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74B1 - 외부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외부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74B1
KR910002074B1 KR1019880700456A KR880700456A KR910002074B1 KR 910002074 B1 KR910002074 B1 KR 910002074B1 KR 1019880700456 A KR1019880700456 A KR 1019880700456A KR 880700456 A KR880700456 A KR 880700456A KR 910002074 B1 KR910002074 B1 KR 91000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external
hose
plastic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533A (ko
Inventor
볼프강 헤르쯔베르크
Original Assignee
레나테 둔쉬-헤르쯔베르크
구트룬 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나테 둔쉬-헤르쯔베르크, 구트룬 보스 filed Critical 레나테 둔쉬-헤르쯔베르크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87/000486 external-priority patent/WO1988001488A1/de
Publication of KR88070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6Nails or pins, i.e. anchors without movable parts, holding by friction only, with or without structured surface
    • A61B17/848Kirschner wires, i.e. thin, long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부고정기구
제1도는 두개의 뼈 조각에 댄 몇개의 상호연결된 튜브모양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외부고정기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도는 끝이 상호연결된 관형부로 이루어지고 키르시너(Kirschner) 철사에 의해 두개의 뼈 조각에 고착된 외부고정기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3도는 외부고정기구의 튜브형태부분의 한 단면에 고착된 키르시너 철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고정부재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5도는 제4도의 고정부재의 부분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제6도는 고정부재의 또다른 구현으로,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제7도는 제6도의 선Ⅶ-Ⅶ을 따라서 본 수평단면도를 나타낸다.
제8도는 나사형 튜브를 제6도에 따른 고정부재에 삽입하기 위한 구멍내는 기구를 세로단면으로 나타낸다.
제9도는 죄는 수단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10도는 죄는 수단을 세로축 방향에서 본 윗면을 나타낸다.
제11도는 제9도에 따른 죄는 수단의 반을 세로 단면으로 나타낸다.
제12도는 호스몸체안에 유리섬유직물호스를 함께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호스몸체의 튜브형태의 부분의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제13도는 층과 같은 방법으로 삽입된 몇몇 유리섬유직물호스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호스몸체의 튜브형태의 부분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제14도는 호스몸체에 삽입된 유리섬유직물호스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호스몸체의 튜브형태의 부분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수직 단면도로, 튜브형태부분의 내부공간에 강화 플라스틱이 배치되어 있다.
제15도는 유리섬유직물로 채워진 튜브형태의 나선형 호스몸체의 부분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제16도는 제15도에 있어서 선 XVI-XVI을 따라서 나타낸 수직단면을 나타낸다.
제17도는 호스몸체에 채워진 유리섬유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튜브형태의 호스몸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18도는 호스몸체에 채워진 유리섬유직물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튜브형태의 호스몸체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정시키고자 하는 환자골편의 반대쪽에 외부적으로 배치되고, 몇개의 골편들에 고착된 와이어, 못 또는 나사와 연결된 최소한 하나의 가요성 관형부분을 포함하는 외부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경화성 물질로 채워진 이러한 가요성 관형부분은, 그안의 물질이 경화된 후, 골편들의 결합을 위해 원하는 위치에서 골편들을 다함께 붙잡아주는 와이어, 못 또는 나사와 함께 단단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외부고정기구들은 골편들을 정형외과적으로 고정시키고 또 골편들을 다함께 붙잡아주기 위해 쓰여진다. 삐인 뼈들은 외부고정기구에 의해 서로 상대적인 위치에서 고정되어 올바른 위치로 치유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나선줄을 갖는 뼈대못, 예컨대 Schanz 나사 또는 가교봉이 뼈대내로 삽입되고 그 단부는 미끄럼봉 또는 안내봉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본체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연결은 죄임수단의 도움으로 달성되는데, 이 죄임수단은 쐐기, 접합조각 그리고 필요하다면 볼과 소켓접합체, 커플링수단 또는고정수단등과 같은 것처럼 만들어진 것이다. 이같이 프레임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프레임의 도움으로 골편들이 단단히 고정되고 바로 잡혀질 수 있다.
공지된 죄임수단은 비산화성 강으로 구성된다. 고정기구가 사용되고 봉들이 죄여질때, 전체의 프레임구조는, 상호간에 바로잡혀질 봉들이 죄임수단내에서 느슨해져서 올바른 위치에 이르게될 것이므로, 비교적 느슨하고 흔들흔들하고 그 자체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기구가 개인 혼자만에 의해서는 결국은 사용될 수 없을 뿐더러, 자리잡기에 이어 죄임 및 고정이 최후로 달성될때까지 접합부, 이중접합부 및 프레임을 잡아주기 위한 보조자를 필요로한다.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된 죄임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강은 매우 높은 탄성계수 및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므로, 죄임보울트를 죄여서 약한 죄임만을 얻기란 불가능하며, 높은 탄성계수 때문에, 고정나사의 미소한 회전은 바람직한 파지압력에 있어서의 매우 실제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고정기구를 맞출때, 봉, 뼈 못 또는 나사는 죄임수단내에서 느슨하게만 놓여질 수 있다. 그 밖에, 고정기구를 위해 사용된 부품 및 부재는 이들의 재료선택때문에 X선을 손상시킨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때 고정기구의 생산가는 매우 높다.
금속부품들이 사용되면 고정기구는 개별적인 요건들에 의존하여 외과의사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X선 투과성을 얻기위하여, 비금속물질로 조립한 부품도 사용될 수 있다. DE-A-27 45504에 따르면, 사람이나 동물의 팔다리의 고정화 또는 지지를 위한 기구를 밝히고 있는데, 이 기구는 2개가 한쌍이 되어 반대로 위치해 있으며 최소한 하나의 뼈대나사 또는 뼈대못을 수용하고 있는 연결부재를 갖고 있으며, 이 연결부재는 죄임부재에 의하여, 그리고 연결봉 또는 나사봉의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경우에 연결부재, 죄임부재 및 연결봉 그리고 아울러 합쳐진 죄임자는 섬유보강 열가소성 플래스틱으로 구성된다.
더욱더, DE-A-31 41 909에 따르면, 환자의 외부에 위치한 최소한 하나의 연장부를 갖는 정형외과적 골절고정기구를 밝히고 있는데, 이 기구는 부서진 뼈의 다수 분절에 고착될 수 있는 골절판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연장부 및 핀은 그것들의 결합을 위해 원하는 위치에서 골편들을 잡아주는 단단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부서진 뼈의 다수 골편에 뼈핀에 의하여 고착될 수 있는, 환자의 외부에 위치한 연장부는 경화성 물질로 채워지는 가요성 형태의 연장캐리어를 포함하며, 경화성 물질은 자유흐름 상태로서 캐리어의 내부에 배치된다.
미리형성되고 단단한 부품들을 이용하는 고정기구들은 각각의 특정한 경우에 요구된 키트(kit)의 제조에 있어서는 매우 고가이다. 특수한 키트는, 특수한 골절에 제한된 이용성, 저장의 보존을 초래하는 상황, 그리고 개별적 부품의 포괄적인 유별의 저장만을 갖는다. 조립된 부품들을 재사용한후에는 마모의 조짐을 보인다. 금속성 재료가 사용되면, 골절치료의 방사선그래프 체크는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 고정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에 있어서는 저장시의 키트의 일부는 몇주동안 봉쇄되어야 하므로, 개개부품들의 유지를 더욱더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 믿을 수 없는 환자 및 그 이상의 환자는 주공급원을 갖춘 병원에 키트의 일부를 돌려주지 않는다. 고정된 부품들은 병원의 재산으로 남아 있을 수 없으므로 부품들의 실제적인 손실이 있게된다. 그밖에, 단단한 키트시스템은 골절 및, 대등의 물체에 따른 외부고정기구의 배열이 다양한 정도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속박하에서 좋은 조작결과에 도달하기 위하여, 때때로 큰 분량의 경험과 더불어 공간 및 계획 구상을 필요로한다.
열경화 또는 경화에 의해서 단단한 시스템으로 되는 가요성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외부고정기구의 경우에 있어서, 액체 플래스틱으로 채워진 것이지만 뼈대상에 못이 고정된 후에는 그것의 자유단부를 떠밀어 쓰러뜨릴 수 있는 호오스가 사용된다. 역전된 순서로서 일때의 못의 지점은 이같은 호오스가 비살균성이기 때문에 감염을 퍼트릴 뿐만아니라 유기체내로 단량체 플래스틱을 운반한다. 이같은 상태때문에, 못의 평행한 배열이 필요하며, 단단한 시스템에 의해 외과의사에 부과된 압박에 접근하게 된다. 기계적인 중요성때문에 항상 노력해야될 한 평면이상에서의 고정은 호오스에 의해서는 통제될 수 없다. 다양한 정도를 위하여 모든 균일한 플래스틱 재료는 작은 파괴강도 및 저탄성을 갖는다. 이 결과로부터 절정부하에 기인한 임의적인 순간에서 고정기구가 파괴되지 않는다는 어떠한 보장도없이, 큰 단면의 지지기구 호오스가 필요하다. 또한 이미 충진된 호오스에서 플래스틱 부품들의 완전한 배합 또는 혼합은 몇개의 결점들을 초래한다. 부드럽고 더 쉽게 편향될 수 있는 호오스 단면이 작업의 종료후에 얻어진다는 결과를 나타내는 불완전혼합의 위험률은 비교적 크다.
그 이상으로, 불충분한 혼합은 고정기구내에서 잔류 독성 단량체의 비율을 증가시킨다. 가급적이면 좋은 완전배합은 쉽게 압착될 수 있는 연한 지지호오스일때만이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고정기구가 다수 공간내에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능하면 일정한 단면의 플래스틱이 보장될 수 없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모든 예정 및 목적을 위해 이미 채워진 호오스를 사용할때, 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부품들의 완전 혼합은 못에 의해 관통된 지점으로부터 플래스틱 물질의 누출을 유발하여 물질 및 안정성의 무수한 손실을 가져온다. 열 또는 방사선공급에 의하여 경화될때 다음과 같은 부수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 단지 표면 피복제만이 방사선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완전히 채워진 호오스는 방사선에 의해 어렵게 중합될 수 있다. 적외선조사는 2 내지 5cm의 표피수준가까이 위치한 호오스 시스템을 관통하려할 뿐만아니라 표피 그 자체를 가온시키지 못한다. 자외선 조사에 대하여 환자를 보호하는 것이 적외선에 비해 더 간단한 것은 사실이지만, 두 유형의 방사선때문에 광대한 조도의 호오스 시스템이 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는 외과의사에 의한 형광투시 및 정골과 동시에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때 달성하기 어려운 전체 배열이 있어야 한다. 차광 시이트에 의해 보호되는 감광성 플래스틱의 경우에 있어, 못들을 고정시킴에 의한 호오스의 관통은 경화과정을 미리 진행시킬 수 있다. 최종 정골은 약 5분간 외과의사에 의해 적소에서 유지된다. 이 시간동안에 고정기구는 경화되어야 한다. 더 긴 경와시간은 X선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고, 외과의사의 피로 때문에 더 나쁜 정골의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유형의 외부고정기구를 마련하는데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똑바로된 골편들의 어떠한 이동도 없이 충진제의 경화에 앞서 고정호오스 또는 튜브의 위치 정정을 달성하는 가능성을 가지면서 어떠한 부과된 양의 작업이 없는 간단한 조작을 제공하여 복잡한 골절, 즉 다수의 골절이 충진제의 경화시까지 올바른 위치로 유지될 수 있게 하므로써, 전반적인 이용성을 보장하고 고정기구부품들의 약간의 유별과 함께 제한된 저장 보존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목적은X-선 투과성, 안정성 및 고탄성을 작은 단면의 경우에 있어서 존재시키는데 있다. 더욱더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 플래스틱과의 친밀한 결합을 형성하는 호오스 본체 및 경화될 플래스틱을 위한 모울드로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외부고정기구를 위한 관형부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분에 의해 해결된다.
삽입된 유리섬유 호오스 또는 유리섬유보강된 플락스틱과 더불어 플라스틱 호오스로 구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에 끼워진 유리섬유직물로 구성되는 외부고정기구내의 튜브형 부분의 사용에 의해, 공지된 외부고정기구와 관련된 모든 결점들은 개선되었다. 조립이 수행된 뒤에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된 튜브형 부분은 속성경화 합성수지와 함께 채워지므로 유연하고, 쉽게 조작되는 물질로 된 강한 외부고정기구가 얻어지는데, 이것은 나아가 X-선을 투과시키고, 매우 비팽창성이고, 그리고 다양한 호오스두께 및 유리섬유 충전제를 사용할때 모든 요구되는 강도가 얻어지므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일회용 제품으로서 외부고정기구를 사용하여 마멸 및 인열문제를 방해한다. 외부고정기구내의 플라스틱 유리섬유 조성물의 사용은 첫번째로 외과의사에게 무엇보다도 먼저 정형외과 고정을 위한 그의 배열 시스템을 갖게할 뿐만아니라 외부고정기구를 위해 규정된 요구를 함께 만족하면서 뼈 단편을 고정하기 위해 유리한 재료가 사용됨을 의미한다. 특히, 유리섬유 충전된 나선형 호오스의 사용에 의해, 한편으로는 고정기구호오스의 특정 고유안정성에 기인하고, 다른한편으로는 유리섬유직물 호오스가 플라스틱 호오스속에 삽입된 환경에 기인하여, 고정기구의 조리시에 굽힌 지점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교차단면의 변화없이 다른 면에서 즉시 변형하고 옆으로 구부릴 수 있는, 고정기구 호오스가 얻어진다.
위치속에 고정기구 호오스의 모양을 만들고, 설치할때, 이러한 변형저항은 정확하게 유입된 자유유동 플라스틱 물질의 방해받지 않는 통과는 보장하고, 그다음 호오스밖에서 성분들의 철저한 혼합물이 동시에 주입된다. 그다음 고정기구 호오스내의 합성수지와 더불어 직조한 유리섬유의 "철저한 혼합"이 발생하고, 플라스틱 유리섬유 조성물이 존재하게 된다. 고정기구 호오스의 재료내에 고정된 유리섬유 또는 순수한 플라스틱 호오스내에 삽입된 유리섬유 플라스틱 호오스는 나선형 호오스에서처럼 바람직하게 구성된 튜브형 부분의 최종강도를 증가시키고, 이러한 배열때문에 어려움없이 측면으로 구부릴수 있고, 즉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굴절에 대한 높은 저항으로 인해, 작은 단면을 가진 호오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속성경화 합성수지 덩어리가 주입될때, 고정기구 호오스의 벽의 못구멍으로부터 이러한 플라스틱 물질의 탈출은, 고정못 또는 나사가 이들이 자동적으로 다시 밀봉하는 고정못의 투과 지역내에 삽입될때, 고정기구 호오스의 벽내에 형성된 다공화는 이러한 자동적인 밀봉이 밀봉보호물의 한 종류를 구성하는 호오스 물질속에 참여한 유리섬유, 충전하는 유리섬유 또는 삽입된 유리섬유 호오스에 의해 도웅을 받으므로 불가능하고, 이 경우에 플라스틱에 삽입된 매우 미세한 메쉬의 유리섬유직물 또는 매우 미세한 메쉬의 유리섬유직물 호오스로 구성되는 튜브형 부분이 사용된다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매우 얇은벽을 가진 호오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 따라, 외부고정기구는 플라스틱 호오스 속에 삽입된 유리섬유 호오스 또는 유리섬유 보강된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내에 삽입된 유리섬유직물로부터 제조한 단일 튜브형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튜브형 부분은 뼈 단편을 가로질러 여러가지 평면 및 방향으로 배열되고, 철사, 못 또는 나사의 도움으로 뼈 단편을 연결한다. 이러한 튜브형 부분의 2개의 말단들은 강화할 수 있는 물질을 위해 밀봉할 수있는 충전구멍과 더불어 제공된 바람직한 Y-형 또는 T-형 연결유니온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값비싼 프레임을 사용할 필요없이 철사, 못 또는 나사를 사용하여 단일 튜브형 부분과 더불어 골절된 뼈의 단편 즉 지골의 단편을 고정하는것이 가능하다. 계속하여 속성경화 합성수지가 튜브형 부분속에 유입되고, 그다음 자체강화된 견고한 시스템인 합성수지의 경화는 유리한 치료방법이 달성되도록 얻어진다.
더욱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함께 여러 튜브형 부분의 연결의 가능한 존재, 즉 모든 튜브형 부분들은 모든 튜브형 부분들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관상연결 유니온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즉 구성된 호오스 시스템은 경화할 수 있는 물질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할 수 있는 충전구멍을 갖고 있다. 또한 호오스 시스템의 여러가지 튜브형 부분들이 결합하여 그룹이 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이상으로 각 그룹에 의해 형성된 호오스 시스템은 경화할 수 있는 물질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밀봉할 수 있는 충전구멍과 더불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다른 형태의 연결유니온을 만들어 사용할동안 이러한 외부고정기를 여러가지 요구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하는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90°또는 80°굽은 연결유니온 뿐만아니라 T-형, Y-형 및 교차형태 연결유니온들이 2차원 연결 조각으로서 사용된다. 골절을 연결하는 호오스 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연결유니온은 이들이 약한 지점의 안정성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참여되어서는 안된다.
못 또는 나사를 고정하기 위해 호오스 시스템으로부터 충분한 힘의 전달을 확실히하기 위해, 큰 못 또는 나선 교차부분의 경우에, 그리고 동시에 힘의 큰 증가의 경우에, 예를들면, 하부의 사지의 골절에서 특히 측면 골절로서 호오스를 통해 이제는 단순히 못 또는 나사구멍을 뚫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고, 삽입은 더 큰 못교차부분으로 인해 불가능하다. 오히려, 못 또는 나사는 고정수단의 도움으로 호오스 시스템위에 고정될 것이고, 이러한 고정수단은 다음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
-호오스를 모든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
-안정하게 회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못 또는 나사를 고정할 수 있어야한다 ;
-마찰접촉을 분배시키기 위하여 호오스의 유리섬유 플라스틱내에 견고하게 못 또는 나사가 보호되어야 한다 ;
-다른 못 또는 나사 단면에 대해 가장 높은 정도로 폭넓게 사용되어야한다 ;
-고정수단은 X-선을 투과해야 한다 ;
이러한 모든 상기 조건들은 각각의 쉘형 부분이 적어도 두개의 반대편에 위치한 측면위에 2개의 서로 배열된 부착 스터드(stud)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상보적이고, 나사 또는 못을 수용하는 쉘형 배열된 부분을 갖고, 이들의 외부벽위에 쉘형 부분을 갖고, 압축링이 중복되는 한쌍의 너트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실과 더불어 제공된 관상구조소재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보충적인 튜브형 부분들을 둘러싸는 2개의 쉘형 부분들로 구성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완성된다. 나사몸체의 전체길이이상으로 긴 실과 더불어 제공된 나사를 제외하고, 나머지 몸체가 편평한 모양으로 구성될 동안 부분적으로 구멍 뚫린 부분위에 실과 더불어 제공된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심지어 실이 나사몸체위에 연속적으로 구성될때, 이러한 나사는 마치 실이 없는 것처럼 처리된다. 맞물리는 기구처럼 작용하는 고정부재의 쉘형 배열 부분들의 고정은 못 또는 나사로 구멍을 뚫은 다음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그밖의 구체예에 따르면, 고정부재는 나사 또는 못이 그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관형부분의 벽에서 둘이 서로가 마주보게 위치해 있고 일렬정렬된 구멍 뚫린 부분들을 통과한 수나사를 갖춘 튜브로 구성되는데, 이렇게 나삿니가 파여진 튜브는 하나씩의 단면을 갖는 양측부들이 관형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 지역내의 단면에서, 하나씩의 결합너트를 갖고 있으며, 이 결합너트들은 나삿니가 파여진 튜브의수나사와 맞물려져 있으며, 나삿니가 파여진 튜브는, 이 튜브에 배열된 못 또는 나사의 외벽 표면상에 마련된 나삿니가 파여진 튜브의 각 단면의 단부에 맞춰진 결합너트를 죄일때에 인접상태가 되는 압착고리를 오버래핑하고 있다. 이 고정부재에 있어서의 특징으로, 나삿니가 파여진 튜브는, 골절들과 면해있는 한단면에서, 관형부분의 벽내로 맞물려지는 스터드, 스파아크등에 의해 외부고정기구에 앉혀진 나삿니가 파여진 커플링 클램프를 갖고 있으며, 다른 단면에서는, 관형 부분의 벽내로 맞물려지는 스터드, 스파아크등과 함께 나삿니가 파여지지 않은 커플링 클램프를 갖고 있으며, 나삿니가 파여진 튜브상에서 나삿니가 파여지지 않은 커플링 클램프는 너트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처럼 두개의 상이하게 만들어진 고정부재들은 적절한 압착고리들을 이용하므로써 서로 다른 못 및 나사단면에 알맞게 되어져서 고정부재에 요구된 요건들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구체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종속항에서 그 특징을 밝히고 있다.
제1도 및 2도에 나타낸 외부고정기구는 (10)으로 표시된다. 이 외부고정기구(10)은 몇몇 개별적인 상호연결된 호스단면의 호스시스템(20)형으로 튜브형태부분(11) 또는 (211)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의 두끝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제2도) 이 튜브형태부분(11) 또는 (211)은 고정장치호스를 구성하며 ; 이것의 벽은(111a) 또는 (211a)로 표시된다. 튜브형태부분(11) 또는 (211)을 K1 및 K2로 나타낸 두개의 뼈 조각에 고착시키는 것은 철사, 못 또는 나사(12)에 의해서 실행된다.
튜브형태부분(211)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호스몸체(212)로 이루어진다. 이 호스몸체(212)는 유리섬유 또는 기타 광물섬유로 채워진다. 이렇게 유리섬유로 채우는 것은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유리섬유직물로 만들어진 호스 또는 스타킹(215)의 형태로 실행된다(제12도). 제13도에 따르면, 또한 몇몇 개별적인 유리섬유직물호스(215), (216), (217) 가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단면을 보았을때, 몇개의 유리섬유직물층이 결과한다. 제15 및 16도에 따른 또다른 구현에 따르면, 매우 많은 유리섬유직물 호스가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은 완전히 유리섬유로 채워진다. 더우기,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안에 겹쳐지거나 또는 감아올려진 상태로 삽입된 유리섬유직물호스대신에 유리섬유직물매트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몇개의 유리섬유직물호스를 사용할때, 모든 호스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 하지만, 또한 다른 두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7 및 18도에 따른 또다른 구체형에 의하면 튜브형태부분(11)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물질에 채워진 유리섬유직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튜브형태부분(11)은 강화를 하기 위해 유리섬유(116)가 채워진 일정한 탄성을 지니는 유연한 플라스틱물질로 만들어진 호스몸체(115)로 이루어지는데, 이경우에는 유리섬유가 내부벽표면(115a)로부터 밀려나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의 섬유가 내부벽(115a)의 표면에 위치되어, 접착제의 일종으로서, 호스몸체(115) 내에서 경화된 플라스틱 물질과 함께 밀접하고 치밀한 합성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스몸체(115)의 프라스틱 물질내에 채워진 유리섬유 대신에 플라스틱 물질내에 유리섬유직물을 채워넣을 가능성도 존재하는데 ; 이 구현에서도, 유리섬유물질 또는 채워진 유리섬유매트는 호스몸체(115)의 내부벽 표면에 위치해야 한다(제18도). 유리섬유 대신에, 광물섬유 또는 필라멘트도 튜브형태부분(11)의 플라스틱 물질안에 채워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해서 무기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모든 섬유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서 특히 유리한 것은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과 튜브형태부분(11)의 플라스틱 물질내에 직물 또는 매트의 형태로 채워질 수 있거나 또는 플라스틱 호스몸체내에 삽입된 유리섬유직물호스의 형으로 존재할 수 있는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유리한 것은 길이가 1mm 이하인 짧은 유리섬유 또는 길이가 3mn 이하인 유리섬유가 제공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경우 보다 더 큰 길이의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BS, 폴리아미드, PC, PE, POM, PP, PS, PVC, SAN, PETP및 PBTP가 유리섬유 강화된 열경화성수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 본질적으로 이들 물질 또는 열경화성수지는 외부고정기구 및 피부와 근접했을때 양호한 피부 상용성을 가지는 튜브형태부분(11)의 제조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리조방사, 유리필라멘트, 유리실 또는 잘린실매트로 만들어진 직물을 유리섬유직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리섬유직물은 가장 광범위한 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두가닥 직(two-strand weaves)보디 직(body weaves) 및 Atlas직을 사용할 수 있다 ; 그러나 적절한 다른 모든 형태의 직도 유리섬유직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외부고정기구(10)를 제조하기 위하여, 튜브형태부분(11) 또는 유리섬유로 채워진 튜브형태부분(211)은 뼈조각의 처리 및 고정 다음에 굳어지는 물질로 채워진다. 특히 이런 재빨리 경화되는 플라스틱 물질이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고정된 뼈 조각이 굳어진 후에 이들의 예정된 위치를 보유하는 신속한 경화 플라스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만 이것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더우기, 짧은 경화시간 때문에, 수술의사에게 제위치에 있지 않는 뼈 조각의 정렬 결과로 올 수 있는 수고를 겪을 필요없이 정렬된 위치에 정렬된 뼈 조각을 유지시킬 가능성이 주어진다. 바람직하게 신속한 경화물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적절하게 굳어질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된다면 굳어지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빛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속한 경화플라스틱 물질은 고정장치 호스밖에서 두성분(경화제 및 플라스틱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준비되고 그 다음에 고정장치호스내로 주입된다. 호스몸체(212)가 반투명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고 주입될 플라스틱 물질이 염색되었다면 유리하다. 이 염색된 플라스틱 물질이 주입될때, 플라스틱 물질이 호스몸체의 내부공간내에 분포되는 것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든 호스몸체(212)부분이 플라스틱 물질로 채워졌는가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외부고정기구(10)는 관형부분(11)으로 구성되며, 관형부분의 양단(11a,11b)는 밀봉충전구멍(14)을 갖는 연결결합관(16)에서 결합된다. 관형부분(11)의 내부공간으로의 성형가능 또는 자유흐름 플라스틱의 도입을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일어난다. 관형부분(11)은 키르시너 와이어에 의해서 두 골편(K1, K2)에 연결된다. 즉 관형부분(11)은 이들 키르시너 와이어의 도움으로 관형부분(11)이 두 골절의 약간위에 놓이게 되도록 두 골편(K1, K2)에 고착된다. 다수의 골편이 고정되어야한다면, 이 관형부분(11)은 골편을 가로질러 여러 레벨에서 여러방향으로 돌리어지고, 관형부분(11)의 개개의 골편에의 고착은 키르시너 와이어(30) 또는 다른 적절한 와이어 또는 핀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키르시너 와이어는 개개의 골절의 한 측면상에 맞물리고, 그 이외의 단부들은 고정될 골편과 마주하는 관형부분(11)의 부분에 연결된다.
제2도에 도시된 구현예의 관형부분(11)은 골편위에서 골편의 한 측면상에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키르시너 와이어(30)는 단지 한 측면상의 개개의 골편에 고착된다. 골편을 통과하는 키르시너 와이어의 섹션의 이 경우에 자유단을 가진 적절한 관형부분(11)에 연결되지 않으나, 두개의 관형부분(11)을 사용할 가능성은 당연히 여기에 있으며, 그것들중의 한개의 관형부분(11)은 고정할 골편위에 놓이게 되고, 다른 한개의 관형부분(11)은 고정할 골편 아래에 놓이게 되어, 두 관형부분(11)은, 키르시너 와이어들(30)이 동시에 골편을 통과하게 될때 서로 연결된다. 관형부분(11)의 골편(K1, K2)위에의 배치는 키르시너 와이어들(30)이 모두 동일방향으로 골편내로 도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도에 보여진대로, 관형부분(11)은 예를들면 두 키르시너 와이어(30)가 관형부분(11)의 섹션(11d)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관형부분(11)의 다른 섹션(11d)은 이 호오스섹션(11c)을 통과하는 키르시너 와이어(30)가 관형부분(11c)의 섹션(11c)을 통과하는 키르시너 와이어의 종방향에 가로질러 놓이도록 섹션(11c)에 대해서 떨어져서 굽어있다. 관형부분(11)의 두 섹션(11c, 11d)의 배열 및 배분을 위하여, 사용된 연결결합관(16)은 적절한 형상을 가진다. 관형부분(11)은 이 구현예에서 플랜(plan) 섬유-충전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에 끼워진 유리섬유직물로 구성되며, 관형부분(11)은 나선형 호오스로서 만들어져도 된다. 관형부분(11)의 골편(K1, K2)상의 고착은 키르시너 와이어(30)에 의해서 이루어져도 되고, 다르게 조립된 와이어, 못 또는 나사의 도움을 받아서 이루어져도 된다.
키르시너 와이어(30)의 관형부분(11)상의 회전적 안정고정부착을 이루기 위해서, 키르시너 와이어(30)의 각각의 자유단은 대략 180에서 U-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이 굽은 와이어 단은 30a(제3도)에 의해서 확인된다. 굽은 와이어 섹션(30a)의 자유단(30b)은 관형부분(11)의 벽(111)으로의 용이한 천공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챔퍼방식으로 조립되거나 날카롭게 뻗어나갈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외부고정기구(10)의 구현예에서, 프레임(20)은 다수의 개개의 상호연결 관형부재(111)으로 만들어지며 이 관형부분내의 두 골편(K1, K2)은 못, 나사 또는 와이어(12)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프레임(20)은 세개의 종축부재(21, 22, 23)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예를들면 이 프레임의 각각의 두 상호 연결 섹션으로 구성된다. 이들 세 종축부재(21, 22, 23)은 자유단의 영역내에서 반원부재(24, 25)에 의해 연결되며, 마찬가지로 반원부재들은 각각 두 활꼴 배열의 상호 연결 섹션으로 구성된다. 종축부재(21, 22, 23), 반원부재 (24, 25) 및 종축부재 및 반원부재를 구성하는 개개의 섹션의 묶음매(26)에 의해 상호연결되며, 제2도에 도시된 외부고정장치에서 연결결합관(16)과 같은 이 묶음매(26)는 관형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들 묶음매(26)는 T-피이스 또는 벤드로서 조립된다. 두 종축부재섹션이 상호 연결된다면, 묶음매는 단지 관형으로 조립된다. 묶음매(28)의 도움으로 프레임(26)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된 모든 관형부분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제공되도록 이들 묶음매(2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경화성재를 여러 관형부분(11)으로 구성된 이 프레임(20)의 내부공간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충전구멍이 제공된다.그러나, 여기에 특히 급속경화성 플라스틱재가 관련될때, 플라스틱재가 프레임(20)의 내부공간 섹션내로 동시에 도입되어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화성재의 균일한 도입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연결관에 의해서 단일 충전장치에 연결되는 여러 충전구멍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관형부분(11)으로 구성된 프레임(20)은 못, 나사 또는 와이어(12)가 수직방향으로 뻗어 배열되도록, 이 경우에는 핀(12)이 수직방향으로 뻗어 골편에만 끼워진 종축부(23)안에 유지되고, 한 평면내의 종축부재(21, 22)를 통과하는 핀 또는 못(12)이 골편(K1, K2)을 통과하도록 조립된다. 그러나, 골편을 통과하는 못, 핀 또는 나사(12)는 양끝이 각 경우에 프레임(20)을 이루는 종축부재에 배열되도록, 고정될 두 골편(K1, K2)은 모든 측면이 프레임(20)에 의해서 둘러쌓일 수도 있다.
이와 별도로, 프레임(20), 즉 이렇게 형성된 호오스 시스템의 여러관형부분(11)을 그룹을 이루어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각 그룹에 의해서 형성된 호오스 시스템은 경화성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밀봉성 충전구멍을 갖는다. 모든 조립된 개개의 호오스 시스템에서 경와성재로의 충전은 동시에 또는 짧은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두 골편(K1, K2)사이에 생긴 파단 간극은 제1 및 2도에 BS로서 표시된다.
못 또는 나사를 관형부분(11)으로 구성된 호오스 시스템상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4 및 5도에 도시된 배열을 갖는 고정부재(40)이 제공된다. 이 고정부재(40)는 관형구조요소(43)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보완하는 두개의 대략 반원배열 셀형부품(41, 42)으로 구성되며, 이 관형구조요소(43)는 대략 관형부분(11)의 외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다. 원형단면을 갖는 관형부분(11)과 별도로, 타원형단면을 갖는 관형부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형구조요소(43)를 이루는 고정부재(40)의 두 셀형부품(41, 42)은 사용된 관형부분(11)의 외부성형체내에 적절하게 배열된다.
고정부재(40)의 각 셀형부품(41 또는 42)은 두개의 마주보는 측면상에 주조 및 셀형 배열섹션(44, 45 또는46, 47)을 가지며, 이들 섹션은 두개의 상호정렬된 부착 스타브(48, 49)를 형성하기 위해서 서로 보완하며 나사 또는 못(12)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셀형섹션(44, 45 또는 46, 47)은 바깥벽 상에 외부나사산(50)을 가지며, 이 외부나사산(50)상에 커플링너트(51)가 조여진다. 못, 핀 또는 나사(12)의 설치 및 부착은 부착스타브(48 또는 49)의 외부나사산상에 조여진 커플링너트(51)에 의해 둘러싸인 압축링(55)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압축링(55)의 배치는 이 경우에 압축링(55)이 원형단면을 가진 부착스타브(48 또는 49)의 자유단상에 놓여서 나사산이 난 커플링너트(51)가 압축링과 겹치도록 선택되었다. 커플링너트(51)를 조였을때, 압축링은 화살표 XI방향으로 함께 압착되어 동시에 못(12)의 외벽표면과 더 정확하게 접촉하고 반면에 못(12)은 고정부재(40)에 단단하게 유지된다. 고정부재(40)내에 배열된 관형부분(11)의 벽(111)은 두 부착스타브(48, 49)의 확장시에 못(12)을 끼우기 전에 조립되어도 되는 적절한 개구부를 갖는다. 그러나, 관형부분이 탄성복원력을 가진 플라스틱내에 끼워놓여진 유리섬유직물 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관형부분(11)의 재료는, 못(12) 이 관형부분으로 압착되었을때, 못(12) 이 어려움없이 관형부분(11)의 벽(111)에 의해 압착되도록 팽창하여, 이 방식으로 더 큰 직경을 갖는 못이 용이하게 고착될 수 있다. 못의 직경에 대해서는, 고정부재(40)의 부착스타브(48, 49)는 못 또는 나사가 가졌던 직경에 맞도록 개량된다. 커플링너트(51)가 조여졌을때 적절한 압축링을 일으키는 부착스타브(48, 49)상에 사용된 압축링(55)때문에 사용된 못 또는 나사(12)가 부착스타브(48, 49)의 내경과 비교하여 더 작은 직경을 가질때 못과 나사를 부착스타브(48, 49)에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도 있다. 부착스타브(48, 49)는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되고 또한 동일한 단면적 표면과 직경을 가진다.
고정부재(40)내에 배열된 관형부분(11)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관형구조요소(43)을 이루는 셀형부품(41, 42)은 내벽표면상에, 고정부재가 적용되었을때 관형부분(11)의 벽(111)으로 압착되는 고정스터드, 큰 못 또는 그와 유사한 것(52)을 갖는다. 이들 고정스터드, 큰 못 또는 그와 유사한 것(52)의 수는 어떠한 수도 될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40)의 두극점의 영역내에, 두개의 마주 놓인 고정스터브 또는 큰 못이 제공된다면 충분하다(제4 및 5도).
고정부재(40)가 핀, 못 또는 와이어(12)와 결합하여 사용된다면, 두 부착스터브(48, 49)의 내벽표면은 보통의 방법으로 조립되어도 된다. 그러나, 단부에 제공된 나사산을 갖는 나사 또는 핀 또는 못이 사용된다면, 부착스타브(48, 49)가 내벽표면상에 제공된 내부 나사산을 가져서, 나사(12)의 추가 고착이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고착 및 설치는 압축링(55)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면, 부착스터브(48, 49)가 내벽표면상에 나사산을 가질 필요가 없다. 못, 나사 또는 핀(12)은 고정부재(40)를 가지며 유사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6도에 따른 고정부재(40)의 다른 실시예로, 이 고정부재는 골편과 고정하기 위한 못이나 나사(12)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외부나사(160)가 마련된 튜브(14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나사튜브(141)는 튜브형 부분(11)의 벽(1l1)을 통과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두개의 서로정렬된 천공부(113), (113a)가 튜브형의 부분(11)의 벽(111)안에 생기게 된다면 유리한 것이다.
고정부재(140)의 나사가 있는 튜브(141)는 나사가 있는 튜브(141)가 이러한 튜브형의 부분(11)으로부터 각각 부분(142), (143)과 함께 양쪽에 돌출되는 방식으로 튜브형 부분(11)안에 설치된다. 나사가 있는 튜브(141)의 외벽표면상에 마련된 외부나사(160)가 이 경우에는 튜브(141)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두개의 나사가 있는 튜브부분(142), (143)의 두개의 극단부(142a), (143a)의 부분안에서만 외부나사를 갖게 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나사가 있는 튜브(141)는 그 외부나사(160)와 맞는 하나의 연결너트(144) 또는 (145)와 함께 극단부(142a), (143a)의 부분내의 튜브부분(142), (143)상에 또는 그 단부상에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너트(144)나 (145)는, 나사가 있는 튜브(141)안에 마련된 못이나 나사(12)의 외부벽 표면상에 있는 나사튜브(141)의 각부분(142), (143)의 단부에 맞추어진 연결너트(144)나 (145)를 죌때 맞닿게되는 압축링(146) 또는 (147)(제6도)에 겹친다. 나사가 있는 튜브(141)상에서, 그 극단부에서 압축링(146), (147)은 그들과 겹치는 연결너트(l44), (145)와 함께 설치된다. 화살표(X2), (X3)의 방향으로 연결너트(144), (145)를 죌때 압축링(146), (147)은 못이나 나사(12)에 맞닿도록 함께 압착된다. 압축링(55), (146), (147)들은 자국이 생기지 않는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적합한 변형성의 재료로 구성된다.
추가하여 나사가 있는 튜브(141)는 부분(143)상에 나사가 있는 연결클램프(148)와 그리고 부분(142)상에 나사가 없는 연결클램프(150)를 갖고 있다. 나사가 있는 연결클램프(148)는 환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연결클램프(148)가 나사튜브(141)의 외부 나사상에 나삽되도록 내부 나사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클램프(148)는 튜브형상의 부분(11)의 방향으로 끝부분을 향하고 있고 또 튜브형상의 부분(11)의 벽(111)안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서로정렬된 스터드나 스파이크 같은 것(149)을 갖고 있다. 연결클램프(148)의 스터드나 스파이크 같은 것(149)들이 튜브형상부분(11)의 벽(111)안에 확실히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연결클램프(148)는 나사튜브(141)의 외부나사(160)상에 나삽되지 않고, 나사튜브(141)를 그 종방향측 둘레에서 회전시킴에 의해 연결클램프(148)가 그 위의 스터드나 스파이크 같은 것이 튜브형상부분(111)의 벽(11)안으로 맞추어지도록 튜브형상부분(11)의 벽에 가깝게 설치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나사튜브(141)의 부분(142)상의 연결클램프(150)는 나사가 마련되지 않고, 환형형상의 이러한 연결클램프(50)가 너트(152)에 의해 튜브형상의 부분(11)의 벽(111)에 까지 움직여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너트(152)는 나사튜브(141)의 외부나사상에 나삽된다. 연결클램프(150)는 제6도에 나타낸 위치를 갖고 또 연결클램프(150)가 튜브형상의 부분(11)의 벽에까지 설치될때 벽(111)안으로 맞닿게 되는 두개의 서로 정렬된 스터드나 스파이크같은 것(151)을 갖는다. 이것에 뒤이어 두개의 연결클램프(148), (150)는 그 스터드나 스파이크 같은 것(149), (151)이 서로 대향 위치되도록 나사튜브(141)상에 유지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140)는 나사가 있는 튜브(141)가 튜브형상의 부분(11)의 벽에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는 개방부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때 뒤이어 연결클램프(148), (150)가 설치되고 또 나사튜브(141)를 회전시켜서 경화성 재료가 이들 부분안에 들어갈때 재료가 이들 천공점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이들 천공점으로부터 밖으로 눌려나가고 또 튜브형상의 부분(111)때문에 가능하게 되어 스터드나 스파이크 같은 것(149)이 튜브형상의 부분(11)의 벽안으로 들어가거나 벽(111)을 통과하도록 튜브형상의 부분(11)의 벽에 까지 나사가 있는 연결클램프(148)가 이동된다.
나사가 없는 연결클램프(150)은 같은 방식으로 나사가 있는 튜브(141)상에 설치되고 또 나삽된 너트(152)에 의하여, 연결클램프(150)의 스터드나, 스파이크 같은 것(151)이 스터드나 스파이크 같은 것(149)(제6도)과 같은 방법으로 튜브형상부분(11)의 벽(111)안에 맞도록 튜브형상부분(11)의 벽(111)에 까지 이동된다.
더욱이, 연결클램프(150)는 도면부호(112)(제7도)에서 튜브형상부분(11)의 외부벽표면에 설치된 우묵한곳 안에 맞는 연결클램프(150)의 내부벽표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는 회전억제수단, 엄밀히 말해 캠(154)의 형태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억제수단은 이 경우에는, 플라스틱 덩어리의 충진과 경화후에 못과 튜브형상의 부분(11) 사이에서 회전 안정도가 생기게 되도록 연결클램프(150)와 나사가 있는 튜브(141)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나사가 있는 튜브(141)를 삽입하기 위해서 첨점이 도면부호(156)로 나타나 있는 천공기구(155)가 있다. 이 천공기구는 나사튜브(141)의 삽입을 위해 나삽된다. 골편의 위치설정과 고정을 위하여 먼저 다시 조이거나 또는 그냥 조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외부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극단부(제9도)에서 폐쇄되고 또 그 극단부들이 그 외벽표면상에 외부나사가 마련되어 있는 두개의 튜브형 부분(61), (62)으로 구성된 조임수단(60)이 갖추어져 있다. 두개의 튜브형 부분(61), (62)의 두개의 외부나사들 중에서 하나의 외부나사는 오른나사(63)로 되어 있고 다른 외부나사는 왼쪽나사(64)로 되어 있다. 각각의 튜브형 부분(61), (62)은 그 외부단부(61a), (62b)에서 튜브형상의 부분(11)을 위한 어댑터나 연결부(65)를 갖고 있다. 이들 어댑터나 연결부(65)는 이들과 같은 재료로부터 튜브형 부분(61), (62)과 함께 구성될 수있다. 그러나, 여기서 또한, 예를들어 나사연결과 같은 적절한 연결수단으로 되어 있는 한편 튜브형 부분(61), (62)와 연결된 별개의 어댑터나 연결부(65)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들 어댑터나 연결부(65)의 외경은 연결될 튜브형 부분(11)의 내경에 해당한다.
튜브형의 조임너트(66)는 외벽표면에 홈이 마련되어 있는 두개의 튜브형 부분(61), (62)의 외부나사상에 나삽된다. 제9도의 실시예에서 조임너트(66)에는 조임나사(제10도)의 6각형 횡단면 구조에 의해 얻어지는 여러개의 파지표면(66a)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조임너트(66)에는 일련으로 마련되어 있는, 즉 나란히 위치되어 있고 또 조임나사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개의 드릴천공부(67)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드릴구멍(67)은 조임경로와 관찰과 검사를 하는데 이바지하며 또 이렇게 하여 이들 드릴구멍(67)은 관찰 창문의 기능을 갖게 된다. 조임수단(60)의 두개의 튜브형 부분(61), (62)의 외벽표면부분은 서로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어서 드릴구멍(67)을 통하여 보여질 수 있는 색의 도움으로 조임경로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어댑터나 연결부(65)상의 튜브형 부분(11)의 확실한 착좌를 위하여 이것들은 그 외벽표면상에 제11도에서 도면부호(68)로 나타낸 바와같이 주름잡히거나 이랑지어져서 끝손질되어 있다. 환기공은 도면부호(69)로 식별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구성된 조임수단(60)과 함께, 예를들어 프레임(20)안에 튜브형의 부분의 조임이 쉽사리 이루어져서 조이는 것 뿐만아니라 동시에 조임수단 가교연결과 추가로 고정특성을 갖게 되는 구조적 요소가 마련되어 있다. 튜브형 부분(61), (62)은 또한 내부공간이 유리섬유로 채워지고 또 유리섬유로 채운 플라스틱 호스(212)의 뒷부분을 절단하여 순수한 유리섬유로 채우거나 유리섬유직물호스부분이 얻어지도록 중공의 나사나 밴죠(banjo)볼트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유리섬유 채움이나 유리섬유직물호스부분은 중공의 나사를 채우고 또 이렇게 하여, 밖으로 따를때 중공의 나사의 내부공간안에 위치된 유리섬유 채움노출부분내로 흘러들어가는 합성레진으로 채운후에 조임수단(60)과 고정기구호스사이의 결합을 단단히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육각형으로써의 조임수단(60)의 구성은, 적절한 구조를 가진 공구의 도움으로 조임수단(60)의 외부상에 고착되고 또다시 조이기 위해 그 종방향축 둘레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동시에 갖는다.
고정기구호스로서, 즉 튜브형 부분(11)으로서 플라스틱으로부터 호스재료를 만드는 동안 플라스틱내에 넣은 유리섬유직물이 외부나 내부에 마련된 플라스틱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키르시너 와이어(30)을 사용할때 고정기구호스와 와이어(30)(제3도)에 놓여진 케이블끈(80)에 의하여 이들 와이어(30)를 고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케이블 끝은 합성레진으로 고정기구호스를 채우는 동안 그리고 그전에 고정기구 호스안에서 걸리는 것으로부터 와이어(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재(40), (140)와 조임수단(60)은 상당히 큰 강도 특히 파괴강도를 갖는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재료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도 및 13도에 따르면, 튜브형의 부분(211)은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부터 만들어진 호스부분(212)으로 되어 있다. 유리섬유직물로부터 만들어진 호스(215)는 호스부분(212)의 내벽에 있는 호스부분(212)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 몇개의 튜브형 부분으로 구성되는 호스 시스템이 사용된다면 유리섬유직물 호스는 그 호스부분이 함께 결합되고 상호 연결되기전에 각개의 호스부분안으로 삽입된다. 또한 사용하기에 알맞는 길이로 자른 삽입되는 유리섬유직물호스(215)와 함께 보다 긴 칫수의 호스부분(212)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 섬유직물(215)은 호스부분(212)(제12도)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지만, 몇개의 유리 섬유직물호스(215), (216), (217)가 삽입되어 몇개의 층(제13도)을 이루기도한다. 필요에 따라, 유리섬유직물호스는 서로다른 벽두께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된 튜브형의 부분(211)은 경화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채워진다. 제4도에서, 경화된 플라스틱은 도면부호(90)으로 나타나있다. 이와 같은 고정기구호스는 사용전에 살균될 수 있는 이점이있다. 또한 유리섬유직물호스는 호스부분내로 삽입하기전에 살균될 수 있다. 튜브형상의 부분(211)은 이렇게 하여 몰드의 기능을 갖는다. 호스시스템 내로 들어가게 한 다음에 경화성 플라스틱은 유리섬유직물호스의 유리섬유직물내로 침투하여 유리섬유를 통해 흐르고 경화후에 유리섬유직물과 플라스틱 사이의 단단한 결합이 생긴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외부 호스부분은 함께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고 또 외부적인 한계를 정하는 역할을 하며, 또 얇은 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하여 잘 안정된 복합물이 얻어진다. 이러한 안정도는 여러개의 유리섬유직물호스층을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15도 및 16도에 따르면, 호스몸체(212)는 나선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투명하거나 크리스탈 같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은 말려진 유리섬유직물매트나 서로에 삽입된 몇개의 유리섬유직물호스로된 유리섬유 충전재(218)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유리섬유 충전재(218)는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을 채운다.

Claims (22)

  1. 고정시키고자 하는 환자골편의 맞은편에서 외적으로 배치되고 몇개의 골편들에 고착된 철사, 못 또는 나사와 연결되어 있는 1이상의 가요성 관형부분을 포함하고, 경화성물질로 채워진 가요성 관형부분은 그안의 물질이 경화된 후, 골편들의 결합을 위해 원하는 위치에서 골편들을 다함께 붙잡아주는 철사, 못 또는 나사와 함께 단단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외부고정기구에 있어서, 외부고정기구(10)의 관형부(11, 211)가 a)플라스틱으로부터 만들어진 유리섬유로 충전된 가요성 호스몸체(212) 또는 b)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가요성 호스몸체 또는 c) 플라스틱내에 박혀진 유리섬유직물로 만들어진 가요성 호스몸체로 이루어지고, 이 관형부는 폐쇄형 호스 시스템의 내부공간에 설치된후, 급속 경화 플라스틱, 즉 급속 경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충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고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호스몸체(212)의 충전용 유리섬유가 호스몸체(212)속에 삽입된 1이상의 호스(215)또는 호스를 형성하게끔 둘둘말리어진 유리섬유 매트로 구성되는 외부고정기구.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관형부(11 ; 211)가 나선형튜브로서 구성되고 또한 플라스틱 특정하게는 투명 또는 결정이 맑은 플라스틱으로된 외부고정기구.
  4. 제1항에 있이서, 관형부(11 ; 211)의 2자유단(11a, 11b)이 경화성 물질을 위한 봉인성 충전구멍(14)을 갖춘, 바람직하기로는 Y-형 또는 T-형의 연결결합관(16)을 통해 상호연결된 외부고정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관형부(11 ; 211)가 와이어, 못 또는 나사에 의해 골편을 가로질러 다양한 평면과 방향으로 돌려진 외부고정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몇개의 관형부(1l ; 211)가 프레임(20)을 형성하게끔 서로 결합되고, 모든 관형부(11 ; 211, 21, 22, 23, 24, 25)는 모든 관형부(11 : , 211, 21, 22, 23, 24, 25)의 내부공간이 상호 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관형연결결합관(16)을 통해 상호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호스시스템에 경화성 물질을 위한 1이상의 봉인성 충전구멍이 갖추어져 있는 외부고정기구.
  7. 제6항에있어서, 호스시스템의 관형부(11 : 211, 21, 22, 23, 24, 25)가 그룹으로 결합되고, 각 그룹에 의해 형성된 호스시스템에는 경화성 물질을 위한 1이상의 봉인성 충전구멍이 갖추어져 있는 외부고정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키르시너 와이어(30)와 같은 고정와이어를 사용할때, 각 와이어는, 와이어 단부를 대략 180로 떨어져서 굽어지게 한 다음에, 관형부(11 ; 211)속으로 그 자유단(30a)을 밀어넣어서 회전상 안정된 방도로 관형부에 연결되는 외부고정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고정용나사 또는 못이 적용될때, 이들은 고정부재(40)에 의해 관형부(11 : 211)에 고착되는 외부고정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고정부재(40)는 단형부(11 : 211)를 싸고 또한 관형구조요소(43)를 형성하게끔 서로를 보완하는 2셸형부품(41, 42)으로 이루어지고, 각 셀형부품(41 ; 42)은 적어도 2양측상에 대해 셸형 배열섹션(44, 45 ; 46, 47)을 가지며, 이 섹션들은 2상호정렬부착스터드(48, 49)를 형성하게끔 서로를 보완하고 또한 나사 또는 못(12)을 수용하며, 셸형섹션(44, 45 ; 46, 47)은 자신의 외부벽위에 부착스터드(48 ; 49)의 단부에 맞추어진 압축링(55)을 겹치게 하는 커플링너트(51)의 수용을 위한 외부나사산(50)을 갖추고 있는 외부고정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고정부재(40)의 각셸형부품(41 ; 42)은 그의 내부벽상에 적어도 2개의 고정스터드, 스파이크류(52)를 갖추고 있는 외부고정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고정부재(140)가 자신의 내부공간내에 못 또는 나사를 수용하는 관형부(11)의 벽(111)에서 2개의 마주보게 위치해서 상호정렬된 천공부(112, 113)를 관통하는 외부나사산(160)을 갖춘 튜브(141)로 구성되고, 이 나사산을 가진 튜브(141)는 관형부(11)로부터 양측에 섹션(142, 143)으로서 돌기하게끔 만들어지며 또한, 이 섹션(142, 143)의 극단부(142a, 143a)의 부위내에는 하나씩의 커플링너트(144, 145)를 갖추고 있으며, 이 커플링너트들은 나사산을 가진 튜브(141)의 외부나사(160)과 맞물려지며 튜브(141)는 이 튜브(141)에 배열된 못 또는 나사(12)의 외부벽면상에 마련된 나사산을 가진 튜브(141)의 각 섹션(142, 143)의 단부에 맞추어진 커플링너트(144 ; 145)를 조일때 인접될 수 있는 압축링(146 ; 147)을 오버래핑하며,나사산을 가진 튜브(141)는 골편(K1, K2)들과 면해 있는 그의 섹션(143)에서, 관형부(11)의 벽(111)내로 맞물려지는 스터드, 스파이크(149)등에 의해 외부나사상에 앉혀진 나선형 커플링클램프(148)를 갖고 있으며, 다른 섹션(142)에 있어서는, 나사산을 가진 튜브(141)상의 비나선형 커플링클램프(150)가 너트(152)에 의해 유지되고 아울러 캠(154)에 의해 회전적으로 안정된 방도로 나사산을 가진 튜브(141)와 연결되어진 외부고정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골절에 걸쳐있는 각 관형부(11 ; 211)가 조임수단(60)을 갖추고 있는 외부고정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조임수단(60)이 그의 외부벽면상에 외부나사를 갖춘 2관형섹션(61, 62)으로 이루어지고, 이 2섹션(61, 62)의 2외부나사의 1외부나사는 오른나사(63)로 구성되고, 다른 외부나사는 왼나사로서 구성되며, 각 관형섹션(61, 62)은 그의 외부단부(61a, 62a)상에 관형부(11 ; 211)를 위한 어댑터 또는 연결결합관(65)을 갖추고 있으며, 그리고 2관형섹션(61, 62)의 외부나사(63, 64)에 대해, 관형 조임너트(66)가 나사조임되며 아울러 파지홈형 또는 피리표면의 파지표면(66a) 및 일련적, 즉, 나란히 위치배열된 다수의 드릴공(67)을 갖추고 있는 외부고정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조임수단(60)의 2관형섹션(61, 62)의 외부벽면의 섹션들이 서로다른 색깔을 가지는 외부고정기구.
  16. 제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통기공(69)이 조임수단(60)의 관형섹션(61, 62)의 벽에 제공된 외부고정기구.
  17. 제8항에 있어서, 관형부(11 ; 211)를 갖춘 키르시너 와이어(30)가 케이블타이(90)에 의해 관형부(11 ; 211)상에 유지되는 외부고정기구.
  18.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못 또는 핀에 의해 고정된때, 관형부(11 ; 211)의 벽(111)속으로 나삽된, 만곡되어 이격된 와이어단부가 케이블타이에 의해 관형부(11 ; 211)에 고착되어 있는 외부고정기구.
  19. 제1항에 있어서, 유리섬유직물로 만들어진 1이상의 호스(215)가 관형부(211)의 호스몸체(212)속으로 삽입되어, 호스몸체(212)가 유리섬유직물호스 또는 유리섬유직물호스들(215, 216, 217) 및 관형부의 내부공간안에서 경화되는 플라스틱 물질과 더불어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한 외부고정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내에 배치된 유리섬유호스들(215, 216, 217) 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양한 두께(굵기)들을 가지는 외부고정기구.
  21. 제19항 또는 20항에 있어서, 호스몸체(212)의 내부공간내에, 서로의 속에 삽입된 몇개의 유리섬유직물호스들 또는 한 호스를 형성하게끔 둘둘 말리어진 유리섬유 직물매트를 포함하는 충전물이 배치된 외부고정기구.
  22. 제1항에 있어서, 관형부(11 ; 211) 가 투명 또는 결정이 맑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경화성 물질은 채색부를 갖춘 외부고정기구.
KR1019880700456A 1986-08-26 1987-08-26 외부고정기구 KR910002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628972.8 1986-08-26
DE19863628972 DE3628972A1 (de) 1986-08-26 1986-08-26 Aeusserer festhalter zur stabilisierung bestimmter knochenbrueche bei mensch und tier
DE87112273.5(EP) 1987-08-25
EP87112273A EP0260484B1 (de) 1986-08-26 1987-08-25 Externe Befestigungsvorrichtung
PCT/EP1987/000486 WO1988001488A1 (en) 1986-08-26 1987-08-26 External fix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533A KR880701533A (ko) 1988-11-03
KR910002074B1 true KR910002074B1 (ko) 1991-04-03

Family

ID=630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456A KR910002074B1 (ko) 1986-08-26 1987-08-26 외부고정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93618A (ko)
EP (1) EP0260484B1 (ko)
KR (1) KR910002074B1 (ko)
DE (2) DE3628972A1 (ko)
ES (1) ES2020976B3 (ko)
GR (1) GR300173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124B1 (ko) * 2011-03-31 2013-0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부위 지지용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07026D0 (en) * 1988-03-24 1988-04-27 Sheffield City Council Bone fixation
DE8805407U1 (ko) * 1988-04-23 1988-06-09 Herzberg, Wolfgang, Dr. Med., 2000 Wedel, De
GB2255284A (en) * 1988-08-01 1992-11-04 Univ Bristol External fixator
IT1228812B (it) * 1989-03-22 1991-07-04 Ortomedical S R L Apparecchiatura per il fissaggio extrafocale per sintesi transossea di distrazioni e compressioni in ortopedia e traumatologia.
US5275598A (en) * 1991-10-09 1994-01-04 Cook Richard L Quasi-isotropic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apparatus
US5591164A (en) * 1994-12-22 1997-01-07 Zimmer, Inc. External fixation apparatus and system
US5676664A (en) * 1995-11-27 1997-10-14 Zimmer, Inc. Orthopaedic distractor and/or fixator
US5725526A (en) * 1995-11-27 1998-03-10 Zimmer, Inc. Transport carriage for an external fixator
US5797908A (en) * 1997-02-04 1998-08-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External fixator assembly and clamp therefor
DE29820434U1 (de) * 1998-11-16 1999-02-25 Dunsch Herzberg Renate System zum Fixieren von Knochenfrakturen
US6336930B1 (en) 2000-03-07 2002-01-08 Zimmer, Inc. Polymer filled bone plate
US6964667B2 (en) * 2000-06-23 2005-11-15 Sdgi Holdings, Inc. Formed in place fixation system with thermal acceleration
EP1292239B1 (en) * 2000-06-23 2013-02-1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ercutaneous vertebral fusion system
US6899713B2 (en) 2000-06-23 2005-05-31 Vertelink Corporation Formable orthopedic fixation system
US6875212B2 (en) 2000-06-23 2005-04-05 Vertelink Corporation Curable media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
SE522202C2 (sv) * 2001-10-29 2004-01-20 Gen Orthopedics Internat Ab System för fixering av frakturer
US7367977B2 (en) * 2002-02-28 2008-05-06 Estrada Jr Hector Mark Apparatus for dynamic external fixation of distal radius and wrist fractures
US20060200127A1 (en) * 2005-02-23 2006-09-07 Ismail Wardak M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rnal fixation of bone fractures
GB0607535D0 (en) * 2006-04-13 2006-05-24 Fixator Innovations Ltd Fixator member
EP1920720B1 (en) * 2006-10-13 2014-03-19 Stryker Trauma SA Prevention of re-use of a medical device
US8758407B2 (en) * 2006-12-21 2014-06-24 Warsaw Orthopedic, Inc. Methods for positioning a load-bearing orthopedic implant device in vivo
US7771476B2 (en) 2006-12-21 2010-08-10 Warsaw Orthopedic Inc. Curable orthopedic implant devices configured to harden after placement in vivo by application of a cure-initiating energy before insertion
US8480718B2 (en) * 2006-12-21 2013-07-09 Warsaw Orthopedic, Inc. Curable orthopedic implant devices configured to be hardened after placement in vivo
US8663328B2 (en) * 2006-12-21 2014-03-04 Warsaw Orthopedic, Inc. Methods for positioning a load-bearing component of an orthopedic implant device by inserting a malleable device that hardens in vivo
US9907582B1 (en) 2011-04-25 2018-03-06 Nuvasive, Inc. Minimally invasive spinal fix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962188B2 (en) 2013-10-29 2018-05-08 Cardinal Health 247. Inc. External fix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11556379B (zh) * 2020-04-27 2021-11-09 深圳市信太通讯有限公司 一种具有网络保护的家庭wifi用智能路由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8038A (en) * 1955-06-27 1959-03-17 Reinhold Engineering & Plastic Plastic pipe bend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1804753C3 (de) * 1968-10-23 1974-12-05 Merck & Co., Inc., Rahway, N.J. (V.St.A.) Stützverbandmaterial
IT965762B (it) * 1972-03-01 1974-02-11 Kelderman J Perfezionamento nelle bende per uso chirurgico ed ortopedico composizione usata
US3877424A (en) * 1972-11-14 1975-04-15 William M Murray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rnal fixation of bone fractures
DE2650974C2 (de) * 1976-11-08 1982-05-19 John S. Boyden Jun. Material für orthopädische Stützverbände, Strümpfe und Schienen
DE2745504A1 (de) * 1977-10-10 1979-04-19 Erich Strickle Vorrichtung zur ruhigstellung oder stuetzung von gliedmassen von menschen und tieren
SU848008A1 (ru) * 1979-10-10 1981-07-23 Риж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институт Травматологии И Ортопедии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GB2086231A (en) * 1980-10-31 1982-05-12 Nat Res Dev Orthopaedic fracture fixation apparatus
DE3141909A1 (de) * 1980-10-31 1982-06-24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 London Orthopaedische bruchfixierungsvorrichtung
SU1146017A1 (ru) * 1982-04-15 1985-03-23 Военно-Медицинская Ордена Ленина Краснознаменная Академия Им.С.М.Кирова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4628919A (en) * 1983-09-09 1986-12-16 Clyburn Terry Dynamic external fixator and method of use
US4584995A (en) * 1984-04-26 1986-04-29 Orthotic Limited Partnership External fixation device
IT1181792B (it) * 1984-11-08 1987-09-30 Enrico Castaman Perfezionamenti alle apparecchiature per la stabilizzazione di fratture ossee
US4624249A (en) * 1984-12-04 1986-11-25 Medicuba Orthopedic external fixing apparatus
US4604996A (en) * 1985-03-11 1986-08-12 Nunamaker David M External skeletal fix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124B1 (ko) * 2011-03-31 2013-0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부위 지지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69052D1 (de) 1991-05-08
EP0260484B1 (de) 1991-04-03
EP0260484A1 (de) 1988-03-23
US4893618A (en) 1990-01-16
GR3001733T3 (en) 1992-11-23
ES2020976B3 (es) 1991-10-16
KR880701533A (ko) 1988-11-03
DE3628972A1 (de) 198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074B1 (ko) 외부고정기구
US11559340B2 (en) Bone repair system and method
US5891144A (en) External fixator
CA2056152C (en) External fixator
AU772701B2 (en) Polymer filled bone plate
US7648504B2 (en) Bioabsorbable band system
JP5572878B2 (ja) 骨折を外部から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840396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pairing craniomaxillofacial bones using customized bone plates
US52017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l fixation of fractures
GB2086231A (en) Orthopaedic fracture fixation apparatus
US20050203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bone segments
CN107635492A (zh) 外部固定系统
WO2006111852A2 (en) Fixation of bones after fracture
WO2000009019A1 (en) Bone fixation apparatus and method
FI104616B (fi) Ulkoinen kiinnitin
AU632248B2 (en) External fixation apparatus
BR112015023867B1 (pt) Dispositivo de fixação externa
RU2059403C1 (ru) Наруж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10784901U (zh) 一种手臂骨折用托架
KR100402983B1 (ko)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DE10226074A1 (de) Vorrichtung zur Osteosynthese von Knochenfrakturen
SK11895A3 (sk) Vonkajší fixátor zlomení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