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895Y1 -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895Y1
KR910000895Y1 KR2019900017903U KR900017903U KR910000895Y1 KR 910000895 Y1 KR910000895 Y1 KR 910000895Y1 KR 2019900017903 U KR2019900017903 U KR 2019900017903U KR 900017903 U KR900017903 U KR 900017903U KR 910000895 Y1 KR910000895 Y1 KR 910000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kive
overlapping
handle
bre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꼬 미조구찌
게이이찌 세끼네
야스도요 고미야
요시오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메이지 세이까 가부시기가이샤
나까가와 다께시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키다시마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1255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809U/ja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 세이까 가부시기가이샤, 나까가와 다께시,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키다시마 요시도시 filed Critical 메이지 세이까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17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제1도는 본원 고안의 원리를 구체화한 용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용기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용기에 사용되는 포장용재료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용기의 하부의 확대부분정면도.
제5도는 포장된 식품을 노출하기 위하여 개봉된 후의 제1도 및 제2도의 용기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용기에 사용되는 적층시트재의 예의 확대부분단면도.
제7도는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적층시트재의 다른 예의 제6도와 유사한 확대부분단면도.
제8도는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적층시트재의 또다른 예의 제6도와 유사한 확대부분단면도.
제9도는 용기의 측면의 겹침이음부를 나타내는 제1도의 Ⅸ-Ⅸ선에 의한 제1도 및 제2도의 용기의 확대부분단면도.
제10도는 용기의 파단띠부의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에 그 측면의 겹침이음부에서 파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 및 제2도의 용기의 확대부분사시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용기의 파단띠부의 파단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용기의 측면의 겹침이음부의 확대부분단면도.
제12도는 용기의 파단띠부의 파단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용기의 측면의 겹침이음부의 겹침내변부의 확대부분단면도.
제13도는 겹침내변부에 대해 손잡이 및 겹침외변부의 인접부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박리제층을 나타내는 용기의 겹침내변부 부분의 확대부분사시도.
제14도는 겹침내변부의 박리제층과 겹침외변부의 손잡이간의 위치관계를 용기의 겹침외변부의 가상선과 함께 나타내는 용기의 겹침내변부의 부분정면도.
제15a도 및 제15b는 제13도 및 제14도의 박리제층의 형성을 위한 단계를 설명하는 부분사시도.
제16a도-제16d도는 용기의 측면의 겹침이음부를 밀봉한 후에 밀봉된 측면의 겹침이음부의 손잡이를 잡아 당겨 용기를 개봉하기 위한 단계를 설명하는 일련의 부분단면도.
제17도는 용기의 밀봉된 측면의 겹침이음부의 손잡이를 잡아당겨 용기를 개봉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의 제16a도-제16d도와 유사한 설명도.
제18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다른 형태의 용기의 정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용기에 사용되는 포장용재료의 평면도.
제20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또다른 포장용재료의 평면도.
본원 고안은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캔디, 케이크, 페이스트리, 크레이프(crepe), 쿠키, 비스케트 등 제과의 밀봉되는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1,599,267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으며, 제과업계에 제안되어 사용되어온 기밀(氣密) 및 수밀(水密)의 포장을 요하는 식품을 위한 각종의 포장용기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복합형의 포장용기였다. 식품은 먼저 알루미늄박 또는 합성수지제필름의 주머니 또는 내부라이너내에 채워진 후에 보다 견고한 보호성 용기내에 넣었다 이 이중포장은 복잡한 포장작업 및 보다 고가의 단위 포장원가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소비자의 편성의 견지에서 보아도, 상기 복합포장은 이중의 개봉작업을 요한다. 이중이 아닌 용이개봉성의 밀봉 포장용기의 출현은 제과업계에 오랫동안 기대되어 왔다.
본원 고안의 목적은 제과 등 식품의 복합포장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문제점을 극복하며, 그리고 원하는 식품을 이중으로 포장하지 않고, 유체누출 방지 가능하게 포장할 수 있는 염가구조의 신규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에 의한 신규의 용기는 또한 저감된 원가로 양산성, 기계적 강도, 양호한 미적 외관 및 개봉용이성으로 인하여 주목할 만하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부채형의 시트재인 포장용재료(B)를 감아서 형성되는 납작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제과 등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에 있어서, 측면이 밀봉되는 겹침이음부(42)와, 밀봉되는 하단부(22)와, 원하는 식품을 용기내에 채운 후에 밀봉되는 상단부(24)로 이루어지고, 시트재의 포장용재료는 용기를 개봉하기 위하여 파단하여 제거될 파단띠부(32)를 원추둘레에 가지며, 원추형의 측면의 겹침이음부(42)는 파단띠부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파단띠부의 연장으로서 돌출하는 손잡이(30)를 가진 겹침외변부와, 그 외측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반전시켜 겹침내변부(28)에 따라 뻗는 일정한 두께 및 일정한 폭의 스카이브부(64)를 형성하는 겹침내변부(28)를 가지고, 상기 스카이브부는 외측으로 겹쳐 반전시켜서 시트재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68)과 대략 동일면의 스카이브반전부(66)를 형성하며, 스카이브반전부에 바로 인접하여 측면의 겹침이음부의 겹침외변부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 밑에 위치하는 시트재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박리제층(76)을 형성하므으로써, 측면의 겹침이음부가 밀봉되어도 손잡이가 원추형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카이브반전부는 손잡이를 잡아당길때 반전부의 파단을 촉진하기 위하여 파단띠부(32) 아래영역의 최단부(72)에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절결(7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소비자가 용기를 개봉할 경우 파단띠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것뿐이며, 상기 파단띠부는 용기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중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파단띠부를 제거하면 용기를 두부분으로 분리하게 된다. 상단부를 포함하는 상부를 제거하면 하단부를 포함하는 하부에 수용된 식품은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이 상부는 필요하면 다시 덮기 위하여 뚜껑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용기에 사용되는 시트재는 종이층과, 유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한층 이상의 합성수지층, 금속과 같은 재료로 된 적층재가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적층시트재를 사용하면 장기간동안 식품의 품질이 열화되지 않고 방습성 포장을 가능하게 한다. 용기의 파단띠부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유체누출방지성을 해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원 고안에 의한 적층시트재는 파단띠부가 뻗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방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파단띠부는 완전제거전에 손잡이를 잡아당길수록 끝이 차차 가늘어질 가능성 없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부채형의 포장용 재료로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적층재의 가장 내측의 층은 히트시일층으로 할 수 있다. 용기의 측면의 겹침이음부,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가열 및 가압하에 용이하게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은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에 파단될 정도로 측면의 겹침이음부의 내변부에 용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기는 손잡이가 파단되면 개봉할 수 없게 되므로, 겹침내변부에 대해 겹침외변부의 인접부분 및 손잡이의 과도한 접착은 피하여야 한다. 그러나, 측면의 겹침이음부 자체는 누출방지가 가능하도록 견고하게 밀봉되어야 한다. 본원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이들 상충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
본원 고안에 사용된 겹침내변부의 스카이브부와 반전부는 파단띠부의 파단을 촉진하는데 유용하다. 포장용재료의 겹침변부는 측면의 겹침이음부를 형성하도록 견고하게 용착되어야 한다. 이것은 변부가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카이브반전부를 형성하는 것은 손잡이를 잡아당겨 파단띠부를 파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겹침이음부의 접착이 완전히 밀봉할 만큼 견고하게 이루어졌다 해도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스카이브반전부는 스카이브부로부터 분리되므로, 다른 부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파단된다. 그리고, 박리제층은 손잡이가 용기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고,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결은 스카이브반전부의 파단을 촉진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본원 고안의 효과는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1,599,267호의 공지의 용기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용기에 잘 구체화되어 있으며, 이 용기는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용기(20)는 납작한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며, 저부에 하단부(22) 및 상부에 상단부(24)를 가진다. 하단부(22)는 가열 및 가압하에 밀봉되어 유체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편 상단부(24)는 크레이프와 같은 원하는 식품을 용기(20)내에 채운 후에 밀봉된다.
용기는 제3도에 도시된 선구체 포장용재료(B)로 제조된다.
용기의 포장용재료(B)는 대략 부채형의 시트재이며, 보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투과하지 않는 종이층 및 하나 이상의 기타 재료로 된 적층된 복합체이다. 이 용기의 포장용재료(B)는 양쪽에 서로 각도를 가진 두 개의 측면의 변부(26,28)를 가진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변부(26)에는 두 개의 변부(26,28)사이에서 직선으로 뻗는 파단띠부(32)의 연장으로서 약간 돌출하는 손잡이(30)를 가진다. 이 파단띠부(32)는 서로 평행으로 간격을 두고 뻗는 두 개의 직선의 파단선(23)에 의하여 구획된다. 그 명칭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파단띠부(32)는 두 손가락으로 손잡이(30)를 잡아 찢어서 용기(20)를 개봉한다. 파단띠부(32)의 폭 즉 두 개의 파단선(34)사이의 폭은 약 1㎝이다. 측면의 변부(26)는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에 파단띠부(32)의 용이한 파단을 위하여 손잡이(30)의 양쪽에 두 개의 절결(36)을 형성한다. 파단띠부(32)의 경계를 이루는 파단선(34)에 관하여는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완성된 용기(20)에 있어서, 파단띠부(32)는 원추형의 주위에 띠를 형성한다. 파단띠부(32)는 하단부(22) 및 상단부(24) 사이의 중간부로서 하단부보다 상단부 쪽으로 약간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파단띠부의 제거시에 용기(20)는 하단부(22)를 포함하는 하부 및 상단부(24)를 포함하는 상부로 분리된다.
또한, 용기의 포장용재료(B)는 이 포장용재료의 두 개의 측면의 변부(26,28)와 거의 같은 중심을 갖는 방사선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직선의 절곡선(38)이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절곡선(38)은 서로 평행으로 간격을 두고 뻗는 두 개의 절곡선(40)의 그 중간부에서 분기된다.
용기(20)의 제조에 있어서, 포장용재료(B)를 감아서 측면의 변부(26,28)중 하나의 변부(26)가 다른 변부(28)위에 겹치도록 겹침이음부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하 변부(26)는 겹침외변부라고 하며, 다른 변부(28)는 겹침내변부라고 한다. 겹침변부(26,28)는 가열 및 가압하에 밀봉되어 제1도에서 (42)로 표시된 겹침이음부를 형성한다. 하단부(22)도 같은 방법으로 밀봉된다. 그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부(24)를 통하여 원하는 식품을 채운 후에 밀봉하면, 대략 편평한 원추형의 밀봉된 포장이 완성된다.
용기(20)의 하단부(22)보다 훨씬 큰 상단부(24)를 밀봉하면 용기는 두 개의 직선의 절곡선(38)에 따라서 편평하게 된다. 이들 절곡선의 중간점에서의 절곡선(40)은 크레이프 등과 같은 식품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용기(20)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부여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2도에 있어서, 각각의 직선의 절곡선(38)에 이어지는 두개의 평행절곡선(40)은 그것들이 용기(20)의 하단부(22)쪽으로 뻗을 때에, (4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하여 한점으로 모인다. 그 결과로서, 제4도와 같이 용기(20)의 측면의 변부는 평행 및 한점에 집중된 절곡선(40,44) 사이의 접합점에서 굴곡된다. 제4도의 (46)은 용기의 측면의 변부내에 상기 굴곡된 하부에 놓여 있는 용기(20)의 구획된 하단부 부분을 나타낸다. 이 하단부 부분(46)의 각각의 측면변부와 용기(20)의 X-X축 사이의 각도(θ1)는 용기의 다른 부분의 각각의 변부 및 상기 X-X축선 사이의 각도(θ2)보다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용기(20)의 측면변부내의 굽음은 제2도에 쇄선으로 표시되고, (48)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2개의 절곡선(40)내의 평행분기와 인접하는 쌍의 한점으로 집중하는 분기절곡선(44) 사이의 접합점에서, 가로지르는 절곡선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더욱 뚜렷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용기(20)의 비교적 좁은 하단부 부분(46)은 제4도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식품(F)에 의하여 채워지지 않고 남겨져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식품(F)의 하단부 부분은 용기의 충전기간 중이나 수송 또는 기타 취급기간중에 형태가 일그러지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좁은 하단부 부분(46)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가적 이점이 있다. 용기내로 크레이프와 같은 식품을 채움에 있어서,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첨가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용기의 하단부 부분(46)내의 비어 있는 공간에는 알코올을 충전하여 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도움이 되기 때문에 액체 형태의 식품의 단부 부분의 곰팡이 등의 침투를 피하게 한다.
본원 고안의 용기(20)에 의하여 포장된 식품의 구매자는 그의 두 손가락으로 손잡이(30)를 잡고, 용기의 주위의 두 개의 직선의 파단선(34)에 따라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용기를 개봉할 수 있다. 파단띠부(32)는 파단선(34)에 따라서 파단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용기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그 다음에, 구매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부를 제거하여 포장된 식품(F)을 일부 노출시킨다. 상기 제5도에 3각형 형태로 겹쳐진 크레이프와 같이 도시된 식품(F)은 용기의 하부를 붙잡고 먹을 수 있다. 필요할 때에는, 용기의 제거된 상부는 용기를 다시 막고 싶을 때의 뚜껑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용기(20)의 제조를 위하여 적합한 적층시트재의 세개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세 개의 실시예의 시트재는 각각(50),(50a),(50b)로 표시 되어 있다.
제6도의 실시예의 (50)은 시트재의 기본적 형태를 나타낸다.
그것을 종이층(52) 및 합성수지층(54)을 가지며, 그리고 종이층과 합성수지층을 함께 결합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접착제층(56)을 가진다.
상기 종이층(52)은 용기의 외측층을 형성한다.
제7도의 시트재(50)는 합성수지층(54)의 위에 히트시일층(58)을 포함한다. 합성수지층은 접착제층(56)을 통하여 외측의 종이층(52)에 접착된다.
제8도의 시트재(50b)는 추가로 가스가 투과하지 않는 가스배리어층(60)을 포함하며, 이 가스배리어층(60)은 접착제층(62)을 통하여 합성수지층(54)에 접착된다. 상기 히트시일층(58)은 가스배리어층(60)위에 놓여진다. 종이층(52)은 두 개의 시트재(50,50a)와 같이 용기의 가장 외측의 층을 형성하며, 그리고 히트시일층(58)은 용기의 가장 내측의 층을 형성한다.
사용되는 적층시트재의 형태가 어느 것이든지 간에, 합성수지층(54)은 일측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 방향성은 제3도와 같이 펼쳐진 용기의 포장용재료(B)위에 파단띠부(32)가 직선으로 뻗는 방향과 일치되어야 한다. 제3도의 화살표(A)는 합성수지층(54)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방향성을 가진 합성수지층의 사용에 의하여 손잡이(30)를 잡아당김으로써 파단띠부(32)를 제거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된다. 방향성을 가진 합성수지층(54)은 일축연신되어 있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필름이나 한 방향에 비하여 다른 방향의 배향성이 매우 큰 이축연신 열가소성 합성수지제 필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성이 큰 합성수지제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의 적층된 시트재(50a,50b)에 있어서 히트시일 성능을 가진 합성수지에 의한 가장 내측의 히트시일층(58)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포리스티렌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8도의 시트재(50b)의 가스배리어성 소재에 의한 가스배리어층(6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 폴리염화비닐리덴, 또는 폴리비닐리덴코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필름,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수지코트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시트재(50,50a,50b)의 접착체층(56) 및 (62)은 방향성을 갖지 않는 형태의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수지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시트재(50,50a,50b)에 있어서 외측 종이층(52)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종이에 방향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방향으로 보다 한 방향을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종이층의 방향성과 일축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층의 방향성이 합치되도록 하여 양자가 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도 및 제2도의 용기(20)의 제조에 있어서, 하단부(22), 상단부(24) 및 측면의 겹칩이음부(42)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열용착수단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제7도 및 제8도의 시트재(50a,50b)는 이 재료의 내측이 히트시일성능을 가진 히트시일층(58)을 가지므로 제6도의 시트재(50)보다 더 바람직하다. 제8도의 시트재(50b)는 포장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제8도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용기(20)의 제조를 위한 시트재의 실제적 실시예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순서의 층으로 구성된다.
1. 종이(m2당 230g)
2. 폴리에틸렌(접착제, 15미크론 두께)
3. 방향성 폴리에틸렌(20미크론 두께)
4. 폴리에틸렌(15미크론 두께)
5. 알루미늄 박(가스배리어층, 7미크론 두께)
6. 폴리에틸렌(히트시일층, 60미크론 두께)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는 시트재에 파단띠부(32)를 구획하는 직선의 파단선(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단선(34)은 종이층(52)에 형성되며, 그 외측면으로부터 약 ⅓-½ 두께의 종이층의 깊이까지 절단된다. 물론, 상기 파단선은 용기(20)의 유체불루과성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 종이층(52)의 전체 두께까지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종이층(52)의 전체 두께의 깊이까지 파단선을 내었을 때에는 파단띠부(32)를 아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단선은 그것이 용기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해치지 않을 때에는 바람직하다. 제3도의 포장용재료(B)에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한 후에 시트재(50,50a,50b)로 절단될 때에 동시에 직선의 파단선(34)을 만들 수 있다.
파단선(34)에 대한 다른 대안은 종이층(52)에 구멍을 뚫는 것이다. 이 구멍을 뚫는 것은 시트재(50,50a,50b)의 다른 층과의 적층전에 종이층에 형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용기(20)는 겹침변부(26,28)에 의하여 형성된 측면의 겹침이음부(42)를 가진다. 따라서, 겹침내변부(28)와 겹침외변부(26)를 겹쳐 밀봉할 때에 겹침내변부(28)를 외측으로 겹쳐 접지 않으면 시트재(50,50a,50b)의 종이층(52)은 겹침하변부를 통하여 용기의 내부로 노출된다. 그러나, 겹침내변부(28)를 그대로 외측으로 겹쳐 접으면 용기(20)의 측면의 겹침이음부(42)의 두께는 용기의 시트재의 두께의 3배로 된다.
이와 같은 종이층에 의한 두께의 측면의 겹침이음부는 제9도와 관련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변부처리구성에 의하여 회피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측면의 겹침이음부(42)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3도의 용기의 포장용재료(B)의 측면변부(28)는 변부(28)를 통하여 종이층(52)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이부분을 얇게하고, 대략 일정한 두께 및 일정한 폭의 스카이브부(64)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이 스카이브부를 외측으로 접은 스카이브반전부(66)로 처리하며, 시트재의 스카이브 되지 않은 부분(68)과 거의 동일한 면으로 된다. 그 다음에, 용기의 포장용재료(B)의 미리 처리된 측면변부(28)는 다른 측면변부(26)에 적층용착하여 밀봉함으로써 제9도의 측면의 겹침이음부(42)를 형성하며, 이때에 스카이브부(64)의 반전부도 접착된다.
그러므로, 시트재의 종이층(52)의 어느 부분도 그 측면의 겹침이음부(42)에서 용기(20)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물론, 이것은 스카이브부(64)의 반전부(66)가 시트재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68)과 정확하게 동일면일때에, 즉 시트재의 종이층(52)이 시트재의 두께의 ½깊이까지 스카이브된다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 고안에 의한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시트재의 두께에 있어서의 약간의 변동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용기시트재의 종이층(52)은 접혀진 스카이브부(64)의 두께(T1)가 시트재의 두께(T2)보다 크게 되는 깊이까지 스카이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는 손잡이(30)를 잡아당길 때에 파단띠부(32)가 파단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카이브부(64)의 반전부(66)가 파단띠부(32)가 뻗는 화살표 방향으로 손잡이(30)를 잡아당길 때에 손잡이(30)에 접착되어 떨어진다. 손잡이(30)에 접착되는 스카이브반전부(66)의 부분을 손잡이가 화살표방향으로 더한층 잡아당겨질 때에 파단되어 스카이브부(64)의 나머지를 파단한다. 그 후에, 파단띠부(32)는 두 개의 파단선(34)에 따라서 용이하게 파단된다. 그러므로, 스카이브반전부(66)의 한 부분이 손잡이(30)와 함께 파단되기 때문에 단지 파단띠부(32)의 제거에 요하는 초기힘은 작아도 된다.
그러나, 손잡이(30)가 스카이브반전부(66)뿐만 아니라 또한 겹침내변부(28)의 스카이브되지 않는 부분(68)에 접착될 때에는, 파단에 요하는 초기 힘은 더욱 크게 된다. 더욱이 더 나쁜 것은 손잡이(30)는 겹침외변부(26)를 파단하여, 파단띠부(32)의 제거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재(50a,50b)는 측면의 변부(26,28)와 함께 열용착하기 위한 가장 내측의 히트시일층(58)을 가진다. 이들 시트재를 사용하여 용기(20)를 제조함에 있어서 손잡이(30)는 어떠한 처리가 취해지지 않는 한 겹침측면변부(26,28)의 밀봉시에 겹침내변부(28)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68)에 용착될 것이다.
제6도의 시트재(50)는 히트시일층을 가지지 않는다. 이 시트재로 용기(20)를 제조하는 데는 겹침측면변부(26,28)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제10도와 같이 손잡이가 이에 접착된 스카이브반전부(66)의 일부분과 함께 파단되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30)를 단지 스카이브반전부(66)에만 접착하는 것을 고려할 수 도 있다. 그러나, 단지 스카이브반전부(66)에 대하여만 손잡이(30)를 접착하는 것은 곤란하다. 손잡이가 만약 약간이라도 겹침내변부(28)의 스카이브되지 않는 부분(68)에도 접착된다면 이 부분이 파단될 것이다. 이것은 손잡이(30)가 제11도의 굵은 선의 부분(70)에 의하여 표시된 스카이브반전부(66)의 부분에 접착되고, 접착된 부분(70)내에 약간의 변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스카이브반전부(66)의 최단부(72)에 따라 폭(W)의 접착되지 않은 부분을 남길 때에는 피할 수 있다. 그러나, 화살표방향을 잡아당길 때에 손잡이(30)는 그 자체가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될 수도 있다. 이것은 스카이브반전부(66)를 끌어올리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힘이 손잡이(30)가 파단되는 힘보다 크기 때문이다.
제12도는 용기(2)를 개봉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에 스카이브파단부(66)위에 가해지는 힘의 설명도이다. 이 도면의 위치(P1)는 스카이브반전부(66)의 최단부(72)를 나타내며, 그리고 위치(P2)는 제11a도 및 제11b도의 접착된 부분의 좌측 최단부를 나타낸다. 스카이브부(64)의 층에 (74)에서 접착된 스카이브반전부(66)에 제1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위치(P2)보다도 위치(P1)에서 힘이 가해진다면 보다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1a도 및 제11b도내의 폭(W)의 접착되지 않는 영역은 용기(20)의 용이하고 확실한 개봉을 위하여 영이 되어야 한다.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본원 고안은 제13도 및 제14도에서 (76)의 파선의 사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박리성 잉크와 같은 박리제층(76)이 측면의 겹침이음부(42)의 내변부의 스카이브되지 않는 부분(68)의 소정 영역에 인쇄형성되어 있다. 이 박리제층(76)은 스카이브부(64)의 반전부(66)와 바로 인접하며, 그리고 겹침외변부(26)로부터 돌출하는 손잡이(30)밑에 위치하는 겹침내변부(28)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68)의 외측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박리제층(76)의 폭(W2)(즉, 손잡이(30)와 직각방향의 크기)는 겹침변부(26,28)의 상대적 변위를 고려하여 손잡이(30)의 폭(W1)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13도 및 제1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카이브부(64)의 반전부(66)에는 반대편으로 접힌 부분의 최단부(72)에만 간격을 두고 한쌍의 절결(78)을 가진다. 이들 절결(78)사이의 간격(D1)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파단띠부(32)의 폭(D2)보다 좁게 되어 있다.
제11a도, 제11b도 및 제12도에 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박리제층(76)은 스카이브반전부(66)의 최단부(72)에 무한히 가깝게 위치되어야 한다. 제15a도 및 제15b도에 있어서, 본원 고안의 박리제층(76)을 소정의 겹침내변부(28)의 스카이브되지 않는 부분(68)에만 형성하는 것은 다음 공정에 의한다. 먼저, 제15a도와 같이, 겹침내변부(28)가 스카이브되기 전에 박리성잉크로 인쇄하여 박리제층(76)을 형성하며 이부분(76´)은 제거될 부분(80)위까지 형성된다. 다음에 제15b도와 같이 부분(80)을 제거하고, 이 스카이브부(64)를 (82)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접어 접착하면 제15b도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박리제층(76)을 인쇄한 것이 된다. 스카이브반전부(66)의 최단부(72)의 절결(78)은 부분(80)이 제거되기 전에 제15a도에서 (78´)로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절결(78)은 스카이브반전부(66)를 일으켜 세울 때, 찢기는 기점이 되므로, 작은 힘으로 더욱이 일정폭으로 개봉할 수 있다. 그러나, 절결(78)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없어도 개봉은 가능하다.
제16a도는 열판(熱板 )(84)에 의하여 열용착되는 겹침변부(26,28)를 나타낸다. 상기 열판(84)은 겹침외변부(26)의 손잡이(30)를 겹침내변부(28)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68)에 대하여 아래로 가압하지만, 스카이브반전부에 인접하는 외면영역에 박리제층(76)을 형성하였으므로 이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68)위의 겹침외변부(26)의 최소한 손잡이(30) 및 그 인접부분은 접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겹침외변부(26)의 최소한 손잡이(30) 및 그 인접부분을 겹침변부(26,28)에 대한 열판(84)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접착부(86)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지 스카이브부(64)의 반전부(66)에 대하여만 열용착된다. 따라서, 제11a도의 접착되지 않은 영역의 폭(W)이 영으로 될 수 있다.
제16b도와 같이, 용기를 개봉하기 위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손잡이(30)를 잡아당기면 스카이브반전부(66)의 최단부(72) 즉 위치(P1)이 끌어올려지게 되므로 제12도와 같이 손잡이(30)가 겹침외변부(26)를 파괴하는 힘보다 작은 힘으로 스카이브반전부의 소정부분이 파단되어 세워진다.
그리고, 손잡이(30)를 더욱 잡아당기면 스카이브반전부(66)의 소정 부분은 제16c도 및 제16d도와 같이 스카이브부(64)에 형성된 제15b도의 절곡선(82)에서 파단된다. 이것은 스카이브부(64)의 절곡선(82)부분이 그 다른 부분보다 약해져 있기 때문이다. 제10도는 스카이브반전부(66)의 파단부분이 부착된 손잡이(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6도, 제7도 및 제8도의 시트재(50,50a,50b)와 같은 적층시트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층사이가 박리되기 쉬운 것을 사용하면 층사이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17도와 같이 개봉할 수 있다.
이것은 스카이브반전부를 완전히 파단하기에 소요되는 힘보다 더욱 작은 힘으로 손잡이(30)상에서 스카이브반전부(66)를 파단할 수 있다.
제18도는 제19도의 포장용재료(Ba)를 사용하는 본원 고안에 의한 약간 변형된 용기(20a)를 나타낸다. 이 변형된 용기(20a)는 그 외측 종이층내에 반절선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Y형 파단선(34a)에 의하여 구획된 파단띠부(32a)를 가지는 점에 있어서 용기(20)와는 다르다. 두 개의 파단선(34a)은 서로 평행으로 간격을 가지며, 그리고 포장용 재료(Ba)가 제19도와 같이 펼쳐져 있을 때에는 부채형의 표장용재료의 상단부와 대략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파단선(34a)의 일단부에는 상하의 절결(36)에 의해 손잡이(30)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두 개로 분기된 절곡선(40)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분기선이 하나로 된 절곡선(38)이 형성되며, 이 용기(20a)의 기타 상세한 구조는 용기(20)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제20도의 또다른 변형된 용기의 포장용재료(Bb)는 절곡선(38)의 분기된 절곡선(40b)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서로 평행이 아니고 상호 원호형으로 가운데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0도의 용기의 포장용재료(Bb)의 그밖의 구성은 제19도의 포장용재료(Ba)와 동일하다. 이 용기의 포장용재료(Bb)를 사용해도 편평한 원추형의 원하는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은 상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같은 실시예의 각종의 변형 또는 변경은 본원 고안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층시트재의 사용에 있어서, 보다 더 유체불투과성의 용기를 만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등의 재료의 층을 추가로 종이층의 외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방향성 합성수지층을 포함하는 이와 같은 적층시트재로 제조된 용기에 있어서는 파단띠부(32, 32a)를 제거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파단선(34, 34a)보다도 오히려 합성수지층의 방향성이다. 그러므로, 방향성 합성수지층을 포함하는 시트재로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종이층이 보기 좋지 않게 파단되지만 파단선(34, 34a)을 생략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부채형의 시트재인 포장용재료(B)를 감아서 형성되는 납작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제과 등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에 있어서, 측면의 밀봉되는 겹침이음부(42)와, 밀봉되는 하단부(22)와, 원하는 식품을 용기내에 채운 후에 밀봉되는 상단부(24)로 이루어지고, 시트재의 표장용재료는 용기를 개봉하기 위하여 파단하여 제거될 파단띠부(32)를 원추둘레에 가지며, 원추형의 측면의 겹침이음부(42)는 파단띠부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파단띠부의 연장으로서 돌출하는 손잡이(30)를 가진 겹침외변부(26)와, 그 외측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반전시켜 겹침내변부(28)에 따라 뻗는 일정한 두께 및 일정한 폭의 스카이브부(64)를 형성하는 겹침내변부(28)에 따라 뻗는 일정한 두께 및 일정한 폭의 스카이브부(64)를 형성하는 겹침내변부(28)를 가지고, 상기 스카이브부는 외측으로 겹쳐 반전시켜서 시트재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68)과 대략 동일면의 스카이브반전부(66)를 형성하며, 스카이브반전부에 바로 인접하여 측면의 겹침이음부의 겹침외변부로부터 돌출하는 손잡이 밑에 위치 하는 시트재의 스카이브되지 않은 부분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박리제층(76)을 형성함으로써, 측면의 겹침이음부가 밀봉되어도 손잡이가 원추형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카이브반전부는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반전부의 파단을 촉진하기 위하여 파단띠부(32) 아래영역의 최단부(72)에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절결(7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KR2019900017903U 1984-07-26 1990-11-21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KR910000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903U KR910000895Y1 (ko) 1984-07-26 1990-11-21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12555U JPS6127809U (ja) 1984-07-26 1984-07-26 包装容器
JP59-112555 1984-07-26
KR1019850005328A KR860000999A (ko) 1984-07-26 1985-07-25 과자, 기타 식품용 개방용이한 종이용기
KR2019900017903U KR910000895Y1 (ko) 1984-07-26 1990-11-21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328A Division KR860000999A (ko) 1984-07-26 1985-07-25 과자, 기타 식품용 개방용이한 종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895Y1 true KR910000895Y1 (ko) 1991-02-13

Family

ID=2731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903U KR910000895Y1 (ko) 1984-07-26 1990-11-21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8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142A (en) Easy-to-open carton for confectionery or other food products including a skive underlying a tearstrip end
US4715528A (en) Reclosable opening arrangement on a packing container
EP0779222B1 (en) Easily laterally opened type paper container
JPH04502299A (ja) 口縁部にヒートシールされた多層蓋部材を部分的に剥して開封される熱可塑性樹脂容器及び多層蓋部材用の複合バンド
JPS6215412B2 (ko)
EP0208207B1 (en) A pouring edge on packing containers
AU689708B2 (en) A package comprising a tray-shaped bottom part and a cover
JPH04267729A (ja) ゲーブルトップ容器およびそれを形成するためのシート材ブランク
KR910000895Y1 (ko) 식품포장용 용이개봉성 용기
US4796760A (en) Packing container provided with opening arrangement
JPS6025400Y2 (ja) 易開封性包装袋
EP3365173B1 (en) Sealing foil with pull tab
JP3025434B2 (ja) 易開封性紙容器
SU1386026A3 (ru)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JP4139463B2 (ja) 易開封性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4957410B2 (ja) 振出口付蓋材
JPH0219369Y2 (ko)
JP2571569B2 (ja) 容器用落し蓋を用いた易開封性密封容器
JP4717632B2 (ja) 容器用プルタブ開口構造
JPH0487963A (ja) 易開封性密封蓋体
JP3003393B2 (ja) 密封容器
JPH057145Y2 (ko)
JP2862645B2 (ja) 易開封性密封蓋体
JPH03212377A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H0313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