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88Y1 -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88Y1
KR910002088Y1 KR2019870009042U KR870009042U KR910002088Y1 KR 910002088 Y1 KR910002088 Y1 KR 910002088Y1 KR 2019870009042 U KR2019870009042 U KR 2019870009042U KR 870009042 U KR870009042 U KR 870009042U KR 910002088 Y1 KR910002088 Y1 KR 910002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valve body
passage
drai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857U (ko
Inventor
스스무 호리에
Original Assignee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filed Critical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09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088Y1/ko
Publication of KR890000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4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flexible elements, e.g. chain, Bowde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 1도는 배수 장치의 부착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종단면도.
제 2도는 본 장치의 밸브 본체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 확대정면도.
제 3도는 밸브 본체의 하단부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세면대 1 : 배수장치
2 : 배수전본체 2a : 배수통로
3 : 밸브본체 4 : 배수접시
5 : 올림레버 6 : 조작기구
7 : 밸브부 8 : 자유연결부재
9 : 배수유동규제부재
본 고안은 세면대 등의 배수 장치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 장치의 밸브 본체의 구성에 개량을 가한 것이고, 이 종류의 장치류의 제조 기술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세면대 등의 배수 장치는 예컨데, 세면대의 배수구에 끼워서 삽입하여 사용하는 통모양의 배수전본체와 이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끼워 맞춘 고무마개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55-8737호 공보등)
이와같은 종래의 배수 장치는 그 세면대에 물이 고이게 하여 사용할때는 전술한 고무마개로 배수전본체의 배수통로를 폐쇄하고, 또 그 배수를 할때는 전술한 고무마개를 떼내어 배수 통로를 연통 개방 시키는 것은 공지 이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세면대에 고인 물을 배수 하였을때, 혹은 배수 상태로 해서 세수 하였을 때에 있어서 부주의로 예컨데 콘택트렌즈와 기타의 귀중품과 같은 비교적 소형의 낙하물을 배수와 더불어 유실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실개소 61-50166호의 공보에 의하면 내부에 배수통로를 형성한 배수전본체와 배수전본체의 배수통로에 연결과 분해를 자유롭게 행할 수 있게 끼운 배수 통로의 개폐용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은 배수중의 낙하물 포촉용 배수정수와 밸브본체를 소요 높이의 위치 까지 밸브 본체의 올려 주는 레버와 올려주는 레버의 조작기구로 구성된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배수접시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배수시에는 낙하물의 불규칙성으로 인하여 유실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밸브 본체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레바가 밸브 본체의 하단부에 평면상의 끼움부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가 평판상으로 되어 있어 밸브의 개폐 조작을 항상 원활하게 행하기가 어려워서 밸브 본체의 밀어 올림을 항상 확실하게 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사용되는 배수접시(4)(Strainer)는 일정한 깊이의 수용부를 갖도록 하므로서 낙하물의 유실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밸브 본체(1)의 하단에 개폐조작을 원활하고 항상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자유 연결 부재(8)를 설치하여 올림레버(5)를 개재하여 밸브본체(1)를 통하여 확실하게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한 세면대 등의 배수 장치의 개량된 구조에 관한것 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배수접시(4)는 일정한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수용부에 낙하물이 낙하되어도 수용부의 외주벽면으로 인하여 낙하물이 종래처럼 배수 접시 밖으로 유실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밸브본체(1)의 하단부에 연결된 올림레버(5)의 말단부가 자유 연결부재(8)과 연결 또는 분리 되도록 되어 있고 이 자유연결부재(8)은 그 내저면에 반원형의 요입부(8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요입부(8a) 존재로 인하여 이것과 연결또는 분리되는 올림레버(5)의 상하 작동을 항상 일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해줄 수가 있어 그 결과 올림레버 (5)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밸브본체(3)은 항상 그 작동을 정확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관한 배수장치(1)를 세면대(A)의 배수구(A1)에 끼운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배수장치(1)는 내부에 배수통로(2a)를 형성한 배수전본체(2)와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에 연결과 분리를 자유롭게 행할 수 있게 끼워 맞춘 밸브본체(3)와 이 밸브 본체(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넣은 배수중의 콘택트렌즈등의 낙하물 포촉용 배수접시(4)와 밸브본체(3)를 소요 높이의 위치에까지 밀어올리는 밸브본체(3)의 올림레버(5)와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6)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밸브본체(3)의 싱단부에는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를 개폐시키는 밸브부(7)가 고착되는 동시에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는 밸브본체(3)의 올림레버(5)와의 자유연결부재(8)가 고착되어 있다.
또 밸브본체(3)의 중앙부에는 밸브본체(3)를 통로(2a)에 끼워 넣을때의 안내 및 지지부재를 겸한 배수유동규제부재(9)가 고착되어 있고 일정한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수접시(4)는 유동규제부재(9)와 밸브부(7)과의 사이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6)에는 밸브 본체의 하단부에 고착한 자유연결부재(8)와 자유로히 그리고 직교상으로 연결하는 밸브 본체의 올림레버(5)를 레버(5)의 구상(球狀)지점(5a)을 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시키는 조작레버(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레버(6a)의 하단부에는 레버(6a)와 올림레버(5)와의 자유 연결구(6b)가 끼워 맞추는 동시에 연결부(6b)는 상하의 핀(6c)(6c)과 조작레버(6a)의 하단부에 마련한 소요수의 핀공(6d…6d)에 의하여 레버(6a)의 소요 위치에 끼워 맞춰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레버(6a)의 상단부는 세면대(A)의 상면부(A2)에 적당히 착설구(10)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올림레버(5)의 구상(球狀)지점(5a)과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측 사이에는 팩킹(11)이 개재 설치되는 동시에 팩킹(11)과는 반대측의 위치가 되는 구상지점(5a)의 구면부(球面部)에는 스프링용팩킹(12)이 개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구상지점(5a)에는 스프링용 팩킹(12)을 거쳐서 스프링(13)에 의한 배수통로(2a)측에의 압력이 가하여져 있다.
따라서, 올림레버(5)의 구상지점(5a)부는 팩킹(11)에 의한 밀폐 효과가 유지되는 동시에 조작레버(6a)의 상하 조작에 의한 회동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되어있고, 또한 이때에 배수통로(2a)내에 끼워 넣어진 올림레버(5)의 축단부(5b)는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 고착한 자유연결부재(8)의 하방위치로 돌출 되도록마련되어 있다.
또한 자유연결부재(8)의 하면부에는 올림레버(5)의 축단부(5b)와 자재되게 연결하는 반원형의 요입부(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본체(3)를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내에 끼워 넣으면 밸브본체(3)는 자중에 의해서 그 밸브부(7)가 통로(2a)의 열린곳에 밀착한 상태로 통로(2a)에 끼워 지지만 조작레버(6a)에 의해서 올림레버(5)의 축단부(5b)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축단부(5b)는 요입부((8a)에 확실하게 맞닿기 때문에 밸브본체(3)를 제 1도의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전술한 실시예 도면에 있어서 밸브 본체(3)는 소요중량의 축금속부재(3a)와 축금속부재(3a)의 상단에 고착한 밸브 금속부재(3b)와 축금속부재(3a)의 하단부와 그 중앙부 및 밸브금속부재(3b)의 하면부에 각각 고착한 합성수지재료로된 자유연결부재(8)와 배수유동규제부재(9) 및 링(14)의 끼움부재(l5)들로 구성되어있으며, 또 배수접시(4)는 금속판재에 소요 크기의 배수공(4a)을 다수 형성하고 또한 배수접시(4)를 배수유동규제부재(9)의 상부 위치가 되는 축금속부재(3a)에 끼워 맞춰서 구성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배수접시(4)에는 낙하물을 포촉하여 이것을 수용시킨다는 목적으로 소요 깊이의 수용부(4b)가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밸브본체(3)와 배수접시(4)를 전술한 구성 태양으로 형성하는데는 배수접시(4)를 축금속부재(3a)의 소정위치에 끼워 맞춘 상태로 축금속부재(3a) 및 밸브금속부재(3b)에 각 부재(8)(8)(15)를 삽입 성형식으로 각각 동시에 성형 고착 시키면 된다.
또 축금속부재(3a)에 끼워 맞춘 배수접시(4)와 배수전본체(2)축은 다음과 같이 끼운다.
즉, 밸브본체(3)를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내에 끼워 넣으면 밸브본체(2)는 그 자중 침 배수 유동규제부재(9)에 의한 전술한 안내 및 지지 기능에 의해서 제1도 표시와 같이 그 밸브부(7) (링(14)가 통로(2a)의 개구주연부에 밀착해서 동로(2a)를 폐쇄한다.
이때 밸브부(7) (링의 끼움부재(15)의 하부 부근이 되는 통로(2a)의 내주면에는 배수접시(4)의 프렌지부(4c)를 지지시키는 단부(2b)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배수접시(4)는 밸브본체(3)의 통로(2a)내에 끼움때에 그 프렌지부(4c)가 통로(2a)내의 단부(2b)에 걸려 멈추어 지게 되며, 또한 지지된 상태로 끼워 지게 되는것이다.
또한 배수접시(4)는 전술한 바와같이 통로(2a)내로 부터 외부에 빼낼수가 있으나 이때 배수접시(4)는 밸브본체(3)(축금속부재(3a)에 승강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배수 접시를 빼내는데 있어서 그 자중으로 인하여 배수 유동 규제부재(9)의 상면부위치까지 강하하게 되고 따라서 밸브부(7)와 배수접시(4)와의 간격을 통로(2a)내에 끼웠을대에 비해서 소요 넓이의 폭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전술한 실시예 도면에 있어서는 배수전본체(2)에 배수통로(2a)와의 연통공(2c)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통공(2c)에 어댑터(16) 및 연결호오스(17)들로된 오우버플로우용 배수통로(18)를 연통시킨 구성을 표시하고 있으나 예컨데 오우버플로우용배수통로(18)내의 배수중에 혼입된 낙하물도 포촉, 회수한다는 목적으로 배수접시(4)의 지지용단부(2b)를 연통공(2c)의 하방 주연부에 배치하여 구성 하여도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의 조작레버(6a)를 조작해서 밸브 본체(3)을 밀어올리면 배수접시(4)를 통로(2a)내의 단부(2b)에 지지시킨. 상태로 밸브본체(3)와 배수전본체(2)와의 사이에 배수통로(2a)를 연통 개방시킬수가 있으므로 배수는 통로(2a)를 통해서 하수관(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음)등으로 유입 배출된다.
이때 배수접시(4)는 통로(2a)내의 단부(2b)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 되어 있고, 따라서 통로(2a)내를 유통하는 배수중에 콘택트렌즈 등의 낙하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 낙하물은 그 포촉용 배수접시(4)의 수요우(4b) 내에 확실하게 포촉 수용되게 된다.
포촉 수용된 배수접시(4)내의 낙하물을 회수할 경우에는 밀려 올려진 상태에 있는 밸브 본체(3)의 상단밸브부(7)을 잡고 밸브본체(3)자체를 그대로 상방으로 빼내므로써 배수접시 (4)내의 낙하물을 용이하게 회수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수접시(4)는 밸브 본체(3)에 승강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어서 밸브본체(3)를 빼낼때에는 배수접시(4)는 배수접시(4)와 그 하방의 배수 유동규제부재(9)의 상면부가 접합한 후에 밸브본체(3)와 더불어 상방으로 빼내게 된다.
즉 배수접시(4)는 밸브본체(3)를 상방으로 빼내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밸브본체(3)의 상단밸브부(7)와 배수접시(4)에 소요 넓이의 간격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배수접시(4)내에 낙하물이 수용되어 있는지의 확인과 그것을 손으로 회수 하는 작업을 간편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 마련한 올림레버(5)와의 자유연결부재(8)에 의해서 밸브본체(3)과 올림레버(5)와의 연결이 자유롭기 때문에 밸브본체(3)에 의한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의 개폐 작용이 효율이 좋고 또한 확실하게 이루어 진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세면대 등에 고인물을 배수하였을때 혹은 배수한 상태 그대로 세수 하였을때에 있어서 부주의에 의해서 콘택트 렌즈 등을 배수 중에 낙하 시킨 경우에도 그 낙하물을 밸브 본체에 끼워 맞춘 배수 접시로 확실하게 포촉 수용할 수가 있는 동시에 그 밸브 본체를 상방으로 빼내므로써 배수 접시 내의 수용된 낙하물을 간편하게 회수 할수가 있다는 뛰어난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배수전본체의 배수 통로 내에 끼운 배수 접시는 밸브본체에 의한 통로의 개폐시의 밸브 본체의 상하 동작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소정위치에 안정된상태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밸브 본체나 배수 통로와 배수 접시와의 양자간의 불안정성을 방치하는 동시에 배수 접시의 제거를 순활하고도 안정한 상태로 할수 있으므로 밸브본체제거시의 배수 접시 내의 포촉수용된 낙하물을 다시 낙하 시키는 등의 폐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실용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내부에 배수통로(2a)를 형성한 배수전본체(2)와 배수전본체(2)의 배수통로(2a)에 연결과 분해를 자유로이 행할 수 있게 끼운 배수통로(2a)의 개폐용 밸브본체(3)와 밸브본체(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시킨 배수중의 낙하물 포촉용 배수접시(4)와 밸브본체(3)를 소요높이의 위치까지 올려주는 밸브본체(3)의 올림레버(5)와 올림레버(5)의 조작기구(6)으로 구성된 세면대등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 배수접시(Strainer)(4)는 일정한 깊이의 수용부를 갖추도록 함과 동시에 밸브본체(3)의 하단부에는 올림레버(5)와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역활을 하는 내저면요입부(8a)가 형성된 자유연결부재(8)을 설치함을 특징으로하는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KR2019870009042U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KR910002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042U KR910002088Y1 (ko)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042U KR910002088Y1 (ko)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857U KR890000857U (ko) 1989-03-15
KR910002088Y1 true KR910002088Y1 (ko) 1991-04-04

Family

ID=1926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042U KR910002088Y1 (ko) 1987-06-05 1987-06-05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620B1 (ko) * 2004-01-02 2011-11-01 이필홍 고무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620B1 (ko) * 2004-01-02 2011-11-01 이필홍 고무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857U (ko) 198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669A (en) Strainer equipped drain plug assembly
KR101042550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900005216B1 (ko) 스프링 밀봉식 배수구 장착구
US4380834A (en) Pop-up plunger
US4555820A (en) Drain pipe system
KR910002088Y1 (ko)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FI108875B (fi) Sisäänrakennetulla vesilukolla varustettu pesualtaan venttiili
US6122775A (en) Drain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cleansing
JP2620918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100632446B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100390934B1 (ko) 다기능 절수기기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910002089Y1 (ko) 세면대 등의 배수장치
JP3218221B2 (ja) 排水栓の保持具及びその保持具を具備する排水栓装置
JPH0234292Y2 (ko)
JP4337194B2 (ja) 浴槽の排水栓並びに浴槽
KR102375529B1 (ko)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KR100991280B1 (ko) 배수장치
JP2001311197A (ja) 排水栓装置
KR200193972Y1 (ko) 세면기용 자동폽업장치
KR200187771Y1 (ko) 양변기 저수통의 절수용 덮개
KR200193595Y1 (ko) 세면대 등의 배수밸브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