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887B1 -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mesh) 구조물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mesh)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887B1
KR910002887B1 KR8204473A KR820004473A KR910002887B1 KR 910002887 B1 KR910002887 B1 KR 910002887B1 KR 8204473 A KR8204473 A KR 8204473A KR 820004473 A KR820004473 A KR 820004473A KR 910002887 B1 KR910002887 B1 KR 91000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strands
oriented
mesh struc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057A (ko
Inventor
브라이언 머서 프랭크
Original Assignee
브라이언 머서 프랭크
피엘지 리서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이언 머서 프랭크, 피엘지 리서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라이언 머서 프랭크
Publication of KR84000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8/00Producing nets or the like, e.g. meshes, latt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47Processes of splitting film, webs or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74Processes of repairing t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81Plastic 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10T428/24314Slit or elon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84Nonwoven scr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sthes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mesh) 구조물
제1a도, 제1b도 및 제1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발물질, 단축 구조 및 쌍축 구조의 평면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예의 출발물질, 단축 구조 및 쌍축 구조의 평면도.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직 또다른 예의 츨발물질, 단축 구조 및 쌍축 구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출발물질 2, 2', 3, 3' : 구멍
3 : 단축 구조물 6 : 스트랜드
8 : 레그 9 : 봉
12 : 상축 구조물 13 : 접선
15, 17 : 스트랜드 21, 22, 23 : 스트랜드
31 : 봉 32, 33, 34 : 스트랜드
42 : 레그.
본 발명은 단일체로된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mesh)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영국 특허 제 2,035,191 B호, 제 2,073,090 B호, 제 2,034,240 A호 및 제 2,096,531 A호는, 메시 구조물의 망목을 형성하는 구멍 또는 함몰부(depression)들이 균일하고 규칙적이며 반복적연 패턴으로 배치된 출발물질을 신장(stretch)시킴에 의해, 단일체로 된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 구조물을 제조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 출발 물질은 단일축방향으로, 또는 서로에 대해 큰 각도의, 통상적으로는 서로에 대해 직각의 두 신장방향의 쌍축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영국 특허 제 2,035,191 B호 및 제 2,073,090 B호의 메시 구조물 및 영국 특허 제 2,096,531 A호의 메시 구조물중 몇몇 구조물의 망목들은 그물의 중심이 가상적인 정방형 또는 장방형 격자(grid)상에 위치하며, 본 발명은 주로 그러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토양 안정화, 아스팔트 보강 또는 담장을 위한 쌍축방향 신장 구조물 및 토양 보강 또는 시멘트 혼합물을 위한 단축방향 신장 구조물과 같은 특징 용도를 위한 각종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인 용어로서, 출발물질은, 특히 천공에 의해 성형될때 구멍 또는 함몰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지역을 너무 높은 비율로 가지지 않아야 하고, 신장에 의해 메시 구조를 비교직 쉽게 형성하여야 한다.
함볼부는 필히 압력을 가함에 의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메시 구조물의 망목은 얇은 막(membrane)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배향된(ohentated)"이란 용어는 분자 배향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배향된 스트렌드(strand) 애서, 바람직한 배향방향은 스트랜드의 종방향이다.
"크게 배향된" 및 "낮은 정도로만 배향된"이란 용어는 넓은 의미에서 오직 비교를 위한 것이고, 전자는 후자보다 상당히 많이 배향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크게 배향된"이란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4 : 1, 5 : 1또는 그 이상의 신장비가 스트랜드에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낮은 정도로만 배향된"이란 용어는 해당지역에 적용된 신장비가 3 : 1 이하인 것을 의미하며 그런 신장비는 두께가 출발물질의 두께의 2/3 이상 감소되지 않은때(비록 그에 상응하는 것이 도면에 정확히 표시되지 않았으나) 가장 쉽게 측정된다.
"단축(uniax)" 및 "쌍축(biax)"이란 용어는 각각, 단일축방향으로 신장된 것과 쌍축방향으로 신장된 것을 의미한다.
"N-S" 및 "E-W"란 용어는 "북-남" 및 "동-서"를 의미하며, 출발물질 또는 메시 구조에서 직각의 두 방향을 나타내는데 편의를 위해 사용된다. "E-W 일(row)"은 E-W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을 말한다. 신장(stretching) 조작이 설명될때, 제1유효신장은 N-S 방향의 것이고 제2유효신장은 통상 E-W 방향의 것이다. 그러나, 그들 방향은 단지 추상적이고 제조기에서의 실제의 방향은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N-S 방향은 기계 방향(MD), 횡방향(TD),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방향일 수 있다.
"두께"란 용어는 출발물질 또는 메시 구조물의 면에 수직인 칫수를 말하며, "폭"이란 용어는 출발물질 또는 메시 구조물의 면의 칫수를 말한다. 상기 부분들의 폭이 아래 설명에서 언급되는 경우, 그 폭은 그 부분의 각 측부상의 망목들사이 상기 부분의 중앙선에 직각의 거리이다. 출발물질 또는 메시 구조물의 두께는 그 물질 또는 메시 구조물의 양 말단 면들 사이의 거리이다. 스트랜드의 두께는 융기된 연부물을 무시한 스트랜드 단면의 두께이다. 특히 원래의 구멍 또는 함몰부들이 시이트의 면들에서 나타나는 곳에서 반경(rediusing)을 갖지 않을때, 스트랜드들은, 연부가 융기되고 중심이 낮은 "바늘꽃이(pin-cushion)" 단면을 가지며, 두께는 융기된 연부들의 내측에서 측정된다.
신장비는 전체 또는 스트랜드중 어느 하나에 주어진다. 신장비가 스트랜드에 주어진때, 그 신장비는 스트랜드의 어느일 측부상의 망목의 각 단부들이 이동된 거리를 이완(relaxation)후 측정함에 의해 측정된다.
"접선"이란 용어는 일일의 구멍 또는 함몰부들에 접하는 가상적인 선을 말한다.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1항 또는 15항에 기재된 바와같은 구조물을 제공하며, 또한 청구범위 6항 또는 12항에 기재된 바와같은 방법을 제공한다. 나머지 청구범위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단축 구조에서 신장방향에 직각으로 그 구조물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E-W 밴드들이 있음이 목격되었다. 그 밴드들은 그들의 중앙선을 따라 연속적일 수 있고, 그러한 밴드물은 봉(bar)과 같으며 그들의 중앙선을 따라 배향되지 않을 수 있고, 규칙적인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고 낮은 정도로만 배향된 지역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조에서는 그 밴드들이, 배향되지 않거나 또는 낮은 정도로만 배향된 지역들이 규칙적인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고 그 지역들 사이에 N-S 방향으로 크게 배향된 지역들이 점점이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에서 그 밴드들은 그들의 중앙선을 따라 불연속적이고, 배향되지 않거나 또는 낮은 정도로만 배향된 지역들이 규칙척인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지역들 사이에 규칙적인 간격의 망목들이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밴드는, 각 불연속적인 길이가 서로에 대해 경사진 축을 가지나 N-S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크게 배향된 스트랜드들에 의해 동일 밴드의 인접하는 불연속 길이에 연결되어 연속성을 이루게 된다. 크게 배향된 스트랜드들 각각은 그의 일단부가 불연속적연 길이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 지역의 다른 크게 배향된 스트랜드에 연결되어 있다.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 크게 배향된 스트랜드에 연결되어 있다.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질수 있는 크계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들이 그들 밴드들 사이에서 그 밴드물을 방향으로 상호연결한다. 개념이 동일할지라도, 그러한 다른 형상의 잇점은 특정 형상에 좌우되고, 바람직한 구체예들과 관련하여 후술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물은 평편한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속공정으로 권취될 수도 있다.
많은 수의 부분 또는 밴드들이 제공되고, 그 수는 그들이 MD(기계방향)으로 연장하는가 TD(횡방향)으로 연장하는가에 따라 다르다. 통상 적어도 10개의 그러한 부분 또는 밴드가 제공된다. 그 부분들이 연속적인 경우, 그들은 매우 넓지않고, 예를들어 출발물질 두께의 4, 5 또는 10배 보다 크지 않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실제 평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되는 특정 구체예들외에 다른 많은 형상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영국 특허 명세서들에 기재된 어떤 적당한 특정들, 예를들어 각종 플라스틱 물질, 두께, 구멍 또는 함몰부의 형태 또는 배향방향, 구멍 또는 함몰부의 크기, 구멍 또는 함몰부의 핏치(pitch), 및 신장비가 본 발명의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구멍들은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E-W 밴드들이 그들의 중앙선을 따라 연속적인 경우 연결 스트랜드들이 어느 일측부상의 동일위치, 즉 다른 연결 스트랜드 접속위치와 정반대의 하나의 연결 스트랜드 접속위치에서 밴드들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스트랜드들의 배향방향은 밴드들내로 통과할 필요는 없고, 즉, 접선들을 지나 통과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배향방향이 영국 특허 공고 제 2,073,090 B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밴드대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멍 또는 함몰부들외에, 또다른 구조의 구멍 또는 함몰부들이 출발물질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b도, 제2b도는 실험실 샘플들을 도시한 것이고, 단축 구조 또는 쌍축 구조를 나타내는 나머지 도면들은 이론적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모든 출발물질은 평편하고 평행한 면물을 갓는 정확히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물질로부터 제조된 단축 구조 및 쌍축 구조 역시 정확히 평면형상이다. 도면에 도시된 출발물질의 특정칫수등은 뒤에 표시한 표에 기재되어 있다.
그 단축 및 쌍축 구조물상의 각종 지점들에서의 두께가 제1b도, 제1c도, 제2b도 및 제2c도에 ㎜로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영국 특허 명세서들은 각 구조들의 신장과정의 세부를 제공하며, 그 세부가 본 발명에도 적용될수 있다.
제1a도의 출발물질(1)은 규칙적인 패턴의 구멍(또는 함몰부) 2, 3을 가지고 있다. 큰 구멍(2)은 E-W 열(N-S 신장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로 배치되어 있고, 그 구멍의 중심은 가상적인 정방형 또는 장방형 격자상에 위치한다. 그 격자의 측부는 N-S 신장방향에 평행하다. 모든 큰 구멍 그들은 사실상 동일하다. 각상쌍의 인접열들 사이에 2개의 E-W 열의 작은 구멍(3)이 배치되어 있고, 그 구멍들의 중심선들은 큰 구멍(2)들의 일의 중심선들 사이에 위치한다. 작은 구멍(3) 역시 그들의 중심이 가상적인 정방형 또는 장방형 격자상에 위치하지만, N-S 방향으로 볼때 큰 구멍(2)들 사이 중간쯤에 위치하도륵 서로 엇갈려 있다.
출발물질(1)이 N-S 방향으로 신장될때 제1b도에 도시된 단축 구조(4)가 형성될 수 있다. 실제 구조는 신장정도에 좌우되며, 또한 E-W 방향 수축정도에 좌우된다. 지역 5는 신장되어, E-W 일들에서 N-S로 연장하는 제1의 평행하고 크게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strand) 6을 형성한다. 큰 구멍(2)와 작은 구멍(3) 사이의 지역(7)은 신장되어, 크게 배향된 제2스트랜드 또는 레그(leg), (8)을 형성하며, 그 스트랜드(8)은 제1연결 스트랜드(6)의 양단부들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제2스트랜드(8)이 연속적인 E-W 부분 또는 밴드 또는 봉(bar), (9)와 만나는 지역은 음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영국 특허 제2,073,090B호의 것과 유사하다. 배향방향은 봉(9)내로 통과하고, 필요한 경우 봉(9)을 직접 통과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그 구조물의 면에 수직으로 그리고 봉(9)의 E-W 중앙선을 따라 취한 단면은 평편하고 평행한 면들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파형의 면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런 특정 샘플은 E-W 방향 수축이 일어났으며, 이는 배향방향이 봉(9)를 직접 통과한 것을 나타낸다. 큰 구멍(2)에의 접선을 따라 취한 평행 단면은 파형의 면들을 갖는다. 레그(8)들이 스트랜드(6)과 만나는 분기부에, 낮은 정도로 배향된 두꺼운 지역(10)이 배치되어 있고, 그 지역(10)은 출발물질(1)보다 상당히 얇다. 그 지역(10)외에서는, 스트랜드(6)의 배향방향은 레그(8)의 배향방향은 레그(8)의 배향방향으로 직접통과한다.
2개의 가상적인 E-W 선(11, 12)가 그져질 수 있고, 선(11)은 스트랜드(6)들의 선(12)에 의해 교차될때보다 2배의 많은 수의 스트랜드 또는 레그(8)들에 교차한다.
E-W 열의 망 구멍(2, 3)이 제공되고, 구멍(2)은 N-S 방향으로 상당히 길며 구멍(3)과 중첩하여 있다.
제1b도의 단축 구조(4)는 토양 보강에 적당하고, 그의 횡봉(9)들의 크게 배향된 종방향 스트랜드(6, 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영국 특허 제2,0723,090B호의 단축 구조와 비교하여, 스트랜드 또는 레그(6, 8)들은 봉(9)을 가로질러 큰 배향을 전달함이 없이 더 배향될 수 있다. 너무 많은 배향이 봉(9)를 가로질러 전달될때, 즉 봉들의 지억이 N-S 방향으로 너무 많이 배향된 경우, 그 봉들이 토양내에서 구부러질때 분열될 위험이 있고, 그 분열은 크게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들을 따라 전달될 수 있다. 그리하여,본 발명은 강하고 보다 경제적인 즉 수지(resin)의 단위 중랑당 큰 인장강도를 갖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b도의 구조는 봉(9)의 폭(N-S 방향)을 감소시킴에 의해 또한 연결 스트랜드들에 적용되는 신장비를 증대시킴에 의해 재료를 결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조(4)가 장기간의 크리이프(creep) 및 파열에 양호한 저항성을 가짐이 밝혀졌다.
제1b도의 구조(4)는, 신장비(스트랜드에 대한)가 약 11, 5 : 1로 대략 동일한 연결 스트랜드(6)과 레그(8)사이에 양호한 균형(balance)을 갖는다. 각 스트랜드 또는 레그(8)의 중간 지점에서 측정한때 각 레그(8)의 단면이 각 스트랜드(6)의 단면의 대략 절반이다. 그러한 균형 성질은, 접선(13), (큰 구멍(2)에 대한 접선)에 대한 작은 구멍(3)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큰 구멍(2)의 크기에 대한 작은 구멍(3)의 크기를 변경시키며, 작은 구멍(3)의 형태를 변경시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중요한 매개변수는 지역(7)의 폭연 것으로 생각된다. 제1a도의 실선에서, 작은 구멍(3)은 접선(13)의 내측에서 그 접선에 접촉하여 사실상 접하여 있고 정선(13)의 다른 쪽에는 큰 구멍(2)이 위치하며 지역(7)의 폭이 A로 나타내어져 있다. 작은 구멍(3)은 접선(13)의 더 내측에 위치하거나, 접선(13)에 의해 교차되거나, 또는 접선(13)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 효과가 제1a도에 도시된 구멍(3')로 나타내어져 있고, 그러한 배치에서 지역(7)의 유효쪽 B가 감소된다. 구멍(3')의 배치에서 출발물질(1)은, 지역(5)가 연결 스트랜드(6)을 형성하도록 신장되기 전에 레그(8)이 상당히 신장되도록 지역(7)에서 먼저 신장되는 경향을 갖는다. 구멍(3)이 가상적인 접선(13)의 내측에 있거나 의측에 있거나간에 강도의 차이는 거의 없다.
그러나, 파일시 구조물(4)는 구멍(3)이 접선(l3) 내측에 있을때 스트랜드(6)의 중심에서 파손되는 경향이있고, 구멍(3)이 접선(13)의 외측에 있을때 레그(8)의 중심에서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제품의 일관성(consistency)의 관점에서, 스트랜드(6)의 중심에서 파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지역당 플라스틱 물질의 중량의 변화는 거의 없다. 그러나, 작은 구멍(3)이 접선(13)의 외측, 또는 그 접선의 외측쪽에 있을때, 레그(8)은 약하게 되고, 배향이 봉(9)를 가로질러 전달되는 능력이 적거나, 또는 낮은 정도의 N-S 방향보다 많이 봉(9)를 배향시키는 능력이 적다. 이것은 봉(9)를 가로질르는 배향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는 잇점이다. 지역(7)에서의 힘은 그 힘이 작은 구멍(3)의 주위를 통과하여야할때 정확히 N-S 방향이 되지 않는다. 물질의 제거없이 핀구멍 같은 작은 구멍(3)을 갖는 것이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지만, 이것은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제1b도의 구조(4)는 더 N-S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더 신장시킴에 의해 단위 중량이 낮게되고 인장강도가 커지며 크리이프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되나, 봉(9)를 가로질러 파열이 일어날 위험성이 크게된다. 스트랜드(6, 8)에서와 신장비는 12 : l 또는 그이상으로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봉(9)를 가로지르는 두께의 감소는, 배향을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원래의 두께의 2/3보다 크지 않아야 함이 바람직하다.
제1c도의 쌍축 구조물(12)는 제1b도의 구조(4)를 E-W 방향으로 신장시킴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약간의 N-S 방향 수축이 허용될 수 있고 그러한 수축이 도시된 구조에서 일어났다. 또 다르게는, 제1b도의 구조(4)가 약간 덜 신장될 수 있고, 후속의 E-W 방향 신장이 N-S 방향 유효 신장을 약간 증가시키토록 완전한 억제하에 이행되었다. N-S 방향 유효신장의 증가는 레그(8)을 길게함에 의해, 예를들어 구멍(3)을 N-S 방향으로 길게함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봉(9)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제1b도의 지역(14)는 신장되어 제1의 크게 배향된 메인 스트랜드(15)를 형성하고, 봉(9)가 가장 얇은 구조(4)의 지역(16)은 신장되어 제2의 크게 배향된 메인 스트랜드(17)을 형성하며, 그 스트랜드(17)은 스트랜드(15)와 정렬되어 있다. 원래의 구멍(3)은 일반적으로 3각형의 망목(3)을 형성한다. 스트랜드(15)에서의 신장비는 6 : 1, 7 : 1 또는 8 : 1일 수 있고 스트랜드(17)에서의 신장비는 상기와 대략 동일하다. 스트랜드(15, 17)은 접속지역(l9)에서 스트랜드(8)과 연결되어 있고, 그 지역(19)는 영국특허 제 2,035,191 B호의 쌍축 구조의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그 접속지역(19)는 배향되지 않거나 또는 낮은 정도(두께의 2/3보다 적은)로만 배향된 물질을 갖는다. 레그(8)을 개방시켜 그 레드들사이 분기부를 그 분기부 주위에서 연장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을때라 도 지역(10)은 그대로 유지된다. 출발물질(1)의 구멍(3)이 도시된 바와같이 접선(13) 내측에 있을때, 지역(l6)은 지역(14)보다 매우 작고 지역(16)이 먼저 시잔된다. 그러나, 작은 구멍(3)이 접선(13)외측에 있을때는 지역(14)가 좁게되고 그 지역(14)가 먼저 신장된다. 지역(14, 16)의 폭들은 구멍(3)을 접선(13)의 외측에서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함에 의해(3'로 도시된 바와같이)동일하게 될수 있다.
제1c도의 상축 구조는 토양 안정화에 특히 적당하고, E-W 방향으로 신장불가하게 유지되면서 영국 특허 제 2,035,191B 호에 쌍축 구조의 것보다 약간 작은 구멍(2)을 갖는다.
제2a도 및 제2b도에서, 출발물질(1)의 모든 구멍(함몰부), (2, 2')는 동일하다. 기본 패턴의 E-W 일의 제1구멍(2)들이 가상적인 정방형 또는 장방형 격자상에 배치되고, 또다른 E-W 열의 제2구멍(2')들이 구멍(2)의 열들사이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2')는 N-S 방향에서 볼때 구멍명(2)들사이 중간에 위치하도록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N-S 방향으로 신장시킬때 단축 구조(4)가 형성된다. 도시된 특정의 구조(4)에서, E-W 방향의 억제가 없었고, 약간의 E-W 방향 수축이 일어났다. 구조(4)는, 크게 배향된 제1스트랜드(32), 제2스트랜드(33) 및 제3스트랜드(34)에 의해 상호연결된 연속적인 E-W 부분, 밴드 또는 용(31)을 가졌다. 각 스트랜드(32)의 각 단부는 두개의 스트랜드(33)으로 분기 되어있고 각 스트랜드(34)의 일단부는 봉(31)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두개의 스트랜드(33)으로 분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2개의 가상적인 E-W 선(11, 12)가 그려질 수 있고, 그의 선(11)은, 스트랜드(32 또는 34)카 선(12)에 의해 교차될때의 2배만큼 많은 수의 스트랜드(33)에 교차한다. 하나의 E-W 일의 구멍들중 구멍(2')는 N-S 방향에서 측정할때 다른 E-W 일의 구멍(2)보다 상당히 길게되어 있다. 구멍(2')는 구멍(2)보다 상당히 크고 그 구멍(2)에 중첩하여 있다.
봉(31)의 상세한 것은 영국 특허 제 2,073,090 B호의 단축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고, 그들의 E-W 중앙선을 따라 전혀 배향되지 않거나, 또는 정렬된 스트랜드(34)들사이 지역에서 낮은 정도로만 배향될 수 있다. 제1b도의 지역(10)과 유사한 작은 지역(35)가 스트랜드(33)사이 분기부에 제공되어 있다.
그 구조물(4)는 토양 보강에 유용하다. 봉(31)들사이의 크게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32, 33, 34)는, 예를들어 토양의 돌맹이들이 구조물의 타측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약간 측방(E-W)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형성한다.
출발물질(1)의 구멍들의 N-S 핏치(pitch)는, 스트랜드(32, 34)의 중간지점에서의 단면적이 동일하고 스트랜드(33)의 중간지점에서의 단면적에 대략 2배가 되도록 선택된다. 중요한 매개변수는 스트랜드(33)을 형성하는 지역(37)의 폭 D에 대한, 스트랜드(32, 34)를 형성하는 지역(36, 36')의 폭 C이며, 지역(37)에 가해지는 힘은 N-S 방향에 대해 큰 각도를 갖는다. 핏치를 다르게 함에 의해, 영국 특허 제 2,034,240 A호에 기술된 구조를 봉(31)들사이에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2c도는(MD 신장후 TD 신장을 행하는 것과 같이, 수축없이 제2b도의 단축 구조(4)를 E-W 방향으로 신장함에 의해 형성된 쌍축 구조(12)를 나타낸다. 봉(31)의 지역(38)은 신장되어 메인 스트랜드(39)물을 형성하고, 그 스트랜드(39)는 영국 특허 제 2,035,191 B호의 쌍축 구조물의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는 접속지역(40)에서 스트랜드(34)에 그리고 서로에 연결되어 있다. 접속지역(40)은 배향되지 않거나 또는 낮은 정도로만(두께의
Figure kpo00002
보다 작게) 배향된 물질을 갖는다.
제1c도의 구조(4)에서와 같이, 지역(35)는 E-W 신장시 약간 당겨지고, 스트랜드(33)들사이 분기부가 그 분기부 주위를 지나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N-S 방향 억제에 기인하여, 스트랜드(33)은 E-W 신장시 약간 신장된다.
구조(12)는 토양 안정화에 유용하고 영국 특허 제 2,034,240 A호의 단축 또는 쌍축 구조의 안정화된 형태로 작용한다. 그리하여, E-W 방향으로 연장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선이 제공되어, 그 물질을 배치할때 N-S 방향으로의 축소를 야기하는 E-W 방향 장력을 방지한다. 영국 특허 제 2,035,191 B호의 쌍축 구조와 비교하여, 크게 배향된 메인 스트랜드(39)들사이의 크게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32, 33, 34)의 가요성이 크다.
제3a도의 출발물질은 제2a도의 것과 유사하나, E-W 일의 큰 구멍(2)들사이에 작은 제3의 구멍(또는함몰부), (3)이 배치된 것이 다르다. 그 출발물질길(1)이 N-S 방향으로 신장될때, 구멍(2, 2', 2)의 인접열들은 제2a 및 2b도의 경우 세와 같게되고, 따라서 제3b도에서 유사한 부분에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봉(31)은 형성되지 않으며, 그 구조는 영국 특허 제 2,096,531 A호의 단축 구조의 정방형 메시와 유사하다. 따라서, 인접 구멍(2, 3)사이의 지역(4l)은 신장되어, 크게 배향된 레그(42)를 형성하고, 그 레그의 축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고 N-S 방향으로 연장한다. 인접구멍(3)들사이 불연속적인 부분, 길이 또는 지역(43)은 단축 구조(4)에서 배향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배향된 지역(43)으로 잔류한다. 규척적인 간격의 지역(43)들이 형성되고 그 지역들 사이에 규칙적인 간격의 구멍(3)이 배치되며 그 지역(43)이 4개의 레그(42), (각 측부에 2개씩)에 의해 인접지역(43)에 연결된 구조물을 통하여 연장하는 E-W 밴드(43')가형성되어 있다. 레그(42)는, 연결 스트랜드(34)가 연결된 접속부(44)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3b도의 구조(4)는 토양 보강에 유용하고, 제2b도의 구조(4)의 잇점을 갖는 외에 그 구조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보다 큰 가요성을 갖는다. 이는 지역(43)이 레그(42)들을 꼬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해 굴곡되어 큰 횡방향 가요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토양이 돌맹이를 가지는 경우에 유용하다.
출발물질(1)의 구멍(3)이 구멍(2, 2')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경우, 제3b도의 구조(4)는 형성되지 않는다. E-W 측부들이 실제 서로 접촉하는 곳에 변형을 포함하여 구멍(2, 2', 3)의 형태에 대한 많은 병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히 다른 형태의 구멍들을 갖는 출발물질이 제공될 수 있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고 제3a 및 3b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다른 구멍들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가 어떤가에 대한 테스트는 관찰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축정 매개변수는 구멍들의 상대적인 평면적, 또는 구멍의 외주의 상대적인 전체길이, 또는 구멍들의 상대적인 최대칫수, 또는 구멍들의 상대적인 최소칫수, 또는 신장방향으로의 구멍들의 상대적인 칫수일 수 있다. 구멍의 크기는 출발물질의 신장방식이 구멍들 사이 지역들의 상대적인 폭에 좌우됨을 나타낸다(폭 A, B, C, D(제1a 및 2a도)에 대한 전술한 설명 참조).
제3c도의 구조(12)는 전체 N-S 방향 억제하에 제3b도의 구조(4)를 E-W 방향으로 신장함에 의해 형성되었다. 지역(43)은 신장되어 메인 스트랜드(39)를 형성하고, 레그(42)는 약간 신장되어, 영국 특허 제 2,096,531 A호의 쌍축 정방형 메시 구조에서와 같은 접속지역(45)를 형성한다. 그 접속지역(45)는 플라스틱 물질의 링들로 형성되고, 그 링들은 낮은 정도(두께의
Figure kpo00003
보다 작은)로만 배향된 플라스틱 물질의 지역(46)을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4개의 레그(42)를 포함하며, 인접 레그(42)들사이 분기부는 그 분기부 주위를 지나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2c도에 도시된 접속지역(40)과 다른 접속지역(40)과 다른 접속지역(45)외에는, 제3c도의 구조(12)는 제2c도의 구조와 매우 유사하며 유사한 부본에 동일한 번호가 사용되었다. 잇점역시 제2c도 구조(l2)의 것과 유사하지만, 그 구조는 E-W 방향으로 완전히 안정되지 못하고 약간의 신장이 가능하다.
하기 표에서, 모든 구멍(2, 2', 3)은 원형이고, 물질은 모든 경우에서 명목상 4.5㎜ 두꼐의 HDPE이었다. 신장(streching)은 99℃에서 수행되었다. 그 물질은 상기 신장온도에서 수축을 조절하면서 5-10% 이완되었다.
[표 ]
Figure kpo00004

Claims (17)

  1. 신장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구조물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다수의 떨어져 있는 평행한 부분(9, 31, 43)을 포함하고, 그 부분들이 배향되지 않거나 또는 낮은 정도로만 배향되고 길이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지역(14와 16, 또는 38, 43)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들이 연속적이거나 또는 불연속적이며 그들사이에 규칙적인 간격의 그물 구멍(3)들이 배치되어 있고, 그렇게하여 형성된 각 불연속적인 길이가,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으나 심장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들을 가진 적어도 2개의 크게 배향된 스트랜드(42)들에 의해 동일 부분의 인접하는 불연속길이에 연결되어 있고, 크게 배향된 스트랜드(42)들 각각이 일단부에서 각 불연속 길이(43)에 연결되고 타단에서는 접속지역(44)에서 다른 크게 배향된 스트랜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속적인 부분들(9, 31)이 상기 인접하는 연속적인 부분들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불연속적인 부분들(43)의 상기 접속지역(44)들이 신장방향으로 연장하는 크게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6과 8 또는 32, 33과 34)에 의해 상기 인접불연속 부분들의 접속지역(44)들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나란히 평행하게 이격된 스트랜드(6, 32)를 포함하며 단일축방향으로 신장된 단일체의 플라스틱 물질 메시 구조물(4)에 있어서, 평행한 스트랜드(6, 32)의 각각의 단부는 2개의 상기 불연속 스트랜드(8, 33)로 분기되며, 상기 불연속 스트랜드(8, 33)는 연속 부분(9, 31) 또는 상기 접속지역(4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스트랜드(8)들은 각각의 연속 부분(9)에 직접 연결되며 한쌍의 상기불연속 스트랜드(8)은 상각형의 그물 구멍(3)을 형성하며 그 그물 구멍은 상기 제1스트랜드(6)을 사이에 인접하여 형성된 그물 구멍(2)보다 신장(N-S)방향에 있어서 더 짧은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 구조물.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부분(9)은 신장방향(N-S)에 직각으로 구조물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뻗어 있으며 연속부분(9)속에는 그물 구멍들이 없는 메시 구조물.
  4. 제3항과 4항에 있어서, 연속 부분(9)의 일측의 작은 그물 구멍(3)은, 일측의 큰 그물 구멍(2)이 타측의 보다 큰 그물 구멍(2)에 있는 것보다 타측의 작은 그물 구멍(3)에 더 가까이 있는 메시 구조물.
  5. 상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스트랜드(6과 8 또는 32와 33)들은 신장방향(N-S)에 직각으로 뻗은 그물 구멍(2 또는 2')들의 일들을 형성하며, 한 일의 그물 구멍(2 또는 2')은 다른 일의 그물구멍(3 또는 2)들 보다 신장방향으로 더 긴 메시 구조물.
  6. 같은 크기의 제1구멍들의 적어도 2개의 일들이 신장방향(N-S)에 직각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열은 같거나 보다 큰 구멍들의 방해하지 않는 일과 인접하며, 제1구멍들은 관념상의 장방형 격자 상에 그 중심들을 지니머 측면은 신장방향(N-S)에 평행하며, 신장중에 같은 열의 인접한 제1구멍들 사이의 영역(5)은 신장방향(N-S)방향으로 뻗으며 평행하게 이격되고 나란한 배향된 스트랜드(6 또는 32)들을 형성하도록 신장되며, 특징적으로 제1구멍의 열의 중심선에 평행하며 그 사이에 열들의 중심선들을 지니는 제2구멍(3 또는 3' 또는 2')들의 일들이 있으며, 상기 제2구멍들의 중심들은 상기 제1구멍들(2)의 중심에 대하여 편향되어 있으며, 신장방향에서 제2구멍(3 또는 3')들이 제1구멍(2)보다 작으며 한일의 2개의 제1구멍(2)을 지니는 장방형을 형성하며 제1구멍들(2)의 바로 인접한 일에서 바로 인접한 2개의 제1구멍을 지니는 한 열의 바로 인접한 2개의 제1구멍(2)을 연결하는 대각선들의 교차점에 위치하지 않거나, 제2구멍(2')들이 제1구멍(2)과 같은 크기로 되며, 신장시에 각기 인접한 제1구멍(2)과 제2구멍(2' 또는 3 또는 3')들 사이의 지역(7)들은 더 배향된 스트랜드(8 또는 33)들을 형성하도록 신장되며, 스트랜드들중 2개는 각각의 제1의 배향된 스트랜드(6 또는 32)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구성된 패턴의 구멍(2, 3 또는 2, 3' 또는 2, 2' 또는 2, 2', 3)들의 규척적인 패턴을 지니는 플라스틱 출발물질(1)을 적어도 한 신장방향(N-S)으로 신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일체로된 플라스틱 물질 메시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제1구멍(2)들의 2개 열과 제2구멍(2')들의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멍들은 제l구멍들과 같은 크기이며, 제1구멍들 사이의 중간에 있도록 엇갈려 있으며, 상기 신장된 방향으로 2개 열의 제1구멍이 상기한 제1구멍(2)들과 정렬되어 구성된 메시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중심이 제1구멍들의 바로 인접한 열들 사이에 위치한 제3구멍들이 있으며, 상기 제3구멍들(3)은 제1구멍(2)보다 더 작으며 상기 가상의 대각선들의 교차점상에 위치하는 메시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6항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구멍(2, 2')들은 동일한 메시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제1구멍(2)들의 바로 인접한 2개열의 중성선들 사이에 중심선을 지니는 제2구멍(3 또는 3')들의 2개열과, 신장방향에 직각으로 뻗은 제2구멍(3 또는 3')들의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멍들은 제1구멍(2)들 보다 더 작으며 장방형 격자상에 그 중심들을 지니며, 제2구멍(3 또는 3')들은 신장방향(N-S)에서 제1구멍들(2)사이의 중간에 있도록 엇갈려 있는 구성의 메시 구조물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기 제2구멍(3)은 제1구멍(2)의 각기 열에 접하는 가상의 접선에 접하며, 제2구멍(3)은 제1구멍(2)의 각기 접선의 타측에 있는 메시 구조물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단일 측 방향으로 신장된 구조물을 상기 신장방향에 실제로 수직인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2축으로 배향된 일체 플라스틱 재료 메시 구조물 제조 방법.
  13. 크게 배향되어 정렬된 주 스트랜드들(15와 17 또는 39)이 하나의 신장방향(E-W)에 실제로 평행하고, 하나의 주 스트랜드(15 또는 39)의 단부가 배향되지 않은 플라스틱 물질 또는 단지 낮게 배향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는 접속지역(19, 40 또는 45)을 경유하여 다음의 주 스트랜드(17 또는 39)의 인접 단부에 연결되며 ; 또다른 그러한 주 스트랜드들(15와 17 또는 39)는 가장 먼저 언급된 주 스트랜드들(15와 17 또는 39)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하나의 또다른 주 스트랜드(15 또는 39)의 단부는 배향되지않은 플라스틱 물질 또는 단지 낮게 배향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는 접속지역(19, 40 또는 45)을 경유하여 다음의또다른 주 스트랜드(17 또는 39)의 인접 단부에 연결되며 ; 크게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들(6과 8 또는 32, 33과 34)은 인접하고 평행한 주 스트랜드들(15와 17 또는 39)의 접속지역들(l9, 40 또는 45)을 연결시키며, 연결 스트랜드들(6과 8 또는 32, 33과 34)은 다른 신장방향(N-S)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하게 이격되고 크게 배향된 제1의 연결 스트랜드들(6 또는 32)을 포함하며, 두개의 상기 주 스트랜드들(15와 17 또는 39)과 두개의 상기 연결 스트랜드들(6과 8 또는 32, 33과 34)이 어떤 하나의 상기 접속지역(19, 40 또는 45)에서 만나게 구성되며 ; 두 신장방향(N-S 및 E-W)으로 신장된 일체 플라스틱 물질 메시 구조물에 있어서, 직각의 제1연결 스트랜드(6 또는 32)의 각각의 단부가 두개의 제2연결 스트랜드(8 또는 33)내로 분기하며 그의 다른 단부들은 직간접적으로 상기 접속지역(19, 40 또는 4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플라스틱 물질 메시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연결 스트랜드(8)이 각각의 상기 접속지역(19)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주 스트랜드(17)와 함께 삼각형 그물 구멍(3)을 형성하는 메시 구조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제2의 연결 스트랜드들(33)이 다른 신장방향(N-S)에 실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의 평행하게 이격되고 크게 배향된 연결 스트랜드들(34)에 의해 각각의 접속지역(40 또는 45)에 연결되며, 두개의 개별적인 제2연결 스트랜드(33)는 단일의 제3연결 스트랜드(34)에 연결되는 인접한 제1의 연결 스트랜드들(32)에 연결되는 메시 구조물.
  16. 제13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지역(19 또는 40)이 그물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 메시 구조물.
  17. 제13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지역(45)이 중심에 그물 구멍(3)을 지니는 플라스틱 물질의 링(42, 46)에 의해 형성되는 메시 구조물.
KR8204473A 1981-10-05 1982-10-05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mesh) 구조물 KR910002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130021 1981-10-05
GB30021/81 1981-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57A KR840002057A (ko) 1984-06-11
KR910002887B1 true KR910002887B1 (ko) 1991-05-09

Family

ID=1052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473A KR910002887B1 (ko) 1981-10-05 1982-10-05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mesh) 구조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536429A (ko)
EP (1) EP0076689B1 (ko)
JP (1) JPS58122830A (ko)
KR (1) KR910002887B1 (ko)
AT (1) ATE20325T1 (ko)
AU (1) AU556065B2 (ko)
BR (1) BR8205805A (ko)
CA (1) CA1186118A (ko)
DE (1) DE3271672D1 (ko)
DK (1) DK439182A (ko)
ES (2) ES8405310A1 (ko)
FI (1) FI823376L (ko)
GB (1) GB2108896B (ko)
GR (1) GR76757B (ko)
IN (1) IN158344B (ko)
MX (1) MX158475A (ko)
NO (1) NO823325L (ko)
ZA (1) ZA8273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1889A (zh) * 2009-03-31 2010-10-06 特耐克斯股份公司 对诸如路堤之类的大型结构进行加强、分隔和排水的板状构件
CN108350673A (zh) * 2015-10-09 2018-07-31 坦萨有限责任公司 由共挤出的多层聚合物制成的土工格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4965B (en) * 1982-07-06 1986-05-29 Plg Res Mesh structure and laminate made therewith
US4662946A (en) * 1982-10-05 1987-05-05 Mercer Frank B Strengthening a matrix
FR2572991B1 (fr) * 1984-11-13 1987-02-13 Nortene Sa Gaine tubulaire en matiere plastique et dispositif pour sa realisation
IT1197855B (it) * 1986-08-07 1988-12-21 Rdb Plastotecnica Spa Procedimento per ottenere orientamenti molecolari in lastre forate in materiale plastico estruso, e prodotto ottenuto
IT1228101B (it) * 1988-12-20 1991-05-28 Rdb Plastotecnica S P A V Elemento lastriforme del tipo rete monostirata, particolarmente per usi geotecnici
US5267816A (en) * 1989-09-14 1993-12-07 Netlon Limited Geogrids
US5269631A (en) * 1989-09-14 1993-12-14 Netlon Limited Plastics material mesh structures
GB8920843D0 (en) * 1989-09-14 1989-11-01 Plg Res Plastics material mesh structure
US5104714A (en) * 1989-11-30 1992-04-14 Tama Plastic Industry Elastic plastic netting made of oriented strands
US5527500A (en) * 1994-06-02 1996-06-18 The Tensa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framed panel utilizing tensioning by heat shrinking
GB9423721D0 (en) 1994-11-24 1995-01-11 Netlon Ltd Plastics material mesh structures
US6035498A (en) 1997-01-27 2000-03-14 Velcro Industties B.V. Stretched fasteners
CN1309328C (zh) * 1997-01-27 2007-04-11 维尔克鲁工业公司 拉伸的系固件
GB2390565A (en) * 2002-06-27 2004-01-14 Tensar Internat Ltd Geogrid
US7523924B2 (en) * 2005-08-30 2009-04-28 Paul Melanc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inforcing concrete and/or asphalt cement
EA019750B1 (ru) * 2010-07-20 2014-06-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Завод "Славрос" Ограждение и пластиковая ячеист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его возведения
GB201118659D0 (en) 2011-10-28 2011-12-14 Tensar Technologies Ltd Mesh structure, production and uses thereof
CN102561799A (zh) * 2012-02-06 2012-07-11 张银堂 一种双向拉伸的塑料隔离网及其制造方法
CN104746497B (zh) * 2013-12-31 2018-11-06 泰安现代塑料有限公司 三向格栅
US9835417B1 (en) * 2014-11-18 2017-12-05 Ronald J. Kay RPG shield netting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94251A (ko) *
DE1435107A1 (de) * 1960-09-27 1968-10-24 Arnaldo Monosilio Netz fuer den Fischfang mit einfachen Faeden ohne Knoten und Herstellung derselben
GB969205A (en) * 1960-09-29 1964-09-09 Arnaldo Monosili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ts
NL278551A (ko) * 1961-06-02
GB1055963A (en) * 1963-08-27 1967-01-25 Smith & Nephew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open work materials in sheet form
GB1116181A (en) * 1965-01-01 1968-06-06 Bakelite Xyloni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etting of thermoplastic material
GB1261515A (en) * 1968-03-20 1972-01-26 Smith & Nephew Net-like openwork structure
GB1276300A (en) * 1968-08-21 1972-06-01 Smith & Nephew Plastics Air filters
GB2034240B (en) * 1978-10-16 1983-01-19 Plg Res Plastics material mesh structure
GB2031833B (en) * 1978-10-16 1983-01-12 Plg Res Device for holding a number of containers
NO152611C (no) * 1978-10-16 1985-10-23 Plg Res Plastnettkonstruksjon, fremgangsmaate til dens fremstilling og anvendelse av konstruksjonen
EP0027031A1 (en) * 1979-10-09 1981-04-15 P.L.G. Research Limited Non-planar plastics material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062462B1 (en) * 1981-04-03 1986-10-22 P.L.G. Research Limited Plastics material mesh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1889A (zh) * 2009-03-31 2010-10-06 特耐克斯股份公司 对诸如路堤之类的大型结构进行加强、分隔和排水的板状构件
CN101851889B (zh) * 2009-03-31 2014-12-17 特耐克斯股份公司 对诸如路堤之类的大型结构进行加强、分隔和排水的板状构件
CN108350673A (zh) * 2015-10-09 2018-07-31 坦萨有限责任公司 由共挤出的多层聚合物制成的土工格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58475A (es) 1989-02-03
JPS58122830A (ja) 1983-07-21
ES516179A0 (es) 1984-06-16
AU556065B2 (en) 1986-10-23
US4536429A (en) 1985-08-20
FI823376A0 (fi) 1982-10-05
ATE20325T1 (de) 1986-06-15
AU8911482A (en) 1983-04-14
ZA827300B (en) 1983-11-30
ES275881U (es) 1985-04-01
ES8405310A1 (es) 1984-06-16
EP0076689A2 (en) 1983-04-13
BR8205805A (pt) 1983-09-06
FI823376L (fi) 1983-04-06
GR76757B (ko) 1984-08-31
KR840002057A (ko) 1984-06-11
IN158344B (ko) 1986-10-25
EP0076689A3 (en) 1983-05-25
ES275881Y (es) 1985-11-01
NO823325L (no) 1983-04-06
JPH0340698B2 (ko) 1991-06-19
GB2108896A (en) 1983-05-25
GB2108896B (en) 1985-09-18
EP0076689B1 (en) 1986-06-11
DK439182A (da) 1983-04-06
DE3271672D1 (en) 1986-07-17
CA1186118A (en) 198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887B1 (ko) 플라스틱 물질의 메시(mesh) 구조물
KR820001945B1 (ko) 플라스틱 재료 망상 구조물의 제조방법
KR820001946B1 (ko) 플라스틱 재료 망상 구조물의 제조방법
US5156495A (en) Plastic material mesh structure
CA1225265B (en) Mesh structure and laminate made therewith
DE60313978T2 (de) Erdbaugitter oder gitterförmige konstruktion
EP0062462B1 (en) Plastics material mesh structure
JPH0132060B2 (ko)
CN101700697A (zh) 一种多向受力塑料拉伸格栅及其制作方法
GB2034240A (en) Plastics Material Mesh Structure
ITMI940682A1 (it) Struttura di rete stirata particolarmente per uso geotecnico
CN106884425B (zh) 四向格栅及其制作方法
TH13770EX (th) "โครงสร้างตาข่ายของสารพลาสติก"
AT283569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itterwerkes
DE102020215116A1 (de) Wabenkörper mit spezifischem Zelldesign
KR920021916A (ko) 플라스틱 재료 매시 구조체
KR900003431A (ko) 폴리에스텔 의견사(擬絹絲) 제조방법
CS251579B1 (cs) Plošný útvar, zejména z plastu
DD203010A1 (de) Flaechengebilde aus sich kreuzenden thermoplastfae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