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115B1 -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115B1
KR910002115B1 KR1019830002966A KR830002966A KR910002115B1 KR 910002115 B1 KR910002115 B1 KR 910002115B1 KR 1019830002966 A KR1019830002966 A KR 1019830002966A KR 830002966 A KR830002966 A KR 830002966A KR 910002115 B1 KR910002115 B1 KR 91000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drum
storage device
control pi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503A (ko
Inventor
유우지로 다께가와
간지 쓰찌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쓰다고마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03D47/363Construction or control of the yarn retai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분사식 적기용 위사 저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저류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위사 저류장치에 사용된 핀 드라이브 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위사 저류장치에 사용된 핀 드라이브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4도는 과도한 위사 송출을 제한하기 위한 보조 제어핀이 구비된 핀 드라이브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류장치 드럼 2 : 급사구
3 : 주 구동샤프트 4 : 하우징
6a : 풀리 6b : 풀리
6c : 전동벨트 7 : 중간 샤프트
8 : 밸루운 브레이커 11 : 제1원추부
12 : 원통부 13 : 제2원추부
14 : 원주상 홈 21 : 급사구축 안지름
31 : 샤프트 축 안지름 P : 제어핀
P' : 제어핀 100 : 핀 구동장치
101 : 긴 구멍 102 : 내부골조
103 : 캠 샤프트 104 : 캠 공
105 : 링 106 : 지지 샤프트
107 : 스윙레버 108 : 연결링크
121 : 캠 샤프트 122 : 구동캠
123 : 지지 샤프트 124 : 스위레버
126 : 캠공이 127 : 스프링
128 : 스프링 시이트 129 : 후우크 레버
129 : 가이드 129a : 후우크
132 : 칼라 133 : 압축 스프링
138 : 선택기 139 : 표현 팽창부
141 : 압봉 151 : 스윙레버
153,154 : 스토퍼 158 : 핀
156 : 스프링 시이트 157 : 스프링
본 발명은 유체 분사식 직기(流體噴射式織機)에 있어서의 위사 저류장치(緯
Figure kpo00001
貯留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추부와 원통부를 가진 저류장치 드럼 주위에 급사구(給
Figure kpo00002
口 : yarn guide)와 저류장치 드럼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통해서 위사를 권취하여 저류해 두었다가 핀 제어하에 위사삽입을 위해 드럼으로부터 위사를 송출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용 의사 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 나오는 설명에서 위사 공급원에 인접한 장치쪽을 일반적으로 "상향측"이라 하고 위사삽입을 위한 주분사노즐에 인접한 장치쪽을 일반적으로 "하향측"이라 한다.
위사 저류장치에서의 핀 제어하에 위사를 저류함에 있어서는 대개 두가지 주요형식으로 분류하는데 첫번째 방법은 위사삽입의 상이한 사이클에 대한 위사를 두가지 이상의 제어핀의 협동에 의해 별도로 저류하는 것으로 핀간의 이동의 결과로서, 저류장치 드럼위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위사삽입의 시점에서 위사삽입 사이클에 대한 위사는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의 송출을 위한 가장 하향측에 있는 제어핀의 유지에 의해 해제된다.
이런 형식의 경우에 있어서 상이한 사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위사는 정연하게 분리된 상태에서 저류 되었다가 각각 송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위사 저류에서는 핀간의 적절한 위사 이동과 송출시 위사 해제를 제어핀이 정확한 시간에 따라 이동이 보장되어야 하는 비교적 복잡한 메카니즘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두번째 방법은 위사의 가장 하향측에 있는 코일과 맞물려 있는 단일 제어핀을 이용하여 명백한 분리가 없이도 충분히 많은 수의 위사를 저류장치의 드럼위에 저류하는 것으로 위사삽입의 시점에서 제어핀을 위사와 물려 있지 않는 상태로 한 다음 위사를 저류장치의 드럼으로부터 송출한다.
한 사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위사가 저류장치의 드럼으로부터 송출되면 제어핀을 저류장치의 드럼위에 잔류하는 가장 하향측의 위사와 맞물리게 된다. 이런형식의 위사 저류는 두개 이상의 제어핀에 의한 개별적인 위사 저류의 필요성을 잘 피할수 있으며, 또한 저류장치의 드럼위에서 위사의 안정한 저류라는 관점에서 볼때 극히 유익하다. 저류장치의 드럼위에 권취되는 위사수가 많을수록 위사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도중 저류장치의 드럼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우발적으로 위사가 미끌어져 빠질 가능성은 작아진다. 분명히 위사의 이탈현상은 위사삽입 사이클에 있어서 위사가 과도하게 송출되는 현상과 결부되고 더더욱 다음 사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불충분하게 송출되는 현상과도 결부된다. 이러한 위사 이탈로 인해 특히 권취시 저류장치 드럼위에서 재차 위사가 불필요하게 미끌어져 이탈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음 사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정확한 수의 위사가 저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사 저류의 선행 조건으로서 불가결한 것은 위사삽입을 위한 송출도중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 풀려나가는 위사의 수를 검출하는 광전시스템(photoelectric system)을 사용하여 검출 결과를 적절히 처리하여 제어핀에 대응하는 기계적인 이동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것 역시 또다른 복잡한 메카니즘을 사용할 필요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가장바람직한 것은 위사 저류장치의 메카니즘을 간소화 할수 있는 제2형식의 위사 저류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런조건이 충족되고 위사 저류장치의 원통부에 있는 위사와 맞물리기 위해 제어핀이 작동위치에서 극히 때에 맞게 머물러 있게 될 경우라도, 종래의 위사 저류장치의 구조, 즉 위사 저류를 위한 원통부의 균일한 직경이 위사 송출시에 상술한 우발적인 위사 이탈을 완전히 방지해 줄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송출시에 위사의 우발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신빙성 있는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송출시에 우발적인 위사 이탈이 없게한 간단하면서도 안정된 위사송출 메카니즘을 위해 이러한 조건과는 별도로, 제어핀의 작동, 특히 대기위치에서의 제어핀의 일시정지 상태는 직기 동작과 긴밀한 관계가 있으며, 또한 주분사 노즐이 작동중에 있는한 제어핀이 송출조건하의 위사와 떨어져 있는 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 위사는 임의로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 송출된다는 사실에 주의 해야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1싸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위사가 직기의 정상적인 작동이 계속되는한 저류장치로부터 송출된 시점에서 제어핀은 다시 위사와 접촉을 하게되는 작동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삽입이 되는 바로 그순간에 실이 파단되는 것과 같은 몇가지 사고로 인해 적기가 작동을 정지하게 되는 순간부터 문제점이 발생한다. 저류장치드럼의 위사 코일은 작동중인 주분사 직기의 견인력에 의해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 송출되는데, 그 이유는 이미 대기위치로 제어핀의 이동되어 송출 조건하의 위사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위사 송출은 계속되나 제어핀의 작동은 이미 정지한 직기 동작과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제어핀은 작동위치로 되돌아 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로 하는 위사수 보다 많은 위사가 송출됨으로서 그 다음 사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송출은 불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위사가 삽입되는 바로 그 순간에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정지할 경우라도 과도한 위사 송출은 방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제어핀만을 사용하여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한 정확한 위사 송출과 충분한 수의 위사 저류를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된 위사 저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송출시에 우발적인 위사 이탈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는 위사 저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기 작동조건과는 관계없이 1싸이클의 위사삽입시 불필요한 과잉량의 위사 송출을 억제하는 위사 저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에 의하면, 위사 저류장치중에는 상향으로 테이퍼진 원추부와 원통부가 있는 저류장치 드럼이 있고, 원통부의 우측에 있는 저류장치 드럼의 외부 주변에 있는 작동위치쪽으로 끝이 향해있는 제어핀이 저류장치 드럼을 향해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핀은 1싸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에 필요한 시간동안 작동위치로부터 떨어져 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어핀의 작동 위치 하향측에 구성된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 송출시에 우발적인 위사 이탈을 방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위사 저류장치에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에 관한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방지수단에는 저류장치 드럼의 원통부 하향측에 형성되어있는 아래로 테이퍼진 제2의 원추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직기 작동 조건과 관계없이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한 과잉량의 위사 송출을 억제하는 수단을 위사 저류장치에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에 대한 대표적인 예를들면 억제 수단중에 제어핀에 등반되는 보조 제어핀을 포함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저류장치의 일실시예는 제1도와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식 급사구와 조합하여 정지형 저류장치 드럼을 사용하고 있다. 저류장치드럼(1)과 부속된 급사구(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통해 주어진 공급원으로부터 취한 위사를 저류장치 드럼(1)위로 공급하는 한, 다른 형식의 위사 저류장치에도 본 발명을 잘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서 정지형 급사구(2)와 저류장치 드럼을 회전식으로 병용할 수 있고, 다른 예로는 급사구(2)와 저류장치 드럼(1)을 상이한 회전속도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를 들자면 회전식 가이드를 추가로 사용하여 저류장치 드럼(1) 위에 위사를 저류할 수 있다. 위사 저류장치에는 정지형 저류장치 드럼(1), 상기 저류장치 드럼(1) 주위로 동심원상으로 회전하는 급사구(2), 저류장치 드럼(1)의 외부주변으로 끝이 향해있는 제어핀(P) 및 저류장치 드럼(1)에 대해 고정된 관계에 있는 핀 구동장치(100)가 있으며 상기 핀구동장치(100)에는 저류장치 드럼(1)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어핀(P)을 구비하여 대기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제어핀(P)이 구동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저류장치 드럼(1) 내부에 핀구동장치(100)를 구성하여 작동위치의 안쪽에서 방사상으로 대기 위치와 작동위치사이에서 제어핀(P)이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 상의 하우징(3)을 통해 연장되는 주 구동 샤프트(3)에 급사구(2)를 고정시켜 적당한 베어링(도면에 없음)에 의해 저류장치 드럼(1)을 지지시켜 자석식 시스템같은 적당한 래치(latch)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저류장치 드럼(1)의 자유 회전을 억제하며 베어링을 이용한 브래킷(bracket)(5)으로 주 구동 샤프트(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풀리(6b) 또 주 구동 샤프트(3)에 고정된 구동은 중간 샤프트(7)에 고정된 풀리(6a)와 전동벨트(6c)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중간 샤프트(7)는 직기의 구동 샤프트와 작동이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한 주 구동 샤프트(3)에 있는 샤프트 축 안지름(31)과 급사구(2) 축 안지름(21)을 상호 연통 하도록 구성하여 위사(W)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저류장치 드럼(1)에는 상향 테이퍼진 제1원추부(11) 및 원동부(12)를 각기 형성하고 상기 원통부(12)의 우측에는 하향 테이퍼진 제2원추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주어진 공급원에서 취한 위사(W)는 샤프트 축 안지름(31) 및 급사구 축 안지름(21)을 거쳐 급사구(2)의 유출구를 통해 빠져나가 저류장치 드럼(1)의 원통부(12)위에 저류되는데 송출시 위사가 제2원추부(13)에 의해 원통부(12)로부터 우발적으로 미끌어져 이탈되지 않게된다. 송출시에 우발적으로 위사가 미끌어져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제2원추부(13) 대신에 적당한 수단을 대체로해도 되는데 예로서, 원통부(12)의 우측 말단 외부주변을 향해 환상 브러시를 구성해도 되고, 다른 예를 들자면, 공기 흐름을 일으키도록 환상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원주상 커버에 의해 원추부의 하향단을 포위하여 원통부(12)의 외부 주연으로 위사가 공기압력에 의해 송출되도록 하며 제2원추부(13)의 하향측 원주상홈(14)형성하여 제어핀(P)의 작동 위치를 구성한다. 특히 핀 구동장치(100)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핀(P)이 작동 위치에 머물려 있을 경우 원주상홈(14)속으로 제어핀(P)의 끝이 침입하도록 한다. 회전이 억제된 저류장치 드럼(1)을 채용한 위사 저류장치의 경우에는 제어핀(P)의 작동위치에 대응하는 저류장치 드럼(1)의 외주연 속으로 적당한 위치에 국부리세스(spot reces)를 형성하여 원주상 홈대신에 사용할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위에 설명한 원주상 홈은 래치 메카니즘의 불충분한 작동으로 인해 저류장치 드럼을 조건부로 약간 회전시키기 때문에 원주상 홈이 보다 유익하다.
또한 위사 저류장치중에는 제2원추부(13)의 직경 보다 크고 그 외주표면을 동축으로 둘러싸면서 환상의 간격을 둔 밸루운 브레이커(balloon breaker)(8)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 밸루운 브레이커(8)는 송출 위사의 밸루운 축 방향으로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제어핀(P)이 저류장치 드럼(1)의 외주연에 있는 작동부위의 외측상에 있을때 대기위치에 있는 제어핀(P)과 위사(W)는 접촉되지 않게 된다. 밸루운 브레이커(8)의 내벽과 저류장치 드럼(1)의 외주연 사이의 간격을 제어핀(P)의 이동 경로를 극소화 할수 있을 정도로 가능한 한 좁게해야 하고, 밸루운 브레이커(8)의 직경을 저류장치 드럼(1)의 직경 변화에 따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이와같은 장치에 따라서 급사구(2)의 유출구에서 나온 위사는 저류장치 드럼(1)의 제1원추부(11) 주위에서 권취되며 위사는 제1원추부(11)의 테이퍼 구조로 인해 원통부(12)쪽으로 자동적으로 미끌어져 오게 되며, 작동 위치에 머물러 있는 제어핀(P)과 접한 위사의 가장 아래쪽 코일이 있는 원통부(12)위에 충분한 수의 위사가 저류된다.
그반대로 제어핀(P)이 위사와 접해있지 않고 떨어져 있을때는 위사가 송출되기 시작하며 숭출조건하의 위사와 제어핀(P)이 떨어져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은 계속된다.
분명히 저류장치 드럼(1)에서 송출되는 위사의 량은 제어핀(P)이 작동위치로부터 떨어져 대기위치에 머물려 있는 시간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의하면 제어핀(P)의 작동위치로부터 후퇴와 대기위치로부터의 전진은 모두 타이밍에 맞춰 이루어지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제어핀(P)은 1싸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송출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송출 조건하의 위사와 떨어져 있어야 한다.
예를 들자면, 위사 저류장치 드럼(1) 위사 4코일이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해당되며 위사삽입은 크랭크각(Crank angle) 90°에서 시작되어 크랭크 각 250°에서 끝난다면 위사중의 4번째 코일은 크랭크각 220°-230°사이의 시점에서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 풀리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어핀(P)의 작동은 크랭크각 220°-230°사이의 시점에서 원주상홈(14)에 있는 작동위치 쪽으로 전진하도록 타이밍이 조절되어야만 그 다음 사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해 위사가 저류되기 시작한다. 실제로 스트로보스 코우프(stroboscope)를 사용하여 위사의 4번째 코일이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 풀리게 되는 시점을 측정 하였는데 측정된 실의 해사 순간에 대응하는 크랭크 각에서 핀 구동장치(100)가 제어핀(P)을 전진하도록 설정되어있다. 요약하자면, 송출조건하의 위사와 떨어져 대기위치에 제어핀(P)이 유지되어 있는 시간길이를 적당히 설정하면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한 위사의 량이 저류된다는 것이다. 위사삽입이 크랭크각 TS°도에서 시작되어 크랭크각 TE°에서 끝난다고 하고, 또한 1싸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한 위사의 코일 수가 N이라고 가정하면 위사의 4번째 코일은 크랭크각 [TS+(TE-TS)(N-1)/N]°에서 풀리기 시작하여 크랭크각 TE°에서 종료된다. 결과적으로, 크랭크각 [TS+(TE-TS)(N-1)/N]°R°과 TE 사이의 시점에서 제어핀(P)은 작동 위치로 복귀해야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저류장치 드럼(1)에 부속된 핀구동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시간이 조정된 운동방식으로 제어핀(P)이 구동되며, 제2도는 핀구동장치(1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펄스 모우터(pulse motor)를 사용하여 제어핀(P)을 구동시킨다. 특히 핀구동장치(100)에는 저류장치 드럼(1)의 외부 주변을 향해있는 벽면속에 긴구멍(101a)을 가진 하우징(101)이 있어 제어핀(P)이 임의로 통과하게 된다. 캠 샤프트(103)를 핀 구동장치(100)의 내부골조(102)에 회전식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펄스 모우터(도면에 없음)의 출력샤프트에도 작동이 되게끔 연결한다. 제어핀(9)이 대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까지 그리고 작동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는 매 시점에서 펄스 모우터를 180°이상 회전하도록 설정한다.
즉, 편심 캠(eccentric cam)(104)을 캠공이(cam follower)의 링(105)이 있는 캠 샤프트(103)에 고정시키고 골조(102)에 고정된 지지 샤프트(106)에 스윙레버(swing lover)(107)를 설치한다. 이 스윙레버(107)의 한쪽끝에는 제어핀(P)이 고정되고 다른쪽 끝은 연결 링크(108)에 의해 캠공이의 링(105)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편심 캠(104)이 180°회전할때마다 스윙레버(107)는 지지 샤프트(106)주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스윙(swing)함으로써 작동위치와 대기위치로 제어핀(P)을 이동시킨다. 스윙레버(107)가 시계방향으로 스윙함에 따라 제어핀(P)은 대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전진하여 저류장치 드럼(1)위의 위사와 접촉하여 물리게 된다. 한편 스윙레버(107)가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함에 따라 제어핀(P)은 작동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후퇴하면서 저류장치 드럼(1)위의 위사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핀 구동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는 제어핀(P)을 시간에 따라 이동 하도록 하고자 기계적인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상술한 예와같이 저류장치 드럼(1)의 외부주변을 향해있는 긴구멍(101a)을 하우징(101)내에 만들어 제어핀(P)이 임의로 통과하게 한다. 캠 샤프트(121)를 골조(102)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구동 모우터(도면에 없음)에 연결하어 관련된 직기의 주 구동 샤프트가 1회전 할때마다 완전히 1회전 하도록 하고 구동 캠(122)을 상기 캠 샤프트(121)에 고정시킨다. 또한 지지 샤프트(123)를 골조(102)에 고정시키고 스윙레버(124)의 한쪽끝을 피봇(pivot)식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캠공이(126)를 스윙레버(124)의 몸체에다 회전식으로 설치하는데 이때 골조(102)에 구성된 스프링 시이트(128)와 상기 스윙레버(124)사이에 삽입된 인장 코일스프링(127)에 의해 구동캠(122)과 스윙레버(124)가 탄성압에 의해 접촉되게 한다. 또, 스윙레버(124)의 반대측을 후우크(129a)를 갖는 후우크 레버(hook lever)(129)의 상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 이 실시예의 제어핀(P)은 후우크 레버(129)의 후우크(129a)에 대응하는 수준에서 골조(102)에 고정된 칼라(col1ar)(132) 및 가이드(131)를 통해 미끌어져 연장되며 제어핀(P)을 둘러싼 칼라(132) 및 가이드(131)사이에 압축스프링(133)을 삽입하여 저류장치 드럼(1) 외부 주변에 있는 작동위치로 제어핀(P)이 탄성적으로 작동하게 한다. 아울러 골조(102)에 고정된 또 다른 스프링 시이트(136)와 후우크 레버(129)의 몸체 사이에 인장코일 스프링(134)을 연결하여 후우크(129a)를 제어핀(P)상의 칼라(132)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한편 한쌍의 풀리(137a)(137b)를 직기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수의 반원형돌기부(139)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엔드레스 벨트(endless belt)상의 선택기(138)를 풀리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한 선택기(138)의 반원형 돌기부(139)와 접촉하도록 한쪽끝은 후우크 레버(129)의 뒷부분과 구름 접촉(rolling contact)해 있고 그 반대측은 상기 선택기(138)를 향해있는 압봉(歷捧)(pusher rod)(141)을 골조(102)에 고정된 가이드(142)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게 지지함으로서 선택기(138)의 반원형 돌기부(139)가 압봉(139)을 구동하여 제어핀(P)이 작동위치로부터 떨어져나갈때 하나의 팽창부가 압봉(141)의 끝과 접촉하도록 한다.
제어핀(P)이 작동위치에 머물러야 할 경우에는 선택기(138)의 반원돌기부(139)는 압봉(141)의 끝과 떨어짐과 동시에 후우크 레버(129)는 스프링(134) 인장에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함으로써 캠구동시스템과 단절되어 있는 제어핀(P)의 칼라(132)와 후우크(129a)가 이탈됨에 따라 순간적으로 제어핀(P)이 압축 스프링(133)에 의해 작동위치로 움직여 구동캠(122)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저류장치 드럼(1)위의 위사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저류장치 드럼(1)으로부터 위사가 송출되며 이어서 선택기(138)의 반원돌출부(139)중 하나는 압봉(141)끝과 다시 접촉하게 되어 압봉(141)이 스프링(134)의 인장력에도 불구하고 후우크 레버(129)를 밀어주어 그의 말단에 있는 후우크(129a)는 제어핀(P)위의 칼라(132)와 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어핀(P)은 캠구동 시스템과 연결되어 작동을 하게 된다. 즉, 구동캠(122)이 회전함에 따라 곡율반경이 큰 부분과, 캠공이(126)가 접촉하게 되면 스윙레버(124)는 지지 샤프트(12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스윙하게 됨으로써 후우크레버(129)는 칼라(132)와 후우크(129a)의 접촉을 통해 제어핀(P)을 상승시키게 되어 제어핀(P)은 송출될 위사와 떨어져 대기위치에 머물게 된다. 다시 말하면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한 위사량이 송출되고 나면 구동캠(122)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제어핀(P)이 작동위치로 복귀하여 저류장치 드럼(1)위의 위사와 접하게 되고 제어핀(P)은 선택기(138)의 작동에 의해 캠구동 시스템과 다시 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1싸이클이 위사삽입량은 송출조건하에 위사와 떨어져 대기위치에서 제어핀(P)이 머물게 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저류장치 드럼(1)위의 위사가 위에 설명한 시간동안 계속해서 송출되며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는한 제어핀(P)의 작동은 위사의 제어된 송출을 위해 정확한 타이밍을 가지게 된다. 위사삽입이 되는 순간에 뜻하지 아니한 이유로 해서 직기가 작동을 하지 않으면 제어핀(P)은 대개위치로 와서 작동위치로 되돌아가야하는 시점후에라도 그대로 머물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한 위사량이 이미 송출된 후에도 위사 송출은 계속되며, 이러한 송출은 저류장치 드럼위의 위사 전부가 송출될때까지 계속되는데, 그 이유는 핀 구동장치(100)의 작동은 이미 정지된 직기작동과 연동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 제어핀(P)에 동반되는 제어핀(P')을 채용하고 있다.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중단하면, 보조 제어핀(P')은 저류장치 드럼(1)의 외부 주변과 접하게 되어 저류장치 드럼(1)으로부터의 송출에 대해 위사를 억제한다.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동안, 보조 제어핀(P')은 저류장치 드럼(1)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주 제어핀(P)에 의해 기본 제어쪽으로 위사를 통과시킨다. 이러한 보조 제어핀(P')의 작동을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의 수동식 제어에 대한 한가지 실시예는 제4도와 같다. 여기서는 스윙레버(151)의 한쪽끝을 지지 샤프트(152)에 피봇식으로 연결하고 다른 한쪽 끝에서는 보조 제어핀(P')을 주 제어핀(P)의 부근에 있도록 유지하고 있다. 스윙레버(151)의 상하에 스토퍼(153,154)를 상호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스윙레버(151)의 지지 샤프트(152)가까이에 고정된 스프링 시이트(156)를 구비하여, 스윙레버(151)의 몸체에 고정된 핀(158)과 상기 스프링 시이트(156)사이에 인장코일 스프링(157)을 연결한다. 또 고정된 스프링 시이트(156)의 위치를 선정할 때는 스윙레버(151)가 아래측 스토퍼(l54)와 접해있고, 보조 제어핀(P')이 저류장치 드럼(1)과 접해 있을 경우 인장코일 스프링(157)의 축선은 핀(158)의 중심과 지지 샤프트(152)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다소 아래에 오도록 하는 한편, 스윙레버(151)가 상측의 스토퍼(153)와 접해 있고, 보조 제어핀(P')은 저류장치 드럼(1)과 접촉하지않을 경우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157)의 축선은 위에 설명한 직선보다 상측에 오도록 한다.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정지하면 스윙레버(151)를 수동식으로 밀어서 노브(knob)(159)를 거쳐 저류장치드럼(1)쪽으로 가게한다. 이렇게 되면 스프링(157)에 의해 스윙레브(151)를 지지 샤프트(152) 주위에서 역시계방향으로 스윙하기 때문에 노브(159)을 계속해서 누르지 않더라도 저류장치 드럼(1)의 외부주변과 보조제어핀(P')이 접하게 된다.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시작하면 스윙레버(151)의 노브(159)를 잡고당겨 저류장치 드럼(1)에서 떨어지도륵 한다. 이렇게 되면 스프링(157)의 축선은 핀(158)과 지지 샤프트(152) 사이의 직선위로 와서 스프링(157)에 의해 레버(151)를 샤프트(152)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스윙하도록 스프링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보조제어핀(P')은 저류장치 드럼(1)의 외부주변과 떨어져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별도의 보조 제어핀(P')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술한 기능을 가진 보조 제어핀(P')이 있는 주제어핀(P)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서어보 모우터(servo-motor)를 사용하여 제어핀(P)의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이러한 서어보 모우터에 수동식 스위치가 있는 전기 회로를 구성하여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중지하면 모우터를 구동시켜 제어핀과 저류장치 드럼의 외부 주변이 접하도록 할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위사 저류장치의, 메카니즘을 간소화하여 저류장치 드럼과 상대적인 회전을 통해 위사를 권취하여 충분한 수의 위사를 저류한다음 위사삽입시 드럼으로부터 위사를 송출하되 타이밍에 의해 작동하는 제어핀을 사용하여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한 위사송출과 우발적인 위사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위사저류와 위사삽입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직물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상향과 하향으로 테이퍼진 원추부를 가진 저류장치 드럼(1)과 ; 저류장치 드럼과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공급원으로부터 위사를 권취하여 저류하도록 저류장치 드럼에 부속된 급사구(2)와, 저류장치 드럼에 저류한 위사가 해사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끝이 저류장치 드럼을 향해 설치한 제어핀(P)과 ; 1사이클의 위사삽입을 위해 위사 송출에 필요한 시간동안 후퇴하고 위사삽입 종료전에 타이밍에 의해 제어핀이 복귀하여 위사선단부를 잡아주는 핀구동장치(100)로 구성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캠구동장치(100)는 직기작동과 연동하는 캠구동시스템으로 구성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핀이 작동위치에 유지될때 구동시스템과 제어핀 사이를 선택적으로 제어시키는 단절수단을 구성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캠구동시스템에는 직기 작동과 연동되는 구동캠(122)과, 구동캠을 제어핀에 연결시켜 작동되는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단절수단에는 제어핀과 링크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단절시키는 선택기(138)를 포함하는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저류장치 드럼의 원통부 아래측에 설치되며, 저류장치 드럼으로부터 위사송출시 우발적으로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수단을 구비하여서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방지수단은 저류장치 드럼의 원통부 우측으로 테이퍼진 제2원추부를 구성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저류장치 드럼의 제2원통부를 향해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나의 환상브러시의 방지수단을 구성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방지수단은 저류장치 드럼 제2원통부 하향단을 포위하여 환상위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이 환상의 공간내에 강제적으로 공기이동을 시킴으로써 저류장치 드럼의 외부주연에 대해 송출되는 위사를 밀어부치도록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중지 했을때 1싸이클의 위사삽입에 필요한 위사량보다 과잉 송출되는 것을 하는 억제수단을 구비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억제수단은 제어핀과 근접한 저류장치 드럼에 부속된 보조 제어핀을 포함하고 직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중지했을때 저류장치 드럼에 보조 제어핀이 접촉하도록 구성한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KR1019830002966A 1982-07-02 1983-06-30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KR91000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15029A JPS599243A (ja) 1982-07-02 1982-07-02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
JP57-115029 1982-07-02
JP115029 1982-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503A KR840005503A (ko) 1984-11-14
KR910002115B1 true KR910002115B1 (ko) 1991-04-04

Family

ID=1465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966A KR910002115B1 (ko) 1982-07-02 1983-06-30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31557A (ko)
EP (1) EP0100305B1 (ko)
JP (1) JPS599243A (ko)
KR (1) KR910002115B1 (ko)
DE (1) DE337442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6381U (ja) * 1984-02-17 1985-09-10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よこ入れ休止装置
JPS62117853A (ja) * 1985-11-15 1987-05-2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よこ入れ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57978U (ko) * 1986-10-01 1988-04-18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2350B2 (de) * 1972-03-15 1974-10-10 Hermann M. 6000 Frankfurt Timm Eine Füllung enthaltender Hohlfaden aus transparentem Kunststoff
CH569655A5 (ko) * 1973-09-25 1975-11-28 Sulzer Ag
JPS5164060A (en) * 1974-11-29 1976-06-03 Enshu Seisaku Kk Danpenshotsukino yokoirekyushihoho
JPS53130999A (en) * 1977-04-05 1978-11-15 Toyota Motor Co Ltd Display
NL7806469A (nl) * 1978-06-15 1979-12-18 Rueti Te Strake Bv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voorraadwikkel uit een van een garenvoorraad aangevoerde draad.
EP0022112B1 (en) * 1979-06-22 1985-09-1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Weft reservoir for an alternate two-pick change type fluid jet shuttleless loom
NL7907093A (nl) * 1979-09-24 1981-03-26 Rueti Te Strake Bv Werkwijze voor het weven met een spoelloze weefmachine, alsmede daarbij te gebruike inslagvoorbereidingsinrich- ting.
US4226379A (en) * 1979-12-06 1980-10-07 Leesona Corporation Loom storage feeder improvement
CH643013A5 (en) * 1980-04-01 1984-05-15 Sulzer Ag Weft-thread storage device for weaving machines
CH647999A5 (de) * 1980-06-17 1985-02-28 Rueti Ag Maschf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fadenliefervorrichtung.
JPS6021412Y2 (ja) * 1980-09-09 1985-06-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杼織機のドラム式緯糸貯留装置
NL8005904A (nl) * 1980-10-28 1982-05-17 Rueti Te Strake Bv Spoelloze weefmachine.
JPS5782546A (en) * 1980-11-12 1982-05-24 Nissan Motor Storage apparatus of "futakoshi" weft yarn of shuttleless loom
JPS57101040A (en) * 1980-12-11 1982-06-23 Nissan Motor Weft yarn storing apparatus of shuttleless loom
JPS5870747A (ja) * 1981-10-24 1983-04-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ドラム式緯糸貯留装置を備える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張力緩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9243A (ja) 1984-01-18
DE3374425D1 (en) 1987-12-17
KR840005503A (ko) 1984-11-14
JPS6110576B2 (ko) 1986-03-29
EP0100305A1 (en) 1984-02-08
US4531557A (en) 1985-07-30
EP0100305B1 (en) 1987-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7312A (en) Thread storage and delivery device
US4681271A (en) Yarn end finding apparatus
CN101343003A (zh) 纱线卷绕装置和纤维机械
GB2035395A (en) Method and device for joining thread
US6564731B2 (en) Sewing machine having a threading device
KR910002115B1 (ko)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CN102275774A (zh) 卷取单元及具备该卷取单元的纱线卷取机
JPS60259654A (ja) 織機用緯糸給送装置
US3994446A (en) Thread supply device for textile machines
CN102275773B (zh) 卷取单元及具备该卷取单元的纱线卷取机
US5374000A (en) Cop changing mechanism for a winding unit
JPH04504961A (ja) 縫目形成方法
JPH0210150Y2 (ko)
KR20010024019A (ko) 실을 예비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공급장치
US3048349A (en) Ejector for supply package indexing mechanism
KR930010353B1 (ko) 실공급장치
EP0022112B1 (en) Weft reservoir for an alternate two-pick change type fluid jet shuttleless loom
US5184484A (en) Yarn feeding apparatus having yarn break protection
KR100803546B1 (ko) 저장 능동형 급사장치
US2744368A (en) Closure applying apparatus
US3310449A (en) Labeling machine with yieldable drive means for picker and emergency stop
KR840004545A (ko) 유체분사식 직기용 위사저장기
US5024392A (en) Kink preventing device for winder
US3445074A (en) Winding machine
KR940002384B1 (ko) 공기를 이용한 편물기의 원사공급 자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