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23B1 - 회분식 분말 혼합기 - Google Patents

회분식 분말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23B1
KR910002523B1 KR1019870008487A KR870008487A KR910002523B1 KR 910002523 B1 KR910002523 B1 KR 910002523B1 KR 1019870008487 A KR1019870008487 A KR 1019870008487A KR 870008487 A KR870008487 A KR 870008487A KR 910002523 B1 KR910002523 B1 KR 910002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powder
air supply
tank
powder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144A (ko
Inventor
가쯔미 요시다
아께기세이지
Original Assignee
우베고오산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야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베고오산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야스오 filed Critical 우베고오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01F33/402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comprising supplementary stir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분식 분말 혼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기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혼합조의 평단면의 예를 보이는 도면.
제3도는 유동층의 상태변화를 보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 기호의 설명을 부기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다각형의 입식혼합조 1a : 혼합실
1b : 조의 저판 2, 22a : 급기판
3 : 혼합물 배출구 4, 26 : 급기용 송풍기
5, 22c : 송기관 6, 22b : 기체실
7, 23 : 교반날개 7a, 7b, 23a, 23b : 축받이
8, 24 : 교반날개구동용 전동기 9, 15 : 분말원료 송입용 슈트
10, 12, 17b, 25b, 29b, 35b : 분체밸브 11, 25a : 혼합제품 배출 슈트
13 : 집진용배기관 14 : 배기조절 밸브
16 : 분체원료 탱크 17a : 단관
18 : 탈기구 19 : 점검창
20 : 백 필터 20a : 배기구
27 : 질량계측계 28 : 연통관
29a : 조절용댐퍼 30 : 혼합물 저장조
31 : 급기판 31a : 공기실
32 : 송풍기 33 : 송기관
34 : 분체의 수준계 35a : 배출구
F, G : 유동방향
본 발명은 요업원료, 요업제품, 화학원료, 약품, 플라스틱, 혹은 식료품, 염색안료, 사료 등 각종의 분말을 극히 단시간내에 균일하게 혼합하는 고속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2종이상의 분말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의 분류는, 조작면에서 연속식과 회분식으로 나누어진다. 또, 그 구조에서 용기회전형과 용기 고정형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교반방법에 의하여 분류하면, 기계적교반에 의한것, 기류교반에 의한 것, 및 양자를 병용한 복합교반에 의한 것으로 나누어진다.
통상의 분류는, 교반방식에 의하여 분류되는 일이 많고, 기계적 교반에 의한 것으로서는 스크류형, 복축버그(bug)형, 입식스크류형, 리본형, 고속 교반날개형 및 마라아형 등의 혼합기가 잘 알려져 있다.
기류교반에 의한 것으로서는, 혼합조정부에 다수 장착되어 있는 공기노즐에서 나선상의 기류가 분출하든가 또는 직포 내지는 다공질의 세라믹판에서 분출하는 형식의 혼합기가 세멘트 공업에 있어서 원료 분말의 혼합에 널리 채용되어있고, 사일로형 혼합기로서 잘알려져 있다.
복합교반에 의한 것으로서는 다단교반부의 역원추형 혼합기가 잘알려져 있다.
이들 분말 혼합기는 모두 2종이상의 분말을 목표의 조성비율에 가급적 정확하게 혼합(이하 비율정도라 약칭한다)하고, 다시 그 분말을 교반하여 개개의 분말을 분산하여 부분적으로 조성도, 이른바 혼합도가 적은 분말제품을 가급적 적은 동력과 시간으로 얻으려는 것이다.
2종이상의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기는, 연속식의 방식이 바람직히다. 이 방식에서는 혼합기내의 분말의 쇼트패스를 절무하게 하고, 원료를 일정유량으로 확보하는 일과 혼합조성의 연속측정등에 기술적인 난점이 있기 때문에 혼합의 비율정도가 나쁘고, 실용적인 혼합기는 거의 회분식으로 운정되고 있다.
또, 용기회전형은 분말의 정체부분이 적고, 배출도 용이하기 때문에 비율정도의 유지에는 뛰어나나, 용기의 회전에 의하여 혼합과 동시에 균일혼합을 방해하는 분리현상이 일어남으로 혼합도에 한계가 있고, 또 대형화가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다.
회분식-용기고정형의 조합이 혼합의 비율정도 및 혼합도 나아가서는 대형화라는 스케일업의 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혼합동력이 지나치게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특히 대형화를 행하여 분체의 대량 혼합에 대처코저할 경우, 과대한 동력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대형화가 매우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종래는 소형사이즈의 혼합기를 병렬로 사용하든가, 비율정도를 희생하여 기류교반 또는 연속식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다음에, 분말의 혼합현상을 분말의 흐름에 의하여 섞이는 것으로서 고찰해보면, 분말은 부분적인 난류를 일으키면서 개개의 입자간 상호의 혼입이 생기고, 더욱이 큰 흐름으로 전체의 균일화가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이 혼합현상은 3개의 작용-이동, 확산, 전단-으로 나누어진다. 이동이란 분말중의 입체군이 전체로서 이동하여 혼합하는 작용이고, 확산이란 접근한 입자간 상호의 분산에 의하여 이종입자가 혼합하는 작용이다. 전단이란 응집성이 강한 분말의 2차 응집괴의 분산에 필요하고, 응집력에 의한 분말입자간의 부착력을 파괴하는 작용을 부여하는 것이다.
우수한 혼합기란, 이 이동, 확산, 전단작용의 기구가 잘 조합하고, 더욱이 동력비가 적고, 대형화가 쉬운 장치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 혼합기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볼 수 없었다.
이상의 문제점의 해결방법을 정리하면, ① 분체정체 및 분리현상이 생기지 않는 용기 고정 방법으로서, ② 대형화가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 ③ 필요동력이 적고, ④ 회분식의 특징을 살린 고정도의 비율정도와 혼합도를 달성하고, ⑤ 혼합시간이 짧고(혼합시간이 짧을수록 연속식의 바람직한 특징에 근접한다). ⑥ 출력이 큰 혼합기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제1표에 혼합기의 형식과 그 특징을 나타내는 표를 제시한다. 또, 후술하는 본원의 장치의 특징도 병기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주) 기호 : ◎우 ○양 △가 ×불량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분체를 기류교반에 의하여 유동층화하고, 그 기류를 공급하는 급기판의 위에 기계적인 교반을 부가한 복합교반을 회분식 고정형 혼합기에 붙이고, 이것에 의하여 이동, 확산, 전단작용의 양호한 조합이 실현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고, 회분식-고정형의 단일기로 경제적인 대량혼합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즉, 혼합용의 조체와, 그 조체내를 상측의 혼합실과 하측의 기체실로 구획하는 급기판과, 그 조체의 혼합실부에 설치된 원료의 도입구(송입구) 및 혼합물의 배출구와, 그 혼합실내에 설치되어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되는 교반날개와, 상기 기체실에 접속된 기체 송급장치를 비치하고, 2종 이상의 분말을 혼합실내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분식 분체 혼합기이다.
혼합기의 분체는, 급기판에서 분출하는 기류에 의하여 이동되고, 확산된다. 또 교반날개는 회전면의 급기판의 면과 거의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분체에 강한 전단력과, 이동의 원조(급기에 의한 분체의 흐름에 변동을 주고, 보다 혼합도를 올려서, 혼합시간을 단축한다)를 주고, 혼합도가 양호한 분체의 혼합제품을 생산하는 장치를 얻을 수 있었다. 또 회분식이기 때문에, 그 가마 마다 고정도의 평량기로 원료를 계량하므로 비율정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 장치는, ① 용기의 저면전면이 급기판이기 때문에, 분말의 정체 및 분리현상이 없고, ② 용기가 고정식이고, 대형화가 용이하고 ③ 동력도 급기용의 기체송급장치(송풍기 등) 및 교반날개용의 모터로도 좋고, 그 교반날개도 이때까지의 기계교반과 달리, 유동하고 있는 분체는 교반하므로 그 동력 소비는 단지 분말을 교반하는 종래방법의 약 1/10-1/30정도이다. 또 ④ 회분식이기 때문에, 혼합의 비율정도가 좋고 더우기 혼합도가 좋은 혼합물을 얻을 수 있고, ⑤ 실험결과, 혼합시간이 극히 단시간(1-3분간)으로 좋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생산성이 높아 연속방식의 혼합기와 같은 스타트 즉 생산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 ⑥ 출력은 종래와 같은 혼합실체적으로 수배에서 약 20배의 값이 얻어져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혼합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의 특징을 종래의 그것과 비교하여 표 1에 제시한다.
또한, 실제 조업한 결과, 혼합실 자체가 거의 비어있는 용기이기 때문에, 혼합기 자체가 혼합제품을 저장해두는 제품 저장용기의 역할을 지니고, 종래의 혼합기의 후공정에 반드시 필요하였든 저장용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생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의 혼합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혼합실내에 송입된 분말이 급기판에서 위를 향하여 부는 기류에 의하여 유동화 하는 동시에, 그 유동화에 의하여 경량이된 분말군은 경사면 상위측으로 들여올려져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경사 하위측에서는 이 경사 상위측의 하측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분체가 이동하고, 대류적인 교반이 이루어지고, 이로인해 분말전체의 이동, 확산이 행해진다. 이때에 분말군은 교반날개의 회전으로 강한 전단작용을 받는 동시에 분말군의 상하류와 교차하는 복잡한 변동을 수반하는 선회류가 주어지고, 분말군 전체로서 이동, 확산 전단작용이 충분히 미치고, 매우 고능률의 혼합이 단시간에 가능하게 된다.
이하, 그 작용을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혼합기의 기본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다각형의 입식고정 혼합조이고, 그 혼합실 단면은 1예로서 제2도에 보이는 것처럼, X축에 관하여 대칭, Y축에 관하여 비대칭을 이루고, 그 혼합실 단면은 1예로서 제2도에 보이는 것처럼, X축에 관하여 대칭, Y축에 관하여 비대칭을 이루고, (A)부의 면적이 (B)부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이다. (2)는 급기판인바, 혼합실의 저부에 설치하고, 그 표면형상은 상기 혼합실의 단면과 같다. 그 급기판은 다공질의 세라믹판, 통기성의 직포, 허니컴(honey comb)판, 또는 작은노즐의 떼로 구성되고, 배출구(3)를 향하여 수평면에서 1-20도, 바람직하기로는 수평면 3-12도의 구배를 지닌다. 응집성이 없는 분말은 이 구배가 1도, 응집성이 큰 분체는 20도로 하는데, 많은 분체는 3-12이다. 유동화용의 기체는 통상 공기를 사용하고, 공기가 급기용 송풍기(4)에서 송기관(5)를 거쳐 혼합조(1)의 최하부의 기밀한 공실(6)로 처넣어진다. (7)은 교반날개로 노모양, 또는 터빈형을 사용하고, 회전면이 급기판과 평행으로 또한 분말의 특성에 맞는 거리를 두고 조저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다. 이 회전날개의 구동은 조저판(1b) 및 급기판(2)을 관통하여 시일된 축받이(7a) 및 (7b)를 개재하여 외부에서 교반날개 구동용의 전동기(8)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 회전수는 그 날개의 주속이 0.6-20m/초 바람직하기로는 3-10m/초가 적당하다. 0.6/초 이하에서는 교반, 전단력이 부족하고, 또 20m/초를 넘으면 구동동력이 과대해지고, 어느 것이나 경제적인 혼합에서 벗어난다.
(9)는 분말 원료 송입슈우트(chute)로 여기에서 정확히 개량된 원료를 송입한다(실시예에서는 고정 혼합조에 계량기를 붙여 송입물을 평량하였다). (10)은 송입용 분말밸브, (11)은 혼합제품 배출슈트, (12)는 배출용 분말밸브, (13)은 집진기에 인도되는 배기관, (14)는 그 배기조절밸브이다.
다음에, 본 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제3도와 함께 설명한다. 또 제3도는 혼합실층내의 급기체의 풍속과 분말의 상태변화를 보이는 일반도이다(인용 : 화학공업편람 등).
대체로, 분말을 충전한 입자충전층의 경우, 하부에서 다공판을 거쳐 기체를 유입시키면, 유속이 비교적 작은 사이는, 입자충전층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기체는 입자의 공극을 흐르고, 그 유속은 거의 비례해서 압력손실이 증대한다(고정층), 유속을 다시 증가하면, 입자층이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기체에 수반되어 운동을 시작한다. 또 유속을 증가해가면, 입자군의 운동이 점점 활발해지고, 마치 액체가 비등하고 있는 것처럼 입자가 맹렬히 각방면으로 이동, 확산하면서 운동하는, 이른바 유동상태가 시작된다. 이 유동상태가 시작되면 입자층은 공극율이 증가하고, 압력은 거의 일정한 값이 되고, 유동층내의 입자 조성은 균일하게 된다(유동층) 또, 그 후 더욱 유속을 증가하여, 유속이 입자의 종단속도를 넘으면, 층내의 입자는 층에서 기류를 타고 밖으로 튀어나오고, 압력손실이 거의 없어진다(일탈현상).
본 발명은 이 유동상태(유동층)을 혼합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실의 저부에 설치한 다공판(급기판) (2)으로 부터 통기하여 유동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급기판(2)은, 구배를 가지고 있고, 이때문에 유동상태에 있어서의 분체층의 층두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한편, 급기판에 통기하기 위한 기밀공실(6)은 충분한 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급기판의 모든 위치에서 급기판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정상유동상태에 있어서는, 혼합실의 배출구측 A과 반대측의 영역 B에 있어서는, 분체의 층두께에 차가 생기므로, 혼합실내의 분체는 전체로서 제1도의 도시한 것처럼 화살표 F와 같은 대류순환운동이 발생한다.
이 대류순환운동은, 본 발명에서는 혼합실의 단면면적이 배출구측 A와 반대측 B와는 상이하므로 유속이 다르다. 이 결과, 기포가 존재하는 상승류에서는 말할것도 없고, 하강류에 있어서도, 고속유동에 의한 부분적인 이동, 확산이 생기고, 매우 고능률의 혼합이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교반날개(7)가 급기판에 평행으로 설치되고 회전의 중심이 분체의 상하류와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교반날개는 분체의 순환류와 교차하여 복잡한 변동을 수반하는 회전류 G가 되고, 분말의 대류순환 일어나기 쉬운 소용돌이(일종의 정체부가 되고 분리현상을 수반하여 분말조성이 변한다)를 소멸하는 작용을 행한다. 또한 이 교반날개(7)의 회전에 의하여, 분말에 강한 전단작용을 부여하고 응집성이 있는 분말이라도, 그 응집성을 소멸시켜서, 유동화하고, 전체로서 이동, 확산, 전단작용을 충분히 분말에 주고, 비율정도 및 혼합도가 모두 우수한 혼합제품이 된다.
분말은, 미리 설정한 혼합시킨후, 밸브(12)를 열면, 저면전체에 부설되어 있는 급기판의 작용으로 에어슬라이더 수송기와 같은 원리로, 배출슈우트(11)를 거쳐 혼합실(1a)내에서 단시간에 완전히 배출된다.
또, 배출된 혼합물은, 실시예의 제4도에 보이는 바와같은 배출 저장탱크에 들어가서, 탈기되어, 혼합제품이 된다. 이 혼합물의 저장탱크는 혼합실의 배출구에 접속하고, 혼합물의 탈기와 함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극히 단시간으로 배출이 가능해지고, 혼합장치의 능력증대에 크게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중량검출기(27), 필요한 개소에 레벨검출기, 압력검출기 및 타이머를 부착하고, 회분평량 혼합조작을 계산기 제어하고, 자동화를 행하여, 자동콘트롤의 고능률의 평량형 분말 혼합기가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1예를 보이는 전체 구성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혼합조(21)는 내용적 15㎥이고 그 형상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기저부형상이 변칙 8각형이고, 그 외연에 따라 입설된 측판에 의하여, 직통으로 형성된다. 혼합조(21)를 밀봉하는 천정부는 기저부와 같은 형상이다. 혼합조(21) 내의 하부에는 전면에 직포(에어슬라이드 컨베이어용으로 구성되는 급기판(22a)이 부설되어 있다.
또, 도면의 조(21)의 좌하부에 배출용 분체밸브(25b)를 부대하는 제품배출슈우트(25a)를 마련하고 있고, 급기판(22a)은 배출구를 향해서 이 예에서는, 평면과 7도의 내리막 구배를 지니고 고정되어 있다. 조의 최하부는 기체실(22b)이고, 송기관(22c)으로 급기송풍기(능력 16㎥/분)(25)와 연결되어 있다.
교반날개(23)는 직경 1.5m의 노형태이고, 그 회전면이 급기판과 평행이면서 분체의 특성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조저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구동은, 저판 및 급기판을 관통하고 완전히 시일된 축(23a) 및 축받이(23b)를 개재하여 기저직하 외부에서 입식기어모터(24)(감속기 부착, 7.5kw)에 의하여 행해진다.
혼합조(21)의 천판부에는, 그 대략중앙에 혼합되는 분말원료의 도입구로서 송입슈트(15)가 개설되고, 이송입슈트(15)에는 분체원료의 탱크(16)가 단관(17a)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관(7a)의 도중에는, 송입용 분말밸브(17b)(여기서는 나이프 게이트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천판상에는, 배기구(20b)를 부대한 소형백필터(여과면적 0.5㎡)(20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조내를 관찰하는 개폐가 용이한 4개의 점검창(19)이 장착되어 있다. 또, 분체원료 탱크(16)의 설치개수는 임의이고, 도시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혼합기의 주요구성부 전체는 조내분말의 질량계량용의 로드 셀(27)의 3점을 개재하여 혼합물의 저장탱크(30)의 위에 지지되어 있다.
혼합물의 저장탱크(30)은, 혼합물 배출슈우트(25a), 연통관(28)을 통하여 혼합실과 이어져 있고, 혼합실(21)보다도 용적이 약간 큰 것이다. 그 내부는, 하부에 급기판(31)이 배출구(35a)로 향해서 내리막 구배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에어슬라이더 수송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급기판(31)의 하측에 공기실(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실(31a)에는 송풍기(32)가 배관(33)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저장탱크(30)의 배출구(35a)와 반대측에는 연통관(28)이 입설되어 있고, 이 연통관(28)은, 혼합조(21)의 상면에 설치된 개구(18)를 통하여 혼합조(21)내와 저장탱크(30)내를 연통하여 혼합물제품의 탈기를 행한다. 도면부호(29a)는 조절용 댐퍼, (29b)와 (35b)는 분말용밸브를 나타낸다. 또 (34)는 분체의 레벨계이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관한 혼합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분말원료는, 각각의 원료 탱크(16)에서 분말밸브(17b)에 의하여 유량제어를 받아서 혼합기에의 송입구(15)를 통하여 혼합조에 송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혼합되는 분말원료는 개발적으로 송비되고, 각각 조내분말의 질량측계(27) 예컨대 로드셀로 누적 계량되고, 소정량의 원료를 송입한다. 또한, 개별계량기를 사용하여 소정량으로 계량한 원료를 송입할 수도 있다.
한편, 조의 최하부는 기체실(22b)로 송기관(22c)를 거쳐 급기송풍기(26)에 의하여 고기(또, 공기 이외의 기체라도 좋다)가 넣어진다. 이 공기는 급기판(22a)을 통해서 조내로 흐르고, 분말원료의 혼합에 사용되는데, 이와 함께 교반혼합을 끝낸 분체를 배출슈트(25a)에서 단시간내에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 공기가 혼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송기하여도 펄스모양으로 해도 좋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연속적으로 송기하고 있다.
또, 혼합용의 급기는, 급기판을 통하는데, 이 이외의 장소에서 직접노즐을 개재하여 조내로 불어넣어 혼합효과를 원조하는 방법도 있다.
혼합에 있어서, 교반날개(23)를 회전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교반날개(23)은 2개만 설치되어 있으나, 이 설치개수는 혼합기의 용량, 능력에 의하여 복수개 설치해도 좋다. 또, 이 교반날개의 회전속도는 혼합원료의 입경, 비중, 응집성 등 물성에 의하여 최적 회전속도가 정해지고, 가변속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혼합시멘트의 제조에 사용하였으므로, 실험한 결과, 일정회전속도(날개의 주속 7m/초)를 채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도, 혼합조의 단면을 배출구측에 좁게하고 있기때문에 상승류 및 하강류가 모두 빠른 복잡한 운동이 된다. 또 교반날개의 효과도 가세하여, 분말의 이동, 확산, 전단작용이 충분히 주어지고, 매우 높은 능률의 혼합이 행해진다. 혼합을 끝낸 분말의 제품은 배출슈우트(25ba)에서 배출용 분말 밸브(25b)를 열므로써, 급기판으로 부터의 기체에 의하여 슬라이드되고, 0.5-2분의 단시간내에 완전히 배출된다.
이 배출된 분말은 배관(28)을 경유하여 혼합물 스톡크조(30)내로 보내진다. 여기에서 여분으로 함유된 기체가 탈기된다. 스톡크조(30)에서 제품의 분말을 꺼낼려면, 송풍기(32)에서 공기를 공기실(31a)내로 도입하고, 급기판(31) 위를 에어슬라이드(air slide)시켜서 배출하고 꺼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혼합조(21)보다도 약간 용적이 큰 스톡크탱크(30) 설치하고 있고, 혼합을 종료한 분체를 혼합실에서 조속히 배출하므로써 원료분말의 송입.계량-혼합-배출, 다시 원료분말의 송입이란 조작사이클의 소용시간을 단축하고, 혼합기 전체의 능력을 높이고 있고, 마치 연속장치 정도의 기동 정지를 행할 수 있다.
이 장치를 혼합시멘트의 혼합에 사용한 결과, 송입.계량 80초-혼합 60초-배출40초 합계 180초/사이클을 표시하고, 200t/h의 생산능력이고, 혼합실내에 분체의 잔류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 제품중의 석고함유량은 평균치 5.01%(목표 5%), 표준편차 σ=0.03(n=10)이였다. 비교하기 위하여 30㎥의 내용적을 지니는 사일로형 혼합기로 실험하였든바, 계량.송입 16분-혼합 30분-배출 12분 합계 58분/사이클을 나타내고, 20t/h의 생산능력이고, 사이로 내에 약 300㎏의 분말이 잔류하고 있었다. 그 제품중의 석고 함유량은 평균치 4.85%(목표치 5.0%), 표준편차 σ=0.23(n=10)이였다.
이상 이때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유동층 방식의 기류교반에 기계적인 교반을 부가한 복합 교반에 의하여, 이동.확산.전단작용이 양호하게 짜맞추어진 혼합을 실현하고, 발명이 해결고저하는 문제점에서 정리한 ①-⑥의 요망을 해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분말 공업에 있어서의 중요한 단위조작인 혼합에 대하여 우수한 혼합능력을 가지고, 또 처리능력이 크고, 설치면적이 적은, 그리고도 운전동력이 적은 값싼 분말혼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혼합용의 조체와, 그 조체내를 상측의 혼합실과 하측의 기체실로 구획하는 급기판과, 그 조체의 혼합실부에 설치된 원료의 도입구 및 혼합물의 배출구와, 그 혼합실내에 설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되는 교반날개와, 상기 기체실에 접속된 기체 송급장치를 구비하고, 2종이상의 분말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분식 분말혼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급기판을 경사시켜서 혼합실의 저부에 설치하고, 그 급기판의 표면이 X축에 거의 대칭, Y축에 비대칭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분식 분말혼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급기판이, 다공질의 세라믹판, 통기성이 있는 직포, 하니컴판 또 작은 노즐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분식 분말혼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교반날개의 회전은, 그 날개의 주속을 0.6-20m/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분식 분말혼합기.
  5. 제1항에 있어서, 혼합용의 조체에 질량계량기를 붙이고, 내용물을 계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분식 분말혼합기.
  6.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의 저장탱크를 혼합실의 배출구에 접속하고, 혼합물의 탈기와 함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회분식 분말혼합기.
  7. 제1항에 있어서, 질량검출기, 레벨검출기, 압력검출기 및 타이머를 붙이고, 회분혼합조작을 계산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분식 분말혼합기.
KR1019870008487A 1986-08-06 1987-08-01 회분식 분말 혼합기 KR910002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84656 1986-08-06
JP?61-184656 1986-08-06
JP18465686 1986-08-06
JP?62-148675 1987-06-15
JP???62-148675 1987-06-15
JP62148675A JPH0622664B2 (ja) 1986-08-06 1987-06-15 回分式粉体混合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44A KR890000144A (ko) 1989-03-11
KR910002523B1 true KR910002523B1 (ko) 1991-04-23

Family

ID=1615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487A KR910002523B1 (ko) 1986-08-06 1987-08-01 회분식 분말 혼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22664B2 (ko)
KR (1) KR9100025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233B1 (ko) * 2005-01-17 2007-10-23 신명산업(주) 분말혼합용 믹서
WO2022003004A1 (de) * 2020-07-01 2022-01-06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Misch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pulvermischung
EP4197628A1 (de) * 2021-12-20 2023-06-21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Misch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pulvermisch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95B1 (ko) * 2000-06-24 2005-01-31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래들 안착신호 감지장치
DE102010043166A1 (de) * 2010-10-29 2012-05-03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Pulver für eine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dreidimensionalen Objekts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dreidimensionalen Objekts
CN106868912A (zh) * 2017-01-11 2017-06-20 杨太松 一种秸秆纤维素纸浆卫生纸混流器
WO2019076922A1 (en) * 2017-10-16 2019-04-25 Microtherm Nv TISSUE DISPERSION INJE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ISSUE CONTAINING NANOSTRUCTURE PARTICLE POWDER
CN112892359B (zh) * 2021-01-29 2022-10-25 湖北润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饲料加工用搅拌混合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131A (ja) * 1981-10-28 1983-05-04 Kawata:Kk 混合装置
JPS5874132A (ja) * 1981-10-28 1983-05-04 Kawata:Kk 混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233B1 (ko) * 2005-01-17 2007-10-23 신명산업(주) 분말혼합용 믹서
WO2022003004A1 (de) * 2020-07-01 2022-01-06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Misch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pulvermischung
EP4197628A1 (de) * 2021-12-20 2023-06-21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Misch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pulvermisch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2664B2 (ja) 1994-03-30
JPS63156527A (ja) 1988-06-29
KR890000144A (ko) 198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107A (en) Plant for continuous mixing and homgenization
Van't Riet et al. The behaviour of gas—liquid mixtures near Rushton turbine blades
FI73148B (fi) Saett att dispergera en gas i en vaetska innehaollande fast material och en anordning daerfoer.
CN106179087B (zh) 一种自动配料装置及配料方法
EP1508417A1 (en) Blending system
CN206262397U (zh) 一种多原料饲料配料系统
KR910002523B1 (ko) 회분식 분말 혼합기
JP3707794B2 (ja) 材料混合装置
WO2020143440A1 (zh) 物料分布装置及方法
CN107983246B (zh) 催化剂载体的制备设备
RU27187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порошков при помощи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US3871625A (en) Continuous flow jet mixer
CN213078246U (zh) 一种粉体混料搅拌罐
CN206676317U (zh) 一种化工生产用封闭式物料自动混配系统
CN106426613B (zh) 一种可连续生产的多层搅拌装置及其工作方法
CN111974239A (zh) 一种颗粒物料混批装置
CN108328130A (zh) 一种搅拌式计量料斗
CN208291939U (zh) 一种搅拌式计量料斗
CN219559445U (zh) 一种粉体连续混合装置
CN207254136U (zh) 一种带压力平衡装置的物料混合机
CN212843905U (zh) 一种plc控制的高精度高分子粉料称量装置
CN206406354U (zh) 一种带搅拌的计量色母机
US4127333A (en) Continuously operated cone-and-screw mixer
CN217287987U (zh) 一种混合搅拌机
CN213854100U (zh) 陶瓷干粒组分配料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