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41Y1 -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41Y1
KR910003041Y1 KR2019870024197U KR870024197U KR910003041Y1 KR 910003041 Y1 KR910003041 Y1 KR 910003041Y1 KR 2019870024197 U KR2019870024197 U KR 2019870024197U KR 870024197 U KR870024197 U KR 870024197U KR 910003041 Y1 KR910003041 Y1 KR 910003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lusive
signal
input
resis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312U (ko
Inventor
윤상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4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041Y1/ko
Publication of KR890015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ircuits for interfacing with colou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 동기 안정부 20 : 조정신호발생부
P1: 입력단자 P2-P4: 출력 단자
R1-R2: 저항 EX1-EX4: 익스클구시브노아 게이트
C1, C2: 콘덴서 Q1: 트랜지스터
B+: 전원
본 고안은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접적 소자와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를 발생하게 하였으나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출력되는 신호가 불안정하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논리 게이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후단에 안정된 수직 동기 신호를 공급하게 함으로서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할 뿐 아니라 후단에 안정된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수직 동기 신호가 논리게이트를 통하여 후단에 안정된 수직 동기 신호와 조정신호를 출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전원(B+)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EX3)의 일측에 입력되게 하고 입력단자(P1)에 인가된 수직 동기 신호가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의 일측에 입력되게 함과 동시에 저항(R1) (R2)과 평활용 콘덴서(C1)를 통하여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의 타측에 입력되게 한 후 저항(R3)(R4)(R9)을 통하여 접속된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 및 바이어스 저항(R10-R1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켜 직류 차단용 콘덴서(C2)와 접속된 출력단자(P2)후단에 안정된 수직 동기 신호를 인가하게 수직 동기 안정부(10)를 구성하고 저항(R1)(R2)과 평활용 콘덴서(C1)를 통과한 입력단자(P1)의 수직동기 신호가 각각의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3)(EX1)와 저항(R5-R8)을 통하여 출력단자(P3)(P4) 후단에 조정 신호 X, Y 인가시키게 조정 신호 발생부(20)을 구성 시킨 것이다. 그리고 제2도(a-g)는 제1도의 각부 파형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AD(MONOCHROME DISPLINE ADAPTER : MDA)와 CGA(COLOR GRAPHIC ADAPTER : CGA)모우드겸용 모니터에 있어서, 제1도의 회로도에서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EX4)는 일반적으로 2개 같은 신호 레벨이 입력되면 「H레벨」이 출력되고 2개중 다른 신호 레벨이 입력되면 「L레벨」이 출력되는 것으로 MDA모니터인 경우에는 전원(B+)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EX3)의 일측에 항상 「H레벨」을 입력시키고 입력단자(P1)에 인가된 제2도(a)와 같은 네거티브(NEGATIVE)형 수직 동기 신호가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의 일측에 입력됨과 동시에 저항(R1)(R2)과 평활용 콘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하여 제2도 (b)와 같이「H레벨」이 변환되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 타측에 입력됨에 따라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의 출력측에는 제2도 (c)와 같이 「H레벨」이 발생되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의 타측에 인가되기 때문에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의 출력측에는 제2도 (d)와 같은 신호가 발생되며 이때 발생된 신호가 바이어스 저항(R10)(R11)를 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턴오프"시킴으로서 트랜지스터(Q1)의 폴리터 측에는 제2도(1)와 같은 신호를 반전시킨 제2도(g)와 같은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된 후 직류 차단용 콘덴서(C2)를 통하여 출력단자(P2) 후단에 인가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저항(R1)(R2)과 평활용 콘덴서(C1)를 통하여 「H레벨」로 평활된 제2도(b)와 같은 파형이 익스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3)(EX4)의 타측에 입력되고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4)의 일측 입력이 접지되어「L레벨」이 인가됨에 따라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3)의 출력측에는 「H레벨」신호가 발생된 후 저항(R6)을 통하여 출력단자(P3) 후단에 제2도 (e)와 같은 조정신호 X가 인가되고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4)의 출력측에는 「L레벨」신호가 발생된 후 저항(R8)을 통하여 출력단자(P4) 후단에 제2도 (f)와 같은 조정신호 Y가 인가됨으로서 MDA 모니터 작용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CGA 모니터인 경우에는 전원(B+)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EX3)의 일측에 항상 「H레벨」을 입력시키고 입력단자(P1)에 인가된 제2도 (a)와 같은 포지티브(POSITIVE)형 수직 동기 신호가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의 일측에 입력됨과 동시에 저항(R1)(P2)과 평활용 콘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하여 제2도(b)와 같이 「L레벨」로 변화되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의 타측에 입력됨에 따라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의 출력측에는 제2도 (C)와 같이 「L레벨」이 발생되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 타측에 인가되기 때문에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의 출력측에는 제2도 (1)와 같은 신호가 발생되며 이때 발생된 신호가 바이어스 저항(R10)(R1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턴오프"시킴으로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측에는 제2도 (p)와 같은 신호로 반전시킨 제2도(g)와 같은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된 후 직류 차단용 콘덴서(C2)를 통하여 출력단자(P2) 후단에 인가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저항(R1)(R2)과 평활용 콘덴서(C1)를 통하여「L레벨」로 평활된 제2도 (b)와 같은 파형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3)(EX4)의 타측에 입력되고 익스 플루시브 노아케이트(EX4)의 일측 입력이 접지되어「레벨」이 인가됨에 따라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3)의 출력측에는 「L레벨」신호가 발생된 후 저항(R6)을 통하여 출력단자(P3) 후단에 제2도 (e)와 같은 조정신호 X가 인가되고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4)의 출력측에는 「H레벨」신호가 발생된 후 저항(R8)을 통하여 출력단자(P4) 후단에 제2도 (f)와 같은 조정신호 Y가 인가됨으로서 CGA 모니터 작용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출력단자(P2) 후단에 출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단자(P1)에 인가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극성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됨으로서 출력단자(P2) 후단인 수직단리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도 출력단자(P3)(P4) 후단에 출력되는 신호가「H레벨」과 「L레벨」로 됨으로서 모우드가 종래와 같이 복잡한 집적소자나 트랜지스터를 통하지 않고서도 안정되게 조절 될수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다 모우드용 모니터 회로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논리 게이트를 통하여 안정된 수직 동기 신호와 제어신호가 출력되게 구성한 것으로 회로 구성이 간단하게 되므로 경제성이 향상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원(B+)이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EX3)의 일측에 입력되게 하고 입력단자(P1)의 수직동기 신호가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의 일측에 입력되게 함과 동시에 저항(R1)(R2)과 콘덴서(C1)를 통하여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2)의 타측에 입력되게 한 후 익스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1)를 통하여 바이어스저항(R10-R12) 및 콘덴서(C2)와 접속된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켜 출력단자(P2) 후단에 안정된 수직 동기신호를 인가하게 수직동기 안정부(10)를 구성하고 저항(R1)(R2)과 콘덴서(C1)를 통과한 입력단자(P1)의 수직동기 신호가 각각의 익익 클루시브 노아케이트(EX3)(EX4)와 저항(R6)(R8)을 통하여 출력 단자(P3)(P4) 후단에 조정신호 X, Y를 인가하게 조정신호 발생부(20)를 구성시킨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조정 신호 발생 회로.
KR2019870024197U 1987-12-29 1987-12-29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KR910003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197U KR910003041Y1 (ko) 1987-12-29 1987-12-29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197U KR910003041Y1 (ko) 1987-12-29 1987-12-29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312U KR890015312U (ko) 1989-08-12
KR910003041Y1 true KR910003041Y1 (ko) 1991-05-09

Family

ID=1927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197U KR910003041Y1 (ko) 1987-12-29 1987-12-29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0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312U (ko) 198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9242A (en) Logical circuit for generating an output having three voltage levels
KR960024543A (ko) 액정구동용 전원
KR840009187A (ko) 편향회로 및 라스터 왜곡 보정장치
KR910017219A (ko) 다계조액정 표시장치
KR920006969A (ko) 반도체 집적회로용 전압발생회로
KR950030145A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내부 전압 발생기
EP1551004A3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display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890003084A (ko) 병렬식 ac전력 시스템에서의 전원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및 방법
KR9707058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rchitecture)
US4263534A (en) Single sided sustain voltage generator
TW263581B (en) Driving circuit used in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such driving circuit
KR880008336A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KR910003041Y1 (ko) 모니터의 모우드 절환 조정 신호 발생회로
KR100402090B1 (ko) 신호발생기및전기신호들을발생시키는방법
KR970064152A (ko) 지연 보상 다이나믹 포커스 증폭기
KR100537886B1 (ko) 게이트 온 전압 파형 조절이 가능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KR970019090A (ko)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an oscillation frequency variation minimized in comparison with a power supply voltage variation)
KR100524888B1 (ko) 듀얼 공통 전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KR960043787A (ko)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 및 방법
JPH01317077A (ja) クランプ回路
KR100206900B1 (ko) 전력소모가 적은 내부버스 회로
KR850003999A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KR900000847Y1 (ko) 전압 동기 출력의 공급회로
KR20020053577A (ko) 패널내 배선 및 보정회로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044893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