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대상골격의 길이방향으로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배치되는 둘 이상의 링부재; 각 링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대상골격에 대해 각 부재의 위치관계를 설정하는 로드; 각 링부재의 원주면상 소정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각 링부재에 대해 로드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링-로드 고정클램프;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고정핀;고정핀을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로드-핀 고정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는, 일측은 링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링고정부재; 중심에는 로드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 나사부중 하부 나사부는 링고정부재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는 제1로드고정부재; 및 상부로 제1로드고정부재의 상부 나사부를 관통시키면서 제1로드고정부재의 전후면을 감싸며, 제1로드고정부재의 전후면에 접면되는 전후부에는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제1로드고정부재의 상부 나사부에 너트 조임시 로드를 가압하여 로드를 제1로드고정부재에 고정하는 로드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핀 고정클램프는, 머리부에 고정핀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핀고정볼트; 서로 분리형성되어 핀고정볼트가 차례로 관통되며, 그 대향면 단부에 로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제2,3로드고정부재; 핀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제2로드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제2,3로드고정부재를 관통하는 핀고정볼트의 나사부에 너트 조임시 고정핀을 가압하여 핀고정볼트에 고정하고, 제2로드고정부재와 치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핀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는, 일단부가 링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고정부재; 머리부에 로드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로드고정볼트; 일측에는 링고정부재의 타단부가 수평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상,하 대응면으로 이루어지며, 각 대응면에는 로드고정볼트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로드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로드고정볼트의 하부에 너트 조임시 로드를 가압하여 로드를 로드고정볼트에 고정하고, 연결부재의 상부 대응면과 치합되어 회동이 방지되는 로드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손등이나 발등을 고정하는 보조 체외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형링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링-로드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링-로드 고정클램프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이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 도6, 및 도 7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서로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부재(10)(10´)와, 각 링부재(10)(10´)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20)와, 각 링부재(10)(10´)에 대해 로드(20)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한 쌍의 링-로드 고정클램프(30)와,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고정핀(40)과, 고정핀(40)을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로드-핀 고정클램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링부재(10)(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골격의 길이방향으로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와이어(11)에 의해 대상골격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결합공(1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호형링(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각 호형링(12)은 시술시 장단지나 대퇴부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시술되므로 시술부위의 최대 둘레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된다. 한편, 대개의 경우에 각 링부재(10)(10´)는 복수 개의 호형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나, 가벼운 골절일 경우에는 하나의 호형링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로드(20)는 각 링부재(10)(10´) 사이에 설치되어 각 부재의 위치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골절형태에 따라 그 수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또한 각 링부재(10)(10´) 사이에서 그 고정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20)는 방사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가벼운 소재인 탄소강으로 제작된다.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링부재(10)(10´)의 결합공(12a)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31a)이 형성된 링고정부재(31)와; 중심부에는 로드(20)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32a)이 전후로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나사부(32b)(32c)가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며, 각 나사부(32b)(32c)중 하부나사부(32c)는 링고정부재(31)의 체결공(31a)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는 제1로드고정부재(32)와; 상부로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상부나사부(32b)를 관통시키면서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전후면을 감싸고,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전후면에 접면되는 전후부에는 제1로드고정부재(32)의 관통공(32a)에 대응되는 관통공(33a)이 각각 형성되어, 로드고정부재(32)의 상부 나사부(32b)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로드(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로드고정부재(32)의 관통공(32a)에 고정시키는 로드고정편(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로드 고정클램프(30)에 따르면,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상부나사부(32b)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해제함으로써 로드(20)는 제1로드고정부재(32)로부터 이탈이 가능하게 되고, 제1로드고정부재(32)의 하부나사부(32c)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해제함으로써 제1로드고정부재(32)가 링고정부재(31)로부터 이탈되거나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며, 링고정부재(31)의 일측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해제함으로써 링고정부재(31)는 링부재(10)(10´)로부터 이탈되거나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링부재(10)(10´)를 대상골격에 고정한 상태로 골절상태에 따라 로드(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고정핀(40)은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로드-핀 고정클램프(5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골격에 박히게 된다. 이 때, 고정핀(40)의 타단부에는 골격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나사부(40a)가 형성되는데, 이 나사부(40a)는 골격의 외부로 드러나 피부에 닿게 되면 쓸림현상으로 인해 그 주변에 세균이 감염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골격에 완전히 박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40)의 나사부(40a)는 환자의 연령 및 골격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제작된다. 한편, 고정핀(40)은 골절정도에 따라 그 수를 추가 및 삭제하여 사용되며, 그 일단부의 직경은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0a)의 나사산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제작되므로 강도가 증대된다.
로드-핀 고정클램프(50)는 고정핀(40)을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에 고정핀(40)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51a)이 형성된 핀고정볼트(51)와; 서로 분리형성되고, 그 일단부에는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가 차례대로 관통되는 관통공(52a)이 각각 형성되며, 그 대향면 타단부에는 로드(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2b)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제2,3로드고정부재(52)(52´)와; 핀고정볼트(51)의 머리부와 제2로드고정부재 (52)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부에는 로드(20)의 일부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홈(53a)이 형성되어, 제2,3로드고정부재(52)(52´)를 관통하는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핀(40)을 가압하여 핀고정볼트(51)의 관통공(51a)에 고정하는 핀고정편(53)과; 일단부는 제3로드고정부재(52´)의 관통공(52a) 양쪽으로 형성된 홈(52c)을 관통하여 제2로드고정부재(52)의 대향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3로드고정부재(52´)의 관통공(52a) 양쪽으로 형성된 홈(52c)의 바닥에 걸려 제3로드고정부재(5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54a)가각각 형성된 한 쌍의 이탈방지로드(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제2로드고정부재(52)와 핀고정편(53)이 서로 접면되는 접면부에는 방사상의 나사산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므로, 핀고정볼트(51)의 관통공(51a)에 로드(20)가 고정될 때 제2로드고정부재(52)와 핀고정편(53)의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동방지홈(51b)이 형성되고 핀고정편(53)의 관통공(53b) 내주연에는 회동방지홈(51b)에 삽입되는 돌출부(53c)가 형성되므로, 핀고정볼트(51)에 대하여 핀고정편(53)의 상대회동이 방지된다. 한편, 제3로드고정부재(52´)는 각 이탈방지로드(5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과 아울러 제3로드고정부재(52´)의 관통공(52a) 양쪽으로 각 이탈방지로드 (54)(54´)가 위치되므로 제2로드고정부재(52)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링부재(10)(10´)를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시킨 후 여러 개의 와이어(11)를 이용하여 대상골격에 각각 고정하게 된다. 이 때 골절부위의 골절정도에 따라 대상골격에 링부재(10)(10´)를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링부재(10)(10´)를 여러 개의 와이어(11)를 이용하여 대상골격에 고정한 후에는, 링-로드 고정클램프(30)의 링고정부재(31)를 각 링부재 (10)(10´)의 결합공(12a)에 각각 너트로 느슨하게 체결하고,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상하 나사부(32b)(32c)에 조임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약하게 한 다음, 로드고정편(33)과 제1로드고정부재(32)에 로드(20)의 양단부를 각각 관통시킨다. 그리고 나서 대상골격에 고정된 링부재(10)(10´)를 이용하여 골절부위를 골절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올바르게 위치시킨 후, 그 상태에서 각 링부재(10)(10´)에 링고정부재 (31)를 고정하는 너트와 제1로드고정부재(32)의 각 나사부(32b)(32c)에 체결되는 너트를 조여줌으로써, 골절부위가 각 링부재(10)(1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각 링부재(10)(10´)가 골절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세 개 이상의 로드(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각 링부재(10)(10´)와 로드(20)를 이용해 대상골격의 골절부위를 고정시킨 후, 추가적인 고정상태를 얻기 위해서 골절부위에 고정핀(40)을 박게 된다. 고정핀(40)의 나사부(40a)를 골절부위에 박기 위해서는, 로드(20)에 로드-핀 고정클램프(50)를 느슨하게 설치한 후 핀고정볼트(51)의 관통공(51a)을 통해 고정핀(40)을 관통시켜 나사부(40a)를 골절부위에 박고,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조여 고정핀(40)과 로드-핀 고정클램프(5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위와 같이, 링부재(10)(10´), 로드(20), 및 고정핀(40)을 이용하여 대상골격의 골절부위를 정확하게 정복시킨 후 외상치료를 위해 로드(20)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외상치료 부위에 위치되는 고정핀(40)을 제거하고 로드(20)를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의 제1로드고정부재(32)로부터 분리한 다음, 링고정부재(31)를 링부재(10)(10´)로부터 분리하고,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를 각 링부재(10)(10´)의 다른 소정위치에 결합한 후, 분리된 로드(20)를 각 링-로드고정클램프(30)에 고정시킨다. 이처럼, 각 링부재(10)(10´)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로드(20)와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 그리고 고정핀(40)과 로드-핀 고정클램프(50)의 위치 변경만으로도 충분히 외상치료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외상치료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외상치료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상치료 부위에 위치되는 로드(20)의 위치를 변경하여서도 외상치료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로드(20)를 링부재(10)(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외상치료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링부재(10)(10´) 상에는 두 개 이상의 로드(20)가 유지되어야만 전체적인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골 유합이 이루어져 골절부위의 안정성이 확보되면, 링부재(10)(10´)를 대상골격에 고정하는 와이어(11)를 잘라 제거한 후 링-로드 고정클램프(30)의 제1로드고정부재(32) 상하부에 형성된 나사부(32b)(32c)에 체결되는 너트를 풀어줌으로써, 로드(20)로부터 링부재(10)(10´)를 제거할 수 있어 단순 외고정장치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링-로드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8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60)는, 일단부가 링부재(10)(10´)를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는 링고정부재(61)와; 머리부에 로드(20)의 단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로드고정볼트(62)와; 일측에는 링고정부재 (61)의 타단부를 수평으로 관통시키는 관통공(63a)이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상,하 대응면(63b)(63c)으로 이루어지며, 각 대응면 (63b)(63c)에는 로드고정볼트(62)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63d)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대응면(63b)의 관통공(63d) 입구 주위에는 방사상의 나사산부가 형성된 연결부재(63); 및 로드고정볼트(62)의 머리부와 연결부재(63)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부에는 로드(20)의 일부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홈(64a)이 형성되어, 연결부재(63)를 관통하는 로드고정볼트(62)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로드 (20)의 단부를 가압하여 로드고정볼트(62)의 관통공(62a)에 로드(20)를 고정하는 로드 고정편(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로드고정편(64)의 타단면에는 연결부재(63)의 상부 대응면(63b)에 형성된 방사상의 나사산부와 맞물려 치합되는 방사상의 나사산부가 형성되므로, 로드고정편(64)은 연결부재(63)의 상부 대응면(63b)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링고정부재(61)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되는 소정구간이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링부재(10)(10´)의 결합공(12a)에 나사부를 관통시키고 너트 체결할 때 육각기둥 구간을 스패너 등으로 고정하여 링고정부재(61)의 회동을 억지시킨 상태에서 링고정부재(61)를 링부재(10)(10´)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링고정부재(61)의 타단에는 연결부재(6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61a)이 장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로드-핀 고정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에 따르면, 로드-핀 고정클램프(50´)의 핀 고정볼트(51)에 형성된 관통공(51a)의 일측이 개방되어 고정핀(40)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거나 탈거되도록 이루어지므로, 로드(20)와 고정핀(40)을 유지한 상태에서 로드-핀 고정클램프(50´)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일단부는 클램프에 의해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보조로드(71)와, 제1보조로드(71)의 타단부에 클램프에 의해 장착되고 손등이나 발등을 고정하는 보조고정핀(72)이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제2보조로드(73)를 구비하는 보조 체외고정장치(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의 경우, 로드고정볼트의 머리부에 로드 대신 고정핀을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링고정부재 대신 로드를 관통시키도록 각 관통공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로드에 고정핀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로드-핀 고정클램프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