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941B1 -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2941B1 KR910002941B1 KR1019880017831A KR880017831A KR910002941B1 KR 910002941 B1 KR910002941 B1 KR 910002941B1 KR 1019880017831 A KR1019880017831 A KR 1019880017831A KR 880017831 A KR880017831 A KR 880017831A KR 910002941 B1 KR910002941 B1 KR 910002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hot
- cooling
- hot rolled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129 oil wel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566 auste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3 bai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36 growth inhib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2 strain h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발명코일과 비교코일의 코일길이방향 재질편차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2도는 발명재와 비교재의 미세조직도.
본 발명은 고장력, 고인성의 유정용 열연강판보다 상세하게는, API-K55급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산업용 API-K55급 유정용 강은 유전의 케이싱(casing) 및 튜빙(tubing)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세계 유정용 강관의 연간소요중,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API-K55급 유정용 강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성질을 보면 높은 인장강도(TS>66.5Kgf/㎟)와 아울러 낮은 항복강도(YS=37.9-55.2Kgf/㎟)를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강관제조를 위한 파이프성형시에 항복강도의 상승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API-K55 유정용 강은 강도의 확보와 더불어 낮은 항복비를 지닐 수 있게끔 열간압연조건 및 합금설계상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의 API-K55급 유정용 강 제조에 있어서 V, Nb, Ti등의 미량합금원소를 첨가한 성분계를 사용하여 생산하였으나, 탄질화물의 석출에 의해 항복강도 및 항복비가 높고 소재를 가공시 가공 균일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들어와 API-K55급 유정용 강을 미량합금원소를 첨가하지 않고 단순히 중탄소성분계를 사용하여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탄소성분계를 사용함에 있어 열간압연제조 조건범위가 매우 협소하다. 즉, 권취온도가 다소 높으면 열연코일중 일부에서의 인장강도가 규격에 미달되나, 반대로 권취온도가 낮으면 항복강도가 규격을 초과하는등의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은 협소한 열간압연제조 조건범위로 하여 코일길이방향 및 코일간 재질편차가 과도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API-K55급 유정용 강은 파이프성형가공량이 크기 때문에 가공경화가 크게 일어나 파이프상태에서의 항복강도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요구하는 강도규격을 맞추지 못하는 문제등이 있었다.
또한 중탄소성분계의 고장력 유정용 강관 제조시 항복비를 낮추기 위해서는 소재상태의 최종결정립을 크게하는 것이 유리하나 유정용 강관을 목적으로 하는 강도와 함께 우수한 저온인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조조건은 필연적으로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재질의 강을 제조할뿐 아니라 재질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탄소성분계를 사용하여 열간압연을 제어함에 의해서 항복비, 재질편차 및 저온인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강도가 우수한 API-K55급 유정용 열연강판을 보다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 0.3-0.50%, Mn : 1.0-2.0%, Si : 0.5%이하, P : 0.03%이하, Si : 0.03%이하,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Mn/C의 비가 4.0이하인 중탄소 열연강을 850-750℃의 열간압연마무리온도로 열간압연하고, 이후 Ar3-20℃의 온도까지 적어도 10℃/sec이상의 냉각속도로 수냉한후, Ar3-20℃로부터 펄라이트변태개시온도인 Ar1온도까지 공냉하고 재차펄라이트변태개시온도에서 필라이트변태완료온도인 530-600℃까지 적어도 10℃/sec이상의 냉각속도로 수냉한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권취하는 고장력 고인성(API-K55급)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강의 성분한정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C는 0.5%이상이 되면 저온인성이 저하되며 파이프제조시에 사용되는 전봉용접성이 저하되고 탄소량이 0.3%이하인 경우에는 고강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0.3-0.5%가 바람직하다.
상기 Si는 제강시 탈산제로서 참가되고 있으며 고용강화효과도 있으나 0.5%이상이 되면 용접성이 저하되고 강판표면에 산화피막이 심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5%로 한다.
Mn은 1.0%이하가 되면 목적으로 하는 강도를 얻기 어려우며 2.0%이상이 되면 페라이트 및 퍼얼라이트변태를 지나치게 지연시키므로 변태가 권춰이후에 진행된다. 그런데 권취이후에는 코일의 냉각속도가 각부위별로 다르므로 변태가 권취이후에 진행되면 코일의 길이방향 재질편차가 증가된다.
따라서 Mn 함량의 상한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였다.
P는 그 상한을 0.03%로 정하였으며 그 이유는 0.03%를 초과하는 경우 응고편석에 의한 판 중앙부에 이상변태조직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S는 MnS의 비금속개재물로 강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S량의 증가에 따라 MnS의 형성이 증가되고 MnS 개재물은 소재가 심한 가공을 받을 경우, 가공균열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며 그 상한을 0.03%로 정하였다.
Mn/C는 탄소량에 비하여 Mn량이 과도하여 Mn/C의 비가 4.0이상이 되면 Mn의 변태지연효과에 기인하여 재질편차 및 파이프성형가공에 따른 항복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Mn/C의 비를 4.0이하로 규제하였다.
이상의 본 발명강은 유정용 강으로서 필요한 강도와 인성을 얻기 위하여 각종 원소를 규제하였으며 이와같은 조성의 강을 통상의 연속주조슬라브로 제조한후 재가열하여 열간압연을 하는바, 850-750℃의 온도범위에 열간압연을 마무리하므로서 오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을 미세화시킨다.
열간압연마무리온도가 850℃이상이 되면 조대한 오오스테나이트로부터 변태되는 페라이트의 결정립이 조대하여 목적으로 하는 고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페라이트결정립의 조대화에 따라 저온인성 역시 저하한다. 이와는 반대로 열간압연마무리온도가 750℃이하로 되면 열간압연시의 변형저항의 증가로 압연부하가 현저히 증가되어 압연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항복강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규격치를 벗어난다.
또한 코일압연시 피할 수 없는 길이방향 온도불균일을 고려하면 코일길이방향 균일재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Ar3온도보다 50℃정도 높게 하한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Ar3온도는 강의 화학조성에 따라 크케 의존되어 변화하며 본 발명범위에서는 성분변화에 따라 650-720℃로 나타나고 있다. 열간압연 종료후 즉시 Ar3-20℃까지 적어도 10℃/sec이상으로 수냉을 함으로써 열간압연에 의하여 미세화된 오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성장을 억제시키고 변태되는 페라이트의 핵생성수를 증가시킴에 의해 페라이트의 조기형성을 도모한다.
Ar3-20℃까지만 강냉각을 하는 이유는 후에 설명하는 공냉과정중에 페라이트의 적정분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너무 낮은 온도까지 강냉각을 하면 페라이트변태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성장억제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범위인 Ar3-20℃까지만 강냉각을 실시한다.
이때의 냉각속도는 빠르면 빠를수록 유리하나 현 열연냉각설치능력으로 제어가능한 범위이며 오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10℃/sec이상의 냉각속도가 필요하다.
Ar3-20℃ 온도로부터 Ar1(펄라이트변태개시온도)온도까지의 공냉은 핵형성된 페라이트의 적정분율을 얻기위함이며 이는 API-K55강의 특성상 항복비가 낮아야하며 따라서 동일한 인장강도라도 항복강도는 가능한한 낮게 해야만하고, 페라이트의 분율을 가능한한 증가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때 생성가능한 페라이트의 최대분율은 본 발명강의 성분범위내에서는 50%정도이나 실제로 이러한 양의 페라이트를 짧은 냉각공정중에 얻기는 불가능하므로 가능한한 많은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더라도 규격치이하의 항복강도는 얻어지지 않는다.
Ar1온도까지만 공냉을 하는 이유는 그이하의 온도에서는 페라이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펄라이트변태개시온도인 Ar1온도는 본 발명 조성범위안에서는 610-680℃로 나타났다.
Ar1온도이하에서 필라이트변태완료온도까지의 강냉각은 생성되는 펄라이트외 층상구조로의 발달을 억제시켜 구상펄라이트를 형성시킴으로써 연성증가를 도모할뿐만 아니라 파이프가공에 따른 가공경화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최종파이프상태에서의 항복강도를 규격이내로 하기위함이다.
동시에 펄라이트변태종료이하로 강냉각을 하게 되면 베이나이트가 생성되어 강도의 급격한 상승 및 저온인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강냉각의 종료온도를 펄라이트변태완료온도까지로 한다.
본 발명 범위인 조성을 지닌 강의 펄라이트변태종료온도는 530-600℃로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강냉-공냉-강냉의 냉각형태를 전후단 냉각제어라고 부르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1과 같은 화학성분, 압연 및 냉각조건 즉, 열간압연마무리온도(FT)는 900-750℃로 권취온도(CT)는 650-550℃로 변화시켰으며 전단냉각, 후단냉각 및 전후단냉각으로 구분하여 각기 냉각제어하여 열간압연 및 냉각하여 권취한 열연판에 대하여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여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2]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재 A-F의 경우에는 기본 성분계가 본 발명 범위에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압연제어를 하더라도 요구하는 기계적 성질이 나타나지 않으며, 반면에 본 발명강의 조성에 만족하는 강을 사용하여 압연제어를 하는 비교재 G-K의 경우를 살펴보면, FT, CT 및 냉각제어조건이 본 발명범위에 근접하게 될수록 목적하는 기계적 성질에 근사되고 있으며 본 발명 범위와 일치하는 발명재 L의 경우, API-K55 강의 범위에 해당하는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지며, 특히 비교강에 비하여 흡수에너지 즉, 저온인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C : 0.38wt%, Si : 0.25wt%, Mn : 1.2wt%, P : 0.015wt%, S : 0.002wt% 및 Mn/C : 3.2인 열연강을 FT : 880℃, CT : 620℃ 및 전단냉각조건으로 열간압연 및 냉각하여 권취한 비교코일과 상기 조성의 열연강을 FT : 820℃, CT : 580℃ 및 전후단 냉각조건으로 열간압연 및 냉각하여 권취한 발명코일에 대하여 코일 길이방향의 재질편차를 측정하여 제1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코일은 코일방향으로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에 있어서 11㎏f/㎟ 및 8㎏f/㎟의 재질편차가 있는 반면에, 본 발명코일은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의 편차가 3㎏f/㎟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코일 및 비교코일에서 적절한 크기의 시편(발명재와 비교재)을 채취한 다음,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코일에서 채취한 발명재[제2도(가)]의 경우에는 펄라이트의 형태가 층상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구상화 되에 있는데 비하여 비교코일로부터 채취한 비교재[제2도(나)]의 경우에는 펄라이트가 층상구조로 잘 발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분규제와 압연제어에 의해 소정의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를 용이하게 얻을수 있고, 심한 파이프가공에도 불구하고 항복강도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충격인성을 얻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재질편차를 대폭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량합금원소를 생략함에 따라 생산단가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중탄소열연강을 850∼750℃의 열간마무리온도로 열간압연하고 이후 냉각, 권취하여 API K-55급 유정용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 : 0.3-0.50%, Mn : 1.0-0.2%, Si : 0.5%이하, P : 0.03%이하, S : 0.03%이하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Mn/C의 비가 4.0이하인 중탄소열연강을 상기 열간마무리온도로 열간압연하고 이후 Ar3-20℃ 온도까지 적어도 10℃/sec이상의 냉각속도로 수냉한후, Ar3-20℃로부터 펄라이트변태 개시온도인 Ar1온도까지 공냉하고 펄라이트변태 개시온도에서 펄라이트변태완료온도인 530-600℃까지 적어도 10℃/sec이상의 냉각속도로 수냉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17831A KR910002941B1 (ko) | 1988-12-29 | 1988-12-29 |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17831A KR910002941B1 (ko) | 1988-12-29 | 1988-12-29 |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9152A KR900009152A (ko) | 1990-07-02 |
KR910002941B1 true KR910002941B1 (ko) | 1991-05-11 |
Family
ID=1928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7831A KR910002941B1 (ko) | 1988-12-29 | 1988-12-29 |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29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146A (ko) * | 2014-12-19 | 2016-07-12 | 주식회사 포스코 | 중탄소 펄라이트강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6444B1 (ko) * | 1999-04-13 | 2001-09-13 | 정종수 |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활성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0387299B1 (ko) * | 2000-11-07 | 2003-06-12 | 주식회사 광호 | 철강슬래그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
KR200235040Y1 (ko) * | 2000-12-29 | 2001-09-26 | 한국전력공사 |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
-
1988
- 1988-12-29 KR KR1019880017831A patent/KR9100029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146A (ko) * | 2014-12-19 | 2016-07-12 | 주식회사 포스코 | 중탄소 펄라이트강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9152A (ko) | 1990-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68314B2 (ja) | 冷間加工性と浸炭熱処理後の表面硬さに優れる熱延鋼板 | |
US5567250A (en) | Thi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flange 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CN113166905B (zh) | 低温韧性和伸长率优异且屈服比小的用于高强度厚管线的钢材及其制造方法 | |
EP3561111A1 (en) | Thick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ryogenic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2017197787A (ja) | 延性に優れた高張力厚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8474089B (zh) | 具有优异的低温韧性和抗氢致开裂性的厚钢板及其制造方法 | |
JPH10306316A (ja) |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 |
CN108950392B (zh) | 一种超高延性低密度钢及其制备方法 | |
JP3922805B2 (ja) | 低温靭性に優れた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 |
JP3242303B2 (ja) | 超微細粒を有する延性、靱性、疲労特性、強度延性バランスに優れた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3369435B2 (ja) | 低温靱性に優れた非調質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 |
KR910002941B1 (ko) | 고장력, 고인성 유정용 열연강판의 제조법 | |
JP2008013812A (ja) | 高靭性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6322440A (ja) | 高マンガン非磁性鋼片の圧延方法 | |
JPH09279233A (ja) | 靱性に優れた高張力鋼の製造方法 | |
EP3889306B1 (en) |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elong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3031485B2 (ja) | 降伏伸びに優れた高強度鉄筋の製造方法 | |
JPS589815B2 (ja) | 低温靭性及び溶接性の優れた高張力鋼板の製造法 | |
JPH07242944A (ja) | 優れた低温靭性を有する耐サワー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 |
KR19990039203A (ko) | 고장력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276300B1 (ko) | 저항복비를 갖는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 |
CN114790530B (zh) | 一种高塑性超高强钢板及其制造方法 | |
JPS6367524B2 (ko) | ||
KR20010060758A (ko) | 저온조직이 없는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 |
KR970007203B1 (ko) | 가공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80kg/㎟급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42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