63)가 있으며, 상기 홈(64)은 클램프 아암(58)에 의해 로드(51)의 횡방향 및 길이방향의 정밀한 위치선정을 가능하게 한다. 클램프 아암(58)의 개구(68)속에 끼워 진 키이(67)에 의해 상기 아암(58)와 결합하도록 홈(64)내로 상방으로 연재하도록 삽입된다. 핀(69)이 상기 클램프 아암(58) 및 삽입부(66)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체를 정위치에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핀(69)이 재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클램프 아암(58) 주위에 하나의 0-링(71)이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66)를 마련하는 이유는 마모된 부품을 최소의 경비로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 이겻은 결국 결속 및 비결속 위치 사이에서 힘이 선택적으로 작용하므로 마모된 부픔을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또한 비교적 단가가 높은 클램프 아암(58) 자체를 교체하지 않고 이 보수작업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삽입부(66)를 클램프 아암(55)내에 설치하는 것은 다음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키이(67)는 삽입부(66)를 가로방향으로 통해서 연장된 개구속으로 들어가고 이 결합체는 이것을 클램프 아암(58)의 전방측부(제6도에서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쪽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장치하게 된다. 핀(69)이 삽입되고, 상기 0-링(71)이 정위치에 들어가서 이 핀(69)을 덮어 제위치에서 유지시킨다. 작동중에는 삽입부(66)가 로 드(51)와 결속 및 비결속상태에 의해 생겨 나는 마찰토오크에 의해 상기 키이(57)에 마모가 생겨난다.
상기 로드(51, 52)를 따라 플레이트휜이 이동하는 때에는. 이동의 초기단계에서는 상기 플레이트휜(11)과 안내로드(51) 사이에 느슨한 연결관계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플레이트휜(11)이 헤어핀 튜브(14)상에 장치되는 지점에 도달하면, 좀더 정밀한 위치확보가 중요하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느슨한 연결관계는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짧은 로드(52)는 이러한 정밀한 위치선정 요구를 획득할 수 있는 직경변경부를 갖게 된다.
제9도를 참조하면 상기 로드가 4개의 서로 다른 부위 A, B, C, D에서 서로 다른 4개의 직경부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부위에서는 로드의 전체길이의 대부분에 연재하며, 플레이트휜이 상기 로드위를 용이하게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B부위에는 A부위에 근접한 직경확대면(72)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직경화대면을 지나서 플레이트휜(11)이 직경이 최대인 로드의 가장 짧은 부분에 도달하게 된다. 이 지점에서 플레이트휜은 로드와 매우 밀접한 결합관계를 갖게되며, 이에따라 헤어핀 튜브로의 후속이동을 위한 플레이트휜의 정확한 위치선정이 가능해진다. 이 부위는 비록 둥근것으로 표시되고 있으나, 플레이트휜이 용이하게 미끄러질 수 있는 동시에 정밀한 위치선정을 달성할 수도 있는 육각형 단면이어도 좋다. 한편, 헤어핀 튜브가 타단에 도달하면, 우선 최소직경인 d부위를 통과하고. 이어서 큰 직경의 C부위까지 직경이 증가하는 직경중 가면(73)위를 통과한다. 이 지점에서 로드와 헤어핀 튜브와외 사이에 밀접한 결합관계가 이루어지고, 이에의해 상기 헤어핀 튜브가 후속의 플레이트휜의 다발과 구심결합을 하게되어 헤어핀 튜브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헤어핀 튜브의 단부는 로드의 계단부(74)에 당접하여야 한다. 플레이트휜다발이 혜어핀 튜브상으로 용이하고 유연하게 이동 되어 레이싱 작업을 완료하도록, 헤어핀 튜브의 외면이 로드이 외면과 실질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작동의 전체 사이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동로드레이서기구(27)가 제 1구역으로 휜집적기(32)로부터 소정수의 플레이트휜을 받아 수용한다. 프로그램된 플레이트휜이 상기 제 1 구역내에 집적되며, 이것이 완료되면, 제 1클램프가 개방되어 지지면 아래로 이동하고, 그 사이에 제 1레이크가 집적된 휜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이 휜들을 제 2구역으로 이동시킨다. 제 1레이크는 다시 윈래의 위치 로 이동하여, 이에의해 다음의 휜적층체를 이동시킬수 있는 상태로 되고, 제 1클램프는 그들이 로드(51)와 결속하여 지지하는 위치로 상승한다. 지지부(53)도 또한 집적기 (32)로부터 수용된 일군의 휜 사이에서 후퇴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대해서는, 상기 로드(51)를 따라서 플레이트휜의 연속적인 흐름이 유지되도록, 클램프 및 레이크의 운동이 정확하게 조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조화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당한 감지기나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구역에서는, 완전한 코일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수의 플레이트휜이 채워질때까지 이 휜들이 집적된다. 그리고 제 2클램프가 개방되고, 지지면의 아래로 하강한 다음, 제 2레이크가 하강하여 휜들을 제 3 구역에서의 짧은 로드(52)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2레이크는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제 2클램프는 상'승하여 지지위치로 이동한다.
2개의 연속하는 클램프가 동시에 비결합상태에 있지않도록 클램프의 작동을 조정하는 것 외에도, 레이크의 작동을 조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 관하여, 제 2레이크가 작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레이크는 그 초기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제 3구역에서는 소정의 개수를 채운 플레이트휜의 다발이 이격되어, 플레이트휜의 개구내에 위치한 짧은 로드(52)가 배치된다. 이어서 후부튜브판이 플레이트휜다발의 단부에서 로드상에 장착된다. 그 사이에 혜어 핀 튜브(14)는 제 6구역의 헤어핀 튜브 콘베이어로부터 제 5구역에서의 헤어핀 튜브부위를 통해서 압출된다. 상기 2개의 헤어핀 튜브들은 제 4구역으로 함께 이동하여 레이싱 작업에 들어간다. 레이싱단계를 시작 하기 위해서는 제 3클램프가 개방되고. 지지면 아래로 하강하며, 제 3레이크가 하강하여 플레이트휜다발을 헤어핀 튜브상에 이동시킨다. 그후 제 3레이크는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제 3클램프는 지지위치로 상승한다. 도시를 생략한 후퇴기구가 헤어핀 튜브들을 후퇴시켜 로드(52)의 단부로 부터 상기 헤어핀 튜브의 결속을 해제한다. 그리고 코일판은 콘베이어로 하강하여 다음 스테이숀쪽으로 이동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적절한 한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고, 따라서 본원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사상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이상에 있어서는 일열의 플레이트휜을 사용하는 실사예에 대해서 설명 했지만, 본 발명은 다수열의 플레이트휜에 사용하여도 좋은 것이다.

Claims (26)

  1. 가로방향으로 이격된 구멍을 구비하는 플레이트휜(11)을 집적하는 휜집적기(32)와, 상기 플레이트휜(11)들을 여러개의 평행한 튜브(14)상에 축방향으로 집적시키는 레이싱 스테이숀(28)을 구비하는 형식의 플레이트휜 장착장치에 있어서, 그의 축이 상기 휜(11)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평행관계로 설치되는 여러개의 안내로드(21)와 상기 안내로드(21)의 일단부(22)와 여려개의 튜브(14)를 축방향으로 일치시키는 튜브 배 치수단(42, 43)과, 상기 안내로드(21)을 따라 상기 휜(11)을 안내로드(21)의 타단쪽으로 이동시켜, 이 안내 로드로 부터 상기 평행한 튜브(14)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33, 36, 37, 38)과, 상기 안내로드(21)에 대해 선택적으로 결속 및 해제되고 상기 안내로드(21)를 정렬위치에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안내로드(21)를 따라 휜(11)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안내로드용 지지수판(47, 48, 4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된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47, 48, 49)은 상기 안내로드 (21)아래에 위치하고 선택적으로 각각 상향 및 하향이동하여 결속 및 해제되는 여러개의 아암(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아암(58)은 상향 및 하향위치 사이에서 피벗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는 상기 지지수단(47, 48, 49)과 결속되기 위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홈(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를 위해 적어도 3개의 지지아암(58)이 있고, 그중 적어도, 2개의 아암(58)은 안내로드와 항상 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의 수는 플레이트휜(11)에 형성된 구멍(12)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내로드(21)는 적어도 2개의 긴 안내로드(51)와 다수의 짧은 안내로드(52)로 구성되고, 상기 긴 안내로드 위로 상기 휜이 초기 이용되고, 상기 짧은 안내로드 위로 이 휜이 후속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의 단부(22)는 테이퍼 단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휜을 이동시키는 수단(33, 36, 37, 38)은 인접하는 구역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휜(11)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는 여러개의 레이크(36, 37, 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47, 48, 49)은 제 1레이크(36)가 제 1구역(1)으로 부터 제 2구역(12) 으로 소정수의 플레이트휜(1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코일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수의 플레이트휜(11)이 제 2구역 (2)내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휜(11)이 제 3구역으로 이동했을때, 상기 휜들은 추가 안내로드(52)와 결속하여 플레이트휜(11)에 형성된 구멍(12)속에 안내로드(52)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역에 하나씩 지지수단(47, 48, 49)과 레이크(36, 37, 38)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수단과 레이크기구가 서로 협동하여 상기 지지수단(47, 48, 49)이 결속 해제되었을때 상기 레이크(36, 37, 38)기구가 플레이트휜(11)을 다음 구역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장착장치.
  14. 여러개의 구멍(12)을 갖는 플레이트휜(11)의 다발(13)에 여러개의 헤어핀 튜브(14)를 레이싱하는 장치에 있어서, 축이 그 일단(22)에서 각각의 레이싱축과 완전히 일치하도록 평행상태로 배치되는 여러개의 안내로드(21)와, 상기 로드(21)를 그의 고정위치에 지지 및 유지시키는 지지수단(47, 48, 49)과, 여러개의 헤어핀 튜브(14)를 전진 이동시키고, 이 튜브가 일단(22)에서 여러개의 로드(21)와 결속할때까지 상기 튜브의 축과 레이싱축의 축일치를 유지시키는 튜브 배치수단(42, 43)과, 상기 안내로드(21)의 타단위에 플레이트휜을 위치시키고, 상기 플레이트휜(11)을 안내로드(21)가 플레이트휜의 구멍(12)을 통과하도록 상기 안내로드(21)의 타단위에 플레이트휜을 위치시키고, 상기 플레이트휜(11)을 안내로드(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헤어핀 튜브(14)상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수단(33, 35, 37, 3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 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47, 48, 49)은 상기 안내로드(21)에 대해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되어 상기 안내로드(21)가 정렬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안내로드(21)를 따라 플레이트휜(11)이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러개의 지지아암(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47, 48, 49)은 상기 안내로드(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여기서 여러개의 상기 아암(58)이 각기 상향 및 하향이동하여 결합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상기 아암(58)은 상향 및 하향위치 사이에서 피벗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의 단부(22)는 테이퍼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에는 직경이 작은부위 A로부터 직경이 쫌더 큰 부위 B로 상기 플레이트휜이 이동할 수 있는 직경확대면(7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테이퍼진 상기 안내로드(21)는 상기 헤어핀 튜브(14)속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헤어핀 튜브(1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에는 직경이 작은부위 D로부터 직경이 좀더 큰 부위 C로 상기 플레이트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직경증 가면부위(7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21)에는 직경이 큰쪽에서 작은쪽으로 직경이 급격히 변화하는 계단부(74)가 마련되어, 상기 헤어핀 튜브(14)가 안내로드(21)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어핀 튜브(14)의 단부가 이 계단부(74)에 당접하고, 상기 플레이트휜(11)이 이 안내로드(21)의 직경이 큰 부위로부터 헤어핀 튜브(14)의 외부면으로 이동하는 곳에 동일한 직경의 연속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의 레이싱 장치.
  23. 헤어핀 튜브(14)를 내부에 구멍(12)을 가지는 플레이트휜의 다발과 레이싱 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여러개의 안내로드(21)를 그들의 축이 일단부(22)에서 레이싱축과 동일하도록 서로 평행하는 상태로 지지하는 단계와, 여러개의 안내로드(21)가 갖는 타단상에서 상기 안내로드(21)가 플레이트휜의 구멍(12)을 관통하도록 상기 플레이트휜(11)을 안내로드에 대해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이싱축과 안내로드(21)의 일단(22) 에서 헤어핀 튜브(14)가 안내로드(21)아 결합할때까지 상기 헤어핀 튜브를 전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내로드(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휜(11)을 헤어핀 튜브(14)상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와 플레이트휜의 레이싱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안내로드(21)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되어 이 안내로드(21)가 정렬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 이 안내로드(21)를 따라 플레이트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러개의 지지아암(58)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와 플레이트휜의 레이싱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플레이트휜(11)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단계는 각각의 고유영역에서 작동하고 각각의 구역 사이에서 플레이트휜(11)을 이동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여러개의 레이크(36, 37, 38)기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와 플레이트휜의 레이싱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이동단계는 서로 협동하여 하나의 임의구역내에서 지지수단(47, 48, 49)이 일시적을 해제될때 연관된 레이크(36, 37, 38)기구가 상기 플레이트휜(11)을 상기 지지수단(47, 48, 49)에 의해 미리 지지되고 있던 안내로드(21)의 부위상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튜브와 플레이트휜의 레이싱 방법.
KR1019870011490A 1986-10-16 1987-10-16 열교환용 코일의 조립 장치 및 방법 KR910003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919,733 US4734969A (en) 1986-10-16 1986-10-16 Floating rod lacer for automatic coil assembly
US919733 1986-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434A KR880005434A (ko) 1988-06-29
KR910003175B1 true KR910003175B1 (ko) 1991-05-22

Family

ID=2544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490A KR910003175B1 (ko) 1986-10-16 1987-10-16 열교환용 코일의 조립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34969A (ko)
JP (1) JPS63104738A (ko)
KR (1) KR910003175B1 (ko)
ES (1) ES2008746A6 (ko)
IT (1) IT12264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686B1 (ko) * 2004-07-01 2006-06-26 윤호진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코어판 본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6779A (en) * 1987-11-06 1989-10-31 Carri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 fin coils of different configurations
US5127155A (en) * 1987-12-04 1992-07-07 Kendic Michael W Method of tension expanding tube to plate and apparatus therefor
US4831720A (en) * 1988-05-02 1989-05-23 Sherer C Richard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tool
JPH0736191Y2 (ja) * 1989-12-20 1995-08-16 トキコ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
CH681565A5 (ko) * 1990-09-28 1993-04-15 Styner & Bienz Ag
GB2257061A (en) * 1991-06-26 1993-01-06 Ford Motor Co Inserting u-shaped heat exchanger tubes in a heat exchanger core.
US5442853A (en) * 1993-05-18 1995-08-22 Vetter; Klaus-Dieter Automatic hairpinlacing process
US5687473A (en) * 1994-10-05 1997-11-18 Kyoshin Kogyo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hairpin tube to a heat exchanger
JPH08296417A (ja) * 1995-04-26 1996-11-12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用シリンダヘッド
US5680695A (en) * 1995-06-16 1997-10-28 Vetter; Klaus-Dieter Hairpin lacing apparatus
US5987734A (en) * 1998-07-30 1999-11-23 Balance Systems, Inc. Semi-automatic block and tackle lacing machine
KR20010026725A (ko)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열교환기의 리턴벤드 자동 삽입기
US10414006B2 (en) * 2016-09-13 2019-09-17 Arrow Fabricated Tubing, Inc. Return bend ringing system and method
IT202000006778A1 (it) * 2020-03-31 2021-10-01 Smi S R L Sistemi Mecc Industriali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i tubi
US11364578B1 (en) * 2021-12-02 2022-06-21 Ki Hong Kim Method for assembling brazing ring through pipe shrinking and expanding process on return tube constituting refrigerant passage of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3795B2 (ko) * 1972-07-08 1980-06-25
JPS5216902A (en) * 1975-07-30 1977-02-08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Individual select call receiver
US4228573A (en) * 1979-06-29 1980-10-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assembling heat exchangers
US4547952A (en) * 1983-12-22 1985-10-22 Carrier Corporation Tube loading apparatus
US4584751A (en) * 1984-04-30 1986-04-29 Carrier Corporation Apparatus for assembling fin plate heat exchang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686B1 (ko) * 2004-07-01 2006-06-26 윤호진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코어판 본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34969A (en) 1988-04-05
ES2008746A6 (es) 1989-08-01
IT8722288A0 (it) 1987-10-15
JPH0369609B2 (ko) 1991-11-01
IT1226433B (it) 1991-01-15
JPS63104738A (ja) 1988-05-10
KR880005434A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175B1 (ko) 열교환용 코일의 조립 장치 및 방법
US4637132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heat exchanger core
US4486933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core for heat exchanger
DE60126581T2 (de) Herstellungsverfahren eines Wärmetauschers
US43217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heat exchangers
JP3315151B2 (ja)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US4457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pronged binding strips with stacks of paper sheets or the like
DE60123459T2 (de) Windungskopfherstellungsmatrize für schraubenfederwindungen mit nicht herkömmlichen endwindungen und vorrichtung zur schraubenfederherstellung
US5154679A (en) Method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using a fin retainer
US4942654A (en) Method for assembly of serpentine heat exchanger
US451912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unting plate fins of hairpin pipes
US4860421A (en) Method for assembling plate type heat exchangers
US4380854A (en) Assembly apparatus
AT404910B (de) Anlage zum zuführen von längselementen zu einer schweissmaschine
CN1197669C (zh) 自动组装热交换器的装置
EP0492912A2 (en) Adjustable brazing fixture
CA1320630C (en) Tension expander for plate fin coils
US20110167637A1 (en) Heat exchanger core method and apparatus
DE1629514B1 (de) Automatische schallplattenpresse
US4850101A (en) Dual-station flexible hairpin tube expansion apparatus
US4652200A (en)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EP0029325B2 (en) Sausage casing automatic closing machine
JPH0615392A (ja) 熱交換器組立装置におけるスタックピンホルダー循環装置
KR200341039Y1 (ko) 열교환기 제조장치
KR20050049584A (ko) 열교환기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