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380B1 - 냉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냉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380B1
KR910002380B1 KR1019880010159A KR880010159A KR910002380B1 KR 910002380 B1 KR910002380 B1 KR 910002380B1 KR 1019880010159 A KR1019880010159 A KR 1019880010159A KR 880010159 A KR880010159 A KR 880010159A KR 910002380 B1 KR910002380 B1 KR 91000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ylinder
cooling
temperature
flavo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91A (ko
Inventor
히로미 사이또오
시게루 도가시
마쯔루 가끼누마
껜 아오끼
가쯔히꼬 오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97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26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9196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45191Y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8Batch production
    • A23G9/10Batch production using containers which are rotated or otherwise moved in a cool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과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의 설명으로서,
제1도의 (a)도는 그 요부기기의 배치구성을 표시한 정면도.
제1도의 (b)도는 그 측면도.
제2도 (a)는 제 1 도의 냉각실린더에 공급하는 믹스액, 플레이버(flavour) 및 열탕의 배관접속 구성 설명도.
제2도의 (b)도는 냉각실린더의 축 시일부의 상세도.
제3도는 그 냉각실린더를 냉각, 가열하는 열매 배관 경로 구성 설명도.
제4도는 그 냉각실린더의 아이스크림 추출구 및 중량 계측부의 구성을 표시한 측면도.
제5도 및 제 6도는 그 냉각실린더의 아이스크림 추출구에 접속하는 플레이버 튜우브의 접속 상태 설명도.
제7도는 중량 계측 신호를 인출하는 검출기의 회로 구성도.
제8도, 제 9도 및 제 10도는 제 1도의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 정면에 배설되는 표시조작 파넬의 설명도.
제11도는 제 1도의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의 제어부의 우측시스템 부분의 회로 구성도.
제12도는 그 제어부에 의한 플레이버 라인 세정처리동작을 표시한 플로차아트.
제13도는 그 플레이버라인 세정처리 동작의 타임차아트.
제14도 및 제15도는 믹스라인 세정의 처리동작을 표시한 플로차아트.
제16도는 그 믹스라인 세정처리 동작의 타임차아트.
제17도 a, b는 믹스피이드의 처리동작을 표시한 플로차아트.
제18도는 그 믹스피이드 처리동작의 타임차아트.
제19도는 냉각실린더 전부 및 후부의 냉각동작을 표시한 온도특성도.
제20도, 제21도 및 제22도는 믹스냉각, 플레이버계측 및 자동추출 처리동작을 표시한 플로차아트.
제23도는 믹스냉각동작의 타임차아트.
제24도는 플레이버 계측동작의 타임차아트.
제25도 a, b 및 제26도a-d는 자동세정, 열탕살균 처리동작을 표시한 플로차아트.
제27도 및 제28도는 그 자동세정 열탕살균 처리동작의 타임차아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2 : 콤프레서
3 : 콘덴서 4 : 플레이버탱크
5 : 믹스탱크 6,7 : 문
8 : 믹스펌프 9 : 냉각실린더
10 : 플레이버펌프 11 : 냉동실문
12 : 앞 콤프레서 13 : 앞 콘덴서
14 : 뒤 콤프레서 15 : 뒤 콘덴서
16 : 탈수기 17 : 냉각전자변
19 : 헤드 20 : 냉매 배관
21 : 사방변 22,28 : 역지변
23 : 드라이 코어 24 : 팽창변
25 : 냉매 배관 26 : 절수변
30,31,32 : 온도센서 20,60A : 회전축
41 : 기어 복스 42,44 : 푸울리
43 : 엔드레스 벨트 45 : 교반기(beater) 모우터
46 : 축시일부 46A : 하우징
46B : 통형상돌부 46C : O링
46D : 축수 슬리부 46E,46F,46G : 축시일용 O링
46H : 공동부 46I : 입구통로
46J : 출구통로 47 : 씨스텐
48 : 전기탕 불기 49 : 볼터브(Ball-tub)
50 : 공급전자변 51 : 물량 조절기
60 : 교반기 61 : 폐쇄블록
62 : 믹스통로 63,72 : 스프링
64 : 도어밸브 65 : 푸시핀
66 : 레버 67 : 멍청이 구멍
68,69 : 핀 70 : 솔리노이드
71 : 로드 73 : 개도조절나사
74 : 스피너 모우터 75 : 스피너 샤프트
76 : 축받이 축수 77 : 플레이버 튜우브
78 : 블록밸브 79 : 드렌밸브
80 : 컵 테이블 81 : 종이컵
82 : 컵 디스펜서 83 : 중량검지기
84a-84d : 변형센서 85 : 차동증폭기
90 : 온도 콘트롤 복스 91 : 중량 콘트롤 복스
92 : 내부 냉각팬 93 : 유니트 냉각팬
94 : 전장복스 5 : 수납복스
100,101,102 : 조작패널 110,116 : 모니터 표시기
110a,110b,110c,116a,116b,116c,116d,116e : 표시부
111 : 캔설스위치 112 : 자동스위치
113 : 수동 스위치 114 : 냉동 램프
115 : 조작램프 120 : 리세트 스위치
121,122,123,124 : 세정스위치 125 : 믹스 피이트 스위치
126 : 냉동실 스위치 127 : 캐리 브레이션
128,129 : 조작스위치 130 : 전원스위치
131,132,133,134,135 : 보륨 136 : 실린더 선택스위치
140A,140B : 제어블록 141 : 증폭회로
142 : 변환기 143 : CPV
144 : 리레이회로 145 : 테스트키이
146 : 표시기 150 : 니이들변
155 : 에어전자변 160 : 압력 스위치
본 발명은 소프트 아이스크림이나 아이스크림 쉐이크(shake)등의 냉과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과 제조장치로서, 예로 미국특허 제470362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온냉매 가스를 냉각실린더에 순환시켜, 냉각실린더의 내부에 아이스크림을 넣은 그대로 냉각 실린더 및 아이스크림의 살균을 행하는 방식의 것에 있다.
이 경우, 양호한 살균효과를 얻기 위하여 살균온도를 높게 설정하면, 아이스크림등, 이 종류의 냉과제품에서 구린내가 발생하며, 이것을 재상하여 얻어지는 냉과의 풍미를 현저하게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예로 특공소 54-37223호 공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냉각실린더내의 아이스크림을 회수한 다음에, 냉각실린더를 열탕으로 살균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보에 기재한 방식은, 수도물은 온도규제 및 물량규제를한 조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며, 세정 및 살균시에 그 열탕을 원료탱크, 냉각실린더에 소정량을 급탕하여 자동규제된 소요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품인출기의 게이트플렌저를 열어서 세정 및 살균후의 열탕을 배수한다는 방식인 것이다. 이것 때문에,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미리 고온으로 가열된 수욕조내의 열탕을 원료탱크 및 냉각실린더내에 공급하기 때문에 실린더 및 탱크에 다량의 열이 빼앗기며, 그뿐만 아니라, 배관에 의한 열손실이나 외기에 분산하는 열에 의하여, 공급된 탕온이 살균온도를 하향되여 양호한 살균을 바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냉각실린더내의 탕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며 세정살균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냉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믹스액을 저장하는 믹스탱크와 그 믹스액을 내부에 받아들이는 입구부와 내부에 받아들인 믹스액을 교반하는 교반기와 내부에서 만들어진 냉과를 추출하는 추출구부를 구비하는 냉각실린더와, 전기한 믹스탱크에서 전기한 냉각실린더의 입구부에 전기한 믹스액을 공급하는 믹스액 공급수단과, 전기한 냉각실린더를 냉각한 냉각수단과, 전기한 냉각실린더내의 냉과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로 유지하도록 전기한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을 구비한 냉과 제조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냉각실린더내에 급탕을 행하여 소정시간후에 배탕하는 수단과, 전기한 냉각 실린더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전기한 냉각실린더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이 온도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와 미리 설정 된 온도에 의하여 전기한 가열수단을 운전제어하여서 전기한 냉각실린더내에 급탕된 탕을 살균온도로 유지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과 제조장치는, 냉각실린더내의 온도를 검출하며, 그 탕온이 살균온도를 유지하도록 실린더내의 가열수단을 운전제어하는 것이 되여, 실린더내의 탕의 온도저하에 의한 살균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전기한 가열수단은 전기한 냉각실린더내를 냉각하는 수단과 겸용의 콤프레서 및 콘덴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냉각실린더내를 가열하도록 냉각수단에 역사이클을 구성하여서 열매의 흐름을 역으로 하는 사방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냉각실린더내를 가열하기 위하여 별도로 피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면,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전기한 냉각실린더내의 급탕에 앞서서, 전기한 가열수단에 의하여 내부의 냉과를 가열하여 용해하며, 자동회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폐점후의 작업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전기한 냉각실린더내에 급탕된 탕을 가열하기 전에, 전기한 냉각실린더내에 탕을 여러번 공급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며, 살균에 앞서서 한층 양호한 세정을 바랄 수 있어서 위생적인 것이다.
또, 전기한 냉각실린더내의 탕을 가열한때의, 살균 온도범위에 있는 시간을 누적하는 누적타이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실린더내의 살균이 확실하게 됨과 동시에, 그 이상의 헛된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기한 온도검출수단을 전기한 온도제어수단에서의 온도검출용과, 전기한 가열수단에서의 온도검출용에 겸용하는 것에 의하여, 온도검출수단의 설치수를 적게하여 장치를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냉각실린더내에 급탕된 탕을 살균온도로 유지하는 가열살균처리시에 냉각실린더의 후부를 삽통하는 교반기의 회전축의 축시일부에 열탕을 공급하는 열탕공급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축의 축시일부의 살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a)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관한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의 요부기기 배치구성 정면도.
제1도(b)는, 그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의 측면도를 표시한 것으로, 장치 후부에는 냉장고(1)이 배치되여 있다. 그 냉장고(1)의 상부에는 콤프레서(2) 및 콘덴서(3)가 배치되며, 냉매를 압축, 팽창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기를 냉장고내에 보내넣도록 구성되여 있다. 그 냉장고 내부는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상단에는 종류가 상이한 4개의 플레이버(시럽)탱크(4) 하단에는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주요원료를 인출이 자재롭게 각각 문(6)(7)을 개폐하여서 인출이 자재롭게 수납되여 있다.
제2도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믹스탱크(5)내의 믹스액은, 믹스펌프(8)에 의하여 장치 전방에 설치되는 냉각실린더(9)내부에 후부에서 공급되어서 냉각교반되어 아이스크림이 된다.
한편, 플레이버(시럽)탱크(4)내의 플레이버액은 플레이버펌프(1)에 의하여 냉각실린더(9)전면에 설치되는 냉동실문(11)에 공급된다. 거기서, 냉각교반된 아이스크림에 플레이버액이 첨가되여 쉐이크되여서 종이컵에 추출된다.
그 냉각실린더(9)는, 제3도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은 앞의 콤프레서(12), 앞의 콘덴서(13)에 의하여 냉각되는 한편, 후면은 뒤의 콤프레서(14)뒤의 콘덴서(15)에 의하여 냉각된다.
즉, 제3도에 표시함과 같이, 냉각실린더의 전면 외주면에는 앞의 콤프레서(12), 앞의 콘덴서(13)에서 탈수기(dehydrator)냉각전자변(17), 모세관(copillary)(18)을 경우하여 헤드(19)에 접속되는 냉매배관(2)이 권회되여 있다. 한편, 냉각실린더의 후부외주면에는, 뒤의 콤프레서(14)에서 사방변(21), 역지변(22), 뒤의 콘덴서(15), 드라이코어(23), 팽창변(24)을 경유하여 재차 사방변(21), 뒤의 콤프레서(14)에 접속하는 2중의 냉매배관(25)이 병열로 권회되여 있다. 또, 각 냉각계의 콘덴서(13)(15)에는 콤프레서(12)(14)의 토출량으로 개도조절되는 절수변(26)(27)에 의하여 냉각수가 공급된다.
또한, 냉각실린더(9)의 후부는 내부 살균처리 때문에, 사방변에 의하여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여서 냉각실린더(9)를 가열하기 때문에 팽창변(24)과 병열로 역지변(28) 역지변(22)과 병열로 모세관(29)이 배설되여 있다. 또, 냉각실린더(9)의 전방에는 냉각시의 온도를 검출하는 앞의 온도센서(30), 살균시의 온도를 검출하는 살균온도센서(31), 냉각실린더(9)의 후방에는 냉각시의 온도를 검출하는 뒤의 온도센서(32)가 배설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냉각실린더(9)의 내부에는 주입된 믹스액을 냉각교반하며, 공기를 혼입하기 위한 교반기(도시를 생략)가 봉입된다. 그 회전축(40)은 기어복스(41), 푸울리(42), 앤드레스벨트(43), 푸울리(44)에 의하여 교반기 모우터(45)의 회전축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40)의 측시일부(46)을 가열살균처리시에 가열하기 위하여, 물을 저장하는 씨스턴(cistern)(47) 거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전기탕불기(48)이 설치된다.
즉, 제2도(a) 및 (b)에 표시함과 같이 물은 볼터브(ball-tub)(49)에 의하여 레벨조절되는 씨스턴(47)에 저장되며, 거기에서 공급전자변(50)을 경유하여 전기탕불기(48)에 공급되며 가열된다. 가열된 탕은 물량 조절기(51)에 의하여 교반기를 회전하는 회전축(40)의 축시일부(46)에 공급된다.
그 축시일부(46)는, 냉각실린더(9)의 후면 개구에 삽입되여서 용착된 하우징(46A)의 통형상돌부(46B)에 O링(46C)에 의하여 냉각실린더(9)의 내부에서 축수 슬리브(46D)를 감합하여, 이들 축수작용을 하는 하우징(46A) 및 슬리이브(46D)를 통하는 교반기(60)의 회전축(60A)에는 3개의 축시일용 O링(46E)(46F)(46G)이 감착하고 있다. 또, 하우징(46A)은 슬리이브(46D)와 O링(46G)의 사이에 있어서, 회전축(60A)의 주위에 공동부(46H)를 이루며, 또한 하우징(46A)에는 전기한 가열된 탕을 공동부(46H)에 인도하는 입구통로(46I)가 상부에 형성되어 이것을 배출하는 출구통로(46J)가 하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축시일부(46)의 가열살균 처리시에는, 전기탕불기(48)에서 입구통로(46J)를 경유하여 공동부(46H)에 열탕이 연속하여 공급되며, 회전축(60A)에 점액된다.
이것에 의하여 축시일부(46)의 살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점액후의 열탕은 출구통로(46J)에서 배수 처리된다.
냉각실린더(9)의 전면에 설치되는 냉동실문(11)은 그 상세한 것을 제4도에 표시함과 같이, 냉각실린더 내부를 폐쇄하는 블록(61)에 냉각실린더(9)내부에 봉입되는 교반기(60)의 회전에 의하여 압출되는 아이스크림을 추출하기 위한 믹스통로(62)가 형성되여서 된다. 교반기(60)는 냉각실린더(9)의 내벽에 접하는 판자를 가지며, 냉각실린더(9)내벽에 부착하는 냉과를 회전에 수반하여 글거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이것에 의하여 냉각실린더(9)내부는 효율이 좋게 냉각된다. 또, 믹스통로(62)는 직각으로 형성되며, 냉각실린더(9)내부에 연결되는 수평로에는, 스프링(63)에 의하여 압압되여서 통로를 폐쇄하는 도어밸브(64)가 배설되여 있다. 그 도어밸브(64)의 선단부에는 푸시핀(65)의 선단부가 계합되며, 그 후단부는, 레버(66)의 일단에 형성된 멍청이구멍(67)에 핀(68)으로 계합되여 있다. 레버(66)는 폐쇄블록(61)에 입설시켜 끼워넣은 핀(69)에 구축으로서 회동이 자재롭게 유지되며, 그 다른 단부는 솔리노이드(70)의 가동철심인 로드(71)의 선단에 계합되어 있다.
솔리노이드(70)이 OFF상태에 있을때에, 스프링(72)의 힘에 의하여 로드(71)는 선단돌출부가 최소의 길이가 되도록 인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도어밸브(64)는 스프링(63)에 의하여 압출되여 믹스통로(62)를 폐쇄하고 있다.
한편, 솔리노이드(70)가 ON상태로 되면, 로드(71)는 스프링(72)의 힘에 대항하여 돌출되며, 이것에 의하여 레버(66)는 다른 단부가 개도조절나사(73)의 선단에 접할때까지 핀(69)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레버(66)의 회동에 의하여 푸시핀(65)가 도어밸브(64)를 스프링(63)의 힘에 대항하여서 밀어내어 믹스통로(62)가 개방된다.
한편, 믹스통로(62)의 수직로에는, 스피너 모우터(74)의 회전축에 부착된 스피너 샤프트(75)가 축받이 축수(76)에 의하여 감삽되여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실린더(9)는 2개가 배치되여 있으며, 따라서, 냉동실문(11)도 2개 있으며, 플레이버(시럽)탱크(14)에서의 4종류의 플레이버액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2종류씩 플레이버 튜우브(77)에 의하여 믹스통로(62)의 수직로에 공급된다. 물론, 이 믹스통로(62)의 수직로에는 플레이버 튜우브(77)가 4개가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여 있으며, 한쪽의 냉각실린더(9)를 쉬게한 경우에는, 제6도에 표시함과 같이 4개의 플레이버 튜우브(77)가 1개의 냉동실문(11)에 부착된다.
제1도 및 제4도에 표시함과 같이, 냉동실문(11)하부에는 컵 테이블(80)이 설치되며, 그위에 믹스통로(62)에서 추출되는 아이스크림에 플레이버가 첨가되여서 되는 아이스크림 쉐이크를 받는 종이컵(81)이 재치된다. 이 종이컵(81)은 장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컵 디스펜서(dispenser)(82)에 인출이 자재롭게 다수가 수납되여 있다.
컵 테이블(80)은 중량검지기(83)의 일단부에 착탈자재롭게 계치되여 있다. 그 중량검지기(83)는 제4도에 표시함과 같이 알루미늄 합금등의 금속블록에서 A에 표시한 부분이 빠져나가서 단면이 얇은 부분이 형성되며, 거기에 변형센서(84a-84d)가 첨부되는 한편, 그 블록의 다른 단부가 장치에 고착되어서 된다.
각 변형센서(84a-84d)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브리지 접속되여 그 출력은 차동증폭기(85)에 의하여 중량검출신호로서 인출된다.
이 경우, 차동증폭기(85)부터는 중량변화에 대하여 리니어(linear)로 변화하는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도(b)에 표시함과 같이 장치 전면에는 온도 콘트롤 복스(90), 중량 콘트롤 복스(90), 내부 냉각팬(92), 유니트 냉각팬(93), 전장복스(94), 트래인(dirn) 수납복스(95)등이 설치되여 있다.
또 제1도(b)에 표시함과 같이 장치 전면의 종이컵(81)을 수납하고 있는 컵디스펜서(82)의 하부에는 조작패널(100)(101)(102)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치에는 2개의 냉각실린더(9)가 배치되여 있다. 이 때문에 조작패널(100)은 제8도에 표시함과 같이, 모니터표시기(110) 캔설스위치(111)을 중심으로 하여서 좌우에 동일한 기능의 스위치, 표시기류가 2조 배치되여 있다.
그 모니터표시기(110)이 표시부(110a)는 냉장고 1의 내부온도가 10℃이상으로 60분이 경과한 경우 점등한다. 표시부(110b)는 믹스액이 남은 것이 적게된 때에 점등된다. 표시부(110c)는 믹스액이 없어졌을때에 점등된다.
자동스위치 (112)를 눌르면, 그것에 대응하는 플레이버가 들어간 쉐이크가 자동 계량되어서 추출된다. 수동스위치 (113)을 누르고 있는 동안 그것에 대응하는 플레이버가 들어간 쉐이크가 추출된다. 냉동램프(114)는 냉각중(정면 콤프레서(12), 또는 후면 콤프레서 14가 운전중)에는 점멸상태, 대기중에는 점등상태로 된다. 조작램프(115)는 조작 1및 조작 2의 동작중인때에 점등한다. 모니터 표시기(116)중에, 표시부(116a)는 교반기 모우터의 온도(thermal)가 가열 작동한 때에 점등되며, 냉각실린더(9)의 냉각은 정지하며, 아이스크림의 추출도 불가능하게 된다.
표시부(116c)는 정전이 있는 경우에 표시부(116b)는 열탕의 세정 살균공정에 불편이 있을때에 점등된다. 표시부(116c)는 정전이 있는 경우에 점열된다.
표시부(116c)는 냉각 유니트의 고압스위치가 작동할때에는 점등되며, 냉각이 정지된다. 표시부(116e)는 믹스펌프에 이상이 발생한때에 점등되며, 추출은 정지된다.
동일하게 조작패널(101)도, 제9도에 표시함과 같이, 리세트스위치(120)을 중심으로 하여서 좌우에 동일한 기능의 스위치, 표시기류가 2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 리세트스위치(120)은 전자회로에 의한 경보램프 및 신호를 해제하는 스위치인 것이다. 이 스위치(12)의 좌우에 배치되는 스위치는, 각각 각 플레이버펌프(10)을 포함한 플레이버라인의 세정살균을 개시하는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스위치(121), 플레이버라인의 린스를 개시하는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스위치(122), 믹스펌프(8)을 포함한 믹스라인 및 냉각실린더(9)의 세정살균을 개시하는 제1의 믹스라인 세정스위치(123), 믹스라인 및 냉각실린더(9)의 린스를 개시하는 제2의 믹스라인 세정스위치(124), 믹스액을 냉각실린더(69)에 자유전하하는 믹스피이드스위치(125), 냉각실린더(9)의 냉각을 개시하는 냉동실스위치(126), 아이스크림 쉐이크 중량의 초기설정과 플레이버량의 검정에 사용하는 캐리브레이션스위치(127), 냉각실린더(9)의 아이스크림을 해제하여, 자동배출하는 제1의 조작스위치(128), 열탕살균세정을 행하는 제2의 조작스위치(129)인 것이다.
조작패널(102)에는 제10도에 표시함과 같이, 전원 스위치(130),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온도를 설정하는 보륨(131), 조작패널(100)의 자동스위치(112), 조작에 의한 아이스크림 쉐이크 자동추출시에 그 전체중량을 조절하는 보륨(132), 전술한 제4도에서 설명한 도어밸브(64)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아이스크림 쉐이크 추출속도를 조정하는 조절나사(73), 아이스크림 쉐이크 자동추출시에, 최후로 냉동실무(11)의 믹스 통로(62)의 세정을 위하여 아이스크림만을 조금 내보내나, 그 도터(doter)량을 조절하는 보륨(133), 동일하게 수동추출시의 도터량을 조절하는 보륨(134), 플레이버 첨가량을 조절하는 보륨(135), 냉각실린더(9)를 2개 사용하던가, 좌우의 어느 것을 사용하던가 선택하는 실린더 선택스위치(136)가 배치되어 있다.
제 11도는, 본 실시예의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에 탑재되는 시스템 제어장치와 구성도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 시스템 제어장치는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 정면에서 보아 좌우로 배치되는 냉각실린더(9)에 대응하여 각각 1개씩 계 2개가 있는 바, 도면에서는 그중의 1개의 우측시스템의 제어장치에 대하여만 표시하고, 다른 것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이 1개의 제어장치는 또한, 2개의 제어블록(140A는 A기판이라고도 한다). 제어블록 (140B는 B기판이라고도 한다)로 구성된다. 이들 각 제어블록(140A)(140B)은 조작패널(102)등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141)와, 이 증폭회로(141)의 출력신호를 A-D 변화하는 A-D 변환기(142)와, 그 변환한 디지털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며, 기기구동정지지령, 표시신호등을 출력하는 CPV(중앙처리연산장치 143)와 그 기기구동정지지령에 따라서 실제로 각 펌프등을 제어하는 리레이 회로(144)와 각종 테스트키이(145), 표시기(146)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본 장치에 탑재되는 2개의 냉각실린더(9)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각에 플레이버튜우브(77)를 2개씩 접촉하여서, 제10도에 표시한 조작패널(102)위의 실린더 선택스위치(136)를 Dual에 세트하며, 조작패널100-102위의 각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2개의 냉각실린더(9)에 관련하는 제어동작이 행하여진다.
또, 좌우 어느 것의 냉각실린더(9)만을 운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레이버튜우브(77)을 그 운전하고자하는 냉각실린더(9)에 접속하여서, 실린더 선택스위치(136)을 우측 혹은 좌측에 전환하고나서 상기한 동일한 조작패널(100-102)위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선택한 냉각실린더(9)에 대한 바라는 제어동작이 행하여진다.
예로, 좌우 냉각실린더(9)를 운전하고자할 경우는 제5도에 표시함과 같이, 좌우의 냉동실문(11)의 각각에 플레이버튜우브(77)를 2개씩 접속한다.
그리고, 전환스위치(136)를 Dual에 세트하면, 좌측 시스템의 제어블록에는 좌측신호가 전환스위치(136)에서 출력되며, 우측시스템의 제어블록(140A)에는 우측신호가 전환스위치(136)에서 출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좌측시스템은 플레이버 1펌프와 플레이버 2펌프를 제어하며, 우측시스템은 플레이버 3펌프와 플레이버 4펌프를 제어하도록 결정된다.
또, 좌측전용 냉각유니트에 의한 좌측 냉각실린더(9)의 냉각동작이나 좌측전용 믹스펌프(8)에 의한 좌측실린더(9)에의 믹스액의 공급은 좌측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됨과 동시에 우측전용 냉각유니트에 의한 우측 냉각실린더(9)의 냉각동작이나 우측전용 믹스펌프(8)에 의한 우측실린더(9)에의 공급은, 우측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게 된다.
한편, 좌측의 냉각실린더(9)만을 운전하고자할 경우에는, 제6도에 표시함과 같이, 4개의 플레이버 튜우브(77)을 좌축의 냉동실문(11)에 접속한다. 그리고 전환스위치(136)에서 싱글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좌우 공통부하인 모든 플레이버펌프는, 좌측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게 되는 동시에 좌측전용 냉각유니트에 의한 좌측 냉각실린더(9)의 냉각동작 및 좌측전용 믹스핌프(8)에 의한 좌측 냉각실린더(9)에의 믹스액 공급등도 좌측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 전환스위치(126)에서 좌측시스템의 제어블록에 싱글신호가 출력되면, 우측시스템의 제어블록(140A)을 동일시스템의 제어블록(140B)에 정지신호를 출력하며, 우측시스템의 제어블록(140B)의 기능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스로의 기능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우측전용 부하는 일체의 동작을 정지한다. 즉, 우측전용 냉각유니트에 의한 우측 냉각실린더(9)의 냉각동작 및 우측전용 믹스펌프(8)에 의한 우측 냉각실린더(99의 믹스액 공급은 일체이 행하여지는 것이 없다.
또한, 우측의 냉각 실린더(9)만을 운전하고자할 경우에는 전술한 좌측의 냉각실린더(9)만을 운전할때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판매량에 따라서 판매량이 많은 이름에는 양측의 냉각실린더(9)를 운전하며, 판매량이 적은 겨울에는 어느쪽이나 한쪽의 냉각실린더(9)를 운전하는 것에 의하여,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판매량에 유연하게 대응한 장치의 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한쪽의 냉각실린더 계통이 기기상의 말썽 혹은 시스템 제어장치의 고장에 대하여도, 본 실시예의 장치와 같이 냉각실린더 계통을 2개의 계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정상적인 계통으로 전환하여서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판매를 계속할 수 있으며, 장치를 유효하게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장치의 동작은, 크게 나누어서 개점전, 개점중, 페점후의 3개의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개점 전의 동작은, 장치 정면에 배치되는 조작패널(101)의 좌우 실린더에 대한 조작스위치(121-127)을 순번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한편, 개점중의 아이스크림 쉐이크 판매동작은, 조작패널(100)의 4개의 플레이버의 자동스위치(112) 혹은 수동스위치(113)는 적당히 선택조작을 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 폐점후의 조작패널(101)의 조작스위치(128)(129)를 순번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들의 동작은 이하의 순번으로 설명하여 나간다.
먼저, 4개의 플레이버(시럽)탱크 4에 살균세정제를 준비하고,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스위치(121)를 누른다. 이 스위치가 눌러지면, 타이머 2가 동작하여 일정한 시간 플레이버펌프(10)이 운전하며, 플레이버탱크(4)에 준비된 살균세정제에 의하여 플레이버라인을 살균세정한다.
타이머 2가 종료되면, 타이머 1이 동작하며, 플레이버 펌프(10)을 정지하며, 일정한 시간 유지하여 살균세정액을 플레이버라인에 접액시켜서 살균한다.
이 살균세정의 종료후에, 60℃의 탕을 준비하여 플레이버 펌프(10)의 흡입측에 세트하여서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스위치(122)를 누른다. 이 스위치를 누르면, 타이머 2가 동작하며, 일정한 시간 플레이버펌프를 운전하며, 준비한 탕으로 플레이버라인을 린스한다.
또한, 플레이버라인의 살균 세정후의 배출액 및 플레이버라인의 린스(rinse)후의 배출액은, 적당한 드레인 박스(drain box)에 회수되여서 폐기된다.
이상의 동작은, 제11도의 제어블록(140A)의 제어하에서 실행되며, 그 처리의 상세한 것은 12도의 플로차아트 및 제13도의 타임차아트에 표시함과 같이 행하여진다.
먼저, 차아염소산을 넣은 40℃의 탕을 플레이버펌프의 흡입측에 세트하여서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스위치(121)을 누르면, 믹스피이드중에 세트되는 플러그를 보고 믹스피이드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며(201), NO이면 냉각중에 세트되는 플러그를 보고 냉각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며(202), NO이면 동일하게 캐리브레이션, 다음에 살균(Sterization)중인 것을 판단한다(203,204). 이들이 NO이면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중에 세트되는 플러그를 보고(205) NO이면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스위치(121)가 눌러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며(206), 눌러져 있지 않으면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며, 눌러져 있으면 그 스위치(121)이 두번째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며(207), YES이면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을 중지하기 위하여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동작을 행한다.(21). 먼저 제1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를 점등하며, 믹스, 피이드 냉각 및 살균 1,2의 점멸하고 있는 LED를 소등하여셔,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를 소등하여(208) 플레이버라인펌프 1-4를 OFF한다.
NO이면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동작을 행한다. 먼저 제1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를 점등하며, 믹스, 피이드, 냉각 및 살균 1, 2의 점멸하고 있는 LED를 소등하여서,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동작이 개시한 것을 알린다(211).
다음에, 2분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하며, 2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212의 N), 실린더전환 SW(R-dual-L)를 보고 그 SW가 Dual에서 콘트로울러가 우측이면(213의 Y) 플레이버펌프 1과 2를 OFF하며, 3과 4를 ON한다(214). SW가 Dual로 콘트로울러가 좌측이면(215의 Y)플레이버펌프 1과 2를 ON하며, 3과 4를 OFF한다. SW가 Dual이 아닌 경우에는 플레이버펌프 1-4를 ON한다(217).
2분이 경과하고(212의 Y), 7분이 경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218), 플레이버펌프 1-4를 OFF한다(209). 즉, 이 차의 시간 5분을 플레이버라인에 살균액을 유지시켜놓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이다. 7분이 경과하면 (218의 Y),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가 점멸하여서(219), 제1의 플레이버라인의 세정살균이 종료한 것을 알리며,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작업을 촉진한다.
여기서 플레이버라인 준의 차아염소산을 씻어서 흘리기 위하여, 60℃의 탕을 준비하며, 플레이버펌프의 흡입축에 세트하여서,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스위치(122)을 눌른다.
그렇게하면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스위치(122)가 ON인 것을 판단하며, ON이 아니면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며, ON이면 다음에 그 스위치가 두번 눌러졌나 아닌가를 판단하며(221), 두번째이면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동작을 중지하기 위하여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를 소등하여서(222) 플레이버펌프 1-4을 OFF한다(223). NO이면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동작은 행한다. 먼저 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를 점등하며(224), 계속하여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실행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며(225), YES이면 종료되는 것을 기다리며, NO이면 2분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하며(226), NO이면 점멸하고 있는 제1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를 소등하며(227), 실린더 전환 SW(R-dual-L)를 보고 그 SW가 Dual로 콘트로울러가 우측이면(228) 플레이버펌프 1과 2를 OFF, 3과 4를 ON한다(229). SW136이 Dual로 콘트로울러가 좌측이면(230), 플레이버펌프 1과 2를 ON하며, 3과 4를 OFF하며(231), SW136이 Dual이 아닌 경우에는 플레이버펌프 1-4를 ON한다(232) 2분 경과하였으며 (26의 Y),제2의 플레이버라인 세정의 LED를 점멸시켜(2233), 플레이버펌프 1-4를 OFF한다(223).
이와 같이 하여서 플레이버라인 세정후에는, 이번에는 믹스탱크(55)에 동일하게 하여 살균 세정제를 준비하고 나서, 조작패널(101)의 제1믹스라인 세정스위치(123)을 눌른다. 이 스위치를 눌르면 그 스위치에 대응하는 실린더(예로 좌측 실린더)에 믹스액을 공급하는 믹스펌프(8)가 동작함과 동시에, 제2도에 표시함과 같이 니이들변(150)에 의하여 에어를 집어넣기 위한, 에어전자변(155)이 동작하며, 믹스탱크(5)내에 준비된 살균 세정제를 냉각실린더(9)에 공급한다. 그때에 냉각실린더(9)의 바로 앞에 설치된 입력스위치(160 제2도 참조)에 의하여 냉각실린더(9)내의 압력을 검지하여, 소정의 압력에 도달되면, 믹스펌프(8)에서 전자변(155)를 정지한다.
그와 동시에 타이머 1이 동작하며, 교반기 모우터(45)를 일정한 시간 운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믹스라인 및 냉각실린더(9) 내부를 살균액으로 일정한 시간 접액하여 살균을 행한다. 타이머 1이 종료되면 타이머 2가 동작하며, 솔리노이드(70)를 동작시켜서 레버(66)에 의하여 냉동실문(11)내부의 벨트(64)를 열고 있는중의 살균 세정액을 배출한다.
이 믹스라인 살균 세정후에 린스액을 믹스탱크(5)에 준비하고 나서, 조작패널(101)의 믹스라인 2 세정스위치(124)를 눌른다. 이 스위치를 눌르면, 믹스펌프(8) 에어전자변(155)이 동작하여 믹스탱크(5) 내부에 준비된 린스액을 냉각실린더(9)에 공급한다. 압력스위치(160)에 의하며 믹스펌프(8) 에어전자변(155)를 정지한다. 그와 동시에 타이머 2가 동작하며 교반모우터(45) 솔리노이드(70)를 동작시켜 냉각실린더(9) 내부의 액을 교반하면서 배출한다. 이 공급, 배출의 동작을 합계 3회 행하며, 최후(3회째)의 배출일때에는 압력 스위치(160)가 ON으로 되기 때문에 믹스펌프(8), 전자변(155)을 동작시켜, 냉각실린더(9) 내부의 린스액을 완전하게 배출한다. 타이머 2종료로 솔리노이드(70), 교반기 모우터(45)가 정지한 후에 믹스펌프(8), 에어전자변(155)는 압력스위치 16D가 OFF로 될때까지 운전하며 냉각실린더(9) 내부에 에어를 넣어서 압력을 높인다. 이것은, 냉각실린더(9)의 바닥에 남은 액을 냉동실문(11)의 드레인 벨트(64)를 개방한때에 빼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처리 순서를 표시한 것이 제14도, 제15도의 플로차아트이며, 각각은 제11도의 제어블록(140A) 및 (140B)로 실행된다.
또 그때에 관련기기의 동작 타이밍은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것이다.
먼저, 차아염소산을 넣은 40℃의 탕을 준비하여, 믹스펌프 흡입측에서 세트한다.
이 상태로 제어블록(140A)은 제14도에 표시함과 같이 처리 301를 실행한다.
처리 301이 1회째임으로 처리 303,304와 실행하며, 제어블록(140B)에 (제1믹스라인 세정)허가신호를 송출한다.
제어블록(140B)는 이 신호를 받으면 제15도에 표시함과 같이 처리 333에서 실행을 개시한다. 그리고 처리 334,335를 실행하며, 처리 335에 있어서, 실린더 내부의 압력은 「L」임으로 처리 346,347,348을 실행한다.
한편, 제어블록(140A)은 처리 304를 실행한 후에 처리 305,306,307,308로 차례로 실행하는바, 처리 308에서는, 제어블록(140B)에서 「2분 WATT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므로, 처리 310을 실행하며, 처리 315에 이행한다.
제어블록(140B)에 의한 처리 346의 실행에 의하며 실린더내부에 탕이 공급되며, 그 압력이 소정한 것으로 상승하며 처리 335에서 처리 336,337,338에로 이행한다. 처리 339에 있어서 최초는 END에 이행하나 5분이 경과되면, 처리 340,341에서 END에 이행한다. 처리 340의 실행에 의하여 제어블록(140B)에서는 처리(341)에 있어서, 2분이 경과되면, 처리 342,343,344,345에서 END에 이행한다. 처리 345에 있어서는 제어블록(140A)에 「2분 WAIT 정보」의 출력을 정지함으로,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308)에서 처리 310,311,312,313을 실행하여서 처리 315에 이행한다. 또한 처리 303에 있어서 믹스 1SW의 2회째의 눌름을 판단하면 처리 314,312,313을 실행한다. 처리 313의 실행에 의하며 처리 333 처리 349, 처리 342-345를 실행하여 END로 되며 제1의 믹스라인 세정의 실행을 중지한다.
이상에 의하여 제1의 믹스라인 세정의 동작을 종료하며, 계속하여 60℃의 량을 준비하여 믹스펌프의 흡입측에 세트한다. 여기서, 상술한 311에 있어서의 처리 345의 실행에 의하여 처리 349는 해제됨으로, 처리 349는 NO만의 실행이 되며, 처리 350,379 END에 이행한다.
여기서, 제어블록(140A)는 처리 315를 실행하며 처리 317,318을 실행한다. 처리 318을 실행하면, 제어블록(140B)는 처리 350,351,352를 실행하며, 처리 352에 있어서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L」임으로 처리 375에서 처리 378을 실행한다. 한편, 제어블록(140A)은 처리 318을 실행한 후에, 처리 319-322를 실행한다. 처리 322에 있어서 이때에 제어블록(140B)측에서 아직까지 처리(358)이 실행되여 있지 않으므로 처리 324의 N에서 END에 이행한다.
제어블록(140B)는 처리 352에 있어서, 압력이 소정치에 상승할때에, 처리 353에서 359를 실행하며, END에 이행한다.
제어블록(140B)가 처리 358을 실행하면, 제어블록(140B)은 처리 322,323을 실행한다.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 359에 있어서 2분이 경과되면, 처리 360을 실행한다. 제어블록(140B)로 처리 360이 실행되면, 제어블록(140A)은 처리 322의 N에서 처리 324,325,326을 실행하여 END에 이행한다.
제어블록(140A)가 이상의 처리 317-322까지의 동작을 2회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블록(140B)은 처리(353)의 Y에서 처리 361-367, END를 실행한다.
제어블록(140B)이 처리(364)를 실행하여도, 제어블록(140A)은 처리 322에 있어서 제어블록(140B)의 처리 366이 우선됨으로 처리 323을 실행하여 END로 한다. 제어블록(140B)에서 처리 367,368을 실행하면, 제어블록(140A)은 처리 322,324에서 처리 326,327을 실행하며, 제어블록(140B)측의 처리 364에 의하여 처리 326,327,328, END에 이행한다.
제어블록(140B)는 처리 361에 있어서 실린더 내부의 압력이 소정치에 상승하면, 처리 369-372를 실행한다. 제어블록(140B)이 처리 372를 실행하면 제어블록(140A)은 처리 328,329,330을 실행하며, END로 된다. 제어블록(140A)가 처리 330을 실행하면, 제어블록(140B)은 처리 350에서 처리 379-384를 실행한다. 제어블록(140B)은 처리 384에 있어서 처리 379를 클리어함으로, 다음번부터는 처리 333,349,350,379, END로 되며 믹스라인 루우틴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서 믹스라인의 세정 종료후에는, 드렌벨브(79) 및 블록밸브(78)을 열며, 냉각실린더(9) 내부의 잔존하는 세정수를 모두 배수한다.
한편, 믹스탱크(5)에는 믹스액을 넣어서 믹스펌프(8)의 흡입측에 세트한다.
이어서, 냉각운전에 들어가기 전에 냉각실린더(9)에 믹스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조작패널(101)의 믹스피이드스위치(125)를 누른다. 이 스위치를 누르면, 압력스위치(160) ON의 조건하에서 믹스펌프(8)가 동작하며, 믹스탱크내의 계량된 믹스액을 냉각실린더(9) 내부에 공급한다. 압력스위치(160) OFF로 종료된다.
이 동작을 시행시키기 위한 처리 순서를 표시한 것이 제17(a),(b)에 표시한 플로차이트로, 각각 제11도의 제어블록(140A,140B)로 실행된다. 또, 이때의 관련기기의 동작 타이밍은 제18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것이다.
먼저, 드래인 벨브(79) 및 BLOW 밸브(78)을 열어, 실린더 내부의 잔존하는 세정수를 모두 배수한다. 또, 믹스탱크(5)에 믹스액을 넣어서 믹스펌푸의 흡입측에 세트한다. 이어서, 제어블록(140A)은, 처리 401-404에 있어서는 각각의 동작이 실행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며, YES이면 END로 된다.
처리 401-404이 모두 NO로, 피이드스위치(125)가 눌려져 있지 않으면 처리 405,406을 실행하며, 피이드를 실행중인 경우에는 처리 408에 이행하며, 실행중이 아닌 경우에는 END로 된다. 피이드스위치(125)가 눌러지면 처리 405-411을 실행한다.
제어블록(140A)이 처리 408을 실행하면, 제어블록 (140B)은 처리 417,418을 실행하며, 최초에는 실린더(9)내부의 압력이「L」임으로 처리 419,420, END를 실행한다.
제어블록(140A)이 처리 420을 실행하면, 제어블록 (140A)은 처리 411,412,END를 실행한다. 실린더(9)의 내압이 소정값에 상승하면, 처리 418,422-424, END를 실행한다. 또, 제어블록(140B)이 처리423을 실행하면,
제어블록(140A)은 처리 412-415를 실행한다. 처리 415를 실행하면, 제어블록(140B)을 처리 417, 421, END로 이행한다. 또한 제어블록(140A)측은 처리 405,407의 실행한 경우에서, 2회째의 피이드스위치
(125)의 눌름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 407, 416, 415, END를 실행한다.
이때에, 처리 415를 실행하면, 제어블록(140B)측은 처리 417, 421-424, END를 실행하며, 이 처리424를 실행하면, 처리 421은 리세트되어 NO만으로 되며, 다음번부터는 처리 417, 421, END로 되어서, 믹스피이드 루우린에 들어갈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여서 냉각실린더(9)에 믹스액을 공급한 후에, 믹스펌프(8)가 정지한 것을 확인하며, 믹스탱크(5)에는 새로이 믹스액을 보급하여 놓는다. 이어서 믹스냉각 운전에 들어가 위하여 조작패널(101)의 냉동실 스위치(126)를 눌른다.
이 믹스냉각운전은, 초기 냉각시와, 사이클운전(무판매)시와, 판매시로 각각 운전 모울드(mould)가 다소 상이하며, 제어블록(140A,140B)의 제어하에 제19도에 표시한 형태로 실행된다. 이 냉각실린더(9)의 냉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앞의 콤프레서(12), 앞의 콘덴서(13)에 의한 앞의 냉각유니트와, 뒤의 콤프레서(14) 뒤의 콘덴서(15)에 의한 뒤의 냉각유니트로서 행하여진다. 이 경우, 앞의 냉각유니트는 앞의 센서(30)이 -2.9℃이상으로 DN, -3.0℃이하로 OFF하며, 뒤의 냉각유니트는 뒤의 센서(32)가 -1.4℃이상에서 ON, 초기 냉각시에는 -1.7℃이하에서 OFF하는 한편, 사이클 운전(무판매) 및 판매에서는 -1.5℃로 OFF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초기 냉각시에, 냉각 실린더 내부에는 믹스탱크(5)에서 믹스펌프(8)에 의하여 공급된 믹스액이 수용되어 있으며, 그 온도는 4℃전후인 것이다.
따라서, 조작패널(101)의 냉동실 스위치(126)이 눌러지면, 뒤의 냉각유니트가 즉시 ON하며, 뒤의 콘프레서(14), 교반기 모우터(45)가 동작한다. 그러나, 이때에 전면 냉각유니트는 ON시키지 않는다.
이 뒤의 냉각유니트가 ON하는 것에 의하여, 뒤의 온도센서(32)의 검출온도는 제19도의 실선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급속하게 저하하며, 어름 결정이 큰 아이스크리스탈이 생성한다.
곧 뒤의 온도센서(32)의 온도가 제1의 설정온도인 -1.7℃에 도달하면, 뒤의 냉각유니트가 OFF함과 동시에, 앞의 냉각유니트가 ON한다. 이 결과, 제19도의 파선으로 표시함과 같이 이번은 앞의 온도센서(30)의 검출온도가 급속하게 저하한다. 그리고 이 전면 온도센서(30)의 검출온도가 -3.0℃에 도달되면, 앞의 냉각유니트를 OFF한다.
이후에, 무판매의 사이클 운전에 들어가서, 앞의 온도센서(30)의 검출온도는 냉각실린더(9)의 자연 방열과 앞의 냉각유니트의 ON, 동작에 의한 -2.9℃와 -3.0℃사이의 주기적인 변동을 반복한다. 이때에 뒤의 온도센서(32)의 검출온도는 앞의 온도센서(30)의 설정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1.7℃이하로 완만하게 변동을 반복한다.
그런데, 앞의 온도센서(30), 뒤의 온도센서(32)에는 히이터가 일체적으로 편입되여 있으며 아이스크림 쉐이크 판매에 들어가서 믹스액의 추추이 행하여지면, 그것에 믹스액의 공급에 수반하는 온도상승을 고려하여서 빠르게 냉각유니트를 ON시키므로서 온도센서에 편입되어 있는 히이터를 단시간 ON한다.
이것에 의하여 뒤의 온도센서(32)의 검출온도는, 상승하며, 설정온도 -1.4℃를 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뒤의 냉각유니트가 재차 ON한다.
이 뒤의 냉각유니트 ON에 의하여 뒤의 온도센서(32)의 검출온도는 저하하는바, 믹스액의 과도한 냉각에 의한 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판매중의 후면 뒤의 냉각유니트는, 뒤의 온도센서(32)의 검출온도가 제2의 설정온도 -1.5℃에 도달할때에 OFF한다.
이와 같이, 초기 냉각시에는 보다 낮은 온도까지 뒤의 냉각유니트를 동작시키는 한편, 판매시에는 그보다도, 조금 높은온도로 냉각유니트의 동작을 정지시켜, 뒤의 온도센서(32)의 온도를 상술한 제19도에 표시함과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초기 냉각으로 아이스크리스탈이 생성되며, 이후의 판매시에는 그 상태를 유지한 다음에 우리가 원하는 굳은 아이스크림 쉐이크가 추출할 수 있도록 된다.
조작패널(101)의 냉동실 스위치(126)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믹스액의 냉각을 행한 후에는, 캐리스위치(127)를 눌르는 것에 의하여 믹스액에 첨가하는 플레이버량을 조절한다. 즉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문(11)의 믹스통로(62)에 각 플레이버마다 플레이버 튜우브(77)를 1개씩 뽑아서 선단을 측정 "(measuring) 실린더에 넣는다. 이어서, 캐리스위치(127)을 눌르며, 조작패널(100)의 캔설스위치(111)를 눌르는 것에 의하여 중량검지의 초기설정을 행한다.
다음에 자동스위치(112)를 눌르면 눌러진 것의 플레이버펌프(10)가 일정한 시간 동작하여, 측정한 플레이버가 추출된다. 이 플레이버량을 달으는 것에 의하여 적당한 량인가 아닌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적당한 량이 아니면, 보륨(135)을 조절하며, 플레이버펌프(1)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플레이버량을 적당한 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조작패널(101)의 각 실린더에 관하여, 조작패널(101)에 설치되는 조작스위치(121-127)를 차례로 눌러가는 것에 의하여, 개점전에 있어서의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의 준비조작이 모두 종료된다.
이어서, 개점중의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판매동작은 종이컵(81)을 컵테이블(80)의 위에 놓아 조작패널(100)위의 자동스위치(112) 혹은 수동스우치(113)을 눌르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즉, 자동스위치(112)을 눌르면 솔리노이드(70), 스피너 모우터(74), 플레이버펌프(10), 교반기 모우터(45)가 동시에 동작한다. 솔레노이드(70)에 의하여 레버(66)을 끼워서 냉동실문(11)내의 벨브(64)를 열어 믹스액을 내보내며, 동시에 거기에 플레이버펌프(10)에 의하여 공급된 플레이버를 혼입시켜, 이것을 스피너 모우터(74)를 돌리는 것에 의하여 혼합한다. 혼합된 믹스액은 컵(81)의 안에 떨어지며, 그 중량을, 중량 검지기(83)에 의하여 검지하며, 일정한 량에서 신호를 내며, 솔리노이드(70) 스피너모우터(74), 플레이버펌프(10), 교반기 모우터(45)를 정지한다. 이때에, 냉동실문(11) 통로내의 플레이버가 혼합된 믹스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솔리노이드(70)은 플레이버펌프(10)보다 늦게 정지시킨다. 이것은 다음에 틀린 플레이버를 추출한때에, 거기에 앞서서의 플레이버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자동 추출동작에 있어서, 종이컵(81)의 중량에 틀림이 있던지 컵테이블(80)에 믹스액등이 부착하여 중량이 변하던지하면, 종이컵(81) 내부의 믹스액이 중량이 변화되어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여서 항상 규정량의 아이스크림 쉐이크를 추출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컵테이블(80)위에 종이컵(81)을 재치하여 자동스위치(112)를 누른때에, 제11도의 제어블록(140A)이 컵테이블(80)과 종이컵(81)의 합친 중량을 0으로 하여서 추출제어를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블록(140A)는 먼저 종이컵(81)에 추출된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총중량은 W2로, 또 추출 종료되기 직전에서 먼저 플레이버의 추출을 중지하여 믹스통로(62)에 남아 있는 플레이버를 제외시키기 위하여 추출되는 믹스량(이하 도터 조정량이라 한다)을 총중량 2에서 뺀 분량을 플레이버 정지중량 W1 로 하여셔 이것을 기억한다. 다음에, 제어블록(140A)을 플레이버펌프(10) 교반기(60), 솔리노이드(70), 스피너모우터(74)등을 ON하여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추출제어를 개시한다. 즉, 중량 검지기(83)의 작동 증폭기(85)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기본으로 추출중량을 감시하며, 먼저 플레이버 정지중량 W1에 도달한때에, 플레이버펌프(10)를 정지하여서 믹스통로(62)에의 플레이버의 공급을 정지한다.
다음에, 스피너 모우터(74)를 OFF하여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추출이 종료된다. 이것에 의하여, 종이컵(81)에는 항상 규정량의 아이스크림 쉐이크가 추출되게 된다. 그런데, 컵테이블(80)위에 종이컵(81)이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스위치(112)가 눌러진 경우에,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추출동작은 회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컵테이블(80)위에 종이컵(81)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판정을, 추출중량 측정과 동일한 중량 검지기(83)에서의 신호를 기본으로 행하고 있다. 즉 자동스위치(112)가 눌러지기 이전에, 컴테이블(80)위에 종이컵(81)이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캐리스위치(127)을 누르며, 조작패널(100)의 캔설스위치(111)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제어블록(140A)을 이때의 중량을 0으로 기억한다. 한편, 종이컵(81)의 중량은 대략 10g전후이므로 종이컵(81)이 없는 경우를 6g이하로 정의하며, 6g이하이면 추출이 불가능하게 한다. 또,컵 중량이 180g이상(필히 컵안에 믹스액이 들어가 있는 상태)이면 추출이 불가능하게 한다. 즉, 제어블록(140A)을 미리 이들 컵중량 6g과 180g을 기억하여 놓고, 자동스위치(112)가 눌러졌을때에, 중량 검지기(83)에서의 검출량이 6g과 180g사이에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며, 있으면 컵테이블(80)위에 종이컵(81)이 세트된 것으로 하여서 그 검출량을 0에 리세트 한다음에 전술한 추출제어를 개시한다. 그러나, 없으면 종이컵(81)이 세트되어 있지 않은것으로 보고 추출제어를 개시시키지 않도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적으로 센서를 설치하는 일이 없으며, 아이스크림 쉐이크 추출중량의 검출과, 종이컵(81)의 회원하는 검지를 유일한 중량검지기(33)로 행하고 있다.
이상 기술한 믹스 냉각 운전 플레이버량의 조절, 아이스크림 쉐이크의 자동 추출 동작의 플로차아트를 제20도, 제21도, 제22도에 표시한다.
제 20도는 냉각, 플레이버 조절, 추출의 흐림(flow), 제21도는 자동 추출의 플로이며, 이들은 제11도의 제어블록(140A)로 실행된다.
한편 제22도는 냉각 및 추출의 루우틴으로, 제11도의 제어블록(140B)으로 발생된다. 또, 이때의 냉각 동작의 타이밍을 제23도에, 플레이버 조절의 동작 타이밍을 제24도에 표시한다. 먼저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 501-504에 있어서, 각각의 동작이 실행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냉각 스위치(126)이 눌러지면, 처리 505,506로 실행하며, 처리 506에 있어서 그것이 첫번째이면 처리 507-510을 실행한다.
제어블록(140A)측에서 처리 507이 실행되면, 제어블록140B는 처리 573,574를 실행한다. 제어블록(140A)은 처리 510에서는 처리 585이거나 591, 또는 603이거나 609의 실행에 의하여 처리 511이거나 512를 실행하며, 처리 516에 이행한다. 또, 처리 505,513로 이행한 경우, 냉각이 실행중이 아니면 처리 516에 이행한다. 처리 516으로 캐리브레이션 스위치(127)가 눌려져 있으면 처리 517에 이행하며, 그 스위치(127)가 첫번째의 누름에 있으면 처리 518을 실행하며, 두번째의 누름에 있으며 처리 520을 실행한다. 한편, 스위치(127)가 눌려져 있지 않으면 처리 519를 실행한다. 처리 519에서는 캐리브레이션 램프가 점등되어 있으며 실행중인것으로 본다. 처리 521에 있어서 캔설스위치가 눌려져 있으며 처리 522를 실행하며, 처리 522에 있어서 캐리플레이션 램프가 점등되어있으면, 처리 523을 실행한다. 처리 523에서는, 계량의 기본 중량(컵 테이블 80을 세트한 상태의 중량)을 기억한다. 처리 525에 있어서, 실린더 전환 SW(P1-Dual-L)136을 보고 2SW(136)이 Dual로 콘트로울러가 우측(R)이 아니면 처리 527을 실행하며, 그 이외이면 처리 567을 실행한다. 처리 527,528에 있어서 다른 플레이버 2,3,4가 추출을 행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며, 추출중이면 처리 562을 실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처리 529-531을 실행하며, 처리 531,532 또는 처리 531,534로서 플레이버의 캐리브레이션을 행한다. 처리 530에 있어서, 캐리브레이션을 행하고 있지 않으면, 처리 535-539에 있어서, 각각의 동작중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하며, No이면 처리 540을 실행하며, Yes이면 처리 562를 실행한다. 처리 540에 있어서 W1,W2가 계산되어있지 않으면 처리 541-543을 실행하며, 처리 543에 있어서 컵의 유무를 판정하며, 컵이 무이면 처리 549를 실행하여서 실수인가를 알리며, 한편 컵이 유이면 처리 544를 실행하며, 중량 초과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도 초과이면 처리 549를 실행한다. 처리 544에 있어서 YES이면 처리 545-548까지를 실행한다. 처리 540에 있어서 W1,W2가 계산되어 있으면 처리 550-556을 실행한다. 처리 550에 있어서 캔설스위치(111)가 눌려지면 처리 560,561을 실행하며, 추출이 중지된다.
처리 553에 있어서, 축출중에 컵이 제외되면 처리 549,560,561을 실행하며, 추출이 중지된다. 처리 555에 있어서, 계측 중량이 1을 초과하면 처리 557,558,559를 실행한다. 처리 558에 있어서 계측중량이 2를 초과하면, 처리 560,561을 실행하며, 추출이 종료된다. 처리 562,563은 상술한 처리 527,528과 동일한 것이다. 처리 564는, 상술한 처리 529에서 561까지의 플레이버 1자동추출 투우틴과 동일한것이다.
처리 565,566에 있어서 실린더가 싱글이면 처리 567에 이행한다. 처리 567,568은 상술한 처리 527,528과 동일한 것이다. 처리 569는 상술한 처리 529에서 561까지의 플레이버 자동 추출 루우틴과 동일한 것이다.
한편, 제어블록(140)이 상술한 처리 527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블록(140)은 처리 573에서 574로 실행하는 바, 이때에, 냉각 스위치(126)이 눌려져 있을 때에는 당연하게 믹스액 온도가 높으므로 처리 574,575,576,588,590,605로 이행하며, 실린더 내부 압력이 「H」이면, 처리 610,611을 실행하면 「L」이면 처리 606,607을 실행한다. 또한 처리 607,611에 있어서의 AIR Mg VALVE는 믹스액중에 알맞는 정도의 공기를 혼입시키기위하여 개폐되는 밸브이다.
제어블록(140B)은, 처리 576에 있어서, 믹스액 온도가 아이스크리스탈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1설정온도(-1.7℃)까지 저하하면 처리 577,578을 실행하며, 이 시점에서는 처리 578에서 589를 실행한다. 처리 578에 있어서 믹스액 온도가 설정 온도로 내려가면 처리 579를 실행하며, 풀다운(full-down)이 종료가 되며, 처리 574는 이 시점에서 YES만이 실행된다. 풀다운 종료후에는 3분을 WAIT하고 있지 않으므로 처리 599,612로 실행하며, 3분을 경과하면 처리 599,600을 실행한다. 이 직후에는 30초를 경과하고 있지 않으므로 처리 600,608을 실행하며, 30초를 경과하면 처리 600,601,602를 실행한다. 처리 602는 처리 601의 결과에 의하여 처리 603,304 또는 처리 609를 실행한다. 처리 580에서는 제어블록(140A)측으로 처리 548이 처리될때에, 처리 582,583,584를 실행하며, 처리 584에서는 전후의 콤프레서의 상태에 의하여 처리 585 또는 591을 실행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처리 586,587을 실행한다.
또한, 처리 582에서 586을 실행하며, 처리 586에 있어서 의방향에 이행하고 있을때에, 처리 560이 실행되면, 처리 580,581로 실행하는바, 처리 587이 실행되지 않는한 처리 582에서 586까지의 실행이 보증된다. 처리 587이 실행된 직후에는, 3분을 WAIT하고 있지 않으므로 처리 599,612로 실행하며, 3분을 경과하면 처리 599,600을 실행한다.
이 직후에는 30초를 경과하고 있지 않으므로 처리 600,608을 실행하며, 30초를 경과하면 처리 600,601,602를 실행한다. 처리 602는 처리 601의 결과에 의하여 처리 603,604 또는 처리 609를 실행한다.
이상은 아이스크림 쉐이크 제조장치의 개점중에 있어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 것인바, 폐점후에는 냉각실린더(9) 내부의 믹스액을 회수하며, 플레이버 라인, 믹스라인의 살균 세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이 자동 제정 열탕 살균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냉각 실린더(9) 내부의 믹스액을 용해 배출하기위하여, 조작패보(101)의 조작 스위치(128)을 누른다. 이 스위치를 누르면 교반기 모우터(45), 4방변(21), 뒤의 콤프레서(14)가 동작하며, 제3도에 표시함과 같이 열매가 판선으로 표시한 결로를 순환하는 히이트 펌프 작용에 의하여, 냉매 배관(25)에서 냉각 실린더(9)를 가열하여서 내부의 믹스액을 녹인다. 앞의 센서(30)가 5℃이면 맥스액이 녹은것으로 판단하며, 뒤의 콤프레서(14), 4방변(21)을 정지하며, 동시에 타이머 2를 동작하며, 믹스 펌프(8), 에어전자변(155), 솔리노이드(70)을 일정한 시간 동작시켜, 냉각 실린더(9) 내부의 믹스액을 배출한다.
계속하여 제2의 조작스위치(129)를 누르면 믹스 펌프(8), 에어전자변(155)이 동작하여, 믹스 탱크(5) 내부에 준비된 린스액을 냉각 실린더(9) 내부에 공급한다. 압력스위치(160)이 OFF에 의하여, 믹스 펌프(8), 에어전자변(155)이 정지하며, 동시에 타이머 2가 동작하며, 교반기 모우터(45), 솔리노이드(70)을 일정한 시간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냉각 실린더(9) 내부의 린스액을 배출한다. 여기까지의 동작을 합계 3회 행하며 4회째에 냉각 실린더(9) 내부에 공급된 린스액은 뒤의 콤프레서(14), 4방변(21)의 동작에 의하여, 하이트 펌프 운전이 시작되며, 승온된다. 그후에 살균 감시 타이머에 의한 일정한 시간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시킨 후에, 린스액을 배출시켜서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자동 세정, 열탕 살균 처리의 순서를 제25도(a),(b), 제16도(a)-(d)에 표시한다. 그중에, 제25도에 표시한 처리는 제어블록(140A)에 의하여, 또, 제26도에 표시한 처리는 제어블록(140B)에 의하여 실행된다.
또한, 제25도 및 제26도의 처리를 실행할 때의 주된 기기의 동작 타이밍을 제27도와 제28도에 표시한다.
제25도에 표시함과 같이, 제어블록(140A)은 처리 701-704를 실행하여서 플레이버라인 세정, 믹스라인 세정, 냉각 또는 캐리브레이션, 믹스피이드가 실행중이 아닌것을 조건으로 제1의 조작 스위치(128)가 눌려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705). 이 제1의 스테리스위치는 도터스위치로 되어있으므로, 최초에 눌려진때에는(706의 N)의 제어블록(140B)에 스테지 1허가 신호를 송신한다(707). 이어서 스테리 1램프를 점등하며, 스테리 2, 플러이버 라인 세정, 믹스라인 세정, 냉각 또는 캐리브레이션, 믹스피이드 등 다른 점멸하고 있는 LED가 있으면 그들을 전부 소등한다. (708)(709). 그리고 제어블록(140B)에 「2분 WAIT 정보」신호를 편입하여(710), 그 유무를 판단한다(711).
이때에는, 제어블록(140)에서 「2분 WAIT 정보」는 출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처리 711을 N에서 통과한다. 또, 추출 솔리노이드(70)도 OFF때문에, 처리 712를 N에서 통과하며, 또한 스테러그스위치는 OFF때문에 처리 713,714를 N에서 통과하여 END로 된다.
한편, 제어블록(140A)에서 「스테리 1허가 번호」를 수신하는 제어블록(140B)은, 제26도에서 표시함과 같이 「스테리 1허가 번호」유를 검지하여서 (715의 Y), 스테리 1처리중인것을 표시한 플러그를 세트한다.(716). 처리 717은 N에서 통과하며, 교반기 모우터(45)를 ON한다(718). 이때에 냉각 실린더(9) 내부온도는 낮으며 처리 719를 N에서 통과하여 뒤의 콤프레서(14), 4방변(21)을 ON하여(720,721), 냉각 실린더(9)를 히이트 펌프 작용에 의하여 가열한다. 그후에 냉각 실린더(9) 내부 온도를 측정하며(722), 승온이 끝났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바(723), 이 때에는 아직도 증온이 되지 않았으므로, 처리 723을 N에서 통과한후에, 처리 724, 725를 실행하여 END로 된다.
제어블록(140B)은 이처리를 반복 실행하며, 재차 START에서 이 루우틴에 들어가고, 냉각 실린더(9)의 가열 처리를 실행하며, 내부의 믹스액을 해동시킨다. 이 결과, 냉각 실린더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며, 5℃정도되면, 처리 723이 Y로되어서 승온이 끝난 플러그를 세트하여서(726), 처리 724,725를 통과하여 END로 한다.
다음에 재차 START에서 이루우틴에 들어간때에는, 처리 719가 Y에서 뒤에 콤프레서(14), 4방변(21)을 OFF하며(727,728), 냉각 실린더(9)의 가열이 종료된다. 이때에는 아직도 2분을 경과하지 않았으므로 (729의 N), 140A 「2분 WAIT중 N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2시간을 계측하기위하여,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731). 이때에 냉각 실린더(9) 내부 압력은 H로(732의Y), 믹스펌프(8)도 에어전자변(155)도 그대로 아무것도 하지않으며(733,734), END로 한다.
한편, 제어블록(140)에서는, 제25도에 표시한것 같이 이 「2분 WAIT 정보」를 받으면, 처리 711을 Y에서 통하며, 15초 사이는 그 상태를 유지하며, 15초 경과후에(735의 Y), 냉각 실린더(9) 내부의 믹스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솔리노이드(70)을 ON한다(736).
제어블록(140B)에서 처리 715-719의 Y, 727-734를 반복하여 2분이 경과된 것을 타이머 카운터로 감시하는 바, 그 동안 믹스액의 배출에 수반하여, 냉각 실린더(9) 내부의 압력이 저하하면(732의 N) 믹스펌프 8을 ON(737), 에어전자변(155)을 ON하여서(738), 냉각 실린더(9) 내부에 에어를 보내 넣어, 믹스액을 배출하기 쉽게 한다. 멀지 않아 2분이 경과되면(729의 Y), 스테리 1을 종료로 하여서 플러그를 세트하는 등의 종료 처리를 실행하여(739), 다시 뒤의 콤프레서(14), 4방변(21)의 OFF를 확인하며(740,741), A기판에 출력되고 있던 「2분 WAIT중 정보」의 출력이 정지된다.(742) 제어블록(140A)에서는, 이「2분 WAIT중 정보」가 없어지는 결과, 처리 711을 N, 처리 712를 Y에서 통과하여 스테리 1이 종료된 것을 알리기 위하여, 스테리 1의 램프를 점멸로 변경(743), 140B의 「스테리 1허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744). 또, 솔리노이드(70)을 OFF한다(745).
작업자는, 스테리 1의 램프의 점멸에 의하여 처리 종료된 것을 알며, 확인을 입력시키기 위하여, 재차 제1의 스테리 스위치(128)을 누르거나 또는 스테리 1월 실행중에 제1의 스테리 스위치(128)을 누르면, 제어 블록(140A)은 처리 706을 Y에서 통과하며, 스테리 1의 램프를 소등한다.(746)
이와 같이하여, 냉각 실린더(9) 내부의 믹스액을 용해하며, 배출되는 스테리 1의 처리를 종료한후에, 작업자는 냉각 실린더(9) 내부를 세정하기위하여 린스액을 믹스 탱크(5)에 준비한 후, 제2의 스테리스위치(129)를 누른다.
그렇게하면,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 705, 처리 747을 N에서 통과하며, 처리 713의 Y, 처리 748의 N을 경우하며, 140B에 「스테리 2허가 신호」를 송신한다(749). 이어서, 140B에서 「살균 이상 정보」를 입력시키는 바(750), 이때에는 살균의 이상으로는 안되어있으므로, 처리 751을 N에서 통과하며, 스테리 2의 개시를 알리는 스테리 2의 램프를 점등한다(753) 또, 제어블록(140B)에서 「2분 WAIT중 정보」를 입력시키는 바, 이때에는 「2분 WAIT 중 정보」의 입력은 없으며(755의 N) 또, 추출 솔리노이드(70)은 OFF(756의 N)임으로, 추출 솔리노이드의 ON, OFF의 회수를 카운트라는 카운터의 카운트 값도 또 0임으로 처리 757을 N에서 경유하여 END에 들어간다.
한편, 제어블록(140B)에서는 제어블록(140A)에서 「스테리 2허가 신호」를 수신하면, 처리 715의 N에서 758-1의 N, 758-2의 Y로 이행하며, 스테리 2의 처리 중에 플러그를 세트한다(759). 이어서, 스테리 2가 종료된 것이 아니면(760의 N), 냉각 실린더의 내부에는 아직도 아무것도 들어가 있지 않으므로, 압력은 저압이며(761의 N), 믹스펌프 8을 ON(762), 에어전자변(155)을 OFF(763), 교반기 모우터(45)를 ON한다. (764) 그후에 탕전자변(50)을 OFF(765), 탕히이터(48)을 OFF(766), 뒤의 콤프레서(14)를 OFF(767), 4방변(21)을 OFF(768)하여서 END에 이른다.
이 일련의 처리에 의하여, 냉각 실린더(9) 내부에 믹스 탱크(5)에서 린스액을 공급하며,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H」로 되면, 처리 761을 Y에서 빠져나가 처리 769의 N를 경유하여 세정 카운터에 +1카운터한다.(770)
또, 믹스펌프(8)을 OFF(771), 에어전자변(155)를 OFF(772)하여서 냉각 실린더(9)에의 린스액의 공급을 중지한다. 처리 773의 N에서 교반기 모우터(45)를 ON(744)하며 제어블록(140A)에 「2분 WAIT 중 정보」를 출력한다(755)
이것에의하여,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 755를 Y에서 통과하며, 15초 경과후에(776의 Y), 추출 솔리노이드(70)을 ON한다(777). 냉각 실린더(9)에 린스액을 공급하여서 2분이 경과되면, 제어블록(140B)에서 는 처리 773을 Y에서 통하며, 다음번의 세정의 준비에 필요한 처리를 행함(778)과 동시에, 제어블록(140A)에 출력하고 있던 「2분 WAIT중 정보」의 출력을 정지한다(779).
이 「2분 WAIT중 정보」의 출력정지에 의하여,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 755를 N에서 통하며, 이때에 추출 솔리노이드(70)은 ON으로 되어있으므로, 처리 756울 Y에서 통하며, 그 솔리노이드(70)을 OFF한다. (780) 이어서, 이 린스 회수 즉 솔리노이드(70)을 ON하는 회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의 치를 +1하며(781), 처리 757의 N에서 END에 이른다. 이것에 의하여 제1회째의 믹스라인의 세정의 종료된다.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 701-705의 N, 474의 N, 713의 N, 714의 Y, 749-757의 루우프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블록(140B)에서의 「2분 WAIT중 정보」의 입력을 기다린다. 한편, 제어블록(140B)에서는, 처리 715의 N, 758-1의 N, 758-2의 Y, 759-768의 루우프를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재차 냉각 실린더 내부에 믹스탱크(5)에서 린스액을 공급하며, 제2회째의 믹스라인의 세정을 실행 개시한다.
이와 같이 믹스라인의 세정 처리를 3회 반복하여, 4회째에 들어가서, 냉각 실린더(9)에 린스액을 공급하고 내부압력이 「H」로 될때에, 제어블록(140B)을 처리 761의 Y에서 처리 769의 Y를 통과하여서 교반기 모우터 45를 ON한다(782). 이때에 가열 살균처리는 막 시작된 것이며, 실린더 내부는 아직도 승온임으로 처리 783,784,785를 N에서 통과하며, 처리 786,787을 실행하며, 처리 788로 실린더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바, 아직도 승온되여 있지 않으므로 처리 789를 N에서 통하며, 처리 790으로, 냉각 실린더(9) 내부의 온도가 80℃에 되도록 뒤에 콤프레서(14), 4방변(21)을 히이트 펌프로서 작동시켜, 그들을 ON, OFF 제어한다. 이어서 처리 791,792를 실행하며, END로 된다.
이와 같이 제어블록(140B)은 처리 715가 758-1, 758-2, 759-761, 769, 782-792의 처리 루우틴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실린더 내부의 린스액을 80℃에 가열 승온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장치가 정상적인 상태에 있으면 먼저 실린더 내부의 승온이 완료되며(789의 Y), 실린더 내의 승온 플러그를 세트한다. (793) 이어서, 처리 784를 실행할때에, 실린더 내부의 승온이 끝난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Y에서 통과하여 처리 794에 이행하며, 시간 카운트를 개시한다. 또, 탕 전자변(50)을 ON하며, (795) 전기탕불기(48)을 ON·OFF제어하여서 축 시일부(46)에 공급하는 탕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 제어한다(796).
또, 제어블록(140B)은, 뒤의 콤프레서(14), 4방변(21)을 히이트 펌프로서 작동시켜, 그 ON·OFF제어에 의하여, 냉각 실린더 내부의 온도가 78℃로 되어 있는 시간을 누적한다(797).
장치가 정상시에는, 그 누적시간이 30분이 경과될 때에(789의 Y) 온도는 75℃이상으로 되어 (799의 N), 살균처리가 종료된다(800). 그러나, 뒤의 콤프레서(14), 4방변(21)의 ON·OFF제어를 개시하여 30분이 경과되어도 승온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처리 784의 N에서 처리 785의 Y를 경우하여, 살균 처리가 이상인것으로 하여서 스테리그의 종료처리 함과 동시에(801), 제어블록(140A)에 「살균처리 이상정보」를 출력한다.(802). 또, 가열제어에 의하여 냉각 실린더 내부가 80℃에 승온하여, 78℃ 이상의 누적시간이 30분이되지 않은 동안에 40분이 경과된 경우(794의 Y)도 살균 이상처리 801,802를 실행한다. 또한, 가열 제어에 의하여 냉각 실린더 내부 온도가 80℃에 승온되며, 40분이 경과되기전에 78℃ 이상의 누적 시간이 30분 경과 되었으나, 그 경과후의 온도가 75℃이하이였던 경우도 살균 이상 처리 801,802를 행한다.
이와 같은 살균 처리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제어블록(140A)측에서는, 처리 751을 Y에서 통하며, 스테리2의 램프를 소등하며(803), 제어블록(140B)에 출력하고 있던 스테리 2허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한편, 살균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는, 제어블록(140B)은 처리 783을 Y에서 통하며, 처리 805의 N를 경우하여 믹스펌프 ON(806), 에어전자변을 ON(807)하여서 냉각 실린더 내부에 공기를 넣는다.
또, 제어블록 140A에「2분 WAIT중 정보」를 출력시켜(808), 탕전자변(50)을 OFF(809), 전자탕불기(48)의 히이터를 OFF(810), 뒤의 콤프레서(14)를 OFF(811), 4방변(21)을 OFF(812)하여서 END에 이른다.
제어블록(140A)에서는, 이「2분 WAIT중 정보」받아서 처리 755를 Y에서 통과하며, 그것에서 15초가 경과된 후에(776의 Y), 솔리노이드(70)을 0시한다.(777)
그리고 2분을 경과하면, 제어블록(140B)에서는, 처리 805를 Y에서 통하며, 제어블록(140A)에서의「2분 WAIT 정보」의 송신을 정지하며(813), 스테리 2의 종료 플러그를 세트하는 등의 스테리 2의 종료처리를 행하며(814), 교반기 모우터(45)를 OFF하며(815), 믹스 펌프를 OFF하며(816), 에어전자변을 OFF한다(817).
제어블록(140A)에서는「2분 WAIT 정보」의 수신이 없어지며, 처리 755의 시에서 처리 756의 Y를 경유하여서 솔리노이드(70)을 OFF하며(780), +1 카운트를 행하며(781), 그 카운트 값이 4로 되는 것에 의하여, 처리 757을 Y에서 통과하여서, 스테리 2의 램프 소등(803), 제어블록 140B에의 「스테리 2허가 신호」송신 정지(804)를 행한다.
이 결과, 이것이하 제어블록(140A)에서는, 처리 701-705,747,713,714를 N에서 통과하는 루우틴을 순환한다. 한편, 제어블록 140B에서는 처리 715, 758-1, 758-2, 818을 N에서 통과하는 루우틴을 순환하여서 대기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냉각 실린더 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탕온이 살균 온도를 유지하도록 실린더내의 가열 수단을 운전제어하게이 되므로 실린더 내의 온도 저하에 의한 살균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냉각 실린더 내를 가열하기위하여 별도로 히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냉각 실린더 내의 급탕에 앞서서, 가열 수단에 의하여 내부의 냉과를 가열하여 용해하며, 폐점후의 작업시간 단축을 할 수 있는 것이며, 냉각 실린더내에 급탕된 탕을 가열하기 전에, 냉각 실린더내에 탕을 여러번 공급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살균에 앞서서 보다 낳은 세정을 효과에 의하여 위생적인 것이며, 냉각 실린더 내의 탕을 가열한 때의, 살균 온도 범위에 있는 시간을 누적하는 누적 타이머를 설치하므로써 냉각 실린더 내의 살균이 확실하게 됨과 동시에, 그 이상의 헛된 가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온도 검출 수단을 전기한 온도 제어 수단에서의 온도 검출용과, 가열 수단에서의 온도 검출용을 겸용하여 온도 검출 수단의 설치수를 적게하여 구조적인 간편성을 기할 수 있으며, 냉각 실린더내에 급탕된 탕을 살균온도로 유지하는 가열 살균처리시에, 냉각 실린더의 후부를 삽통하는 교반기의 회전축의 축 시일부에 열탕을 공급하는 열탕 공급수단을 설치하여 회전축의 축시일부의 살균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믹스액을 저장하는 믹스탱크와, 그 믹스액을 내부에 받아넣는 입구부와 내부에 받아넣은 믹스액을 교반하는 교반기와 내부에서 만들어진 냉과를 추출하는 추출구부를 구비하는 냉각 실린더와, 전기한 믹스탱크에서 전기한 냉각 실린더의 입구부에 전기한 믹스액을 공급하는 믹스액 공급수단과, 전기한 냉각 실린더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과,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의 냉과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도록 전기한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냉각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에 급탕을 행하여서 소정시간후에 배탕하는 수단과,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과, 이 온도 감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본으로 하여서 전기한 가열 수단을 운전제어하여서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에 급탕된 탕을 살균온도로 유지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과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가열수단은,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를 냉각하는 수단과 겸용의 콤프레서 및 콘덴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냉각 실린더 내부를 가열하도록 냉각 수단에 역사이클을 구성하여서 열매의 흐름을 역으로하는 4방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과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에의 급탕에 앞서서 전기한 가열수단에 의하여 내부의 냉과를 가열하여서 용해하며, 자동회수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과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에 급탕된 탕을 가열하기전에,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에 탕을 여러번 공급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과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의 탕을 가열할 때의 살균온도 범위에 있는 시간을 누적하는 누적타이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과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온도 검출수단을 전기한 온도 제어 수단에서의 온도 검출용에도 겸용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과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냉각 실린더 내부에 급탕된 탕을 살균 온도로 유지하는 가열 살균처리시에, 냉각 실린더의 후부를 삽통하는 교반기의 회전축의 축시일부에 열탕을 공급하는 열탕공급수단을 설치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냉과 제조장치.
KR1019880010159A 1987-08-08 1988-08-08 냉과 제조장치 KR910002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7310 1987-08-08
JP62197310A JP2562608B2 (ja) 1987-08-08 1987-08-08 冷菓製造装置
JP???149196 1987-09-29
JP14919687U JPH0545191Y2 (ko) 1987-09-29 198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91A KR890003291A (ko) 1989-04-14
KR910002380B1 true KR910002380B1 (ko) 1991-04-20

Family

ID=2647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159A KR910002380B1 (ko) 1987-08-08 1988-08-08 냉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090A (ja) * 1995-12-08 1997-06-17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91A (ko) 198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0550A (en) Apparatus for preparing ice creams
JP2632060B2 (ja) 冷菓製造装置の冷却運転制御装置
EP1179168B1 (en) Dispen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lean-in-place for the dispensing machine
EP0869321B1 (en) Ice mak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6490872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lean-in-place for a semi-frozen food dispensing machine
US6494055B1 (en) Beater/dasher for semi-frozen, frozen food dispensing machines
JPH0842950A (ja) 製氷方法、アイスキューブ製造機、及び、その運転方法
US5018363A (en) Apparatus for preparing ice creams
KR910002380B1 (ko) 냉과 제조장치
JP2562608B2 (ja) 冷菓製造装置
JP2567618B2 (ja) 冷菓製造装置の冷菓抽出方法
JP3086576B2 (ja) 冷菓ミックスの加熱殺菌装置
JP2645900B2 (ja) 冷菓製造装置
JP2562700B2 (ja) 冷菓製造装置
KR101578285B1 (ko) 제빙기의 제빙드럼 세척장치
JP2654223B2 (ja) 冷菓製造機
JP2623015B2 (ja) 冷菓製造装置
JP3717646B2 (ja) 冷菓製造装置
KR101633262B1 (ko) 제빙기의 제빙드럼 세척장치
JP3639360B2 (ja) 冷菓製造装置
JP3728077B2 (ja) 冷菓製造装置
JP2620641B2 (ja) 冷菓製造装置
JPH0822214B2 (ja) 冷菓製造装置
JP2000245351A (ja) 冷菓製造装置
CA1318513C (en) Apparatus for preparing ice cr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