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352A -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352A
KR20200105352A KR1020190024418A KR20190024418A KR20200105352A KR 20200105352 A KR20200105352 A KR 20200105352A KR 1020190024418 A KR1020190024418 A KR 1020190024418A KR 20190024418 A KR20190024418 A KR 20190024418A KR 20200105352 A KR20200105352 A KR 20200105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isk
carbon fiber
fiber composi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란스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란스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란스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2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352A/ko
Publication of KR2020010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2Ring frames, i.e. devices extending around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58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fixed at ends of connec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4Carbon; Graph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61B2017/00915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시 골의 접합 또는 골의 기형으로 인한 골격의 교정 및 길이의 신연(伸延)에 사용되는 골절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방사선 투과성을 높이고, 세포독성을 최소화하며, 경량화를 통해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로드, 디스크,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 상기 로드와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로드-디스크 고정클램프, 상기 디스크와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디스크-디스크 고정클램프, 상기 로드와 로드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로드-로드 고정클램프, 상기 핀을 로드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핀-로드 고정클램프, 상기 핀을 디스크의 결합공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핀-디스크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는 골절외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및 디스크의 재질이 탄소섬유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EXTERNAL FIXATION DEVICE FOR FRACTURES MADE BY CARBON FIBER}
본 발명은 골절시 골의 접합 또는 골의 기형으로 인한 골격의 교정 및 길이의 신연(伸延)에 사용되는 골절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방사선 투과성을 높이고, 세포독성을 최소화하며, 경량화를 통해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절외고정장치는 골절에 의하여 변위된 부위를 고정 및 교정하여 원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로 종래 굵은 철봉과 직경 5 내지 6㎜의 핀을 이용하여 편측고정을 하는 편측고정장치와 15 내지 18㎜ 범위의 K-강선과 원형철판(링)을 이용하여 환상으로 고정하는 환상고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측고정장치(orthofix monofixator,exter 등)는 골절이 장골의 근위 및 원위부에 있어 관절과 가까운 경우나, 골절의 형태가 두 군데 이상 발생한 분절골절의 경우, 나비형 골편(butterfly fragment)을 갖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고정력이 떨어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진구성 골절이나 골단축이 심한 골절등에서 골의 신연(lengthening or distraction)이나 각교정(angulation correction)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신연 및 압박시에도 편측신연 및 압박에 따른 편심 영향(cantilever effect)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환상고정장치(ilizarov)는 골의 신연 및 압박이나 각 교정능력은 우수하지만 K-강선의 뼈와 근육을 완전히 관통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통증과 혈 및 신경의 손상 위험이 높아 단순한 골절의 외고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환자의 불편과 통증이 너무 심한 문제점이 있고, 골신장 등의 특수 목적 이외에 단순한 골절의 외고정용으로는 가격이 너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편측고정장치와 환상고정장치는 종래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부식에 강한 금속 재질을 주로 사용해 제작되는데,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아 수술 후 치료 추이 추적시 영상 이미지 획득에 방해가 되고, 비중이 높아 하중이 무거워 환자의 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치료 기간이 장기화되고, 치료경과에서 부정적인 소견이 보이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1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65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방사선 투과성을 높이고, 세포독성을 최소화하며, 경량화를 통해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로드, 디스크,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 상기 로드와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로드-디스크 고정클램프, 상기 디스크와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디스크-디스크 고정클램프, 상기 로드와 로드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로드-로드 고정클램프, 상기 핀을 로드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핀-로드 고정클램프, 상기 핀을 디스크의 결합공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핀-디스크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는 골절외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및 디스크의 재질이 탄소섬유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는 구조안정성 증가 및 체결 구조의 자유도 확보를 위해서 원형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시간 사용시 오염이나 파손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속이 꽉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는 굽힙강성(Bending Stiffness)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 스테인리스 스틸 로드의 지름과 대비하여 1.3 내지 1.5배, 알루미늄 로드의 지름과 대비하여 1.2 내지 1.3배의 굵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 또는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배합하여 상기 로드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인발(Pultrusion) 성형 기법을,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로드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Autoclave 성형 또는 진공 Oven 성형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스크는 가운데 구멍이 뚫린 원형 또는 C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는 굽힙강성(Bending Stiffness)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 스테인리스 스틸 디스크의 두께와 대비하여 1.5 내지 2.0배, 알루미늄 디스크의 두께와 대비하여 1.3 내지 1.5배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 또는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 또는 탄소섬유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 SMC를 이용해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 상기 탄소섬유 SMC 최외각층 양쪽에 탄소섬유원단 또는 일방향의 속경화형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굴곡강성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배합하여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RTM 성형 기법을,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Autoclave 성형 또는 진공 Oven 성형 기법을, 탄소섬유 SMC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Press 압축 성형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 제작 시 세포 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화시간을 충분히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클램프는 PEEK, PA6, PA66, PA12, PC, 내지 PP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과 대비하여 높은 방사선 투과성을 가지는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해 디스크(Disc) 및 로드(Rod)를 제작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해 클램프를 제작함으로써 수술 과정 및 이후 방사선 촬영을 통한 치료 추이 추적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세포 독성이 없으며,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과 비교하여 비강성이 높아 30 내지 50% 가량 골절외고정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어 골절외고정장치를 장착한 환자의 일상생활에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무독성 및 경량화로 인하여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구성에 의한 기본적 결합례를 도시한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로드(1), 호형의 디스크(2), 로드(1)와 디스크(2)를 결합하는 로드-디스크 고정클램프(3), 디스크(2)와 디스크(2)를 결합고정시키는 디스크-디스크 고정클램프(4), 뼈에 박혀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핀(5), 상기 핀(5)을 로드(1)에 결합 고정시키는 핀-로드 고정클램프(6), 상기 핀(5)을 디스크(2)의 결합공에 결합고정시키는 핀-디스크 고정클램프(7) 및 로드(1)와 로드(1)를 연결하는 로드-로드 고정클램프(8)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1)는 탄소섬유복합재로 이루어지며 디스크(2) 또는 핀-로드 고정크램프(6)를 유지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 길이에 걸쳐 나사를 형성한 나사 로드와 비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로드는 길이를 각기 달리한 장/중/단 나사 로드와 장/중/단 비나사 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각 로드(1)의 직경은 클램프와의 결합시 회전변형이 방지되는 최소한의 접지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정해지며 대략 8mm 내외가 되도록 함으로서 자체 중량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크램프 고정을 위한 필요 접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길이는 다리뼈의 고정시 요구되는 최대 길이를 고려하여 장/단에 따라 500 내지 100mm 범위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드(1)는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체결 구조의 자유도 확보를 위해서 원형 봉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적합하다. 기존의 금속 재질과 동등한 굽힙 강성(Bending Stiffness)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름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스테인리스 스틸 대비 1.3 내지 1.5배, 알루미늄 대비 1.2 내지 1.3배의 지름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1)의 지름이 증가하더라도 탄소섬유복합재의 비중은 1.5 수준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7.9) 이나 알루미늄 (2.7) 대비 낮아 40 내지 60% 가량 경량화 가능하다. 상기 로드(1)는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상 보다는 속이 꽉 차이는 봉 형상이 장시간 사용시 오염이나 파손 위험이 적어 더 적절하다.
상기 로드(1)의 소재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직접 배합해도 되며,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드(1)의 제조 공법에 있어서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직접 배합할 시에는 인발(Pultrusion) 성형을, 프리프레그를 적용할 때는 Autoclave 성형 또는 진공 Oven 성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2)는 시술시 장단지나 대퇴부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시술됨으로 시술부위의 최대 둘레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정해지며, 대략 120 내지 200mm 범위의 반경과 15mm 내외의 폭 및 3mm 내외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2)는 중심각을 각기 다르게 한 일련의 디스크로 구성되고, 각 디스크은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2)는 가운데 구멍이 뚫린 원형 또는 C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C자 형태의 상기 디스크(2)의 중심각은 골절의 최적 고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행동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정해지며, 대략 중심각이 225 내지 240° 범위의 2/3 디스크와, 중심각이 120 내지 135° 범위의 1/3 디스크, 120 내지 40° 범위의 1/10 디스크가 실 시술시 활용도가 높으므로 이와 같은 중심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자 형태의 디스크(2)는 종래의 환상고정시 사용하는 원형디스크과 동일한 고정효과를 달성하면서 환자의 부담을 크게 완화시키고, 환자의 행동을 자유롭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즉, 중심각이 225 내지 240°인 2/3디스크의 개구부를 무릎관절의 뒤쪽으로 향하도록 시술함으로써 골절이 장골의 근위 및 원위부에 있어 관절에 가까운 경우에 시행할 때에도 K-강선을 사용한 고정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면서 환자는 무릎을 구부리는데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각 디스크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은 구경이 8mm 내외가 되도록 하여 상기 로드(1)가 상기 결합공으로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공과 결합공의 중심 거리는 핀고정용 클램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15mm 내외가 되도록 구성한다.
각 결합공은 크램프의 결합시 디스크 표면과 핀과의 접촉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공의 상하단에 챔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함으로서 핀 고정 크램프의 핀공을 결합공에 삽입되는 테이퍼부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서 크램프의 조임시 핀과 클램프 및 디스크와의 접촉에 의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핀-디스크 고정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크(2) 설계에 있어 기존의 금속 재질과 동등한 굽힙강성(Bending Stiffness)을 유지하기 위해서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스테인리스 스틸 대비 1.5 내지 2.0배, 알루미늄 대비 1.3 내지 1.5배로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2)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탄소섬유복합재의 비중은 1.5 수준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7.9) 이나 알루미늄 (2.7) 대비 낮아 30 내지 50% 가량 경량화가 가능하다.
탄소섬유복합재 디스크용 소재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직접 배합해도 되며,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탄소섬유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적용해도 좋다. 탄소섬유 SMC 적용시에는 비교적 강성이 약한 탄소섬유 SMC의 최외각층 양쪽에 탄소섬유원단 또는 일방향의 속경화형 프리프레그를 적층하면 굴곡강성도 향상되고, 심미적 품질도 향상될 수 있다.
탄소섬유복합재 디스크 제조 공법에 있어서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직접 배합할 시에는 RTM 성형을, 프리프레그를 적용할 때는 Autoclave 성형 또는 진공 Oven 성형을, 탄소섬유 SMC를 적용할 때는 Press 압축 성형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포 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경화시간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로드(1)와 디스크(2)의 결합은 나사 로드의 경우에는 로드고정너트를 사용하며, 비나사 로드의 경우에는 로드-디스크 고정크램프(3)를 사용하게 된다. 로드-디스크 고정크램프(3)는 로드와 디스크를 고정하는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디스크-디스크 고정클램프(4)는 디스크와 디스크 사이를 고정하며, 핀-로드 고정클램프(6)는 상기 핀(5)을 로드(1)에 결합 고정시킨다. 핀-디스크 고정클램프(7)는 상기 핀(5)을 디스크(2)의 결합공에 결합고정시키고, 로드-로드 고정클램프(8)는 로드(1)와 로드(1)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고정클램프의 경우 종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PEEK, PA6, PA66, PA12, PC, PPS 와 같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고정클램프를 제작할 수 있다. 금속재에 비하여 보다 비중이 낮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시 강도는 유지하면서도 더 높은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금속재와 달리 방사선 투과도가 향상되므로 방사선 촬영을 통한 치료 추이 추적이 보다 원활해진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뼈에 삽입하는 핀(5)은 기존의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티타늄 재질을 그대로 적용하며, 드릴을 이용한 삽입술식 역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구성에 의한 기본적 결합례를 도시한 것으로 구성되는 로드의 수와 디스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금속과 대비하여 높은 방사선 투과성을 가지는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해 디스크(Disc) 및 로드(Rod)를 제작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해 클램프를 제작함으로써 수술 과정 및 이후 방사선 촬영을 통한 치료 추이 추적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세포 독성이 없으며,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과 비교하여 비강성이 높아 30 내지 50% 가량 골절외고정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어 골절외고정장치를 장착한 환자의 일상생활에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무독성 및 경량화로 인하여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로드
(2) : 디스크
(3) : 로드-디스크 고정클램프
(4) : 디스크-디스크 고정클램프
(5) : 핀
(6) : 핀-로드 고정클램프
(7) : 핀-디스크 고정클램프
(8) : 로드-로드 고정클램프

Claims (12)

  1. 로드, 디스크,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핀, 상기 로드와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로드-디스크 고정클램프, 상기 디스크와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디스크-디스크 고정클램프, 상기 로드와 로드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로드-로드 고정클램프, 상기 핀을 로드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핀-로드 고정클램프, 상기 핀을 디스크의 결합공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핀-디스크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는 골절외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및 디스크의 재질이 탄소섬유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구조안정성 증가 및 체결 구조의 자유도 확보를 위해서 원형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시간 사용시 오염이나 파손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속이 꽉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굽힙강성(Bending Stiffness)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 스테인리스 스틸 로드의 지름과 대비하여 1.3 내지 1.5배, 알루미늄 로드의 지름과 대비하여 1.2 내지 1.3배의 굵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 또는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배합하여 상기 로드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인발(Pultrusion) 성형 기법을,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로드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Autoclave 성형 또는 진공 Oven 성형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가운데 구멍이 뚫린 원형 또는 C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굽힙강성(Bending Stiffness)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 스테인리스 스틸 디스크의 두께와 대비하여 1.5 내지 2.0배, 알루미늄 디스크의 두께와 대비하여 1.3 내지 1.5배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의 배합, 또는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 또는 탄소섬유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탄소섬유 SMC를 이용해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 상기 탄소섬유 SMC 최외각층 양쪽에 탄소섬유원단 또는 일방향의 속경화형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굴곡강성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탄소섬유 원단과 열경화성 수지를 배합하여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RTM 성형 기법을, 수지가 미리 함침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Autoclave 성형 또는 진공 Oven 성형 기법을, 탄소섬유 SMC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Press 압축 성형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 제작 시 세포 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화시간을 충분히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PEEK, PA6, PA66, PA12, PC, 내지 PP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KR1020190024418A 2019-02-28 2019-02-28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KR20200105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18A KR20200105352A (ko) 2019-02-28 2019-02-28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18A KR20200105352A (ko) 2019-02-28 2019-02-28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52A true KR20200105352A (ko) 2020-09-07

Family

ID=7247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18A KR20200105352A (ko) 2019-02-28 2019-02-28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3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0232A (zh) * 2021-06-09 2021-09-28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智能骨折复位牵引装置
US11413070B2 (en) 2021-11-22 2022-08-16 New Standard Device, LLC Locking clamp and external fixation hor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189Y1 (ko) 2002-10-15 2003-01-15 김정재 골절 체외고정장치
KR100426565B1 (ko) 2001-05-04 2004-04-08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체외고정장치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565B1 (ko) 2001-05-04 2004-04-08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체외고정장치의 조절장치
KR200301189Y1 (ko) 2002-10-15 2003-01-15 김정재 골절 체외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0232A (zh) * 2021-06-09 2021-09-28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智能骨折复位牵引装置
US11413070B2 (en) 2021-11-22 2022-08-16 New Standard Device, LLC Locking clamp and external fixation hor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8291B2 (en) External fixator
US9351764B2 (en) External fixation
EP0248138B1 (en) External dynamic bone fixation device
US8080037B2 (en) Spinal cross-connector with spinal extensor muscle curvature
US20050203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bone segments
EP0072849A4 (en) DEVICE FOR FIXING A BREAK.
WO2012004798A1 (en) Polyaxial external fixa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168064B2 (en) Bilateral dynamic external distractor for the treatment of complex fracture luxations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hand
US20100082071A1 (en) Composite Screw Having A Metallic Pin and a Polymeric Thread
US200401332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bones in a healing position
US10258378B2 (en) External bone fixation system
KR20200105352A (ko) 탄소섬유복합재 골절외고정장치
CN103445839B (zh) 踝关节多维调控矫形器
US9408635B2 (en) External fixation
CN108065995B (zh) 一种骨骼矫正器及骨骼矫正方法
CN110325133B (zh) 模块化外固定器
RU247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ое для лечения переломов костных тканей (варианты)
De Bastiani et al. Dynamic axial external fixation
WO2013005130A1 (en) Fixator for bone fractures
CN220423949U (zh) 一种用于胫骨骨折的外固定架
US20230090626A1 (en) Conversion kit for an external fixation system
RU20695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рескост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длинных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RU2040219C1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пронь-2"
RU2185797C1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ый стержневой аппарат для чрескост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CN111759433A (zh) 可从刚性渐变为轴向非刚性固定的四肢钉棒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