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928B1 -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928B1
KR910001928B1 KR1019880017920A KR880017920A KR910001928B1 KR 910001928 B1 KR910001928 B1 KR 910001928B1 KR 1019880017920 A KR1019880017920 A KR 1019880017920A KR 880017920 A KR880017920 A KR 880017920A KR 910001928 B1 KR910001928 B1 KR 91000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zeolite
adsorbent
carbon dioxide
zeoli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130A (ko
Inventor
이종렬
김상식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재단법인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박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재단법인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박태준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928B1/ko
Publication of KR90000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2Naturally occurring clays or bleaching ear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처리를 행하지 않은 천연제올라이트의 X-선 회절분석도.
제2도는 천연제올라이트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X-선상대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3도는 천연제올라이트의 산처리정도에 따른 X-선상대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4도는 천연제올라이트의 칼슘이온 교환정도에 따른 X-선 상대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의 흡착제와 처리되지 않은 천연제올라이트에 대한 압력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양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가 다량함유된 제철부생가스등의 연속배가스로 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하는 흡착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제올라이트(Zeolite)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혼합기체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법과 TSA(Thermal Swing Adsorption)법등의 흡착법과 용액을 이용하는 흡습법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PSA 법 및 TSA 법과 같은 흡착법은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합성제올라이트 5A 또는 13X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합성흡착제는 물, 산화나트륨, 실리카, 알루미나등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주어진 반응온도내에서 제조되는 것으로서 그 제조법이 복잡하고 제품가격이 비싸므로, 이러한 흡착법은 저농도 이산화탄소 분리나 고순도 소량제조와 같은 특정분야에만 주로 사용되왔다.
한편, 용액을 이용하여 혼합기체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분리하는 상기 흡수법에는 K2C3O 수용액을 이용하는 방법(일본 스미또금속)과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을 흡수액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들은 고농도기체를 다량으로 분리할 수 있지만 흡수장치, 압력 변환장치, 온도 변환장치, 콘덴서등의 분리에 필요한 제반장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불순물, 열등에 의한 흡수액의 손실과 설비부식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제올라이트를 소정온도에서 열처리한 후 산처리 및 칼슘이온 교환처리를 실시하므로서, 경제적이고 흡착능이 우수한 흡착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모더나이트(Mordenite)계인 천연제올라이트를 200-350℃로 열처리한 후 0.8N 이하의 염산수용액으로 산처리한 다음 0.7N 이하의 염화칼슘 수용액으로 칼슘이온 교환시키는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제 올라이트 5A와 13X는 각각에서 Ca-A와 Na-X이고 Ca-A의 세공 경(지름)은 5A, 13X는 9-10A 정도이다.
그런데 흡착제를 세공경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이유는 이산화탄소는 그 운동분자경(이하, "분자경"이라함)이 3.3A 정도이나 사극자 모멘트(Quadrupole Moment)가 0.64A로 제올라이트의 정전기장과 상호작용(Field-quadrupole interaction)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합성제올라이트를 대체할 수 있는 향상된 흡착제를 천연제올라이트로부터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와 천연제올라이트간의 상호작용이 우수해야 하며, 또한, 우수한 흡착능을 갖기 위해서는 천연제올라이트가 결정성 광물이므로 결정이 잘 발달하고 표면이 발달(Spong-like)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산화탄소의 상호작용 및 결정화를 달성하므로서 보다 흡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천연제올라이트중에서 세공경이 7-8A인 모더나이트계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처리조건으로 처리한 것이다. 상기에서 모더나이트계 천연제올라이트(이하, "천연제올라이트"라 칭함)를 열처리하는 것은 엔도섬(endotherm) 효과(천연제올라이트내의 유기물질을 연소시키는 효과를 말함)을 얻고 결정화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열처리온도가 200℃ 이하인 경우에는 천연제올라이트의 결정화정도 및 엔도섬효과가 미흡하고, 350℃ 이상에서는 엔도섬효과는 우수하지만 결정성이 붕괴되므로, 열처리온도는 200-35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처리는 천연제올라이트에 함유된 Ca, Fe, Cu, Na, K 및 Mg 등의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염산수용액의 농도가 0.8N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의 제거효과는 우수하지만, 상기 열처리에 의해 형성된 결정이 붕괴되므로 염산의 농도는 0.8N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슘이온의 교환은 다음과 같은 작용 즉,
Figure kpo00001
(여기서, M : 칼슘이온을 나타냄)
을 하여 흡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염화칼슘의 농도가 0.7N 이상인 경우에는 칼슘이온을 교환시키는 효과는 향상되지만, 이 역시 천연제올라이트의 결정이 붕괴되므로, 염화칼슘의 농도는 0.7N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모더나이트게 천연제올라이트를 열처리하기 전에 X-선 회절분석시험을 실시하여 회절각에 따른 X-선강도를 제1도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2
다음에, 상기 천연제올라이트를 열처리하여 다시 X-선 회절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열처리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열처리후의 X-선 피크강도/열처리전의 X-선피크 강도×100으로 계산된 상대강도를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열처리조건에 해당되는 200-350℃의 범위에서 결정화정도를 나타내는 X-선 상대강도값이 우수함을 알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모더나이트계 천연제올라이트를 염산의 농도를 변화시켜가면서 산처리를 실시한 후 X-선 회절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1도에 나타난 회절각(2θ)=22.15 및 25.30에 대하여, 산농도변화에 따른 산처리 의 X-선 강도/산처리전의 X-선강도×100으로 계산되는 상대강도를 측정하여 제3도에 나타내었다.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연산의 농도가 0.8N 이하인 경우 결정화 정도를 나타내는 X-선 상대강도가 우수함을 알수 있다.
[실시예 3]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하여 칼슘이온을 상기 실시예 1의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모더나이트계 천연제올라이트에 교환시킨 다음, X-선 회절분석실험을 실시하였다.
제2도에 나타난 22.15° 및 25.30°의 회절각(2θ)에 대하여 칼슘이온 교환처리후의 X-선강도/칼슘이온 교환처리전의 X-선강도×100으로 계산되는 상대강도를 측정하여 제4도에 나타내었다.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염화칼슘의 농도가 0.7N 이하인 경우에 결정성정도를 나타내는 X-선 상대강도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3이 본 발명의 처리공정 각각에 대하여 행하여졌으나, 여기서 얻어지는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일련으로 실시하여 제조되는 흡착제에서 얻어지는 결과에 비례하게 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모더나이트계 천연제올라이트를 350℃에서 열처리한 다음 0.8N 농도를 갖는 염산수용액으로 산처리하고 이어서 0.7N 농도를 갖는 염화칼슘 수용액을 사용하여 칼슘이온을 천연제올라이트에 교환시켜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본 발명의 흡착제와 본 발명에 부합되는 처리를 행하지 않은 천연제올라이트에 대하여, 압력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량을 측정하여 제5도에 나타내었다.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흡착제는 압력을 1기압에서 5기압으로 변화시키는 경우, 흡착량의 차가 30㎎인데 반하여, 본 발명처리를 행하지 않는 천연제올라이트는 그 차가 19.5㎎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착제는 본 발명에 부합되는 처리를 행하지 않은 천연제올라이트보다 50%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이 증가됨을 알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천연제올라이트를 사용하므로서, 용액을 이용한 흡수법에서 요구되는 제반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합성제 올라이트를 사용하는 종래 방법에 비하여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흡착능을 갖는 흡착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모더나이트계 천연제올라이트를 200-350℃로 열처리한 후 0.8N 이하의 염산수용액으로 산처리하고, 이어서 0.7N 이하의 염화칼슘 수용액으로 칼슘이온 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9880017920A 1988-12-30 1988-12-30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KR91000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920A KR910001928B1 (ko) 1988-12-30 1988-12-30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920A KR910001928B1 (ko) 1988-12-30 1988-12-30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130A KR900009130A (ko) 1990-07-02
KR910001928B1 true KR910001928B1 (ko) 1991-03-30

Family

ID=1928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920A KR910001928B1 (ko) 1988-12-30 1988-12-30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9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130A (ko) 199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8818A (en) Adsorbent for air separation,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ir-separation method using it
JP5375890B2 (ja) 二酸化炭素の吸着分離方法
CA1083783A (en) Selective adsorption of carbon monoxide from gas streams
JP3776813B2 (ja) アルゴン/酸素選択性xゼオライト
JP4382885B2 (ja) 水素精製でのpsa法の改良
US3982912A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an improved K-A type zeolite and for separation by adsorption polar and non-polar molecules
US7608134B1 (en) Decarbonating gas streams using zeolite adsorbents
JPH1176810A (ja) 凝集ゼオライト吸着剤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工業ガスの非極低温分離での利用
KR950024970A (ko) 질소를 다른 기체로부터 흡착적으로 분리하는 방법
KR0165917B1 (ko) 기체분리 강화방법 및 여기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조성물
US3785122A (en) Process for preparing 4,5a zeolite and method for separating mixtures using same
EP0391350A2 (en) The purification of bulk gases using chabazite adsorbents
CA2148893A1 (en) Li-exchanged low silica emt-containing metallosilicates
US6780806B1 (en) Lithium-based zeolites containing silver and copper and use thereof for selective absorption
JP3050147B2 (ja) 空気分離用吸着剤、その製造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空気分離方法
EP1184067B1 (en) Process for adsorptive purification of air
KR910001928B1 (ko)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JP4873108B2 (ja) 二酸化炭素の吸着分離方法
JP2007512119A (ja) 空気から酸素を選択的に吸着するための分子ふるい吸着剤の製造方法
WO2000040332A1 (en) Lithium-based zeolites containing silver and copper and use thereof for selective adsorption
CA2148773C (en) Gas separation with lithium-containing zsm-2 metallosilicates
JPH1095612A (ja) 銀含有ゼオライトとそれを用いたガス分離方法及び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JP3624584B2 (ja) 酸素psa用吸着剤、その製造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酸素製造方法
JP2002018226A (ja) 二酸化炭素の吸着分離方法
JP2000140549A (ja) 二酸化炭酸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