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820B1 - 차량용 현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820B1
KR910002820B1 KR1019850002747A KR850002747A KR910002820B1 KR 910002820 B1 KR910002820 B1 KR 910002820B1 KR 1019850002747 A KR1019850002747 A KR 1019850002747A KR 850002747 A KR850002747 A KR 850002747A KR 910002820 B1 KR910002820 B1 KR 91000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mpressor
determined
suspension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756A (ko
Inventor
다다오 다나까
스나오 찌까모리
미쯔히꼬 하라라
야스따까 다니구찌
마사나가 스즈무라
미노루 다떼모또
나오따께 구마가이
히로끼 아베
쇼오죠 다끼자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세끼 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60918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7171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60921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71716U/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66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22810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세끼 신지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현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현수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그 제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3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4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5도는 제4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6도는 제5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7도는 제6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8도는 제7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9도는 제8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10도는 제9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11도는 제10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12도는 제1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FR, SFL, SRR, SRL : 현수 유니트 11, 12 : 공기 스프링실
19 : 압축기 21 : 저장 탱크
36 : 제어기 47 : 유압 센서
50 :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 51 : 엔진 스위치
221, 222, 223, 224 : 공급용 개폐 밸브
271, 272, 273, 274 : 배출용 개폐 밸브
본 발명은 예를들어 선회 주행시에 차체의 롤(roll)변위를 억제하는 자세 제어 기능 또는 차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정하는 차 높이 조정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술한 자세 제어 기능 또는 차 높이 조정 기능의 목적을 위해, 각 바퀴마다 설치되고 각각의 공기스프링실을 갖는 현수 유니트와, 각 현수 유니트의 각 공기 스프링실에 공급용 제어 밸브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수단과, 각 현수 유니트의 각 공기 스프링실로부터 배출용 제어 밸브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서 압축기를 사용한 것, 또는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를 모아두는 저장 탱크를 사용한 것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수 장치는 저장 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있어서는 공기 스프링의 내압이 설정치 미만일때 압축기를 구동하고, 저장 탱크가 있는 경우에는 공기 스프링 또는 저장 탱크의 내압이 설정치 미만일때 압축기를 구동하고, 저장 탱크가 있는 경우에는 공기 스프링 또는 저장 탱크의 내압이 설정치 미만일때 압축기가 구동하게 되어 있다. 이때문에 이와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엔진 시동시 또는 시동 직후에 있어서도 상기 공기 스프링 또는 저장 탱크내의 압력이 설정치 미만일때는, 비교적 부하가 큰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엔진의 엔진 오일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될때까지 시간이 걸리게 되어 엔진 윤활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 엔진의 공회전이 안정될 수 없는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특히 엔진의 시동을 위해 시동 모터를 구동할때에 비교적 소비 전력이 큰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하고 있으면, 한냉시등에 있어서 상기 시동 모터의 회전수가 충분히 상승되지 않고, 엔진의 시동이 양호하게 수행되지 않는 결점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서, 각 바퀴마다 설치되고 각각의 공기 스프링실을 갖는 현수 유니트와, 각 현수 유니트의 공기 스프링실에 공급용 개폐 밸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압축 공기를 모아두는 저장 탱크와, 각 현수 유니트의 공기 스프링실로부터 배출용 개폐 밸브를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저장 탱크에 압축 공기를 보내주는 차량의 주행 구동용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등을 구비한 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스위치가 ON 상태로 된 후에 상기 엔진의 상태를 검출 또는 예측하는 엔진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엔진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엔진 시동후에 상기 엔진이 안정되게 운전되고 있음을 검출 또는 예측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금지하는 제어 수단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수 장치를 요지로 하는 것과 각 바퀴마다 설치되고 각각의 공기 스프링실을 갖는 현수 유니트와, 각 현수 유니트의 공기 스프링실에 공급용 개폐 밸브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직접 공급하는 차량의 주행 구동용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와, 각 현수 유니트의 공기 스프링실로부터 배출용 제어 밸브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등을 구비한 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스위치가 ON 상태로 된 후에 상기 엔진의 상태를 검출 또는 예측하는 엔진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엔진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엔진 시동후에 상기 엔진이 안정되게 운전되고 있음을 검출 또는 예측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금지하는 제어 수단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수 장치를 요지로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시동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안정되게 운전되고 있는 것을 검출 또는 예측할때까지 압축기의 구동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엔진 시동이나 시동 직후에 엔진의 윤활이 부족하거나 공회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엔진의 시동성이 약화되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또, 엔진이 안정되게 운전된 후는 곧바로 압축기가 구동가능하게 되므로 차 높이 조정등의 제어 스타트 시간의 지연은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현수 장치 전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SFR은 자동차의 우측 전륜용 현수 유니트, SFL은 좌측 전륜용 현수 유니트, SRR은 우측 후륜용 현수 유니트, SRL은 좌측 후륜용 현수 유니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현수 유니트(SFR, SFL, SRR, SRL)는 각각 서로 동일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우측 후륜용 현수 유니트(SRL)만 그 구조를 도시해둔다. 현수 유니트(SRL)는 주 공기 스프링실(11), 부 공기 스프링실(12), 충격 흡수기(13), 보조 스프링으로 이용되는 코일 스프링(도시안됨)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14는 충격 흡수기(13)의 감쇄력을 하드 혹은 소프트로 절환하기 위한 공압식 절환 장치이다. 참조 부호 15는 주 공기 스프링실을 형성하는 벨로우즈이다. 또한, 절환 장치(14)에 의해 주 공기 스프링실(11)과 부 공기 스프링실(12) 상호간의 연통 및 비연통의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공기 스프링의 하드 혹은 소프트 절환이 행해진다. 또, 절환 장치(14)의 제어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한 제어기(36)에 의해 행해진다.
참조 부호 16은 에어 클리너이고, 이 에어 클리너(16)로부터 송입된 대기는 외기 차단용 솔레노이드 밸브(17)를 거쳐서 건조기(18)로 보내진다. 이 건조기(18)에 의해 건조된 대기는 압축기(19)에 의해 압축되어 체크 밸브(20)를 거쳐서 저장 탱크(21)에 모여진다. 이 압축기(19)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에 의해서 구동되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191은 압축기용 릴레이로서, 이 릴레이(191)는 제어기(36)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저장 탱크(21)는 각각 급기용 솔레노이드 밸브(221 내지 224)가 설치되는 급기용 배관(23)을 거쳐서 각 현수 유니트(SFR 내지 SFL)의 주, 부 공기 스프링실(11, 12)에 접속된다. 현수 유니트(SRL 및 SRR)의 주, 부 공기 스프링실(11, 12)은 연통용 솔레노이드 밸브(241)가 설치된 연통용 배관(2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현수 유니트(SFL 및 SFR)의 주, 부 공기 스프링실(11, 12)은 연통용 솔레노이드 밸브(242)가 설치된 연통용 배관(26)에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현수 유니트(SRL 내지 SFL)의 주, 부 공기 스프링실(11, 12)내의 압축 공기는 각각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271 내지 274)가 설치되는 배기용 배관(28), 체크 밸브(29), 건조기(18) 솔레노이드 밸브(17), 에어 클리너(16)를 거쳐서 배출된다.
상술한 급기용 배관(23)에는 급기측 유로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설치되는 배관(31)이 나란히 설치된다. 또, 배기용 배관(28)에는 배기측 유로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32)가 설치되는 배관(33)이 나란히 설치된다. 또, 급기용 배관(23)과 절환 장치(14) 사이에는 하드/소프트 절환용 솔레노이드 밸브(34)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하드/소프트 절환용 솔레노이드 밸브(34)는 제어기(36)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17, 221 내지 224, 271 내지 274, 30, 34)는 통상 폐쇄된 밸브이고, 솔레노이드 밸브(241 및 242)는 통상 개방된 밸브이다.
또, 저장 탱크(21)내의 압력은 압력 센서(35)에 의해 검출된다. 이 압력 센서(35)의 검출 신호는 제어기(36)에 공급된다. 참조 부호 37은 후륜의 현수 유니트(SRL, SRR)의 주, 부 공기 스프링실(11, 12)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이다. 이 압력 센서(37)의 검출 신호는 제어기(36)에 공급된다.
참조 부호 38F는 자동차의 현수에 있어서의 전방부 우측의 하부 아암(39)과 차체 사이에 부착되어 자동차 전방부의 차 높이를 검출하는 전방부 차 높이 센서, 참조 부호 38R은 자동차의 현수에 있어서의 후방부 좌측의 측방 로드(40)와 차체 사이에 부착되어 자동차 후방부의 차 높이를 검출하는 후방부 차 높이 센서이다. 이들 차 높이 센서(38F, 38R)로부터 출력되는 차 높이 검출 신호는 제어기(36)로 공급된다. 양 차 높이센서(38F, 38R)는 홀(hall) IC 소자 및 자석의 한쪽을 차륜측, 다른쪽을 차체측에 부착하고 있으며, 정상 차 높이 레벨, 높은 차 높이 레벨 또는 낮은 차 높이 레벨로부터의 거리를 각각 검출하고 있다. 참조 부호 41은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 참조 부호 42는 스티어링 휘일(43)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 센서이고, 이들 센서(41 및 42)로부터 검출된 검출 신호는 제어기(36)로 공급된다. 참조 부호 44는 차체에 작용하는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이며, 센서로서는 예를들어 가속도가 없을때에는 추가 아래로 늘어뜨려진 상태로 되고 그 추에 연동하는 차폐판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이 차단되어 광전 다이오드에 도달하지 않으므로서, 가속도가 없다는 것이 검출되고, 상기 추가 경사지거나 이동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차체에 가속도가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검출되도록 한 형태의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참조 부호 45는 차 높이를 높은 차 높이(HIGH), 낮은 차 높이(LOW), 또는 자동 차 높이 조정(AUTO)으로 설정하는 차 높이 선택 스위치, 참조 부호 46은 자동차의 롤을 저감하는 자세 제어를 행하는 것을 선택하는 자세 제어 선택 스위치이다. 이들 스위치(45, 46)의 신호는 제어기(36)에 입력된다. 참조 부호 47은 엔진 윤활용의 오일 유압을 검출하는 유압 센서, 참조 부호 48은 브레이크의 밞음량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 참조 부호 49는 엔진의 악셀러레이터 개방도를 검출하는 악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 참조 부호 50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 참조 부호 51은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예를들어 점화 스위치등의 엔진 스위치, 참조 부호 52는 변속기의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 센서이다. 그리고, 이들 스위치(45, 46 및 51)의 출력 신호 및 이들 센서(47, 48, 49, 50 및 52)의 검출 신호는 제어기(36)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기(36)는 차 높이 선택 스위치(45)에 의해서 설정된 목표 차 높이와, 차 높이 센서(38F, 38R)에 의해서 검출된 차 높이를 비교하여, 차 높이가 상기 목표 차 높이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각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해주므로서 차 높이 조정이 행해진다.
또, 자세 제어 기능은 제어기(36)가 차체에 생기는 자세 변화 및 그 방향을 각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그 자세 변화를 상살할 각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해주므로서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차 높이 조정을 행할때는 급기측 유로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배기측 유로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32)를 폐쇄하므로써, 차 높이를 서서히 변화시켜, 이것에 의해 차 높이 조정시 타는 사람의 불안한 기분을 저감하고 있다. 상술한 자세 제어를 행할때는 급기측 유로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배기측 유로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32)를 개방해주므로서, 급격한 자세 변화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응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19)의 구동에 관한 제어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면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압 센서(47)로서 유압이 설정치 이상으로 될때에만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 설정치는 엔진이 시동후에 그 공회전이 안정할때에 얻어지는 정도의 유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먼저, 단계 S1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어떤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2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2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3로 진행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1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3에 있어서, 유압 센서(47)의 상태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4로 진행하여 유압 센서(47)가 ON, 즉 엔진 오일의 유압이 소정치 이상이 되어 센서(47)가 ON하였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되면 S5로 진행하여 압축기 구동 회로가 ON이 되고,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또, 단계 S4에 있어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3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하면, 엔진 스위치를 ON상태로 하여도, 엔진이 시동하여 오일의 유압이 설정치 이상이 될때까지는 부하가 큰 압축기(19)의 구동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제2도에 도시되는 제1실시예에 의하면, 엔진 윤활용의 오일 압력이 설정치 미만일때는 압축기(19)의 구동이 확실히 금지되므로, 엔진 윤활용의 오일 압력이 충분히 상승하여 엔진이 안정된 상태로 운전될때에만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9)를 구동할때에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결점, 즉 엔진 시동시나 시동 직후에 엔진의 윤활이 부족하거나 공회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엔진의 시동성이 악화되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3도에 따라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3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11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어떤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12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12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단계 S13에 있어서 유압 센서(47)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오일의 유압이 제어기(36)에 독입된다. 더우기, 단계 S14에 있어서 엔진 오일의 유압은 설정치 P°㎏/㎠ 이상인가 아닌가가 제어기(36)내에서 판정된다. 또한, 이 설정치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엔진이 시동후에 그 공회전이 안정된 때에만 얻어지는 정도의 유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14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15로 진행한다. 이 단계 S15로 진행하여 압축기 구동 회로가 ON이 되고,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단계 S14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13으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하면, 엔진 스위치를 ON상태로 하여도, 엔진이 시동하여 오일의 유압이 설정치(P°㎏/㎠)이상이 될때까지는 부하가 큰 압축기(19)의 구동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제4도에 따라서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압 센서(47)로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압력 스위치가 채용되고 있다. 제어기(36)는 이 제4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21에 있어서 운전자가 엔진 스위치에 키이를 넣어주므로서 단계 S22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S22에 있어서, 제어기(36)의 제어에 의해 압축기 구동 회로가 OFF된다. 이것에 의해, 압축기(19)의 구동이 금지된다. 다음에,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엔진 스위치가 어떤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24로 진행하여 엔진 스위치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24에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25로 진행한다. 이 단계 S24에 있어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25에 있어서, 유압 센서(47)의 상태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유압 센서(47)가 ON, 즉 엔진 오일의 유압이 설정치 이상이 되어 센서(47)가 ON하였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26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27로 진행하여 압축기 구동 회로가 ON이 되고,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또, 단계 S26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25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하면, 엔진 스위치에 키이를 넣으면 압축기(19)의 구동 회로를 OFF시키고, 엔진을 시동시켜도 엔진이 시동하여 오일의 유압이 설정치 이상이 될때까지는 부하가 큰 압축기(10)의 구동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제5도에 따라서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5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31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어떤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32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32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3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2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단계 S33에 있어서 제어기(36)내의 타이머가 스타트된다. 다음에, 단계 S34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나서의 시간이 설정 시간 t°초를 경과하였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또한, 이 설정 시간 t°초는 엔진 스위치를 ON으로 한 후에 엔진이 시동하고 또 이 엔진의 공회전이 안정되는데 충분한 시간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3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35로 진행하여 압축기 구동 회로가 ON이 되고,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엔진 스위치를 ON상태로 하여도, 엔진이 시동하여 그 공회전이 안정하는 설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부하가 큰 압축기의 구동을 금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9)를 구동할때에 발생하는 결점, 즉 엔진 시동시나 시동 직후에 엔진의 윤활이 부족하거나 공회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엔진의 시동성이 약화되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6도에 따라서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6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41에 있어서 운전자가 엔진 스위치에 키이를 넣어주므로서 단계 S42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S42에 있어서, 제어기(36)의 제어에 의해 구동 회로가 OFF된다. 이것에 의해, 압축기(19)의 구동이 금지된다. 다음에,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엔진스위치가 어떤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44로 진행하여 엔진 스위치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44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45로 진행한다. 단계 S44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4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45에 있어서, 제어기(36)내의 타이머가 스타트된다. 그리고, 단계 S46으로 진행하여 상기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나서의 시간이 설정 시간 t°초를 경과하였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또한, 이 설정 시간은 상기 제4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46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47로 진행하여 압축기 구동 회로가 ON이 되고,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엔진 스위치에 키이를 넣으면 압축기(19)를 확실하게 OFF시키고, 엔진을 ON하여도 엔진이 시동하여 그 공회전이 안정하는 설정 시간 t°초를 경과할때까지는 부하가 큰 압축기(19)의 구동을 금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5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4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제7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7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51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어떤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52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가 ON하고 있는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52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5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2에 있어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51로 되돌아간다. 단계 S53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 센서(50)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는 제어기(36)에 독입된다. 그리고, 단계 S54로 진행하여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 N°rpm이상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또한, 이 설정치는 엔진이 시동된 후에 그 공회전이 안정된때에 얻어지는 정도의 회전수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54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엔진 스위치는 ON상태로 되지만 아직 엔진의 안정된 회전 상태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다음의 상황변화를 보기 위해 재차 단계 S53으로 되돌아간다. 이 단계 S5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55로 진행하여 압축기 구동 회로가 ON이 되고,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엔진 스위치를 ON시켜도 엔진이 시동하여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 이상이 될때까지는 부하가 큰 압축기(19)의 구동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6실시예에 의하면, 압축기(91)를 구동하므로서 발생하는 결점, 즉 엔진 시동시나 시동직후에 엔진의 윤활이 부족하거나 공회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엔진의 시동성이 약화되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8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61에 있어서 운전자가 엔진 스위치에 키이를 넣어주므로서 단계 S62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S62에 있어서 제어기(36)의 제어에 의해 압축기 구동 회로가 OFF된다. 이것에 의해 압축기(19)의 구동이 금지된다. 다음에, 단계 S63으로 진행하여 엔진 스위치가 어떤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가가 체크된다. 그리고, 단계 S64로 진행하여 엔진 스위치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64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65로 진행한다. 단계 S64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6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65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 센서(50)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가 제어기(36)에 독입된다. 그리고, 단계 S66으로 진행하여 상기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 N°rpm이상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또한, 이 설정치는 상기 제6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66에 있어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67로 진행하여 압축기 구동 회로가 ON이 되고,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엔진 스위치에 키이를 넣으면 압축기(19)를 확실하게 OFF시키고, 엔진을 ON하여도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N°rpm)이상이 될때까지는 부하가 큰 압축기(19)의 구동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7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6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9도에 따라서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9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71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51)의 상태가 제어기(36)에 독입되고, 이어서 단계 S72에서 엔진 스위치(51)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7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엔진은 아직 시동되고 있지 않고, 압축기(19)의 시동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73에서 압축기(19)의 정지를 확인하고,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재차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단계 S73에서는 만약 압축기(19)가 구동하고 있다고 하면, 압축기(19)를 정지한다. 또, 이 단계 S72에서 「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74로 진행하여 유압 센서(47)에 의해 검출된 값이 제어기(36)에 독입되고, 다음의 단계 S75로 진행하여 유압 센서(47)에 의해 검출된 값이 설정치 이상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또한, 이 설정치는 엔진이 시동후에 그 공회전이 안정될때에 얻어지는 정도의 유압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75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엔진 스위치(51)는 ON상태로 되지만 아직 시동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시동하지만 아직 엔진의 안정된 회전 상태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재차 단계 S73을 경유하여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 S75에서 「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76으로 진행하여 저장 탱크(21)의 내압을 알기 위해 압력 센서(35)의 검출 신호가 제어기(36)에 독입된다. 그리고, 단계 S77에서 저장 탱크(21)의 내압이 제1설정치(예를들면, 7㎏/㎠) 미만인가가 판정되고, 이 단계 S77에서「예」라고 판정되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78에서 압축기(19)를 구동하기 위해 압축기용 릴레이(191)에 신호를 송급한 후에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단계 S78에서 이미 압축기(19)가 구동하고 있으면, 그 구동을 확인한다. 또, 단계 S77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단계 S79로 진행하여 저장 탱크(21)의 내압이 상기 제1설정치보다 큰 제2설정치(예를들면, 9.5㎏/㎠) 미만인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79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이미 저장 탱크(21)의 내압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73으로 진행하고, 압축기(19)를 정지하기 위해 압축기용 릴레이(191)에 신호를 송급한다. 또, 단계 S79에서「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아직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제9도에 도시된 제8실시예에 의하면, 엔진 윤활용의 오일 압력이 설정치 미만일때는 압축기(19)의 구동이 확실하게 금지되므로서, 엔진 윤활용의 오일 압력이 충분히 상승하여 엔진이 안정된 상태로 운전될때에만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9)를 구동할때에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결점, 즉 엔진 시동시나 시동 직후에 엔진의 윤활이 부족하거나 공회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엔진의 시동성이 악화되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0도에 따라서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9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압 센서(47)로서 유압이 설정치 이상이 될때에만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 설정치는 상기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엔진이 시동후에 그 공회전이 안정될때에만 얻어지는 정도의 유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9실시예는 상기 제8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 S74와 단계 S76사이의 단계 S75 대신에 단계 S8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단계 S80에서는 유압 스위치로 된 유압 센서가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되고,「예」이면 단계 S76으로 진행하고,「아니오」이면 단계 S73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9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8실시예와 모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제11도에 따라서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11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계 S81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51)의 상태가 제어기(36)에 독입되고, 이어서 단계 S82에서 엔진 스위치(51)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82에 있어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엔진은 아직 시동하고 있지 않고, 압축기(19)의 시동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83에서 압축기(19)의 정지를 확인하고,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재차 단계 S8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단계 S83에서는 만약 압축기(19)가 구동하고 있으면, 압축기(19)를 정지한다. 또, 이 단계 S82에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84로 진행하여 엔진 스위치가 개시하고 나서 설정 시간 t°초 이상 경과하였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또한, 이 설정 시간 t°초 는 엔진 스위치(51)를 ON한 후에 엔진이 시동하고 또 이 엔진의 공회전이 안정되는데 충분한 시간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84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엔진 스위치(51)는 ON상태로 되지만 아직 시동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시동하고 있지만 아직 엔진의 안정된 회전 상태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재차 단계 S83을 경유하여 단계 S81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 S84에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85로 진행하여 저장 탱크(21)의 내압을 알기 위해 압력 센서(35)의 검출 신호가 제어기(36)에 독입된다. 그리고, 단계 S86에서 저장 탱크(21)의 내압이 제1설정치(예를들면, 7㎏/㎠) 미만인가가 판정되고, 이 단계 S86에서「예」라고 판정되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87에서 압축기(19)를 구동하기 위해 압축기용 릴레이(191)에 신호를 송급한 후에,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8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단계 S87에서 이미 압축기(19)가 구동하고 있으면, 그 구동을 확인한다. 또, 단계 S86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단계 S88로 진행하여 저장 탱크(21)의 내압이 상기 제1설정치보다 큰 제2설정치(예를들면, 9.5㎏/㎠) 미만인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88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이미 저장 탱크(21)내의 압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83으로 진행하고, 압축기(19)를 정지하기 위해 압축기용 릴레이(191)에 신호를 송급한다. 또, 단계 S88에서「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아직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81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제11도에 도시되는 제10실시예에 의하면, 엔진 스위치(51)가 ON하고 나서 설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때에는 압축기(19)의 구동이 확실하게 금지되므로서, 엔진이 시동하고 또 이 엔진이 안정된 상태로 운전될때에만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9)를 구동하였을때에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결점, 즉 엔진 시동시나 시동 직후에 엔진의 윤활이 부족하거나 공회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엔진의 시동성이 악화되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 제12도에 따라서 제1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어기(36)는 이 제12도에 도시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단계 S91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51)의 상태가 제어기(36)에 독입되고, 다음에 단계 S92에서 엔진 스위치(51)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된다. 이 단계 S92에 있어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엔진은 아직 시동되어 있지 않고 압축기(19)의 시동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93에서 압축기(19)의 정지를 확인하고,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재차 단계 S9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단계 S93에서는 만약 압축기(19)가 구동하고 있다면 압축기(19)를 정지한다. 또, 이 단계 S92에서「예」로 판정되면 단계 S94로 진행하여 회전수 검출 센서(50)에 의해 검출된 값이 제어기(36)로 독입되고, 다음의 단계 S95로 진행하여 회전수 검출 센서(50)에 의해 검출된 값이 설정치 이상인지 아닌지 판정된다. 또, 이 설정치는 엔진이 시동후에 그 공회전이 안정한때에 얻어지는 정도의 회전수(예를들면, 700rpm)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이 단계 S95에서「아니오」로 판정되면 엔진 스위치(51)는 ON상태로 되지만 아직 시동하고 있지 않든가 또는 시동했다 하지만 아직 엔진의 안정된 회전 상태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재차 단계 S93을 경유하여 단계 S91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 S95에서「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96으로 진행하여 저장 탱크(21)의 내압을 알기 위해 압력 센서(35)의 검출 신호가 제어기(36)로 독입된다.
그리고, 단계 S97에서 저장 탱크(21)의 내압이 제1설정치(예를들면, 7㎏/㎠) 미만인지 판정되고, 이 단계 S97에서「예」고 판정되면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98에서 압축기(19)를 구동하기 위해 압축기용 릴레이(191)에 신호를 보낸 후에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91로 되돌아간다. 또, 이 단계 S98에서 이미 압축기(19)가 구동하고 있다면, 그 구동을 확인한다. 또, 단계 S97에서「아니오」로 판정되면, 단계 S99로 진행하여 저장 탱크(21)의 내압이 상기 제1설정치보다 큰 제2설정치(예를들면, 9.5㎏/㎠) 미만인지 판정된다. 이 단계 S99에서「아니오」라고 판정되면, 이미 저장 탱크(21)내의 압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93으로 진행하고, 압축기(19)를 정지하기 위해 압축기용 릴레이(191)로 신호를 보낸다. 또, 단계 S99에서「예」로 판정된 경우에는 아직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다음의 상황 변화를 보기 위해 단계 S91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제12도에 도시되는 제11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회전수가 설정치 미만일때는 압축기(19)의 구동이 확실하게 금지되므로서, 엔진 윤활용의 오일 압력이 충분히 상승하여 이 엔진이 안정된 상태로 운전될때에만 압축기(19)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9)를 구동하였을때에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결점, 즉 엔진 시동시나 시동 직후에 엔진의 윤활이 부족하거나 공회전이 불안정해지거나 엔진의 시동성이 악화되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7실시예는 저장 탱크(21)를 갖지 않고 압축기(19)로부터 직접 각 현수 유니트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형태의 현수 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즉, 현수 유니트에 설치되는 공기 스프링실에 압축 공기의 급배를 제어하여 차 높이 제어 또는 자세 제어를 행하는 현수 장치는 반드시 저장 탱크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 밸브를 거쳐서 압축기로부터 압축 공기를 직접 공급하게 해도 차 높이 제어 또는 자세 제어를 실현할 수 있으나 이와같은 형식의 현수 장치라도 제9도 내지 12도 이외의 상기 각 실시예에 도시한 제어를 적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며,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저장 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형식에서는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반면, 용량이 큰 압축기를 필요로 하고 엔진의 소비 마력이 증대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제8 내지 제11실시예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 최초의 "스타트"직후에 초기 설정으로서 압축기를 OFF, 또는 이미 OFF하고 있다면 그 확인을 행하도록 한 처리 단계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각 바퀴마다 설치되고 각각의 공기 스프링실(11, 12)을 갖는 현수 유니트(SFR, SFL, SRR, SRL)와, 각 현수 유니트(SFR, SFL, SRR, SRL)의 공기 스프링실(11, 12)에 공급용 개폐 밸브(221, 222, 223, 224)를 거쳐서 공급하는 압축 공기를 모아두는 저장 탱크(21)와, 각 현수 유니트(SFR, SFL, SRR, SRL)의 공기 스프링실(11, 12)로부터 배출용 개폐 밸브(271, 272, 273, 274)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수단(28)과, 상기 저장 탱크(21)에 압축 공기를 보내주는 차량의 주행 구동용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19) 등을 구비한 현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스위치(51)가 ON상태로된 후에 상기 엔진의 상태를 검출 또는 예측하는 엔진 상태 검출 수단(47, 50)과, 상기 엔진 상태 검출 수단(47, 50)에 의해 엔진 시동후에 상기 엔진이 안정되게 운전되고 있음을 검출 또는 예측할 때까지 상기 압축기(19)의 구동을 금지하는 제어 수단(36)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수 장치.
  2. 각 바퀴마다 설치되고 각각의 공기 스프링실(11, 12)를 갖는 현수 유니트(SFR, SFL, SRR, SRL)와, 각 현수 유니트(SFR, SFL, SRR, SRL)의 공기 스프링실(11, 12)에 공급용 개폐 밸브(221, 222, 223, 224)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직접 공급하는 차량의주행 구동용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19)와, 각 현수 유니트(SFR, SFL, SRR, SRL)의 공기 스프링실(11, 12)로부터 배출용 제어 밸브(271, 272, 273, 274)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28)등을 구비한 현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스위치(51)가 ON상태로된 후에 상기 엔진의 상태를 검출 또는 예측하는 엔진 상태 검출 수단(47, 50)과, 상기 엔진 상태 검출 수단(47, 50)에 의해 엔진 시동후에 상기 엔진이 안정되게 운전되고 있음을 검출 또는 예측할 때까지 상기 압축기(19)의 구동을 금지하는 제어 수단(36)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수 장치.
KR1019850002747A 1984-04-25 1985-04-24 차량용 현수 장치 KR910002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060918U JPS60171713U (ja) 1984-04-25 1984-04-25 電子制御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59-60921 1984-04-25
JP60918 1984-04-25
JP1984060921U JPS60171716U (ja) 1984-04-25 1984-04-25 電子制御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59-60918 1984-04-25
JP59-60919 1984-04-25
JP60066099A JPS61222810A (ja) 1985-03-29 1985-03-29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60-66099 1985-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756A KR850007756A (ko) 1985-12-09
KR910002820B1 true KR910002820B1 (ko) 1991-05-06

Family

ID=2729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747A KR910002820B1 (ko) 1984-04-25 1985-04-24 차량용 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8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756A (ko) 198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527B1 (ko)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US4953723A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quaky movements of mobile cranes
US4640526A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US4995517A (en) Mechanism for suppressing vibrations of travelling crane
KR910000883B1 (ko) 차량용 현수 장치
JP4855783B2 (ja) 走行振動抑制装置
KR101155718B1 (ko)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
US6276134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hydraulic motors and a clutch
US4605244A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JP3650066B2 (ja) 油圧モータの故障検出装置
JPH01238741A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KR910002820B1 (ko) 차량용 현수 장치
US4613154A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US4602805A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WO19980075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air compressor
KR20050036455A (ko) 연료 탱크의 구조
US5927250A (en) Car throttle controller
JPH0732848A (ja) サスペンションの油圧制御装置
US5929533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idle of a drive unit
CN113454297B (zh) 作业机械
JPS6081502A (ja) 油圧アクチユエ−タの閉回路駆動装置
KR100387807B1 (ko) 자동변속기의 라인압 가변제어시스템
EP0791492B1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uspension
KR910002834B1 (ko) 차량용 서스펜숀 장치
JPS61222810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