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983B1 -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983B1
KR100402983B1 KR10-2001-0001820A KR20010001820A KR100402983B1 KR 100402983 B1 KR100402983 B1 KR 100402983B1 KR 20010001820 A KR20010001820 A KR 20010001820A KR 100402983 B1 KR100402983 B1 KR 10040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in
pins
fixation device
clamp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049A (ko
Inventor
구자교
한정수
김경태
김정성
신찬수
김병수
정재경
최인호
정창훈
한경진
박일형
한홍준
조윤제
이석현
옥인영
김동휘
신현대
김현우
노재영
송해룡
오종건
유재두
황건성
김강일
김부환
박희완
오창욱
양규현
정덕환
박기철
박형빈
Original Assignee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9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66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movable along a solid connecting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41Bilateral fixators, i.e. with both ends of pins or wires cla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58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fixed at ends of connecting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는, 뼈에 박히는 다수의 핀과, 상기 다수의 핀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연결로드와, 상기 핀과 연결로드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핀과 연결로드를 고정하는 다수의 핀 클램프로 이루어진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 연결로드가 상기 핀에서 벗어난 거리에 맞추어져 끼워지는 클램프 커넥터(32)에 의해 상기 핀 클램프(30)(30')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프 커넥터에 고정된 연결로드는 로드 커플러(34)에 의해 다른 연결로드와 고정된 구조이므로, 뼈에 박히는 핀 및 이 핀을 지지 고정하는 연결로드의 설치위치에 따라, 클램프 커넥터 및 로드 커플러를 사용하여 간단히 체외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부품수 및 부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an external fixator for bone fracture theraphy}
본 발명은 골절 시 체외에서 뼈를 고정시키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목부분의 골절 시 뼈를 고정시키는 체외 고정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절 상태에 따라 중수골(A)과 요골(B)에 각각 핀(2, 2')(4, 4')을 한 쌍씩 비스듬히 박히게 고정하고, 상기 각 한쌍의 핀(2 2')(4, 4')에는 연결로드(6, 6')(8, 8')를 걸쳐서 핀 클램프(10,10')(12, 12')로 고정하며, 상기 중수골측에 설치된 연결로드(6)과 요골측에 설치된 연결로드(8)는 그 각 중간부에 커플러 클램프(14)(14')가 설치되어 보조로드(16)로 연결하여 서로 고정하며, 상기 중수골측에 설치된 연결로드(6')과 상기 요골측에 설치된 연결로드(8')는 서로 인접하는 가장자리에 커플러 클램프(18)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즉, 중수골과 요골에 설치된 상기 핀(2, 2')(4, 4')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6, 8)(6', 8')는 서로 평행하지 못하므로, 상기 보조로드(16) 및 커플러 클램프(14)(14')(18)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골절치료용 체외 고정장치는, 연결로드의 설치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커플러 클램프의 선택하여 결합하여야 하므로 체외 고정장치의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커플러 클램프를 준비하여야 하므로 부품을 관리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는, 여러가지 부품을 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고정부에 의하여 전체 시스템의 고정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체외 고정시스템을 이루는 구성품이 많으므로 무겁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며, 시술자와 환자를 불편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외 고정장치의 구조 및 설치를 간단히 하며 부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한번의 체결로 핀과 로드를 간단히 고정할 수 있어, 시술 및 착용을 편리하게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가 손목에 설치된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핀 클램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핀이 결합된 상태),
도4는 도2의 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2의 클램프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6은 도2의 클램프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7은 도2의 로드 커플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골절 치료용 체외고정장치의 클램프 커넥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24 : 핀 26, 28 : 연결로드
30, 30' : 핀 클램프 32 : 클램프 커넥터
34 : 로드 커플러 36 : 제1부재
38 : 제2부재 40 : 외통
42 : 조임부재 44 : 핀
46 ; 로드 48 : 캡
50 : 조임부재(너트) 52, 52' : 연결블록
54 : 조임부재(볼트)
본 발명에 의한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는, 뼈에 박히는 다수의 핀과, 상기 다수의 핀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연결로드와, 상기 핀과 연결로드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핀과 연결로드를 고정하는 다수의 핀 클램프로이루어진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 연결로드가 상기 핀에서 벗어난 거리에 맞추어져 끼워지는 클램프 커넥터에 의해 상기 핀 클램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커넥터에 고정된 연결로드는 로드 커플러에 의해 다른 연결로드와 고정된다.
상기 핀 클램프는, 상기 핀이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회동가능케 끼워지며 상기 연결로드 또는 클램프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결합부 외면에 밀착삽입되며 상기 제1부재측 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제1부재에 끼워지는 핀을 상기 외통의 요철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제1부재에 나사결합된 조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 커넥터는, 그 일측부에 상기 연결로드가 원주면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타측부는 상기 핀 클램프에 끼워지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관통측에 외삽되어 이 연결로드에 밀착하는 캡과, 상기 캡을 상기 연결로드에 가압하도록 상기 로드의 관통측 단부에 나사결합된 조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드 커플러는,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이 연결구멍에 닿도록 트인 슬릿홈이 형성되어 U형으로 된 한쌍의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의 연결구멍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연결블록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한쌍의 연결블록을 조우는 조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쌍의 연결블록이 서로 밀착하는 면중 적어도 한 면에는 마찰력을 높이도록 요철띠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뼈(도시 안됨)에 박히는 핀(pin)(22)(24)과, 상기 핀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로드(connecting rod)(26)(28)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핀(22)(24)과 연결로드(26)(28)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핀(22)(24)과 연결로드(26)(28)를 고정하는 핀 클램프(pin clamp)(30)(3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로드(26)는 상기 핀 클램프(30')에 직접 끼워지고, 상기 연결로드(28)는 클램프 커넥터(clamp connector)(32)를 매개로 상기 핀 클램프(30)에 결합된다. 상기 핀(22)(24) 및 상기 연결로드(26)(28)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26)가 클램프 커넥터를 매개로 핀 클램프(3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연결로드(26) 및 연결로드(28)가 각 클램프 커넥터를 매개로 핀 클램프(30)(30')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로드(26)(28)는 로드 커플러(rod coupler)(34)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 클램프(30)(30')는, 상기 핀(22)(24)이 끼워지는 제1부재(36)과, 상기 연결로드(26) 또는 상기 클램프 커넥터의 후술하는 로드가 끼워지는 제2부재(38)와, 상기 제1, 제2부재(36)(38)에 외삽된 외통(40)과, 상기 제1부재(36)에 나사결합된 조임부재(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36)와 제2부재(38)는 핀(44)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재(36)는 상단부(36a), 중간단부(36b) 및 하단부(36c)로 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중간단부(36b)의 외경이 상단부(36a) 및 하단부(36c)의 외경보다 크다. 상기 상단부(36a)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부재(42)가 나사결합되도록 숫나사(36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단부(36c)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리세스부(36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36a)와 중간단부(36b)의 경계부에는 상기 핀(22)(24)이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관통구멍(36f)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36f)은 제1부재의 길이방향이 긴 장공이다.
상기 제2부재(38)는 상기 제1부재(36)의 하단부(36c)를 씌우는 캡형상이며, 그 외경은 상기 제1부재(36)의 중간부(36b)의 외경과 동일하다. 상기 제2부재(38)의 상측부, 즉 상기 제1부재의 하단부(36c)에 외삽되는 플랜지부에는 상기 핀(44)의 끼워져 상기 리세스부(36e)에 걸리도록 다수의 구멍(38a)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부재(38)의 하측부에는 상기 외통(40)이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리게 하는 걸림띠(38b)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로드(26) 또는 상기 클램프 커넥터(32)의 후술하는 로드가 끼워지는 구멍(38c)이 직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40)은 그 내주면이 상기 제1부재의 중간단부(36b) 및 제2부재의 상측부 외주면에 밀착하여 외삽되는 '플랜지 달린 부시'형상이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로드(26) 또는 상기 클램프 커넥터(32)의 후술하는 로드에 걸리는 대체로 반원형의 홈(40a)이 직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40)의 플랜지부의 상단면에는 방사상으로 요철띠(4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42)는 상기 제1부재(36)의 숫나사(36d)에 나사결합되는 통상의 너트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 커넥터(32)는, 로드(46)와, 이 로드(46)에 씌워져 상기 연결로드(28)에 밀착되는 캡(48)과, 이 캡(48)을 상기 연결로드(28)에 가압하는 조임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드(46)는, 상기 연결로드(28)가 끼워지는 원통부(46a)의 상측으로 숫나사부(46b)가 돌출되고, 원통부(46a)의 하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46c)를 경계로 하여 생크부(46d)가 길게 뻗은 형상이다. 상기 원통부(46a)에는 로드(46)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상기 연결로드(28)가 수용되는 홈(46e)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46e)은 원통부(46a)의 단면상의 중심에서 편심된 구멍을 형성한 후 상측으로 비스듬히 외측으로 트이게 한 '트인 홈'형상이다. 이와같이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트인 홈은 상기 연결로드(28)가 상측에서 용이하게 끼워지며 연결로드(28)가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캡(48)은 상기 원통부(46a)에 씌워지되, 상기 홈(46e)에 끼워지는 연결로드(28)을 지지하면서 누르도록 상기 홈(46e)에 맞추어지는 반원형의 홈(48a)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홈(48a)을 중심으로 일측(로드의 홈의 트인 측)은 짧게 절단되어 있다. 그리고, 캡(48)의 상면에는 상기 숫나사부(46b)가 통과하는 구멍(4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50)는 상기 로드(46)의 숫나사부(46b)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이다.
한편,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부재(50)를 완전하게 체결하지 않더라도 캡(48)의 일측으로 트인 홈(48a)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로드(46')의 원통부(46a)에는 돌출부(46f)가 구비되고 상기 캡(48)의 내벽에는 이 돌출부(46f)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48c)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46f)는 상기 원통부(46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돌출부재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46f) 또는 돌출부재는 볼 형상, 사각기둥형상, 핀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48c)은 내벽에서 외벽까지 트인 슬롯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캡(48)의 내벽에 돌출부(또는 돌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원통부(46a)의 외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같이 돌출부(또는 돌출부재) 및 가이드 홈을 구비한 구조는 사용시 캡(48)이 돌아가지 않으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드 커플러(34)는, 한쌍의 연결블록(52)(52')과, 상기 연결블록(52)(52')을 조우는 조임부재(54)로 이루어져 있다. 도7에서는 연결블록(52)(52')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설치시에는 연결로드(26)(28)의 위치에 따라 방향을 맞추어 조립한다.
상기 연결블록(52)(52')은, 상기 연결로드(26)(28)가 관통하는 연결구멍(52a)(52'a)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연결구멍(52a)(52'a)에 닿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홈(52b)(52'b)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연결블록(52)(52')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구멍(52a)(52'a)에 직각방향(연결블록의 높이방향)으로 구멍(52c)(5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블록 중의 하나(52')에 형성된 구멍(52'c)에는 상기 조임부재(54)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52'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연결블록이 서로 밀착하는 면에는 마찰력을 높이도록 요철띠(52e)(52'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띠(52e)(52'e)는 상기 구멍(52c)(52'c)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띠는 한쪽의 연결블록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조임부재(54)는 상기 구멍(52c)(52'c)에 끼워져 상기 암나사(52'd)에 나사결합되는 통상의 볼트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로드(26)(28), 및 클램프 커넥터(32)의 로드(46)는 방사선이 투과하는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재(플라스틱 복합소재 포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재는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나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재로 된 연결로드(26)(28) 및 클램프 커넥터의 로드(46)는, 가벼우므로 착용환자들에게 부담을 적게 주며, 방사선이 통과하므로 골절부의 방사선 촬영을 할 경우에 골절부위를 가리지 않게 되어 방사선 사진으로 치료의 추이를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재로 된 연결로드(26)(28), 및 클램프 커넥터의 로드(46)에는 방사선이 불투과하는 선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부재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된 금속재 와이어로 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부재는 방사선 촬영시에 사진에 나타나므로 상기 연결로드(26)(28) 및 로드(46)가 상기 핀 클램프(30)(30') 및 로드 커플러(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 사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에서, 골절된 뼈에는 다수의 핀(22)(24)을 박고, 상기 핀 클램프(30)(30')를 사용하여 연결로드(26)(28)와 상기 핀(22)(24)을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며, 인접하는 연결로드(26)(28)를 상기 로드 커플러(34)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하나의 핀 클램프(30)에는 클램프 커넥터(32)를 끼워 상기 연결로드(28)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28)가 상기 핀(24)에서 벗어난 거리에 맞추어 상기 클램프 커넥터(32)의 로드(46)를 핀 클램프(30)에 삽입하는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핀(22)(24) 및 상기 연결로드(26)(28)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핀 클램프(30')에 클램프 커넥터를 끼워 연결로드(26)를 고정하기도 하고, 상기 핀 클램프(30)(30')에 각각 클램프 커넥터를 끼워 각 연결로드(28)를 고정하기도 한다.
상기 핀 클램프(30)(3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제1부재(36)의 하측에 제2부재(38)을 씌우고, 제2부재의 구멍(38a)을 통해 핀(44)을 삽입하여 제1부재의 리세스부(36e)에 걸리게 한 다음, 제1부재(36)의 상측에서 외통(40)을 삽입한다. 이때, 외통(40)의 하단이 의 제1부재(38)의 걸림띠(38b)에 걸리어 외통(40)이 하측으로 빠지지 않는다.
다음에, 외통(40)의 홈(40a)을 제2부재(38)의 구멍(38c)에 맞추어,제2부재(38)의 구멍(38c)에 연결로드(26) 또는 클램프 커넥터의 로드(46)를 끼우는 한편, 제1부재(36)의 관통구멍(36f)에 핀(22)(24)를 삽입되게 하여, 조임부재(42)로 조우면, 상기 핀(22)(24)는 외통의 요철띠(40b)에 밀착하고, 연결로드(26) 또는 로드(46)가 외통의 홈(40a)에 밀착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요철띠(40b)는 핀(22)(24)과의 마찰력을 높여 고정력을 강화시킨다.
상기 조임부재(42)로 조우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부재(38)에 끼워진 핀(44)이 제1부재(36)의 리세스부(36e)를 타고 원주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지므로, 제2부재는 제1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핀(22)과 연결로드(26), 핀(24)와 로드(46)의 교차각을 맞출 수 있으므로, 뼈에 박힌 핀(22)(24)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연결로드(26)와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커넥터(32)의 조립은, 먼저 로드(46)의 생크부(46d)를 상기 핀클램프(30)의 구멍(38c)에 삽입한 다음, 트인 홈(46e)에 상기 연결로드(28)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하측으로 내려 끼운 다음, 캡(48)을 로드(46)의 상측에서 씌우면서 그 숫나사부(46b)가 구멍(48b)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면서 그 홈(48a)이 연결로드(28)를 감싸 밀착되게 한 후, 조임부재(50)로 조우면, 연결로드(28)가 견교하게 고정하여 완료된다.
그리고, 로드 커플러(34)는 연결로드(26)과 연결로드(28)를 고정하는데, 각 연결로드(26)(28)의 단부를 연결블록(52)(52')의 구멍(52a)(52'a)에 각각 삽입되게 하여, 조임부재(54)를 구멍(52c)에 끼워 암나사부(52'd)와 나사결합되게 조우면, 슬롯홈(52b)(52'b)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각 연결로드(26)(28)가 연결블록에 밀착고정되는 한편, 두개의 연결블록(52)(52')이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각 연결블록이 서로 밀착하는 면에 형성된 요철띠(40b)는 각 연결블록(52)(52')간의 마찰력을 높여 고정력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 장치는, 핀 클램프와 연결로드만으로 구성하거나, 핀 클램프와 로드 커플러 및 연결로드로 구성하거나, 핀 클램프와 클램프 커넥터 및 연결로드로 구성하거나, 핀 클램프와 클램프 커넥터와 로드 커플러 및 연결로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에 의하면, 뼈에 박히는 핀 및 이 핀을 지지 고정하는 연결로드의 설치위치에 따라, 클램프 커넥터 및 로드 커플러를 사용하여 간단히 체외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부품수 및 부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한번의 체결로 핀과 로드를 간단히 고정할 수 있어, 시술 및 착용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클램프 커넥터를 이용하여 종래의 체외 고정기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핀과 연결로드사이의 옵셋(offset)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뼈에 박히는 다수의 핀과, 상기 다수의 핀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연결로드와, 상기 핀과 연결로드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핀과 연결로드를 고정하는 다수의 핀 클램프로 이루어진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클램프 커넥터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연결로드가 끼워진 클램프 커넥터는 상기 핀 클램프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핀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핀에서 벗어난 거리에 맞추어져 상기 클램프 커넥터에 끼워지며,
    상기 핀 클램프는,
    상기 핀이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회동가능케 끼워지며 상기 연결로드 또는 클램프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결합부 외면에 밀착삽입되며 상기 제1부재측 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제1부재에 끼워지는 핀을 상기 외통의 요철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제1부재에 나사결합된 조임부재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커넥터에 고정된 연결로드는 로드 커플러에 의해 다른 연결로드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커넥터는,
    그 일측부에 상기 연결로드가 원주면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타측부는 상기 핀 클램프에 끼워지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관통측에 외삽되어 이 연결로드에 밀착하는 캡과,
    상기 캡을 상기 연결로드에 가압하도록 상기 로드의 관통측 단부에 나사결합된 조임부재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커플러는,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이 연결구멍에 닿도록 트인 슬릿홈이 형성되어 U형으로 된 한쌍의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의 연결구멍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연결블록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한쌍의 연결블록을 조우는 조임부재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블록이 서로 밀착하는 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마찰력을 높이도록 요철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를 완전하게 체결하지 않더라도 상기 캡의 홈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로드의 원통부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캡의 내벽에는 이 돌출부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를 완전하게 체결하지 않더라도 상기 캡의 홈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캡의 내벽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의 원통부에는 이 돌출부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 및 상기 클램프 커넥터의 로드는 방사선이 투과하는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 및 클램프 커넥터의 로드에는 방사선이 불투과하는 선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체외고정장치.
KR10-2001-0001820A 2001-01-12 2001-01-12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KR10040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820A KR100402983B1 (ko) 2001-01-12 2001-01-12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820A KR100402983B1 (ko) 2001-01-12 2001-01-12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49A KR20020061049A (ko) 2002-07-22
KR100402983B1 true KR100402983B1 (ko) 2003-10-22

Family

ID=2769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820A KR100402983B1 (ko) 2001-01-12 2001-01-12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91B1 (ko) 2015-12-04 2016-09-19 (주)올소테크 뼈 고정용 치료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708A (en) * 1977-07-22 1981-03-31 Giulio Gentile Articulated positioning system for devices adapted to externally exert a holding action on bone tissues
US4483334A (en) * 1983-04-11 1984-11-20 Murray William M External fixation device
KR930008243U (ko) * 1991-10-24 1993-05-24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체외고정기구
WO1997041790A2 (en) * 1996-05-06 1997-11-13 Tufts University External fixator clamp an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708A (en) * 1977-07-22 1981-03-31 Giulio Gentile Articulated positioning system for devices adapted to externally exert a holding action on bone tissues
US4483334A (en) * 1983-04-11 1984-11-20 Murray William M External fixation device
KR930008243U (ko) * 1991-10-24 1993-05-24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체외고정기구
WO1997041790A2 (en) * 1996-05-06 1997-11-13 Tufts University External fixator clamp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91B1 (ko) 2015-12-04 2016-09-19 (주)올소테크 뼈 고정용 치료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49A (ko) 200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843B2 (en) External bone fixation system
AU747932B2 (en) Clamping connector for spinal fixation systems
KR100771794B1 (ko) 척추 임플란트 결합 어셈블리
CA2073945C (en) Clamp coupling for an external fixator
CA1176529A (en) Colles fracture fixature device
US6565567B1 (en) Pedicle screw for osteosynthesis
US5891144A (en) External fixator
JP5230697B2 (ja) 骨板
US6340361B1 (en) External fixator clamp and system
CA2805109C (en) Assemblies for aligning a bone fixation plate
AU762937B2 (en) Backbone osteosynthesis system for anterior fixing
US5451225A (en) Fastener for external fixation device wires and pins
US4244360A (en) Orthopedic fixation pin holder
US5810814A (en) Bone fixing screw pin
US20060253118A1 (en) Spinal fixation system
JP2004136067A (ja) 骨折体外固定装置
MXPA01004599A (es) Componente de sujecion para un fijador de aro usado en cirugia ortopedica.
MXPA02011692A (es) Fijador externo axial mejorado.
EP1254640A2 (en) Swivel coupling
US5403313A (en) External fixation device for fractured bone
KR100402983B1 (ko) 골절 치료용 체외 고정장치
KR100271670B1 (ko) 골절 외고정 장치
KR100595479B1 (ko) 골절 체외고정장치
GB2114891A (en) External bone-pin splint
KR200301189Y1 (ko) 골절 체외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