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189Y1 - 골절 체외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골절 체외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189Y1
KR200301189Y1 KR20-2002-0030739U KR20020030739U KR200301189Y1 KR 200301189 Y1 KR200301189 Y1 KR 200301189Y1 KR 20020030739 U KR20020030739 U KR 20020030739U KR 200301189 Y1 KR200301189 Y1 KR 200301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ing
pin
ring
fra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재
Original Assignee
김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재 filed Critical 김정재
Priority to KR20-2002-0030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2Ring frames, i.e. devices extending around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5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comprising a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58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fixed at ends of connec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뼈의 골절로 인한 연부조직의 손상과 골절의 치료에 사용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절 및 연부조직의 상태에 따라 골격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추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안정된 고정상태를 얻을 수 있는 골절 체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대상골격의 길이방향으로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배치되는 둘 이상의 링부재(10)(10´); 각 링부재(10)(10´) 사이에 설치되어 대상골격에 대해 각 부재의 위치관계를 설정하는 로드(20); 각 링부재(10)(10´)의 원주면상 소정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각 링부재(10)(10´)에 대해 로드(20)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링-로드 고정클램프(30);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고정핀(40); 고정핀(40)을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로드-핀 고정클램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절 체외고정장치{EXTERNAL FIXATION DEVICE FOR FRACTURES}
본 고안은 뼈의 골절로 인한 연부조직의 손상과 골절의 치료에 사용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절 및 연부조직이 손상되는 상태에 따라 다양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골절 체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절에 사용되는 외고정장치는 크게 단순 외고정장치, 클램프 외고정장치, 그리고 링 외고정장치로 나눌 수 있다.
단순 외고정장치는 하나의 클램프에 하나의 고정핀을 삽입하여 로드에 고정하는 것으로, 연부조직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골절된 사지에서는 설치하기가 힘들고, 골절부위의 일측면으로만 고정하게 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골절편이 짧은 경우에 핀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안정된 고정상태를 얻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클램프 외고정장치는 하나의 클램프에 여러 개의 고정핀을 삽입하여 로드에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핀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단순 외고정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로드로 전체 골격을 형성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링 외고정장치는 가장 안정성이 있는 외고정장치로서, 흔히 일리자로프(Ilizarov) 기기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일리자로프 외고정장치로 인해 신연골 형성술이 체계화되었다. 이 신연골 형성술은 정형외과적인 치료영역에서는 매우 획기적인 방법으로, 기존의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여러 질환들이 이 방법에 의해 비로소 그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즉 외상 혹은 감염 등에 의해 광범위한 뼈의 결손이 있거나 선천성 질환 등에 의해 사지의 뼈 길이가 심하게 짧은 경우에 그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웠으나 신연골 형성술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리자로프 시술에 사용되는 종래 골절 체외고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절부위의 소정위치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링부재(1)와, 각 링부재에 장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 지지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2), 및 각 링부재(1)의 상대위치가 고정되도록 각 링부재(1)를 120도 또는 90도의 등간격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3개 또는 4개의 로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각 와이어(2)를 골절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시술중 지속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면서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일리자로프 체외고정장치는 사지 기형의 교정이라는 독특한 기능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외상 즉,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첫째, 로드부재가 각 링부재를 90도 또는 120도의 등간격으로 각각 관통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기 때문에 연부 조직의 손상이 동반되어 그 치료가 필요한 경우 치료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골절부위를 링부재에 장착된 와이어에 의해서만 고정하기 때문에 혈관 및 신경의 손상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근육의 관통으로 인해 장기간 설치시에는 많은 통증과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며, 이후에 관절 강직이 발생하여 불량한 예후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 각 링부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중간 링부재를 로드로부터 분리할 수 없으므로 추가 변형이 필요한 경우, 각 링부재와 로드의 결합관계를 완전히 해제한 후 재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넷째, 설치 후 조정이 어려우므로 설치시에 정밀함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중에는 모든 과정에서 영상증폭기(Image Intensifier, C-arm)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지나친 방사선 노출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
마지막으로, 다른 외고정장치와의 호환성이 없으므로 이미 다른 외고정장치를 장착한 환자의 경우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여러 가지 외고정장치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골절 및 연부조직의 상태에 따라 골격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추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종래의 일리자로프 외고정장치와 같이 견고한 고정력을 갖을 수 있는 골절 체외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최소 기구만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시술을 수행하므로 환자의 행동제약을 최소화하고 깔끔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골절 체외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종래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형링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링-로드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링-로드 고정클램프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사시도.
도 7은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2, 도6, 및 도 7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링-로드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10′: 링부재 11 : 와이어
12 : 호형링 12a : 결합공
20 : 로드부재 30 : 링-로드 고정클램프
31 : 링고정부재 32 : 제1로드고정부재
33 : 로드고정편 40 : 고정핀
50 : 로드-핀 고정클램프 51 : 핀고정볼트
52, 52´: 로드 고정부재 53 : 핀고정편
54, 54´: 이탈방지로드 60 : 링-로드 고정클램프
61 : 링고정부재 62 : 로드고정볼트
63 : 연결부재 64 : 로드 고정편
70 : 보조 체외조정장치 71 : 제1보조로드
72 : 제2보조로드
본 고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대상골격의 길이방향으로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배치되는 둘 이상의 링부재; 각 링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대상골격에 대해 각 부재의 위치관계를 설정하는 로드; 각 링부재의 원주면상 소정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각 링부재에 대해 로드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링-로드 고정클램프;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고정핀;고정핀을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로드-핀 고정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는, 일측은 링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링고정부재; 중심에는 로드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 나사부중 하부 나사부는 링고정부재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는 제1로드고정부재; 및 상부로 제1로드고정부재의 상부 나사부를 관통시키면서 제1로드고정부재의 전후면을 감싸며, 제1로드고정부재의 전후면에 접면되는 전후부에는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제1로드고정부재의 상부 나사부에 너트 조임시 로드를 가압하여 로드를 제1로드고정부재에 고정하는 로드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핀 고정클램프는, 머리부에 고정핀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핀고정볼트; 서로 분리형성되어 핀고정볼트가 차례로 관통되며, 그 대향면 단부에 로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제2,3로드고정부재; 핀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제2로드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제2,3로드고정부재를 관통하는 핀고정볼트의 나사부에 너트 조임시 고정핀을 가압하여 핀고정볼트에 고정하고, 제2로드고정부재와 치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핀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는, 일단부가 링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고정부재; 머리부에 로드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로드고정볼트; 일측에는 링고정부재의 타단부가 수평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상,하 대응면으로 이루어지며, 각 대응면에는 로드고정볼트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로드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로드고정볼트의 하부에 너트 조임시 로드를 가압하여 로드를 로드고정볼트에 고정하고, 연결부재의 상부 대응면과 치합되어 회동이 방지되는 로드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손등이나 발등을 고정하는 보조 체외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형링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링-로드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링-로드 고정클램프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이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 도6, 및 도 7에 도시된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서로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부재(10)(10´)와, 각 링부재(10)(10´)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20)와, 각 링부재(10)(10´)에 대해 로드(20)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한 쌍의 링-로드 고정클램프(30)와,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고정핀(40)과, 고정핀(40)을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로드-핀 고정클램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링부재(10)(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골격의 길이방향으로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와이어(11)에 의해 대상골격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결합공(1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호형링(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각 호형링(12)은 시술시 장단지나 대퇴부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시술되므로 시술부위의 최대 둘레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된다. 한편, 대개의 경우에 각 링부재(10)(10´)는 복수 개의 호형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나, 가벼운 골절일 경우에는 하나의 호형링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로드(20)는 각 링부재(10)(10´) 사이에 설치되어 각 부재의 위치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골절형태에 따라 그 수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또한 각 링부재(10)(10´) 사이에서 그 고정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20)는 방사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가벼운 소재인 탄소강으로 제작된다.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링부재(10)(10´)의 결합공(12a)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31a)이 형성된 링고정부재(31)와; 중심부에는 로드(20)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32a)이 전후로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나사부(32b)(32c)가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며, 각 나사부(32b)(32c)중 하부나사부(32c)는 링고정부재(31)의 체결공 (31a)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는 제1로드고정부재(32)와; 상부로 제1로드고정부재 (32)의 상부나사부(32b)를 관통시키면서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전후면을 감싸고,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전후면에 접면되는 전후부에는 제1로드고정부재(32)의 관통공(32a)에 대응되는 관통공(33a)이 각각 형성되어, 로드고정부재(32)의 상부 나사부(32b)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로드(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로드고정부재(32)의 관통공(32a)에 고정시키는 로드고정편(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로드 고정클램프(30)에 따르면,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상부나사부(32b)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해제함으로써 로드(20)는 제1로드고정부재(32)로부터 이탈이 가능하게 되고, 제1로드고정부재(32)의 하부나사부(32c)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해제함으로써 제1로드고정부재(32)가 링고정부재(31)로부터 이탈되거나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며, 링고정부재(31)의 일측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해제함으로써 링고정부재(31)는 링부재(10)(10´)로부터 이탈되거나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링부재(10)(10´)를 대상골격에 고정한 상태로 골절상태에 따라 로드(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고정핀(40)은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로드-핀 고정클램프(5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골격에 박히게 된다. 이 때, 고정핀(40)의 타단부에는 골격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나사부(40a)가 형성되는데, 이 나사부(40a)는 골격의 외부로 드러나피부에 닿게 되면 쓸림현상으로 인해 그 주변에 세균이 감염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골격에 완전히 박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40)의 나사부(40a)는 환자의 연령 및 골격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제작된다. 한편, 고정핀(40)은 골절정도에 따라 그 수를 추가 및 삭제하여 사용되며, 그 일단부의 직경은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0a)의 나사산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제작되므로 강도가 증대된다.
로드-핀 고정클램프(50)는 고정핀(40)을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에 고정핀(40)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51a)이 형성된 핀고정볼트(51)와; 서로 분리형성되고, 그 일단부에는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가 차례대로 관통되는 관통공(52a)이 각각 형성되며, 그 대향면 타단부에는 로드(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2b)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제2,3로드고정부재(52)(52´)와; 핀고정볼트(51)의 머리부와 제2로드고정부재 (52)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부에는 로드(20)의 일부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홈(53a)이 형성되어, 제2,3로드고정부재(52)(52´)를 관통하는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핀(40)을 가압하여 핀고정볼트(51)의 관통공 (51a)에 고정하는 핀고정편(53)과; 일단부는 제3로드고정부재(52´)의 관통공(52a) 양쪽으로 형성된 홈(52c)을 관통하여 제2로드고정부재(52)의 대향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3로드고정부재(52´)의 관통공(52a) 양쪽으로 형성된 홈(52c)의 바닥에 걸려 제3로드고정부재(5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54a)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이탈방지로드(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제2로드고정부재(52)와 핀고정편(53)이 서로 접면되는 접면부에는 방사상의 나사산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므로, 핀고정볼트(51)의 관통공(51a)에 로드(20)가 고정될 때 제2로드고정부재(52)와 핀고정편(53)의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동방지홈(51b)이 형성되고 핀고정편(53)의 관통공(53b) 내주연에는 회동방지홈(51b)에 삽입되는 돌출부(53c)가 형성되므로, 핀고정볼트(51)에 대하여 핀고정편(53)의 상대회동이 방지된다. 한편, 제3로드고정부재(52´)는 각 이탈방지로드(5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과 아울러 제3로드고정부재(52´)의 관통공(52a) 양쪽으로 각 이탈방지로드 (54)(54´)가 위치되므로 제2로드고정부재(52)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링부재(10)(10´)를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시킨 후 여러 개의 와이어(11)를 이용하여 대상골격에 각각 고정하게 된다. 이 때 골절부위의 골절정도에 따라 대상골격에 링부재(10)(10´)를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링부재(10)(10´)를 여러 개의 와이어(11)를 이용하여 대상골격에 고정한 후에는, 링-로드 고정클램프(30)의 링고정부재(31)를 각 링부재 (10)(10´)의 결합공(12a)에 각각 너트로 느슨하게 체결하고, 제1로드고정부재(32)의 상하 나사부(32b)(32c)에 조임되는 너트의 조임력을 약하게 한 다음, 로드고정편(33)과 제1로드고정부재(32)에 로드(20)의 양단부를 각각 관통시킨다. 그리고 나서 대상골격에 고정된 링부재(10)(10´)를 이용하여 골절부위를 골절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올바르게 위치시킨 후, 그 상태에서 각 링부재(10)(10´)에 링고정부재 (31)를 고정하는 너트와 제1로드고정부재(32)의 각 나사부(32b)(32c)에 체결되는 너트를 조여줌으로써, 골절부위가 각 링부재(10)(1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각 링부재(10)(10´)가 골절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세 개 이상의 로드(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각 링부재(10)(10´)와 로드(20)를 이용해 대상골격의 골절부위를 고정시킨 후, 추가적인 고정상태를 얻기 위해서 골절부위에 고정핀(40)을 박게 된다. 고정핀(40)의 나사부(40a)를 골절부위에 박기 위해서는, 로드(20)에 로드-핀 고정클램프(50)를 느슨하게 설치한 후 핀고정볼트(51)의 관통공(51a)을 통해 고정핀(40)을 관통시켜 나사부(40a)를 골절부위에 박고, 핀고정볼트(51)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조여 고정핀(40)과 로드-핀 고정클램프(5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위와 같이, 링부재(10)(10´), 로드(20), 및 고정핀(40)을 이용하여 대상골격의 골절부위를 정확하게 정복시킨 후 외상치료를 위해 로드(20)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외상치료 부위에 위치되는 고정핀(40)을 제거하고 로드(20)를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의 제1로드고정부재(32)로부터 분리한 다음, 링고정부재(31)를 링부재(10)(10´)로부터 분리하고,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를 각 링부재(10)(10´)의 다른 소정위치에 결합한 후, 분리된 로드(20)를 각 링-로드고정클램프(30)에 고정시킨다. 이처럼, 각 링부재(10)(10´)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로드(20)와 각 링-로드 고정클램프(30), 그리고 고정핀(40)과 로드-핀 고정클램프(50)의 위치 변경만으로도 충분히 외상치료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외상치료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외상치료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상치료 부위에 위치되는 로드(20)의 위치를 변경하여서도 외상치료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로드(20)를 링부재(10)(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외상치료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링부재(10)(10´) 상에는 두 개 이상의 로드(20)가 유지되어야만 전체적인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골 유합이 이루어져 골절부위의 안정성이 확보되면, 링부재(10)(10´)를 대상골격에 고정하는 와이어(11)를 잘라 제거한 후 링-로드 고정클램프(30)의 제1로드고정부재(32) 상하부에 형성된 나사부(32b)(32c)에 체결되는 너트를 풀어줌으로써, 로드(20)로부터 링부재(10)(10´)를 제거할 수 있어 단순 외고정장치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링-로드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8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60)는, 일단부가 링부재(10)(10´)를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는 링고정부재(61)와; 머리부에 로드(20)의 단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로드고정볼트(62)와; 일측에는 링고정부재 (61)의 타단부를 수평으로 관통시키는 관통공(63a)이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상,하 대응면(63b)(63c)으로 이루어지며, 각 대응면(63b)(63c)에는 로드고정볼트(62)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63d)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대응면(63b)의 관통공(63d) 입구 주위에는 방사상의 나사산부가 형성된 연결부재(63); 및 로드고정볼트(62)의 머리부와 연결부재(63)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부에는 로드(20)의 일부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홈(64a)이 형성되어, 연결부재(63)를 관통하는 로드고정볼트(62)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로드(20)의 단부를 가압하여 로드고정볼트(62)의 관통공(62a)에 로드(20)를 고정하는 로드 고정편(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로드고정편(64)의 타단면에는 연결부재(63)의 상부 대응면(63b)에 형성된 방사상의 나사산부와 맞물려 치합되는 방사상의 나사산부가 형성되므로, 로드고정편(64)은 연결부재(63)의 상부 대응면(63b)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링고정부재(61)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되는 소정구간이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링부재(10)(10´)의 결합공(12a)에 나사부를 관통시키고 너트 체결할 때 육각기둥 구간을 스패너 등으로 고정하여 링고정부재(61)의 회동을 억지시킨 상태에서 링고정부재(61)를 링부재(10)(10´)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링고정부재(61)의 타단에는 연결부재(6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61a)이 장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작용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로드-핀 고정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에 따르면, 로드-핀 고정클램프(50´)의 핀 고정볼트(51)에 형성된 관통공(51a)의 일측이 개방되어 고정핀(40)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거나 탈거되도록 이루어지므로, 로드(20)와 고정핀(40)을 유지한 상태에서 로드-핀 고정클램프(50´)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2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는, 일단부는 클램프에 의해 로드(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보조로드(71)와, 제1보조로드(71)의 타단부에 클램프에 의해 장착되고 손등이나 발등을 고정하는 보조고정핀(72)이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제2보조로드(73)를 구비하는 보조 체외고정장치(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체외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로드 고정클램프의 경우, 로드고정볼트의머리부에 로드 대신 고정핀을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링고정부재 대신 로드를 관통시키도록 각 관통공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로드에 고정핀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로드-핀 고정클램프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골절 체외고정장치에 따르면, 골절 및 연부조직의 상태에 따라 골격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추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종래 일리자로프 외고정장치에서와 같은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상치료가 필요한 경우 외상치료를 위한 공간확보가 용이하여 외상치료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지나친 방사선 노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가의 양상증폭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이다.
게다가, 최소 기구만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시술을 수행하므로 환자의 행동제약을 최소화하고 깔끔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대상골격의 길이방향으로 대상골격을 관통시키면서 배치되는 둘 이상의 링부재;
    상기 각 링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대상골격에 대해 각 부재의 위치관계를 설정하는 로드;
    상기 각 링부재의 원주면상 소정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각 링부재에 대해 상기 로드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링-로드 고정클램프;
    상기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을 상기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로드-핀 고정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로드 고정클램프는,
    일측은 상기 링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링고정부재;
    중심에는 상기 로드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나사부중 하부 나사부는 상기 링고정부재의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되는 제1로드고정부재; 및
    상부로 상기 제1로드고정부재의 상부 나사부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제1로드고정부재의 전후면을 감싸며, 상기 제1로드고정부재의 전후면에 접면되는 전후부에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로드고정부재의 상부 나사부에 너트 조임시 상기 로드를 가압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제1로드고정부재에 고정하는 로드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로드 고정클램프는,
    일단부가 상기 링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고정부재;
    머리부에 상기 로드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로드고정볼트;
    일측에는 상기 링고정부재의 타단부가 수평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상,하 대응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대응면에는 상기 로드고정볼트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로드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로드고정볼트의 하부에 너트 조임시 상기 로드를 가압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로드고정볼트에 고정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대응면과 치합되어 회동이 방지되는 로드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핀 고정클램프는,
    머리부에 상기 고정핀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핀고정볼트;
    서로 분리형성되어 상기 핀고정볼트가 차례로 관통되며, 그 대향면 단부에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제2,3 로드고정부재;
    상기 핀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제2로드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로드고정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핀고정볼트의 나사부에 너트 조임시 상기 고정핀을 가압하여 상기 핀고정볼트에 고정하고, 상기 제2로드고정부재와 치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핀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제3로드고정부재의 관통공 양측으로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로드고정부재의 접면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타단부에는 상기 제3로드고정부재의 상기 홈 바닥에 걸려 상기 제3로드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탈방지로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6. 제 4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볼트의 나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동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고정편의 관통공 내주연에는 상기 회동방지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핀고정볼트에 대한 상기 핀고정편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 고정볼트에 형성된 관통공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핀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거나 탈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손등이나 발등을 고정하는 보조 체외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체외고정장치.
KR20-2002-0030739U 2002-10-15 2002-10-15 골절 체외고정장치 KR200301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39U KR200301189Y1 (ko) 2002-10-15 2002-10-15 골절 체외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39U KR200301189Y1 (ko) 2002-10-15 2002-10-15 골절 체외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822A Division KR100595479B1 (ko) 2001-12-28 2002-10-15 골절 체외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189Y1 true KR200301189Y1 (ko) 2003-01-15

Family

ID=4939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739U KR200301189Y1 (ko) 2002-10-15 2002-10-15 골절 체외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18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827A (zh) * 2019-04-14 2019-07-09 浙江工业大学 一种可调节骨骼矫形外固定架
CN110141336A (zh) * 2019-04-14 2019-08-20 浙江工业大学 一种夹具可无级调节的骨骼康复外固定架
KR20200105352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란스에이앤씨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CN111643168A (zh) * 2020-05-28 2020-09-11 衢州职业技术学院 一种骨骼康复用外固定架
CN112022347A (zh) * 2020-09-10 2020-12-04 杭州三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骨折复位的定位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352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란스에이앤씨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CN109984827A (zh) * 2019-04-14 2019-07-09 浙江工业大学 一种可调节骨骼矫形外固定架
CN110141336A (zh) * 2019-04-14 2019-08-20 浙江工业大学 一种夹具可无级调节的骨骼康复外固定架
CN111643168A (zh) * 2020-05-28 2020-09-11 衢州职业技术学院 一种骨骼康复用外固定架
CN112022347A (zh) * 2020-09-10 2020-12-04 杭州三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骨折复位的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2485B2 (ja) 骨折体外固定装置
US11986218B2 (en) External bone fixation system
EP0216563B1 (en) External bone fixation apparatus
US7704270B2 (en) Variable offset connectors and bone fixation methods
CA2805109C (en) Assemblies for aligning a bone fixation plate
JPS6318505B2 (ko)
JPH06218003A (ja) 頸脊椎固定装置
KR20010015816A (ko) 외과용 스크루 및 골절 안정 이식물
US5112331A (en) Orthopedic pins for external fixator
US10258378B2 (en) External bone fixation system
US200401332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bones in a healing position
US20040167518A1 (en) Radiolucent frame element for external bone fixators
US12016592B2 (en) External bone fixation system
KR100595479B1 (ko) 골절 체외고정장치
US9743959B2 (en) Low profile spinal fixation system
JP2009535090A (ja) 開放型背部調整連結装置
KR200301189Y1 (ko) 골절 체외고정장치
US20220022917A1 (en) External fixator for bone fractures
JPH05103792A (ja) かすがい固定システム
CN212490102U (zh) 后路寰椎复位固定系统
GB2250682A (en) Universal external fixation device for setting fractured long bone diaphysis
US20060293658A1 (en) Orthopedic clamps
US11484344B2 (en) Locking device for an external fixator for bone fracture
CN212547129U (zh) 动静结合式三维可调骨折复位外固定器
WO2020128581A1 (en) External fixator for bone fra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8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