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157B1 - 전자총을 위한 전자 렌즈용 전극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총을 위한 전자 렌즈용 전극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157B1
KR910001157B1 KR1019870001152A KR870001152A KR910001157B1 KR 910001157 B1 KR910001157 B1 KR 910001157B1 KR 1019870001152 A KR1019870001152 A KR 1019870001152A KR 870001152 A KR870001152 A KR 870001152A KR 910001157 B1 KR910001157 B1 KR 91000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member
main electrode
wal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366A (ko
Inventor
가즈아끼 나이끼
Original Assignee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다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2936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864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144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0700B2/ja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다다히로 filed Critical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총을 위한 전자 렌즈용 전극 조립체
제1도는 인라인(in-line)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사용되는 종래의 통형 전극의 요부의 잘라낸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통형 전극의 정면도 및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통형 전극을 제3그리드 전극과 제4그리드 전극으로 하여 대향 배치하여 구성한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를 구비한 전자총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
제5도 내지 제7a도는 종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5도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사용되는 종래 발명에 의한 통형 전극의 주전극 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주전극 부재와 조합되어서 통형 전극을 구성하는 보조 전극 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주전극 부재와 제6도에 도시하는 보조 전극 부재를 조합시켜 구성한 통형 전극을, 제3그리드 전극과 제4그리드 전극으로 하여 대향 배치하여 구성한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의 단면도.
제7a도는 제7도에 도시한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의 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7도와 동일한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의 제3그리드 전극을 구성하는 통형 전극의 주전극 부재의 정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의 제4그리드 전극을 구성하는 통형 전극의 주전극 부재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외피부재 14 : 칼러 부재
20 : 凹부 38 : 통형 전극
40 : 주전극 부재
본 발명은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라인(in-line)형 칼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해상도를 개선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해상도를 제약하는 하나의 원인은 전자렌즈의 구면수차다. 고해상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주전자렌즈를 구성하는 전극 구경을 크게하여, 전자렌즈의 구면수차를 적게할 필요가 있다. 전자 빔이 통과하는 3개의 개구가 일직선상에 배열된 칼러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에서는, 단순히 주전자렌즈 구경을 크게하면, 개구 중심간 거리인 이심거리가 커짐과 동시에 전자총을 봉지하는 음극선관 넥크 지름을 크게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심거리의 증대는 3개의 전자빔을 형광면위 전역에 걸쳐서 일점에 집중시키는 콤바젠스 특성을 예화시키고 넥크 지름의 증대는 음극선관 사용시에 편향 전력의 증대를 초래하여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지는 않다.
거기에서, 본건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공개 소화60-3036호 공보에 있어서, 인라인형 전자총의 주전자렌즈의 이심거리와 넥크 지름을 변경하는 일이 없고, 주전자렌즈를 구성하는 구성의 전극의 구경을 크게하는 방법으로서, 이심거리 이상의 내경을 갖는 3개의 원통을 인라인 배열하여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을 한 형상을 하는 凹부와, 그 凹부의 저부에서 독립적으로 돌출하여 선단에 개구를 갖는 통형부를 구비한 전극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 일본국 특허공개 소화60-9036호 공보에 있어서 제안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위한 통형 전극을 제1도에서 제3도에 도시한다. 제1도는, 일본국 특허공개 소화60-90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통형 전극의 요부를 잘라낸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통형 전극의 정면도 및 단면도다.
도시하는 통형 전극(10)은, 평행한 장변과 원호상의 단변으로 되는 거의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통형의 외피부재(12)를 구비하고, 그 외피부재(12)의 한쪽의 단으로부터는, 칼러(collar)부재(14)가 외측으로 연재되어 있다. 그 칼러부재(14)의 각 장변부의 중앙에는, 전극 지지용 타그(tag)(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피부재(12)의 다른쪽의 단은, 제1단벽(18)에서 닫혀져 있다. 그래서, 그 제1단벽(18)에서 3개의 원통 (20R),(20G),(20B)이 인라인 배열되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된 형상의 凹부(20)가 외피부재(12)내부로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그 凹부(20)의 원통(20R),(20G),(20B)의 각각은, 이심거리 S이상의 내경 D0을 갖고 있으며, 원통(20R),(20G),(20B)의 결합부에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凹부(20)는, 제1단벽(18)에서 거리 h0만큼 떨어진 외피부재(12)내부의 위치의 제2단벽(22)에서 종단되어 있다. 그 제2단벽(22)에서 서로 독립한 3개의 원통(24R),(24G),(24B)이 외피부재(22)내부로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그들 원통(24R),(24G),(24B)은 凹부(20)의 원통(20R),(20G),(20B)과 각각 동축 관계에 있으며, 원통(20R),(20G),(20B)의 내경 D0보다 적은 내경 D1을 갖고 있다. 그래서, 원통(24R),(24G),(24B)은 완전한 원형의 단면 형상을 하고, 또한 높이 h1를 갖고 있다.
제4도는 이상과 같은 구조의 1쌍의 통형 전극을 제3그리드 전극과 제4그리드 전극으로서, 단벽(18)측을 서로 대향시켜서 구성한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를 내장한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인라인에 배열된 3개의 캐소드(30R),(30G),(30B)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들 캐소드(30R),(30G),(30B)의 각각은, 필라멘트(32)를 내장하고 있다. 그래서, 캐소드(30R),(30G),(30B)의 전방면에는, 제1그리드 전극 G1, 제2그리드 전극 G2이 그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그리드 전극은 3개의 캐소드(30R),(30G),(30B)로부터의 3개의 전자 빔이 통과하는 3개의 개구를 각각 갖고 있다.
제2그리드 전극 G2의 전방에는, 제3그리드 전극G3과 제4그리드 전극 G4이 배치되어 있다. 제3그리드 전극도 전극 G3은, 제2그리드 전극 G2에 근접한 단벽을 갖는 제1의 통형 전극부분(34)과, 제1도에서 제3도에 도시한 구조의 제2의 통형 전극 부분(36)을 갖고, 통형 전극 부분(34)의 개방 단부(34A)와 통형 전극 부분(36)의 칼러부재(14)가 접합되어 있다. 그래서, 제1그리드 전극 G1, 제2그리드 전극 G2, 제3그리드 전극 G3, 각 전자빔 투과구멍은 각각 동축되고, 또한 서로 이심거리 S만큼 떨어져 있다.
그러나, 제3그리드 전극 G3의 전반에 베치되어서 제4그리드 전극 G4을 구성하고 있는 통형 전극(38)의 각 전자빔 투과 구멍은, 제3그리드 전극 G3의 각 전자빔 투과구멍의 이심거리 S로부터 약간 큰 이심거리 S'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통형 전극(38)의 중앙의 전자빔 투과구멍은 제3그리드 전극 G3의 중앙에 전자빔 투과구멍의 투과구멍과 동축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통형 전극(36)과 (38)이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전자렌즈에 있어서, 3개의 원통 (20R),(20G),(20B)이 인라인 배열되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된 형상의 凹부(20)와, 그것에 계속되는 독립된 원통(24R),(24G),(24B)과의 상호 작용으로 구면수차는 매우 적다. 또다시, 3개의 전자렌즈의 배열 방향인 수평 방향과, 이것에 수직인 방향과의 렌즈 작용은 동일하게 되어, 전자렌즈내의 점유 빔 지름이 커지는 고전류역을 포함하는 넓은 전자빔 전류 범위에 걸쳐서 전자렌즈의 해상도 특성은 현저하게 향상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서는 3개의 원통 (20R),(20G),(20B)이 인라인 배열되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된 형상의 凹부(20)의 저면에 독립원통(24R),(24G),(2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비교적 복잡해져, 전극 형성 가공이 곤란하다. 이 경우, 3개의 원통을 중첩시킨 형상의 凹부(20)를 형성할 것과, 그 凹부(20)의 저면내에 소정의 높이 h1를 가진 독립 원통(24R),(24G),(24B)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곤란해진다. 그래서, 독립 원통의 높이 h1가 그 지름 D1에 대해서 충분히 크고 또한 각 독립 원통이 높은 축 대칭성을 요구하는 경우 가공의 곤란함은 점점 증대한다.
또 다시, 凹부(20)를 형성하는 3개의 원통(20R),(20G),(20B)의 내경 D0을 크게함과 동시에, 凹부(20)를 형성하는 3개의 원통(20R),(20G),(20B)의 중첩도를 크게함에 따라서, 3개의 전자렌즈의 구면수차는 저감한다. 그러나, 중첩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凹부(20)의 중앙 원통(20G)과 양측의 원통(20R),(20B)과의 사이의 오목부(26)의 폭이 G이 커지며, 중앙 개구부의 전자렌즈는 수평 방향의 접속 작용이 수직 방향보다 약해지는 비점수차가 현저해져 온다. 이로 인하여, 수평 방향의 최적 집속 전압이 수직 방향의 그것보다 낮아져, 중앙 전자렌즈에서 결상되는 형광면 위의 전자빔 스포트는 현저하게 횡장으로 되어, 그 해상도는 양측의 전자렌즈보다 예화한다.
거기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하는 결점을 해소한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이심거리 이상의 구경을 갖는 3개의 개구가 형식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중첩원 개구와, 이 중첩원 개구에서 축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독립된 3개의 개구를 갖는 제조가 용이한 통형 전극을 구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칫수의 제약없이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한 상기한 형식의 통형 전극 구조를 구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제조가 용이한 인라인 형식의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중앙 전자렌즈 및 양측 전자렌즈의 해상도 특성이 균일하며 또한 해상도가 매우 뛰어난 인라인 형식의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일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중앙 전자렌즈 및 양측 전자렌즈의 해상도 특성이 균일하며 해상도가 매우 뛰어나고, 또한 단순한 구성으로 제조가 용이한 인라인 형식의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할것 같으면, 최소한 1개의 통형 전극을 갖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로서, 상기 통형 전극은 통형의 주전극 부재와, 이 주전극 부재에 포개넣을 수 있도록 감합되는 보조 전극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주전극 부재는 한쪽의 끝에 단벽을 갖고, 이 단벽에는 인라인 배열되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원형 개구로 되는 중첩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보조 전극 부재는 상기 주전극 부재의 전기 단벽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는 단벽을 갖고, 이 단벽에는 상기 주전극 부재의 상기 단벽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원통이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전극을 구성하므로서, 전자렌즈부를 구성하는 중첩원 개구와 독립 원통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주전극 부재와 보조 전극 부재의 형상을 매우 단순화 할 수 있고, 각각 별도로 용이하게 제조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주전극 부재와 보조 전극 부재는 주전극 부재의 내부에 보조 전극 부재의 단벽을 위치 짓는 이외에, 서로 제약하는 일이 없으므로 중첩원 개구의 각 개구를 크게 할 수가 있고 또한 보조 전극 부재의 각 독립 원통을 길게 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통형 전극을 1쌍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들 1쌍의 통형 전극은 그 주전극 부재의 단벽이 서로 대향하도록 또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한 통형 전극의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중첩원 개구의 각 원형 개구는 상기한 보조 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독립 원통의 대응하는 원통과 동축 관계에 있어서도, 또한 상기 독립 원통의 대응하는 원통의 중심축에서 약간 벗어나 중심이 위치하여도 좋다.
또 다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1쌍의 통형 전극내의 고전위측 통형 전극의 상기 중첩원 개구의 각 개구의 구경은 저전위측 통형 전극의 상기 중첩원 개구의 각 개구의 구경보다 적게 된다. 또한 상기 통형 전극의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부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중첩원 개구는 3개의 원형 개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1쌍의 통형 전극내의 최소한 한쪽의 통형 전극의 상기 중첩원 개구의 중앙 개구의 구경은 그 양측의 개구의 구경보다 적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중앙 전자렌저와 양측 전자렌즈의 작용을 개구 배열 방향 및 이것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게 할 수가 있고, 해상도 특성의 매우 뛰어난 대구경 전자렌즈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을 한다. 먼저, 종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5도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사용되는 종래 발명에 의한 통형 전극의 주전극 부재의 사시도이며,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주전극 부재와 조합되어서 통형 전극을 구성하는 보조 전극 부재의 사시도이며, 제7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주전극 부재와 제6도에 도시하는 보조 전극 부재를 조합하여서 구성되는 통형 전극을 제3그리드 전극과 제4그리드 전극으로서 대향 배치하여 구성된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의 단면도이다.
제5도에 도시하는 주전극 부재(40)는 평행한 장변과 원호상의 단변으로 되는 거의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통형의 외피부재(42)를 구비하고, 그 외피부재(42)의 한쪽의 단에서는, 칼러 부재(44)가 외측으로 연재하고 있다. 그 칼러 부재(44)의 각 장변부와 중앙에는 전극 지지용 타그(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피부재(42)의 다른쪽의 단은, 내측으로 연재하는 단벽(48)에서 종단되어 있다. 그 단벽(48)에는 종단되어 있다. 그 단벽(48)에는 3개의 원형 개구(50R),(50G),(50B)가 서로 겹쳐지는 형상의 중첩원 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들 3개의 원형 개구(50R),(50G),(50B)의 중심은, 동일한 직선위에 줄지어서 있으며, 또한 이심거리 S이상의 구경 D0을 갖고 있다.
제6도에 도시하는 보조 전극 부재(60)는 평행항 장변과 원호상의 단변으로 되는 거의 장방향의 단면을 갖는 통형의 외피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그 외부 부재(42)의 한쪽 끝에서는 칼러 부재(64)가 외측으로 연재하고 있다. 그 칼러 부재(64)의 외측으로 연재하고 있다. 그 칼러 부재(64)의 각 장변부와 중앙에는 전극 지지용 타그(6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의 외피 부재(62)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전극 부재(40)의 외피 부재(42)내에 포개어지는 식으로 감합되는 그러한 칫수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다시, 외피 부재(62)이 다른쪽의 단은 내측으로 연재하는 단벽(68)에서 종단하고 있다. 그 단벽(68)으로부터 3개의 서로 독립된 원통(70R),(70G),(70B)이 외피 부재(62)의 내부로 향해서 높이 h1만큼 돌출하고 있다. 그들 3개의 원통(70R),(70G),(70B)의 중심축은 동일한 평면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3개의 원통(70R),(70G),(70B)의 내경 D1은 이심거리 S보다 적다. 그래서, 보조 전극부(60)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전극 부재(40)내에 쪼개어지는 식으로 감합되었을때, 원통(70R),(70G),(70B)은, 주전극 부재(40)의 중첩원 개구(50)의 3개의 원형개구(50R),(50G),(50B)의 중심축과 동축 관계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조 전극 부재(60)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전극 부재(40)내에는 포개는 식으로 감합되었을때, 보조 전극 부재(60)의 외피 부재(62)는 그 단벽(68)이 주전극 부재(40)의 단벽(48)에서 거리 h0떨어져서 위치하는 높이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전극 부재(40)에 보조 전극 부재(60)를 감합시켜 제3그리드 전극으로 하고, 동일하게 주전극 부재(40)에 보조 전극 부재(60)를 감합시켜 제4그리드 전극으로 하고,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중첩원 개구를 대향시켜서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의 전자렌즈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제3그리드 전극 G3과 제4그리드 전극 G4의 대구경의 중첩원 개구(50)와 독립원통(70R),(70G),(70B)의 각각이 전자렌즈를 형성한다.
상기하는 바와 같이, 대구경의 중첩원 개구(50)는 구면수차의 적은 대구경 전자렌즈를 형성한다. 덧붙여서, 독립된 소구경 전자렌즈를 구성하고 있는 보조 전극 부재의 독립 원통(70R),(70G),(70B)의 높이 h1를 독립 원통의 내경 D1의 1/3이상으로 하므로서, 대구경 전자렌즈의 중첩에 의한 수차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중첩형 대구경 전자렌즈와 독립된 소구경 전자렌즈의 합성 효과로서, 제3그리드 전극 G3과 제4그리드 전극 G4의 대향부에는 구면수차의 매우 적은 대구경 전자렌즈가 등가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7도에 도시하는 제3그리드 전극 G3의 독립 원통(70R),(70G),(70B)가 형성된 단벽(68)과 중첩원 개구(50)가 형성된 단벽(48)간의 거리 h0의 슈미레이션과 실험에 의해, 중첩원 개구(50)의 각 개구의 내경 D0의 0.2 내지 0.6배 정도로 선택하면 가장 좋은 접속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보았다.
이와 같이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심거리 S이상의 대구경을 갖인 중첩원 개구(50)는 주전극 부재(40)의 단벽(48)에 단순히 천설하는 것만으로 좋고, 그 주위에 측벽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개구 형성은 매우 용이하며, 부품 가공 생산성이 매우 높다. 또한, 그 중첩원 개구(50)과 독립 원통을 연결하는 측벽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개구경은 독립 원통의 형성에 수반하는 칫수상의 제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단벽(48)의 단벽폭 이하이면 임으로 크게 설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보조 전극 부재(60)는 중첩원 개구를 갖인 주전극 부재와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자의 상대 거리 h0, 독립 원통(70R),(70G),(70B)의 높이 h1나 그 내경 D1은 주전극 부재(40)의 중첩원 개구(50)의 형상으로 일체 제한되는 일 없이 자유로이 설정이 가능하며, 또한 그 전극 형성도 매우 용이해진다.
제7도에 도시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서는, 제3그리드 전극 G3과 제4그리드 전극 G4의 이심거리 S는 동일하다. 그러나, 실제의 인라인 전자총형 칼러 음극선관에서는 제3그리드 전극 G3내를 평행하게 진행하는 3개의 전자빔(도시치 않음)을 형광면(도시치 않음)위에서 정전적으로 일점에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제4그리드 전극 G4의 중첩원 개구(50)나 또는 독립 원통(70R),(70G),(70B)의 최소한 어느 한쪽의 이심거리를 제3그리드 전극 G3의 이심거리 S보다 약간 크게 하여, 전자빔 투과로를 편심시킬 것이 바람직하다. 제7a도는 제4그리드 전극 G4의 중첩원 개구(50)의 이심거리 S'를 제3그리드 전극 G3의 이심거리 S보다 약간 크게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에서는 집속 전압이 부가되는(저전위측) 제3그리드 전극 G3측에는 집속 렌즈가 형성되고, 양극 전압이 부가되는(고전위측) 제4그리드 전극 G4측에 발산 렌즈가 형성된다. 또한 중첩원 개구(50)에서는 수직 방향 개구 직경이 수평 방향 개구 직경보다 적어지기 때문에, 수직 방향이 집속 작용은 수평 방향보다 강하게 되어, 형광면위의 전자빔 스포트는 가로 길이로 비틀어진다. 특히, 중첩원 개구(50)의 중앙 개구(50G)는 양측부에 차폐가 없어지기 때문에, 중앙 개구(50G)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전자렌즈에서는 양측 전자렌즈보다 수직 방향 접속 작용이 수평 방향 접속 작용보다 현저히 강하게 되어, 최적 접속 전압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서 크게 다른 비점수차가 현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8도에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의 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7도와 제8도와의 비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8도에 도시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주전극 부재 및 보조 전극 부재를 각각 조합시킨 제3그리드 전극 G3과 제4그리드 전극 G4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도시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그리드 전극 G3을 구성하는 주전극 부재(40)에 있어서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단벽(48)에 형성되어 있는 3개의 원형 개구(50R),(50G),(50B)의 중심은 이심거리 S이상의 구경 D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3그리드 전극 G3에 대해서 고 전위로 되는 제4그리드 전극 G4(4)을 구성하는 주전극 부재(76)에 있어서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벽(78)에 형성되어 있는 중첩원 개구(80)의 3개의 연속된 원형 개구(80R),(80G),(80B)의 중심은 제3그리드 전극 G3의 개구 이심거리 S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이심거리 S'만큼 떨어져 있다. 그러나, 각각의 원형개구(80R),(80G),(80B)는 그 이심거리 S'보다 큰 구경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중앙 개구(80G)는 구경 D0은 그 양측의 원형 개구(80R)와 (80B)의 구경 DS보다 적고, 그래서, 양측의 원형 개구(80R)와 (80B)의 구경 DS은 제3그리드 전극 G3의 중첩원 개구(50)의 각 개구의 구경 D0보다 적다.
이와 같이 하여, 제3그리드 전극 G3과 제4그리드 전극 G4의 개구 직경과 이심거리의 관계는 D0>DS>D0>S'
Figure kpo00001
S로 되어 있다.
그들의 제3그리드 전극 G3및 제4그리드 전극 G4의 주전극 부재에 감합하는 보조 전극 부재는 제6도에 도시하는 보조 전극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그들의 독립 원통은 개구 이심거리 S만큼 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은 주전극 부재 및 보조 전극 부재에서 각각 구성되는 제3그리드 전극과 제4그리드 전극을 구비하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이 포텐셜.포오카스형 전자렌즈는 제7도에 도시하는 종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3그리드 전극 G3과 제4그리드 전극 G4의 대향부에는 구면수차의 매우 적은 대구경 전자렌즈가 형성된다.
그러나, 제8도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4그리드 전극 G4의 중첩원 개구(80)의 각 개구(80R),(80G),(80B)의 구경은 제3그리드 전극 G3의 중첩원 개구(50)의 각 개구(50R),(50G),(50B)의 구경보다 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4그리드 전극 G4측에 형성되는 발산 렌즈는, 양자를 동일 지름으로 한 경우보다 강하게 된다. 역으로, 집속 렌즈 작용은 약해지고, 특히 수직 방향의 집속 작용은 제4그리드 전극 G4의 중첩원 개구를 제3그리드 전극3측과 동일한 지름의 경우보다 약해지고, 수평, 수직 방향의 가장 적합한 집속 전압을 일치시킬 수가 있다.
또 다시, 제4그리드 전극 G4측의 중첩원 개구(80)의 중앙개구(80G)의 구경 DC은 양측의 개구(80R),(80B)의 구경 DS보다 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개구(80G)의 수직 방향 집속 작용을 중첩원 개구의 3개의 개구를 동일한 지름으로 한 경우보다 약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구경 DC을 적절하게 선택하므로서, 중앙개구(80G)의 수직 방향 집속 작용을 약화시켜서, 수평 수직 방향 최적 집속 전압을 일치시킬 수가 있고, 중앙 및 양 외측 개구부의 전자렌즈 집속 작용을 균일하게 하여 전자임 스포트의 횡장 비틀림을 보정하여 원형상으로 하고, 그 비점수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82)의 폭 G은 중첩원 개구의 3개의 구경을 동일하게 한 경우보다 적게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개구 렌즈의 수평 방향에서의 집속 작용을 강화할 수가 있게 되며, 그 수평, 수직방향의 렌즈 작용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서, 해상도의 매우 뛰어난 전자렌즈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독립 원통을 구비한 보조 전극은, 상기한 설명과 같이 일단에 단벽을 갖는 통형 전극 형상으로 한정되는 일이 없고, 예를 들면 독립 원통을 구비하는 편상 전극을, 주전극 부재의 중첩원 개구부에서 소정의 거리 h0만큼 떨어진 장소에 위치시킬 수가 있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다시, 상술하는 설명에서는 주전자렌즈가 바이.포텐셜.포오카스형을 취하는 경우에 대해서 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고, 다단 집속형 전기 렌즈등에도 적용이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Claims (3)

  1. 한쪽 단에 단벽을 갖고, 이 단벽에는, 인라인 배열되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원형 개구인 중첩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주전극 부재와,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는 단벽을 갖는데, 이 단벽에는, 상기 주전극 부재의 상기 단벽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원통이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는 보조 전극 부재로 구성되어 보조 전극 부재가 주전극 부재에 포개지도록 감합되는 최소한 1개의 통형 전극을 갖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중첩원 개구의 각 원형 개구의 구경은, 저전위측 통형 전극의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중첩원 개구의 각 개구의 구경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
  2. 한쪽 단에 단벽을 갖고, 이 단벽에는, 인라인 배열되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원형 개구인 중첩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주전극 부재와,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는 단벽을 갖는데, 이 단벽에는, 상기 주전극 부재의 상기 단벽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원통이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는 보조 전극 부재로 구성되어 보조 전극 부재가 주전극 부재에 포개지도록 감합되는 최소한 1개의 통형 전극을 갖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통형 전극의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중첩원 개구는, 3개의 원형개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통형 전극은, 그 주전극 부재의 단벽이 서로 대향하여 분리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1쌍의 통형 전극내의 최소한 한쪽의 통형 전극의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중첩원 개구의 중앙개구의 구경은, 그 양측의 개구의 구경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
  3. 한쪽 단에 단벽을 갖고, 이 단벽에는, 인라인 배열되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원형 개구인 중첩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주전극 부재와,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는 단벽을 갖는데, 이 단벽에는, 상기 주전극 부재의 상기 단벽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원통이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는 보조 전극 부재로 구성되어 보조 전극 부재가 주전극 부재에 포개지도록 감합되는 최소한 1개의 통형 전극을 갖는 인라인형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위한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통형 전극의 상기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중첩원 개구는, 3개의 원형개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통형 전극내의 고전위측 통형 전극의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중첩원 개구의 이심거리 S 및 개구구경 D0과, 저전위측 통형 전극의 주전극 부재의 단벽에 형성되어 있는 중첩원 개구의 이심거리 S' 및 중앙 개구 구경 DC과 그 양측 개구 구경 DS은, D0>DS>DC>S'
    Figure kpo00002
    S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즈용 전극 조립체.
KR1019870001152A 1986-02-12 1987-02-12 전자총을 위한 전자 렌즈용 전극 조립체 KR910001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29363A JPS62186445A (ja) 1986-02-12 1986-02-12 電子銃電極構体
JP61-29363 1986-02-12
JP29363 1986-02-12
JP61-214431 1986-09-10
JP61214431A JP2570700B2 (ja) 1986-09-10 1986-09-10 電子銃電極構体
JP214431 1986-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366A KR870008366A (ko) 1987-09-26
KR910001157B1 true KR910001157B1 (ko) 1991-02-25

Family

ID=2636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152A KR910001157B1 (ko) 1986-02-12 1987-02-12 전자총을 위한 전자 렌즈용 전극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00318A (ko)
KR (1) KR910001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231B2 (ja) * 1987-06-17 1998-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GB2240212B (en) * 1990-01-19 1994-08-24 Samsung Electronic Devices Inline type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3105528B2 (ja) * 1990-09-17 2000-1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銃およびその電子銃を備えた陰極線管
US5170101A (en) * 1991-12-30 1992-12-0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onstant horizontal dimension symmetrical beam in-line electron gun
US5731657A (en) * 1992-04-21 1998-03-24 Hitachi, Ltd. Electron gun with cylindrical electrodes arrangement
US5241240A (en) * 1992-06-01 1993-08-31 Chunghwa Picture Tubes, Ltd. Hollow chain link main lens design for color CRT
US6411026B2 (en) 1993-04-21 2002-06-25 Hitachi, Ltd. Color cathode ray tube
KR950012549A (ko) * 1993-10-22 1995-05-16 에스. 씨. 첸 칼라 음극선관전자총을 위한 연장중앙 원형 개구를 가진 오목한 체인-링크 주렌즈 설계
FR2724046B1 (fr) * 1994-08-26 1996-10-04 Thomson Tubes & Displays Canon a electrons coplanaire a electrodes de focalisation ameliorees
JPH08190877A (ja) 1995-01-09 1996-07-23 Hitachi Ltd 陰極線管
KR100412521B1 (ko) * 1995-12-30 2004-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US6369512B1 (en) 1998-10-05 2002-04-09 Sarnoff Corporation Dual beam projection tube and electron lens therefor
JP2006155946A (ja) * 2004-11-25 2006-06-15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ブラウン管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電子銃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0239A (en) * 1979-08-22 1981-03-26 Hitachi Ltd Cathode-ray tube
NL8203321A (nl) * 1982-08-25 1984-03-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JPS609036A (ja) * 1983-06-27 1985-01-18 Nec Corp 電子銃電極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00318A (en) 1989-01-24
KR870008366A (ko) 198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157B1 (ko) 전자총을 위한 전자 렌즈용 전극 조립체
US4599534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KR0173722B1 (ko) 컬러음극선관
JP2542627B2 (ja) カラ−受像管装置
US4317065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with expanded lenses
KR950012549A (ko) 칼라 음극선관전자총을 위한 연장중앙 원형 개구를 가진 오목한 체인-링크 주렌즈 설계
EP0049490B1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s
EP0203805B1 (en) Electron guns
US4412149A (en) CRT Focusing electrode structure
KR900008202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US5506468A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ray tube
US4672261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US6013976A (en) In-line SB electron gun with large and deep main lens apertures
JP2753231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WO2000070637A2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s
JPH06236736A (ja) カラー陰極線管用の電子銃
JPH067144U (ja) インライン型電子銃
JPH0815057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910001450B1 (ko) 전자총 전극 구조체
JPS58216342A (ja) カラ−受像管用電子銃
KR100189610B1 (ko)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
JPH0744015B2 (ja) インライン型電子銃
JPH08129966A (ja) カラーcrt電子銃用の、円形の中心部を持つ細長い穴を有する連鎖形中空主要レンズ構造
JPH0337941A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JPH013389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