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670B1 - 골절 외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골절 외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670B1
KR100271670B1 KR1019980010412A KR19980010412A KR100271670B1 KR 100271670 B1 KR100271670 B1 KR 100271670B1 KR 1019980010412 A KR1019980010412 A KR 1019980010412A KR 19980010412 A KR19980010412 A KR 19980010412A KR 100271670 B1 KR100271670 B1 KR 100271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od
pin
fixing
fix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902A (ko
Inventor
한홍준
Original Assignee
한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홍준 filed Critical 한홍준
Priority to KR101998001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670B1/ko
Priority to PCT/KR1999/000122 priority patent/WO1999048414A2/en
Publication of KR1999007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2Ring frames, i.e. devices extending around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58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fixed at ends of connecting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 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환상고정장치와 편측고정장치가 갖는 시술상의 불편과 환자의 행동제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1), 호형의 링(2)과, 봉과 링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클램프(3)와,뼈에 박혀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5)과, 상기 핀을 봉에 결합 고정시키는 핀-봉 고정클램프(6)와, 상기 핀을 링의 결합공(2(a))에 결합고정시키는 핀-링 고정 클램프(7)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 결합함으로서 편측고정방법과 환상고정방법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골절의 유합진행상태에 따라 편측고정방법과 환상고정방법을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편측고정에서 환상고정 또는 환상고정에서 편측고정으로 전환이 자유롭고,최소기구만을 사용하여 최적의 고정방법을 실시할 수 있어 치료도중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전체적으로 깔끔하고 종래의 외고정장치에 비하여 착용시의 고통이나 행동상의 제약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골절 외고정 장치
본 발명은 환상과 편측 고정을 조합하여 효과적으로 골절 외고정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한 골절 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봉과, 상하 표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갖는 호형의 링과, 봉과 링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클램프와, 링과 링을 결합고정시키는 링-링 고정클램프와, 뼈에 박혀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과, 상기 핀을 봉에 결합 고정시키는 핀-봉 고정클램프와, 봉과 봉을 연결하는 봉-봉 클램프와, 상기 핀을 링의 홀에 결합고정시키는 핀-링 고정 클램프로 구성되어 골절에 따라 환성고정과 편측고정을 조합시술할 수 있도록 한 골절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절외고정장치는 골절에 의하여 변위된 부위를 골절의 외부에서 고정 및 교정하여 원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 골절외고정장치는 편측고정장치와 환상고정 및 편측고정과 환상고정 통합 장치가 공지되고 있다.
편측고정장치의 기본 사상은 굵은 철봉과 핀 및 상기 핀을 철봉에 고정하는 크램프를 사용하여 골절부위를 외부에서 고정함으로서 변위부의 치료 복원 효과를 달성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세운 봉에 핀을 장착하여 뼈를 고정하도록 되기 때문에 골절 부분이 장골의 근위 및 원위부에 있어 관절과 가까운 경우나,골절의 형태가 두군데 이상 발생한 분절골절의 경우,나비형 골편((b)utterfly fr(a)gment)을 갖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예 Orthfix),골절이 두군데 이상 발생하여 여러 부위에서 고정한다 하더라도 링 부위가 없어 필요에 따라 환상고정상태의 추가 및 변형이 불가능하며(예:(a)O Monofix(a)tor),진구성 골절이나 골단축이 심한 골절등에서 골의 신연(lengthening or distr(a)ction)이나 각교정((a)ngul(a)tion correction)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신연 및 압박시에도 편측신연 및 압박에 따른 편심영향(c(a)ntilever effect)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환상고정장치의 기본 사상은 원형링과 상하 원형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주와 뼈의 양단을 관통 압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K-강선과 상기 K-강선을 링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에 의하여 골절부위를 고정하거나 뼈를 신장시키거나 압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지주에 원형링을 결합하고 K-강선의 양단을 원형링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서 상하 원형링의 간격을 조정하여 뼈의 신연이나 압박이 가능하고, 상하 링사이에 일정한 형태의 경첩을 설치하여 뼈의 각(角) 교정이 가능하지만 뼈와 근육을 완전히 관통하는 K-강선에 의해 여러 부위에서 극심한 통증을 수반하고, 인접관절운동을 제한하고 구축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혈관 및 신경의 손상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원형 링형태로 사용함으로서 환자가 행동하는데 매우 큰 불편을 느끼는 등, 골신장 등과 같은 특수 목적 이외에 단순한 골절의 외고정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점이 많고 가격이 너무 비싼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환상고정장치와 편측고정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새로운 방식의 골절외고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측과 환상고정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골절외고정장치(대한민국실용출원96-20932호)를 제시한 바 있다.
이것은 양단부 또는 전체에 나사를 형성한 장.단의 봉 세트와, 각도를 달리하여 구성한 호형의 링셋트와, 상기한 링과 봉을 결합하기 위한 너트로 외고정장치를 구성하여 봉과 링을 다양한 형태로 조합한 후 링에 형성된 결합공 및 봉상에 핀 또는 K-강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환상고정과 편측고정을 동시에 실시하거나 필요시 편측고정에서 환상고정으로 환상고정에서 편측고정으로 변환할 수 있고, 골절의 복원상태에 따라 구성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는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 제시한 바와 같은 골절외고정장치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링과 봉의 결합을 나사에만 의존함으로서 구성요소의 결합이나 해체과정이 복잡하고, 링의 구성이 1/2링(중심각180° 링)과 1/3링(중심각90-120° 링) 및 1/10링으로 구성되어 있어 2개의 1/2링을 결합하여 환상고정상태로 사용중 1/3링을 사용한 편측고정으로의 전환시 1/2링을 모두 제거하고 다시 1/3링을 결합하여야 하는등 불편사항이 많고, 만일 환상고정에서 편측고정으로 전환시 이와 같은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2개의 1/2링중 1개만 제거하고 1개의1/2링을 그대로 편측고정에 사용할 경우 편측고정에 필요한 링의 길이보다 너무 길어 외관상 깔끔하지 못하고 환자의 행동에 불편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편측고정과 환상고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된 골절외고정장치를 기초로 하여 최적의 골절외고정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째 목적은 편측고정 또는 환상고정을 각기 독립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골절부위에 박은 핀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필요시에는 추가로 봉을 더 설치하거나 제거시에도 골절의 안전성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며, 편측고정에서 환상고정 또는 환상고정에서 편측고정으로 전환이 자유로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며, 복잡한 골절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환상고정과 편측고정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도록 골절외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봉과 링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크램프와 링과 링을 연결하는 링-링 고정클램프 및 봉 과 봉을 연결하는 봉-봉 고정클램프를 골절외고정장치에 포함시켜 골절형태에 따라 최적의 조합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최적의 위치 및 방향에서 뼈의 고정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고정방법의 변환이 자유롭게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서 효과적 시술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최소 기구만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외고정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구 사용에 따른 환자의 행동의 제약을 최소화하고 깔끔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피 시술자의 만족도를 최대화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과, 상하 표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갖는 호형의 링과, 봉과 링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클램프와, 링과 링을 결합고정시키는 링-링 고정클램프와, 뼈에 박혀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과, 상기 핀을 봉에 결합 고정시키는 핀-봉 고정클램프와, 상기 핀을 링의 홀에 결합고정시키는 핀-링 고정 클램프 및 봉과 봉을 연결하는 봉-봉 고정클램프로 구성되는 골절외고정장치를 새로이 제시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골절외고정장치의 기본 결합구성도.
제2도는 봉의 구성도.
제3도는 링의 구성도.
제4(a)도 내지 제5(b)도는 봉-링 고정클램프의 실시례도 및 그 사용 상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링-링 고정클램프의 실시례도.
제7(a)도 및 제7(b)도는 핀-봉 고정클램프의 실시례도 및 그 사용 상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핀-링 고정클램프의 실시례도 및 그 사용 상태도.
제9도는 봉-봉 고정클램프의 실시례도.
제10도 내지 제13c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시술 상태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2중 골절상태에서 종래 편측고정장치의 시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 1a : 나사봉
1(b) : 비나사봉 2 : 링
2′ : 2/3링 2″ : 1/3링
2″ ′ : 1/10링 2a : 결합공
3 : 봉-링고정클램프 4 : 링-링 고정클램프
5 : 핀 6 : 핀-봉 고정클램프
7 : 핀-링고정클램프 8 : 봉-봉 고정클램프
본 발명은 봉(1), 호형의 링(2)과, 봉과 링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클램프(3)와, 뼈에 박혀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5)과, 상기 핀을 봉에 결합 고정시키는 핀-봉 고정클램프(6)와, 상기 핀을 링의 결합공(2(a))에 결합고정시키는 핀-링 고정 클램프(7)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하고, 링과 링을 결합고정시키는 링-링 고정클램프(4) 및 봉과 봉을 연결하는 봉-봉 고정클램프(8)가 부가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1도는 상기 구성에 의한 기본적 결합례를 도시한 것으로 구성되는 봉의 수와 링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봉(1)은 링(2) 또는 핀-봉 고정크램프(6)를 유지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길이에 걸쳐 나사를 형성한 나사봉(1(a))과 비나사 봉(1(b))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봉은 길이를 각기 달리한 장/중/단 나사봉과 장/중/단 비나사 봉으로 구성된다.
각 봉의 직경은 클램프와의 결합시 회전변형이 방지되는 최소한의 접지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정하며 대략 8mm내외가 되도록 함으로서 자체 중량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크램프 고정을 위한 필요 접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길이는 다리뼈의 고정시 요구되는 최대 길이를 고려하여 장/단에 따라 500-100mm범위로 구성한다.
호형링(2)은 시술시 장단지나 대퇴부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시술됨으로 시술부위의 최대 둘레를 고려하여 정하며, 대략 120-200mm범위의 반경과 15mm 내외의 폭 및 3mm내외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한다.
호형링은 중심각을 각기 다르게 한 일련의 링으로 구성되고, 각 링은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2(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호형링의 중심각은 골절의 최적 고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행동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정하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중심각이 225-240° 범위의 2/3 링(2′)과, 중심각이 120-135° 범위의 1/3링(2″), 120-40° 범위의 1/10 링(2″ ′)이 실 시술시 활용도가 높으므로 이와 같은 중심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형링은 종래의 환상고정시 사용하는 원형링과 동일한 고정효과를 달성하면서 환자의 부담을 크게 완화시키고, 환자의 행동을 자유롭게 하는 잇점을 갖는다.
즉, 중심각이 225-240°인 2/3링(2′)의 개구부를 무릎관절의 뒤쪽으로 향하도록 시술함으로서 골절이 장골의 근위 및 원위부에 있어 관절에 가까운 경우에 시행할때에도 K-강선을 사용한 고정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면서 환자는 무릎을 구부리는데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필요시에 1/3링을 별도의 링-링 고정크램프로 고정 결합함으로서 원형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리시켜 1/3링만으로도 고정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각 링에 형성된 결합공은 구경은 8mm 내외가 되도록 하여 상기한 봉이 결합공으로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공과 결합공의 중심 거리는 핀고정용 클램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15mm내외가 되도록 구성한다.
각 결합공은 크램프의 결합시 호형링 표면과 핀과의 접촉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공의 상하단에 챔버(2(b))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함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 고정 크램프의 핀공을 결합공에 삽입되는 테이퍼부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서 크램프의 조임시 핀과 클램프 및 링과의 접촉에 의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핀-링 고정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봉(1)과 링(2)의 결합은 나사봉(1(a))의 경우에는 봉고정너트(9)를 사용하여 수행하며, 비나사봉(1(b))의 경우에는 봉-링 고정크램프(3)를 사용한다.
봉-링 고정크램프(3)는 봉과 링을 고정하는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제4(a)도 및 제4(b)도는 봉-링 고정클램프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인바, 장방형 본체(3(a))의 상하단을 관통하는 봉 삽입공(3(b))이 형성되고 일측단으로부터 일정깊이로 링 삽입홈(3c)이 형성되며, 타단부로부터 링삽입홈으로 관통하는 나사공(3d)이 형성되어 조임나사(3e)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성은 링 삽입홈(3c)에 링(2)을 삽입한 후 링에 형성된 결합공(2(a))과 크램프에 형성된 봉삽입공(3(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봉(1)을 삽입하고, 크램프에 결합된 조임나사(3e)를 조여줌으로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나사의 선단부가 링의 외측변을 압박하여 조이도록 작용함으로서 봉과 링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봉-링 고정크램프(3)는 비나사봉과 링의 결합을 매우 간편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구성의 봉-링 고정 크램프는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a))의 일측변에 봉삽입공(3(b))과 연결되는 개구부(3f)를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의 봉-링 고정 크램프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과 봉의 결합시 링의 해당 결합공(2(a))에 봉(1)을 먼저삽입한 후 개구부를 통하여 봉과 링이 삽입되도록 링의 결합공과 크램프의 봉 삽입공을 일치시킨 후 봉을 삽입하는데 따른 불편을 해소하여 매우 간편하게 링과 봉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링-링 고정크램프(4)는 링(2)과 링(2)을 결합하여 시술에 필요한 링의 원호형을 얻기 위한 것으로 링과 링을 결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6(a)도 및 제6(b)도는 그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제6(a)도에 도시된 링-링 고정클램프는 "⊃"형 단면형의로 본체(4(a))를 구성하여 일측부에 링삽입홈(4(b))이 형성되도록 하고, 본체의 상하단을 관통하고 링의 결합공과 일치하는 2개의 볼트삽입공(4c)이 형성되어 결합하고자 하는 링(2)의 양단을 링삽입홈에 삽입한 후 볼트(4d)로 체결하는 구성을 갖는다.
제6(b)도에 도시된 링-링 고정클램프는 원호형 본체(4e)의 외측변에 맞춤턱(4f)을 형성하고 본체의 상하단을 관통하고 링의 결합공과 일치하는 2개의 볼트삽입공(4c)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링-링 고정크램프는 2/3링과 1/3링을 결합하여 원형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원형링으로 결합하여 환상고정한 후 일부 링을 분리하여 골절고정방법을 전환시킬 수 있다.
핀-봉 고정 크램프(6)는 봉상에 핀을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크램프로 클램프 본체를 봉에 고정시키는 수단과 핀을 클램프본체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구체적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7(a)도는 핀-봉 고정 크램프(6)의 일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머리부(6(b))와 나사부(6c)를 갖고 그 연결부가 일정한 경사의 테이퍼(6d)로 형성되며 테이퍼의 일부가 포함되도록 머리의 상하를 관통되는 봉삽입공(6e)이 형성되는 구성의 본체(6(a))와 , 중앙에 나사삽입공(6g)이 형성되고 일측 조임쇠의 측단에는 본체의 테이퍼를 수용하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접합부의 상하부에 핀 삽입공(6h)이 형성되는 죄우 대칭형의 조임쇠(6f)(6f′)와, 조임쇠를 관통하여 그 일측단으로 돌출되는 나사부(6c)에 결합되는 조임너트(6i)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핀-봉 고정크램프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너트를 느슨하게 하여 좌우 조임쇠가 약간 벌어지게 한 상태에서 본체의 봉 삽입공에 봉(1)을 삽입하고,뼈에 박혀 있는 상태의 핀(5)의 방향과 위치를 고려하여 봉상의 위치를 선정한 후 핀삽입공(6h)에 핀의 몸통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너트를 조임으로서 봉은 일측조임쇠의 평면과 봉삽입공과의 접촉압에 의해 고정되고 핀은 양 조임쇠로부터의 접촉압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핀-봉 크램프는 봉을 중심으로 360° 회전함으로서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할 수 있고, 조임쇠는 크램프 본체에 대하여 360° 회전함으로 골절의 형태에 따른 최적의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핀-링 고정크램프(7)는 클램프 본체를 링에 고정결합하는 수단과 클램프본체에 핀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링에 형성된 결합공을 이용하여 핀을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핀-링 고정클램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제8(a)도는 핀-링 고정클램프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 테이퍼(7(b)) 단부로부터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7c)와 테이퍼의 일부가 포함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핀삽입공(7d)이 형성되는 본체(7(a))와 본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조임너트(7e)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핀-링 고정크램프는 링의 결합공을 중심으로 360° 회전 가능하며,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링의 결합공에 나사부를 삽입하여 관통시킨 상태에서 핀삽입공에 핀을 끼운후 너트를 조여줌으로서 핀의 고정을 완료된다.
링의 결합공에 형성된 챔버(2(b))에 핀-링 고정크램프의 테이퍼(7(b))단이 삽입되면서 핀삽입공의 하단부는 링의 표면이하가 되며, 그에 따라 너트의 조임시 핀과 링표면과의 마찰접촉이 이루어져 핀의 고정이 이루어 진다.
봉과 봉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한 봉-링 고정클램프 2개와 1/3링을 사용하여 봉과 봉을 연결할 수 있으나,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봉 고정클램프의 구성과 동일하게 하되 핀공의 형성위치에 봉의 외경과 같은 봉삽입공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 봉-봉 고정클램프(8) 2개와 하나의 봉을 이용하여 봉과 봉을 연결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수직으로 세운 2개의 봉상에 봉-봉 고정클램프를 결합하고 상기 클램프에는 별도의 봉을 수평으로 하여 결합함으로서 봉과 봉을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핀-봉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서 수평봉상에도 핀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골절외고정장치의 구체적 적용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는 장골(10)의 상하부에 2중 골절(11)이 발생한 경우의 외고정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1/3 링(2″)을 전방 상중하에 배치하고 각 링의 단부에 비나사봉(1(b))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링 상에 고정한 2개의 핀(5)으로 골절근위부(12)를 고정하고, 중앙링에 고정한 하나의 핀과 봉상에 고정한 하나의 핀으로 골절중앙부위를 고정하며, 하부링에 고정한 하나의 핀과 봉상에 고정한 하나의 핀으로 골절하부를 고정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 핀의 고정은 링상의 결합공이나 봉상에 설치한 핀-봉클램프를 통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개수의 핀을 원하는 장소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후방에 2/3링을 링-링고정클램프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서 환상형태로 변환하여 k-강선(olive k-강선포함)을 이용한 고정을 할 수 있으며 압박 및 신연도 가능하게 된다.
골절의 유합은 골절부위에 압박력이 작용하면 촉진된다는 사실은 이미 확립된 정설로 상기 방법의 경우 압박에 의해 어느정도 골유합이 이루어진 뒤에는 뒤쪽의 2/3링을 제거하여 줌으로서 환자의 불편을 덜어주고 보행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편측고정 (Orthofix)을 채택하면 제1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절상하부 뼈의 고정이 상.중.하 3부위에서 안되어 불안정하거나 골절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측고정 (Monofix(a)tor)을 사용할 경우에 상.중.하 3부위에서 고정이 되더라도 봉을 통한 고정뿐 링을 이용한 고정이 안되어 압박을 하더라도 압박력이 뼈의 전면에 분포되지 않고 핀이 박힌 방향으로 편심되어 작용함으로서 압박이 잘되지 않을 뿐 아니라 필요시에 k-강선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고 환상형태로의 전환도 불가능한데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외고정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제11도는 장골의 상부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 고정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1/3링(2″)이 골절의 상하로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링의 중앙부에는 장길이의 비나사봉(1(b))을 결합하고 링의 양단에는 단 길이의 나사봉(1(a))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링에 고정한 2개의 핀으로 관절근위부를 고정하고, 하부링에 고정한 2개의 핀으로 골절하부를 고정하며, 하부로 노출되는 비나사봉상에 고정한 2개의 핀으로 골절하부를 고정한 방식이다.
상기 방식에서도 골의 신연과 압박이 가능하다.
즉,상부링과 봉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크램프(3) 나사를 약간 푼 상태에서 좌우측 나사봉의 봉고정너트(9)를 조여줌으로서 압박이 가능하고, 나사를 풀어줌으로서 신연이 가능해 지게 된다.
제12(a)도는 골절선이 관절에 매우 근접한 경우의 고정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1/3링(2″) 및 2/3링(2′)을 링-링 고정크램프(4)로 결합하여 만든 2개의 원형링을 상하로 배치하고 4개소에 봉을 삽입하여 링과 봉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링을 이용하여 K-강선(14)과 2개의 핀으로 관절근위부를 고정하고,하부링을 이용하여 K-강선과 중앙의 봉상에 고정한 3개의 핀으로 하부뼈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사용되는 봉중 2개의 봉은 나사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다른 나사봉을 첨가하여 골절부에 신연과 압박을 꾀할 수 있다.
제12(b)도는 제12(a)도에 의한 고정 후 골유합의 진행 상태에 따라 뒤쪽 2/3 링과 K-강선을 제거하여 편측고정상태로 전환한 것을 보인 것으로 링-링 고정크램프를 해체함으로서 쉽게 전환할 수 있고, 이 경우 환자에게 환상고정상태에 비하여 행동상의 제약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13(a)도는 장길이의 비나사봉과 단길이의 비나사봉 및 봉과 봉을 연결하는 링에 의해 장골중앙에 발생한 골절을 고정한 것을 보인 것으로 이 경우 제13(b)도와 같이 봉-봉 고정클램프(8)를 이용하여 봉과 봉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최소의 기구만을 사용하여 편측고정함으로서 환자의 행동상의 제약을 감소시키고 편측고정시의 골절부위 안전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효과를 갖는다.
제13c도는 제13(b)도 상태에서 골절의 접합이 어느정도 이루어진 후나 치료도중 피부이식등 다른 시술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 하나의 봉과 4개의 핀만을 사용한 단순 편측고정상태로 전환한 것을 보인 것이며, 동 방법은 골절상태가 단순하고 안전성이 좋을 때도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초기에는 제13c도처럼 단순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피부이식수술등 다른 수술을 종료한 후에 골절부위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14(b)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봉 클램프를 이용하여 추가로 핀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링을 설치하여 추가로 핀을 고정시킬 수 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핀을 고정하는 클램프,16은 나사,17은 종래의 편측고정에서 사용하는 봉과 봉을 연결하는 클램프를 표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된 고정방법 이외의 본 발명에 의한 외정정장치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다양하고, 골절형태에 따른 최적의 결합상태를 도출시킬 수 있으며, 보다 복잡한 편측고정에서 단순 편측고정에로의 전환이나 환상고정상태에서 편측고정상태로의 전환등 환자의 상태나 골절의 유합진행에 따라 효과적이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고정방법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종래의 편측고정 이나 환상고정 으로 곤란하였던 다양한 시술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 링, 봉과 링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클램프,뼈에 박혀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 상기 핀을 봉에 결합 고정시키는 핀-봉 고정클램프, 상기 핀을 링의 결합공에 결합고정시키는 핀-링 고정 클램프, 링과 링을 결합고정시키는 링-링 고정클램프,봉과 봉을 연결하는 봉-봉 고정클램프로 구성되는 골절외고정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골절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적절한 시술방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편측고정에서 환상고정 또는 환상 고정에서 편측고정으로의 전환을 자유로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에서 기술된 시술방법이나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최적의 시술방법과 필요와 기능에 따라 클램프의 구체적 형상과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봉과 링을 조합함으로서 편측고정 또는 환상고정을 각기 독립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골절부위에 박은 핀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필요시에는 편측고정에서 환상고정 또는 환상고정에서 편측고정으로 전환이 자유로이 이루어져 골절의 접합진행에 따라 기구의 일부를 해체하거나 고정방법의 전환을 통하여 최적 상태로 골절치료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최소기구만을 사용하여 최적의 고정방법을 실시할 수 있어 치료도중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술자의 의도대로 적합한 고정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시술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종래의 외고정에 비하여 착용시의 고통이나 행동상의 제약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봉(1), 호형의 링(2)과, 봉과 링을 결합하는 봉-링 고정클램프(3)와, 뼈에 박혀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5)과, 상기 핀을 봉에 결합 고정시키는 핀-봉 고정클램프(6)와, 상기 핀을 링의 결합공(2(a))에 결합고정시키는 핀-링 고정클램프(7)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 결합함으로서 편측고정방법과 환상고정방법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골절의 유합진행상태에 따라 편측고정방법과 환상고정방법을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외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봉은 전길이에 걸쳐 나사를 형성한 나사봉(1(a))과 비나사 봉(1(b))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봉은 길이를 각기 달리한 장/중/단 나사봉과 장/중/단 비나사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외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호형링은 중심각을 각기 다르게 한 일련의 링으로 구성되고, 각 링은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2(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되 중심각이 225-240° 범위의 2/3 링(2′)과, 중심각이 120-135° 범위의 1/3링(2″) 및 12-40° 범위의 1/10 링(2″ ′)이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외고정장치.
  4.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링과 링을 결합고정시키는 링-링 고정클램프(4)와, 봉 과 봉을 결합고정시키는 봉-봉 고정클램프(8)를 부가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외고정장치.
KR1019980010412A 1998-03-21 1998-03-21 골절 외고정 장치 KR100271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412A KR100271670B1 (ko) 1998-03-21 1998-03-21 골절 외고정 장치
PCT/KR1999/000122 WO1999048414A2 (en) 1998-03-21 1999-03-19 Fracture external fix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412A KR100271670B1 (ko) 1998-03-21 1998-03-21 골절 외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902A KR19990075902A (ko) 1999-10-15
KR100271670B1 true KR100271670B1 (ko) 2000-12-01

Family

ID=1953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412A KR100271670B1 (ko) 1998-03-21 1998-03-21 골절 외고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71670B1 (ko)
WO (1) WO19990484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0724A1 (en) * 2004-12-13 2007-09-12 Ghassan Salameh External fixation device for treatment of fractures, limb lengthening and correction of axial deviations (salamehfix 1)
NL1033925C2 (nl) * 2007-06-01 2008-12-02 Umc Utrecht Holding Bv Systeem voor het corrigeren van botten.
WO2009100247A1 (en) 2008-02-05 2009-08-13 Texas Scottish Rite Hospital For Children External fixator ring
WO2009100459A1 (en) 2008-02-08 2009-08-13 Texas Scottish Rite Hospital For Children External fixation strut
JP5667882B2 (ja) 2008-02-12 2015-02-12 テキサス スコティッシュ ライト ホスピタル フォー チルドレン 創外固定用接続棒の迅速な調節
EP2252222B1 (en) 2008-02-18 2014-03-26 Texas Scottish Rite Hospital For Children Tool for external fixation strut adjustment
BR112013003955B1 (pt) 2010-08-20 2021-01-05 Texas Scottish Rite Hospital For Children método de criação de um modelo 3d de um objeto
CN102860861B (zh) * 2012-10-22 2014-04-23 夏和桃 骨外固定器用快速延长杆及调控式仿生骨外固定器
US8574232B1 (en) 2012-11-13 2013-11-05 Texas Scottish Hospital for Children External fixation connection rod for rapid and gradual adjustment
CN104207832A (zh) * 2014-09-03 2014-12-17 特格喜吉嘎拉 一种整骨踝关节复杂性骨折治疗固定器
KR101501635B1 (ko) * 2014-09-30 2015-03-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외 고정 장치
CZ307595B6 (cs) * 2016-06-02 2019-01-02 Vysoká Škola Báňská-Technická Univerzita Ostrava Zevní fixátor pro stabilizaci kostních zlomenin nebo napravování tvarových deformit kostí lidí a zvířat a způsob jištění jeho tyčí
US20230200854A1 (en) * 2021-12-23 2023-06-29 Orthofix S.R.L. Orthopedic cable bone transport device and bone transport system comprising sai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0834A (en) * 1979-10-18 1984-05-29 Ace Orthopedic Manufacturing, Inc. External fixation device
CH664079A5 (fr) * 1985-01-24 1988-02-15 Jaquet Orthopedie Element d'arceau et fixateur externe pour osteosynthese et osteoplas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48414A3 (en) 2000-06-15
KR19990075902A (ko) 1999-10-15
WO1999048414A2 (en) 199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670B1 (ko) 골절 외고정 장치
US2251209A (en) Bone splint
EP2568896B1 (en) Multi-purpose external fixator
US4535763A (en) External bone-anchoring element
JP2004136067A (ja) 骨折体外固定装置
CA1176529A (en) Colles fracture fixature device
JP3085919B2 (ja) 外部固定具
US5653707A (en) External skeletal fixation system with improved bar-to-bar connector
ITVR940075A1 (it) Fissatore trocanterico esterno
WO2002047531A2 (en) Multi-pin clamp and rod attachment
CA2345511A1 (en) Securing component for a ring fixator used in orthopaedic surgery
JPH0644916B2 (ja) 骨の断片部へ取り付けられるピンを固定する外部装置
IE59031B1 (en) External bone fixation apparatus
CA2147630A1 (en) Spinal rod transverse connector for supporting vertebral fixation elements
JPH02215456A (ja) 整形外科用の固定装置
US200401332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bones in a healing position
CN107635492A (zh) 外部固定系统
CN108378911A (zh) 一种基于针灵活调节的混合式外固定器
GB2114891A (en) External bone-pin splint
WO2004019755A2 (en) Variable angle spinal implant connection assembly
KR20030057290A (ko) 골절 체외고정장치
KR200301189Y1 (ko) 골절 체외고정장치
JP4352112B2 (ja) 肢体の骨用固定装置
WO2018190610A1 (ko) 스크류 헤드 및 로드 동시 고정형 커넥터
KR0135786Y1 (ko) 골절외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