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893Y1 - 절첩식 용기 - Google Patents

절첩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893Y1
KR910000893Y1 KR2019900015398U KR900015398U KR910000893Y1 KR 910000893 Y1 KR910000893 Y1 KR 910000893Y1 KR 2019900015398 U KR2019900015398 U KR 2019900015398U KR 900015398 U KR900015398 U KR 900015398U KR 910000893 Y1 KR910000893 Y1 KR 910000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bottom plate
container
pent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또시 호시꼬
히데아끼 고나
마사노리 야마모또
고이찌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하우스 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쯔까 구니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862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8922U/ja
Application filed by 하우스 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쯔까 구니히꼬 filed Critical 하우스 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15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3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3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 B65D5/204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trapezoidal, e.g. to form a body with diverging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용기의 실시예의 전개 평면도.
제2도는 조립시킨 용기의 사시도.
제3도는 절첩된 용기의 바닥판쪽 하면도.
제4도는 절첩된 용기의 측면도.
제5도는 뚜껑의 절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판 12 : 오각형 측판
14 : 사다리꼴 측판 16,18 : 절곡단부
20 : 접착단부 50 : 뚜껑
본 고안은 한 장의 절곡가능한 판제로 구성되는 절첩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이등의 판재로 구성되어 식품등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용기들은 통상 정다각형의 바닥판의 각변에 사다리꼴 측판이 인접되어, 각 측판의 인접 열모서리를 이에 연결된 접착단부로 상호 고착시킴으써 형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용기는 그 상방 개구부의 형상이 바닥판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해져서, 용기 전체의 모양이 절단 피라밋(pyramid)꼴이 되어 참신한 의장을 창작하기가 곤란하였다.
뿐 아니라 팝콘(pop corn)등의 가열팽창식품을 가열조리전에 종래의 용기에 재료를 담고 이것을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등으로 가열하는 경우, 상방 개구부가 변형하기 어려워서 용기의 수용능력이 커지지 않으므로 팽창하는 팝콘을 적절히 수용할 수가 없다.
또 종래의 용기는 접착부위가 많아서 제조코스트(cost)가 높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한장의 절곡가능한 판재로 바닥판과 상방 개구부의 형상이 달라서 새로운 의장의 창작을 가능하게 하는 절첩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방 개구부가 비교적 용이하게 변형가능하여, 팝콘 등의 내용물이 어느 정도 팽창해도 상방 개구부의 변형이 이 팽창을 수용할 수 있는 절첩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방 개구부의 모서리들이 동일한 수평면내에 형성되어 이 개구부에 뚜껑을 설치하거나, 적충 보관하기 용이한 절첩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절첩식 용기가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한장의 절곡가능한 판재의 중앙에 다각형의 바닥판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서 측판을 연장시키며, 상기 측판중 적어도 하나를 오각형 측판으로 하고, 상기 오각형 측판에는 바닥판의 모서리의 양단 꼭지점에서 이에 인접하지 않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두 절곡선(fold line)을 구비하며, 또 상기 측판에는 각 측판이 바닥판이 각 모서리에 대해 절곡되었을 때 서로 맞닿게 되는 각 옆모서리의 어느 한쪽에 접착단부(adhesive tab)를 설치하여 각 흑판이 조립되었을때 이 접착단부로 각 측판을 연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측판들이 조립되었을 때 그 상단 모서리가 평면을 구성하며, 절곡단부(folding tap)가 상기 측판들의 각 외단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 및 기타 본 고안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는 특히, 가열조리전의 팝콘재료를 담은채로 전자레인지등으로 가열 조리하는데 적당한 용기이다.
제1도에 보인 용기는 한장의 절곡가능한 판재(plate member)를 실선을 따라 절단하고 점선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바닥판(10)을 사각형(ABCD)으로 구성하고, 오각형 측판(12)을 각각 모서리(AB) 및 (CD)을 밑변으로 하는 오각형(BAEFG) 및 (CDJIH)로 구성한다.
또 사다리꼴 측판(14)을 각각 모서리(BC) 및 (AD)를 밑변으로 하는 사각형( BCLX) 및 (ADNM)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모서리(AN, AE, BG, BK , CL, CH, DJ, DM)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오각형 측판(12)의 상부 모서리(EF, EG, HI, IJ)에는 절곡단부(16)가 설치되고, 사다리꼴 측판(14)의 상부 모서리(KL, ML)에는 절곡단부(18)가 설치된다.
여기서 바닥판(10)의 모서리(AB, BC, CD, DA), 오각형 측판(12)의 상부 모서리(EF, FG, HI, IJ), 오각형 측판(12)의 옆모서리(AE, BG, CH, DJ) 및 사다리꼴 측판(14)의 상부 모서리(KL, MN)는 모두 안쪽으로 절곡된다.
오각형 측판(12)에는 또 오각형 측판(12)의 꼭지점(F, I)과 바닥판(10)의 꼭지점(A,B,C,D)을 연결하는 절곡선(AF, BF, CI, DI)이 구비된다.
다음에 상술한 용기의 설계 방법을 설명한다.
제1도에서 각(BFG)=90°, 모서리(BC)의 연장선과 모서리(BG)가 이루는 각을 15°, 각(GFB)=30°, 모서리(AB)의 연장선과 모서리(BK)가 이루는 각을 15°라고 각각 가정한다.
또 절첩된 용기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제3도와 그 측면을 나타내는 제4도에서, 칫수(a, b, c, z, y, h)는 다음식으로 정해진다.
x=(z-c)/2 또 오각형 측판(12)의 높이(p)는상술한 구성에서, 각 절곡선이 각각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면 제2도에 보인 것처럼 오각형 흑판(12) 및 사다리꼴 측판(14)이 일어나서 모서리(AN)와 모서리(AE), 모서리(BG)와 모서리(BK), 모서리(CL)와 모서리(CH), 모서리(DJ)와 모서리(DM)가 각각 서로 맞닿게 된다.
그러면 접착단부(20)의 이면(외측면)을 사다리꼴 측판(14)의 표면(내측면)에 접착시켜 상기 절곡상태를 고정한다.
이 용기에서 바닥판(10)과 오각형 측판(12)이 이루는 각을 변화시키면 모서리(EF, FG, HI, IJ)의 바닥면(10)에 대한 경사를 바꿀수 있어서 상방 객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모서리(EF, FG, HI, IJ)를 바닥판(10)과 평행한 한 평면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용기에는 필요에 따라 뚜껑(50)이 조합될 수 있다.
뚜껑(50)은 제5도에 보인 것처럼 용기(10)의 상방 개구부의 둘레를 동일평면내에 있도록 했을때 이 개구부의 육각형 개구부의 형상과 일치하는 천장판(top plate) (52)과 그 각모서리(절곡선)에 설치된 덮개단부(cover tab)(54)로 이루어진다.
덮개단부(54)는 천장판(52)에 대해 동일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이 된다.
이 뚜껑(50)은 그대로 또는 절곡선을 꺾어 사다리꼴로 조립되어 용기를 전자레인지등으로 가열할때의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용기 및 뚜껑을 만드는 판재는 내용물이 성질에 따라 내면에 방수가공을 하며, 절곡선은 시일(seam)가공을 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바닥판이 사각형이고 개구부가 육각형이었으나, 바닥판을 X각형, 오각형 측판의 수를 Y면으로 하면 개구부는 (X+Y)각형이 되므로, 이 관계를 이용하면 상기 실시예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용기를 만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한장의 절곡가능한 판재로부터 형성되며 접착개소가 적어서 제조 코스트가 낮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상방 다각형 개구부의 모서리수가 다각형 바닥판의 모서리수보다 많으므로 참신한 의장의 창작이 가능하며, 상방개구부의 면적이 바닥판의 면적보다 크므로 내용물의 출입이 아주 편리하다.
또한 오각형 측판 내부의 절곡선의 절곡각도가 비교적 용이하게 변화하여 개구부의 형상이 용기 내외로부터의 힘에 따라 변형가능하므로 용기내에서 가열되어 팽창하고 튀게 되는 팝콘을 효율좋게 수용할 수가 있다.
또 이 용기는 개구부를 평탄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적층 수납하거나 뚜껑을 덮는데 적합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의 세부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 등록청구의 범위의 과정을 떠나지 않고 많은 변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한 장의 절곡가능한 판재의 중앙에 다각형의 바닥판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 측판을 연장 시키며, 상기 측판의 적어도 하나를 오각형 측판으로 하여, 오각형 측판에는 바닥판의 모서리의 양단 꼭지점으로 부터 이에 인접하지 않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2개의 절곡선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에는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 대해 절곡된 경우 서로 맞닿는 옆모서리의 어느 한쪽에 접착단부가 설치되어, 각 측판을 조립하여 상기 접착단부에 의해 각 측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이 사각형이며, 오각형 측판이 바닥판의 상호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판이 조립된 경우 그 상부 모서리들이 동일 평면내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의 외측에 절곡단부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절첩식 용기.
KR2019900015398U 1985-09-10 1990-10-05 절첩식 용기 KR910000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398U KR910000893Y1 (ko) 1985-09-10 1990-10-05 절첩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38624 1985-09-10
JP1985138624U JPS6248922U (ko) 1985-09-10 1985-09-10
KR1019860007541A KR870002988A (ko) 1985-09-10 1986-09-09 절첩식 용기
KR2019900015398U KR910000893Y1 (ko) 1985-09-10 1990-10-05 절첩식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541A Division KR870002988A (ko) 1985-09-10 1986-09-09 절첩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893Y1 true KR910000893Y1 (ko) 1991-02-13

Family

ID=2731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398U KR910000893Y1 (ko) 1985-09-10 1990-10-05 절첩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8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920A (ko) 개선된 코너부 내부 체결구를 갖는 절첩가능한 재료 취급 용기
CA1146515A (en) Tray with handles
US3877631A (en) Paper container
CA2643468A1 (en) Microwavable construct for heating, browning, and crisping rounded food items
US4979667A (en) Pizza tray and lid
US20020011514A1 (en) Stackable food tray with condiment compartment
JPH0617139B2 (ja) カートン
US4765533A (en) Erectable container
US3917156A (en) Stackable packing trays
KR910000893Y1 (ko) 절첩식 용기
KR870002990A (ko) 밀봉 밴드가 부착된 용기
US3964668A (en) Simple foldable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s
GB2167043A (en) Variable depth container
US11396405B2 (en) Packaging, especially for food
JPS62235071A (ja) 包装容器
US4417660A (en) Carton for packaging lamp shades or the like
JPH03256839A (ja) 包装箱
US4574999A (en) Container
JPS607309Y2 (ja) 仕切付の段ボ−ル箱
JPS594896Y2 (ja) 環形螢光ランプの包装装置
CN217754525U (zh) 包装盒
RU96102609A (ru) Складной стаканчик
JP2021172360A (ja) 収容箱
KR200382456Y1 (ko) 포장박스
JPH08248Y2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