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89Y1 -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89Y1
KR910002089Y1 KR2019870009043U KR870009043U KR910002089Y1 KR 910002089 Y1 KR910002089 Y1 KR 910002089Y1 KR 2019870009043 U KR2019870009043 U KR 2019870009043U KR 870009043 U KR870009043 U KR 870009043U KR 910002089 Y1 KR910002089 Y1 KR 910002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valve body
passage
val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858U (ko
Inventor
스스무 호리에
Original Assignee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filed Critical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09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089Y1/ko
Publication of KR8900008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8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인바, 제 l도는 배수 장치의 부착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종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Ⅱ-Ⅱ선 일부절결 확대 횡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 요부의 일부절결확대 정면도.
제 4도는 밸브 본체의 일부절결 정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세면대 A1: 배수구
A2: 부착위치 1 : 배수장치
2 : 배수전본체 2a : 배수통로
2b : 단부 2c : 연통공
3 : 밸브본체 4 : 배수접시
5 : 올림레버 5a : 선단부
6 : 조작기구 6a : 조작용와이어
6b : 손잡이 7 : 밸브부
8 : 자유연결부재 9 : 배수유동규제부재
10 : 회동축 101: 조작레버
11 : 착설구 12 : 끼움부착부재
13 : 팩킹 16 : 어댑터(abapter)
본 고안은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배수 장치의 배수 통로에 끼운 전술한 통로의 개폐용 밸브 본체의 개폐 조작 기구의 구성을 개량한 것으로, 이 종류의 장치의 제조 기술 산업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세면대등의 배수 장치는 예컨데, 세면대의 배수구에 끼워서 사용하는 통모양의 배수전본체와 이 본체의 배수 통로에 끼운 전술한 통로의 개폐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배수 장치에 있어서는, 그 세면대에 물이 고이게 하여 사용할때는 전술한 밸브로 배수전본체의 배수 통로를 막고, 또한 배수를 할때에는 전술한 밸브를 조작하여 전술한 통로를 연통개방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공지이다.
또, 전술한 배수 장치에 있어서는 그 개폐 밸브를 소요 높이의 위치까지 밀어 올림으로써 전술한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개폐 밸브의 조작 기구에는 예컨데, 개폐 밸브의 하단부와 전술한 밸브의 개폐조작 레버를 자유로히 연결 레버등을 개재시켜 각각 자유로히 연결시킴과 동시에 전술한 개폐 조작레버의 손잡이를 세면대의 상면 위치에 착설시킨 일종의 링크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배수 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배수 통로에서 그 개폐 밸브를 외부로 빼낼수가 없으므로 예컨데 배수와 동시에 유실된 콘택트렌즈와 같은 비교적 소형이 낙하물을 배수 통로 내로 부터 회수하는것은 전술한 장치를 분해하지 않는한 불가능인 동시에 전술한 개폐밸브의 조작 기구에 링크 기구를 채용하고있기 때문에 전술한 기구의 조작 레버의 손잡이의 착설위치가 특정화 되는 구성으로 되게 되어 예컨데, 이와같은 배수 장치를 갖춘 세면대 등을 실제로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 그 설치장소와의 관계로 인하여 전술한 조작레버의 손잡이의 위치가 부적당하여 사용성이 나쁘게 되는 등의 고 설치 태양에 여러 제약을 받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 45-2206호에 의하면, 배수 밸브 구동간의 조작 기구가 연결간 및 접동간, 아암(ARM)등으로 구성된 연결기구로 되어 있으므로 손잡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배수중의 낙하물의 회수용이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배수 장치의 배수 통로에 끼워 서치시킨 전술한 통로의 개폐용 밸브 본체에 대한 개폐 조작 기구의 구성을 개선하고 전술한 밸브 본체의 개폐조작성의 향상과 전술한 개폐 조작 기구의 부착 작업의 간이화 및 전술한 기구의 조작용 손잡이의 부착 위치를 임의로 선택, 변경할 수 있는 세면대 등의 배수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세면대(A)의 배수장치(1)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수통로(2a)를 형성한 배수전 본체(2)와 배수 본체(2)의 배수통로(2a)에 출입이 가능하게 끼운 전술한 배수 통로의 개폐용 밸브본체(3)와 전술한 밸브 본체(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설치한 배수중의 낙하물 포촉용의 배수 접시(4)와 밸브 본체(3)를 소요 높이 위치 까지 밀어 올려주는 전술한 밸브 본체의 올림레버(5)와 전술한 올림레버의 조작기구(6)와 올림레버(5)의 회동축(10)과 전술한 회동축의 회동조작레버(101)과 조작용와이어(6a)의 일단부를 조작레버(101)에 걸고 또한 그 타단부를 조작레버(101) 조작용손잡이(6b)에 걸은 릴리이스와이어(Release wire)기구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올림레버(5)의 조작구기(6)를 조작하여 밸브본체(3)를 밀어 올려줌으로써 전술한 밸브 본체와 배수전본체(2) 사이에서 배수통로(2a)를 연통 개방시킬수가 있고, 따라서 배수는 통로(2a)를 통하여 하수관에 유입 배출된다.
이때 통로(2a)속을 유통하는 배수중에 낙하물이 혼입하고 있는 경우, 낙하물은 그 포촉용 배수접시(4)내에 확실하게 포촉 수용되게 된다.
또 전술한 올림레버의 조작기구(6)은 릴리이스와이어 기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조작용 손잡이부(6b)의 부착 위치를 임의 개소에 선택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부를 인상 혹은 하강시키므로서 올림레버(5)를거처서 밸브 본체(3)을 원활하게 상하이동 시킬수가 있으므로 밸브 본체에 의한 배수통로(2a)의 개폐 조작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그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관한 배수장치(1)을 세면대(A)의 배수구(A1)에 끼워서 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배수장치(1)은 내부에 배수통로(2a)를 형성한 배수전본체(2)와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에 출입이 가능하게 끼운 밸브본체(3)과 밸브본체(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운 배수중의 콘택트렌즈 등의 낙하물 포촉용 배수접시(4)와 밸브본체(3)을 소요 높이의 위치에 까지 올려주는 밸브본체(3)의 올림레버(5)와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밸브 본체(3)의 상단부에는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를 개폐시키는 밸브부(7)가 고착되는 동시에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는 밸브본체(3)의 올림레버(5)가 접촉되는 자유연결부재(8)이 고착되어 있다.
또 밸브본체(3)의 중앙부에는 밸브본체(3)를 통로(2a)에 끼워 넣을 때의 안내 및 지지부재를 겸한 배스유동규제부재(9)가 고정되어 있고, 배수접시 (4)는 유동규제부재(9)와 밸브부와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6)에는 올림레버(5)를 원격 조작하는 릴리이스와이어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그런데, 이 조작기구(6)는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 고정한 자유연결부재(8)와 자유로이 직교상태로 연결되는 올림레버(5)를 회동축(10)을 축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즉, 전술한 올림레버의 회동축(10)에는 제 2도 및 제 3도 표시와 같이 회동 조작 레버(101)가 고정됨과 동시에 레버(101)에는 조작용와이어(6a)의 일단부가 걸려져 있음과 동시에 그 타단부는 조작용의 손잡이(6b)에 각각 걸려져 있다.
또 손잡이(6b)는 세면대(A)의 상면부의 부착위치(A2)에 고정한 적당한 착설구(11)에 승강이 자유롭게 착설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6b)를 잡아 올리면 올림레버(5)의 회동축(10)은 전술한 레버의 선단부(5a)축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반대로, 손잡이(6b)를 하강시키면 전술한 레버의 회동축(10)은 전술한 레버의 선단부(5a)축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또한 선단부(5a)측의 전술한 하방으로의 회동은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밸브본체(3)를 배수통로(2a)내에 끼워 넣었을때 밸브본체(3)의 자중 혹은 인위 적인 압하력에 의해서도 회동 조작되는 것이다.
또 전술한 올림레버의 회동축(10)과 그 끼움부착부재(12) 및 이 부재(12)와 배수전본체(2)와의 사이에는 팩킹(13)(13)이 끼워져 있고 따라서, 올림레버의 회동축(10)의 축지지부 및 레버(5)의 부착부는 팩킹(13)(13)에 의한 밀폐 효과가 유지되는 동시에 조작기구(6)의 상하 조작에 의한 회동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의 부호 102, 121는 부착 나사를 표시한다.
또, 이때 배수통로(2a)내에 끼워 넣어진 전술한 올림 레버의 선단부(5a)는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 고정시킨 자유연결부재(8)의 하방 위치에 돌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자유연결부재(8)의 하면부에는 제 4도 표시와 같이 전술한 올림레버의 선단부(5a)와 자유로이 연결하는 반원형의 요입부(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본체(3)를 배수전 본체의 배수통로(2a)내에 끼워 넣으면 밸브본체(3)가 그 자중에 의해서 올림레버의 선단부(5a)를 하방으로 회동 시키는 동시에 그 밸브부(7)가 통로(2a)의 개구주연부에 밀착한 상태로 통로(2a)에 끼워져 있게 된다.
또, 조작기구(6)에 의해서 올림레버의 선단부(5a)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선단부(5a)는 요입부(8a)에 확실히 맞닿기 때문에 밸브본체(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전술한 실시예 도면에서, 밸브본체(3)는 소요중량의 축금속부재(3a)와 축금속부재(3a)의 상단에 고정시킨 밸브금속부재(3b)와 축금속부재(3a)의 하단부와 그 중앙부 및 뱉브금속부재(3b)의 하면부에 각각 고정한 합성 수지 재료로된 자유연결부재(8)와 배수 유동규제부재(9) 및 링(14)의 감합부재(15)들로 구성되어 있고, 또 배수 접시(4)는 금속판재에 소요크기의 배수공(4a)을 다수 형성하고, 또한 배수접시(4)를 배수유동규제부재(9)의 상부위치가 되는 축금속부재(3a)에 끼워서 구성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배수접시(4)에는 낙하물을 포촉하여 이것을 수용시킨다는 목적으로 소요 깊이의 수용부(4b)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밸브 본체(3)와 배수접시(4)를 전술한 구성 태양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배수접시(4)를 축금속부재(3a)의 소정위치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축금속부재(3b) 및 밸브금속부재(3a)에 각부재(8)(9)(15)들을 삽입 성형에 의해서 각각 동시에 성형 고정시키면 좋다.
또, 측금속부재(3a)에 끼워 넣은 배수접시(4)와 배수본체(2)측은 다음과 같이 끼워진다.
즉, 밸브본체(3)를 배수전 본체의 배수통로(2a)내에 끼워 넣으면 밸브본체(3)는 그 자중과 배수 유동규제부재(9)에 의한 전술한 안내 및 지지 기능에 의해서 제 1도 표시와 같이 그 밸브부(7) (링(14))가 통로(2a)의 개구주연부에 밀착하여 통로(2)를 폐쇄한다.
이때에 밸브부(7)(링의 감합부재(15))의 하부 부근이 되는 통로(2a)의 내주면에는 배수접시(4)의 프렌지부(4c)를 지지 하도록 하기 위한 단부(2b)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배수접시 (4)는 밸브본체(3)의 통로(2a)의 내에의 끼움에 있어서 그 프렌지부(4c)가 통로 내의 단부(2b)에 걸려 멈추어 지고, 또한 지지 되어 받쳐진 상태에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수접시(4)는 전술한 바와같이 통로(2a)내로부터 외부로 빼낼수가 있지만 이때 배수접시(4)는 밸브본체(3)(축금속부재(3a))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빼내는데 있어서 그 자중에 의하여 배수유동규제부재(9)의 상면부위치 까지 강하하게 되며, 따라서, 밸브부(7)와 배수접시(4)와의 간격이 통로(2a)내에 끼울때에 비교해서 제 4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소용의 넓은 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술한 실시예 도면에 있어서는 배수전본체(2)에 그 배수통로(2a)와의 연통공(2c)을 형성함과 동시에 연통공(2c)에 어댑터(16) 및 연결 호오스(17)로된 오우버플로우용 배수통로(18)를 연통시킨 구성을 표시하고있는바, 예를들면 오우버 플로우용 배수통로(18)내의 배수중에 혼입한 낙하물도 포촉, 회수한다는 목적으로 배수접시(4)를 지지하여 받쳐 주는 단부(2b)를 연통공(2c)의 하방 주연부에 배치해서 구성 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올림레버의 조작 기구의 손잡이(6b)를 조작해서 밸브본체(3)를 밀어 올리면 배수접시(4)를 통로(2a)내의 단부(2b)에서 지지되게한 상태로 밸브본체(3)와 배수전본체(2)와의 사이에 배수통로(2a)를 연통 개방시킬수가 있기 때문에 배수는 통로(2a)를 통해서 하수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유입배출 된다.
이때, 배수 접시(4)는 통로(2a)내의 단부(2b)에 지지되어 받쳐져 있는 상태가 유지 되어 있고, 따라서, 통로(2a)내를 유통하는 배수중에 콘택트렌즈와 같은 낙하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 낙하물은 그 포촉용 배수접시의 수용부(4b)내에 확실하게 포촉 수용되게 된다.
포촉 수용된 배수접시(4)내의 낙하물을 회수할 경우에는 밀려 올려진 상태에 있는 밸브본체(3)의 상단밸브부(7)를 쥐고 밸브본체(3)자체를 그대로 상방으로 빼내므로서 배수접시(4)내의 낙하물을 용이하게 회수할수 있는 것이다.
또, 배수접시(4)는 밸브본체(3)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밸브본체(3)를 빼내는데 있어서 배수접시(4)는 배수접시(4)와 그 하방의 배수유동규제부재(9)의 상면부에 얹혀진 후에 밸브본체(3)와 더불어 상방으로 빼내어 지게 된다.
즉, 배수접시(4)는 밸브본체(3)의 상방으로 빼낼 때에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어 밸브본체(3)의 상단 밸브부(7)와 배수접시(4)에 소요 넓이의 간격을 구성할수가 있기 때문에 배수접시(4)내에 낙하물이 수용되어 있는지의 확인과 그것을 손으로 회수하는 것이 간편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 마련한 올림레버(5)와의 자유연결부재(8)에 의해서 밸브본체(3)와 올림레버(5)와의 연결이 자유자재로 되기 때문에 밸브본체(3)에 의한 배수본체(2)의 배수통로(2a)의 개폐 작용이 효율이 좋고 또한 확실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올림레버(5)의 선단부(5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조작기구(6)의 손잡이(6b)를 잡아 올리거나 혹은 하강시키므로서 전술한 레버의 회동축(10)을 축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손잡이(6b)와 올림레버 회동축(10)의 회동 조작레버(101)와는 릴리이스와이어(6a)를 개재시켜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6b)의 부착위치(A2)는 세면대(A)의 상면부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데 그 전면부 혹은 측면부 등의 임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에 착설구(11)를 고정하며 또한 전술한 고착구에 손잡이(6b)를 승강이 자유롭게 착설하므로서 조작기구(6)의 손잡이(6b)의 부착위치(A2)를 각종 설치 태양에 대응해서 적절한 위치를 선택 또는 변경할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배수전본체의 배수 통로에 끼워서 마련한 밸브 본체의 개폐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밸브 본체의 개폐 조작 기구의 부착 작업의 간편화를 기할수 있고, 또한, 조작 기구의 조작용 손잡이의 부착 위치를 각종의 태양으로 대응시켜서 임의로 선택 및 변경할 수가 있다.
또, 본 고안 장치를 갖춘 세면대에 있어서는 각종의 설치 태양에 대응해서 조작용 손잡이의 부착 위치를 임의로 또한 적절한 위치에 선택 및 변경할수가 있기 때문에 밸브본체의 개폐 자족기구에 일종의 링크 기구를 채용한 종래의 배수장치와 비교하여 전술한 바와같은 각종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실용성 및 사용성이 우수한 배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배수통로(2a)를 형성한 배수전본체(2)와 배수 전본체(2)의 전술한 배수통로(2a)에 연결과 분리를 자유로히 행할 수 있게 끼운 전술한 배수통로(2a)의 개폐용 밸브본체(3)와 이 밸브본체(3)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운 배수중의 낙하물 포촉용 배수접시(4)와 전술한 밸브본체(3)를 소요 높이의 위치까지 밀어 올리는 전술한 밸브본체(3)의 소요 높이의 위치 까지 밀어 올리는 전술한 밸브본체(3)의 올림레버(5)와 이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6)들로 구성된 세면대 등의 배수 장치에 있어서 ; 올림레버(5)의 회동축(10)에 형성된 회동조작레버(101)에 조작용와이어(6a)의 일단부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그 타단부를 조작손잡이(6b)에 연결시킨 릴리이스 와이어 기구로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등의 배수장치.
KR2019870009043U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KR910002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043U KR910002089Y1 (ko)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043U KR910002089Y1 (ko)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858U KR890000858U (ko) 1989-03-15
KR910002089Y1 true KR910002089Y1 (ko) 1991-04-04

Family

ID=1926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043U KR910002089Y1 (ko)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0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858U (ko) 198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098B1 (ko) 수직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수도꼭지
KR900005216B1 (ko) 스프링 밀봉식 배수구 장착구
MX2007010264A (es) Control para un drenaje de agua residual de bañera.
US6185755B1 (en) Apparatus for flushing drain pipes
US6675407B1 (en) Solenoid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KR910002089Y1 (ko)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CA2556634A1 (en) A motor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KR200191907Y1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JPH0516302Y2 (ko)
JP200432406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KR910002088Y1 (ko)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JP3218221B2 (ja) 排水栓の保持具及びその保持具を具備する排水栓装置
KR200193972Y1 (ko) 세면기용 자동폽업장치
JP3015006B2 (ja) 排水栓装置
JP2597956Y2 (ja) 排水栓装置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0825210B1 (ko) 세면대의 인입형 배수밸브장치
US5235707A (en) Water tank for a flushing system with two-step flow control
JPH09324451A (ja) 排水栓装置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200193595Y1 (ko) 세면대 등의 배수밸브
JP4305937B2 (ja) ロータンク排水弁
KR20060111345A (ko) 발 누름장치를 이용한 절수형 수전금구
KR960000164Y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321177Y1 (ko) 세면기 배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