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79B1 - 냉동시스템 및 냉매유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동시스템 및 냉매유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79B1
KR910000679B1 KR1019840008117A KR840008117A KR910000679B1 KR 910000679 B1 KR910000679 B1 KR 910000679B1 KR 1019840008117 A KR1019840008117 A KR 1019840008117A KR 840008117 A KR840008117 A KR 840008117A KR 910000679 B1 KR910000679 B1 KR 91000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emperature
evaporator
compress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326A (ko
Inventor
더블유. 세들 존
쥐이. 로드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코오포레이숀
카렌 에프. 길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코오포레이숀, 카렌 에프. 길먼 filed Critical 캐리어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1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one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having a resistance varying with temperature, e.g. a thermis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동시스템 및 냉매유동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과 그 제어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과열을 측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위치에 온도 감지기가 있는 냉동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제어장치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하는 기본논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동시스템 2 : 제어장치
4 : 왕복 압축기 6 : 응축기
8 : 팽창밸브 9 : 스탭퍼 모터
10 : 증발기 12 : 모터 구동팬
16 : 열교환 튜브 18,19 : 튜브시트
26 : 배플 34 : 소형 컴퓨터
62 : 압축수단 74 : 피스톤
75 : 실린더
본 발명은 냉매 응축기로부터 냉매 증발기까지 냉매유동을 압축될 냉동 온도 조건에 반응하는 팽창밸브를 조절하므로서 제어하는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동시스템은 냉매 액체가 알려진 바로서 슬러깅(Sluggiug)이나 플러딩(flooding)은 압축기에 심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증기를 따라 압축기 실린더로 들어오는 것을 막도록 설계되어져야만 한다.
냉매 팽창밸브는 모든 냉매가 증발기를 떠나기전에 증발되기 위해서 증발기로 향하는 냉매 통로를 제어한다.
종래의 냉동시스템은 냉매 압력과 온도 및 증발기를 떠난 과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팽창밸브를 통해서 냉매유동을 제어해 왔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공지의 기술로서 "과열'로 알려졌으며, 종래의 시스템은 보통 전술한 슬러깅(Sluggiug) 조건을 피하기 위하여 증발기를 떠난 냉매에서 과열에 대한 큰 안전 여유를 제공하도록 설계해 왔다. 큰 안전 여유는 압축기 실린더로 들어오는 냉매의 실제 과열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변수를 종래에는 계산하지 못하였고, 저냉매 과열을 감지하는데 실제적인 어려움과 냉매 과열량의 변화에 대해, 종래 팽창밸브의 반응이 슬러기쉬니스(느린)(Sluggishness)에 기인하여 요구된다. 이 안전 여유는 증발기의 냉각이 완벽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과잉 증발이 열교환 표면을 최적 이하로 냉매유동을 제어하므로서 제공된다. 그것에 의해서 주어진 에너지 입력에 대한 시스템 용량을 제어한다. 많은 냉동시스템에서 증발기를 떠난 냉매 증기는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압축기의 압축 단면에 들어가기에 앞서 압축기 모터와 관련하여 열교환되도록 통과되며, 액체 냉매가 제어장치의 느린반응으로 압축기 실린더에 들어오기 앞서 증발되므로 압축기에 도달하는 것을 좀더 확고히 한다. 압축기 모터를 통과한 냉매는 압축기 실린더로 들어오는 냉매를 위해 추가로 과열량을 보탠다. 종래의 시스템에서 이 추가 과열량은 팽창밸브를 조정하는데, 고려되지 못하였는데, 이는 과열이 감지되는 보통의 방법으로 증발기를 떠난 냉매 온도에 재 반영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기로부터 증발기까지의 냉매유동은 압축기 모터와 관련하여 열교환되도록 통과한 후 압축부에 유입된 냉매의 과열에 대해 반응하여 제어되는 팽창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증발기 표면을 훨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보다 많은 양의 냉매가 중받기로 이동되며 주어진 용량의 냉동시스템에 대해 보다 작은 증발기 표면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고 과열량는 보다 정밀하게 검측될 수 있으며 압축기 모터애 의해 냉매에 추가된 과열량은 증발기에 공급되는 냉매양을 조절하는데 이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보면, 냉매의 과열량는 서미스터(thermistor)에 의해 냉매를 왕복 압축기의 실린더로 유입하기 바로 전에 있는 지점에서 감지되며, 상기 서미스터는 아날로그신호를 소형 컴퓨터에 제조하여 이 소형 컴퓨터가 밸브위치와 증발기로 향하는 냉매유동을 점진적으로 제어하는 스탭퍼 모터(Stepper mother)에 디지탈 출력신호를 제공함으로서 팽창밸브의 위치를 신속하게 조절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과열량의 변화에 대해 신속하게 반응하게 되어 과열에 대한 비교적 낮은 안전 여유가 압축기를 슬러깅시킬 위험이 없이도 유지될 수 있어 냉동시스템의 효율과 용량면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냉동시스템에 관하여 설명되며, 일반적으로 물 또는 브라인 급냉기라 불리는 냉동시템에 관한것으로 이 시스템은 공냉식 응축기와 왕복 압축기 및 냉각될 물 또는 브라인으로 열교환기에서 직접 냉매를 팽창하기 위해 급냉기 용기와 같은 증발기를 사용한다.
본 밭명은 열 펌프나 주 목적이 열을 제공하거나 액체 냉각식 응축기를 이용하는 기계나 다른 형태의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한편 본 발명은 열교환 튜브, 외부에서 물이나 브라인으로 냉각하는 직접 팽창 증발기 용기에 관하여 기술한 것으로 여기서 시스템은 직접적으로 공기나 다른 유체로 냉각한 증발기와 튜브 외부에서 냉각하는 만액(flooded) 증발기를 사용한다. 더구나 기술된 형태의 시스템은 실제로 원하는 냉동이나 열 용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계단식 냉각회로나 하나 이상 병렬로 배열된 급냉기 용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스텝퍼 밸브 모터를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제어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지만, 기계식, 전기식, 공기압식 또는 다른 제어장치가 본 발명의 취지와 범주내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1도에는 제어장치(2)를 지닌 냉동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냉동시스템(1)은 왕복 압축기(4), 응축기 튜브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모터 구동팬(12)을 지닌 공냉 응축기(6), 모터(9)에 의해 제어되는 냉매 팽창밸브(8)와 증발기(10)으로 구성된다. 증발기(10)은 다수의 열교환 튜브(16)를 지지하는 단부 근처에 배치된 튜브 시트(18)(19)와 함께 셀(14)를 지닌 실린더 용기로 구성된다. 튜브시트(18)은 냉매 헤더(20)을 구성하도록 증발기 용기 한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튜브시트(19)는 증발기 용기의 다른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수평 격막(23)과 함께 냉매 입구 헤더(20)와 출구 헤더(22)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내부 배플(26)은 보통 열교환 튜브(16)와 효과적인 열 전달을 위해 용기 내부의 원하는 통로에 냉각시키는 물과 브라인을 안내하도록 셀(14)내에 배치된다.
작동시, 냉매 증기는 압축기(4)에 의해 흡입 통로(30)을 통해 증발기(10)의 냉매 유출구 헤더(22)로부터 방출된다. 냉매 증기는 압축기(4)에 의해 압축되며, 공기와 같은 냉각재로서 열교환에 의해 액체로 응축된 냉매가 응축기(6)의 안으로 뜨거운 개스 통로(31)을 통해 통과된다. 액체 냉매는 그곳에 팽창밸브를 가지고 있는 액체 통로를 통해 증발기(10)의 냉매 입구 헤더(2)로 통과된다. 팽창된 저압 냉매는 헤더(21)로부터 냉매 헤더(20)안의 열교환 튜브(16)의 부분을 거쳐서 나머지 열교환 튜브(16)으로 들어와 냉매 유출구 헤더(22)을 통과한다. 열교환 튜브(16)을 거쳐 통과한 냉매는 열교환 튜브에서 증발되고 온도 유입구 통로(28)을 거쳐 증발기 용기 안으로 들어온 물은 냉각된다. 물은 증발기 용기에서 냉각되며, 그때 원하는 위치에서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 유출구 통로(27)을 거쳐 원하는 위치로 통과된다.
제어장치(2)는 바람직한 형태인 적당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력/-출력장치 및 응축기(6)으로부터 증발기(10)까지 냉매유동을 점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팽창밸브(8)의 개폐를 점진적으로 차례로 조절하는 디지털식으로 제어되는 전기 스텝퍼 모터(9)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 스위치 장치등을 지닌 소형 컴퓨터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수단인 소형 컴퓨터(34)는 서미스터(36,38)로부터 아날로그식의 온도 입력신호를 얻어서 이 신호를 처리하여 스텁퍼 모터(9)를 작동시키는 디지탈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적당한 소형 컴퓨터로 제어되는 팽창밸브 및 조합된 스탭퍼 모터는 출원인의 계류중인 출원(대리인 참조번호 5415)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서미스터(35)은 증발기 내에 포화된 냉매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증발기(10)의 냉매 유입구 헤더 또는 다른 적당한 위치에 위치한 증발기 프로브 어셈블리(Probe assembler)(40)의 일부분이다. 프로브 어셈블리(40)은 부싱을 거쳐서 적당하게 삽입된 서미스터(36)을 포함한 브로브(41)과 증발기로 들어온 냉매 온도 감지를 위해 냉매 유입구 헤더 안으로 밀봉 어셈블리(44)로 구성된다. 이 온도는 열교환 튜브(16)내에서 액체 냉매의 증발이 완수되기전 팽창된 냉매의 포화 온도에 응한다. 서미스터(38)은 압축기(4)의 셀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서의 냉각 온도를 감지하는 압축기 프로브 어셈블리(42)의 일부분이다.
제2도를 보면, 압축기(4)는 보다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압축기(4)는 밀봉형 또는 반 밀봉형이며, 그 하우징(58)은 주조되거나 인발된 셀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하우징(58)에는 유도형으로서 도시된 전기 모터(60)과 왕복형으로 도시된 압축수단(62)이 수용되어 있다. 전기 모터(60)은 다수의 고정자 권선(66)과 하우징(58)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71)에 저어널 지지된 크랭크 샤프트(72)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로우터 샤프트(70)에 연결된 농형(籠形) 로우터 부재(68)를 가지고 있다. 압축수단(62)는 한개의 쌍의 실린더(76)를 포함하여 이 실린더 내에는 실린더와 동일한 수이 피스톤(74)이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74)는 냉매 증기를 압축하도록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는 커넥팅 로드(73)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72)와 연결되어 있다. 냉매 증기는 냉매 흡입 밸브(78)을 거쳐 실린더로 유입되어 각각의 실린더로 조합된 냉각 방출 밸브를 통해 실린더로 배출된다.
냉매 흡입 유입구 통로(84)는 흡입 통로(30)으로부터 압축기 내로 냉매를 유입시키도록 구비되어 있고 압축된 냉매 증가 출구 통로(86)은 냉동시스템의 고온 개스 통로(31)안으로 압축된 냉매를 방출한다. 증발기(6)으로부터의 냉동된 개스는 흡입 통로(30)에서 냉매 증기 입구(84)를 거쳐 압축기(4)안으로 통과되어,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모터(60)와 열교환하도록 모터를 통과한다. 모터(60)와 관련하여 열교환하도륵 통과한 냉매 증기는 모터로부터 열을 흡입하고 흡입관(88)을 거쳐 압축수단(62)의 실린더 내로 이동된다. 흡입관(88)에는 전기 모터(67)의 하류와 흡입 밸브(70)와 압축 실린더(76)의 상류에 놓인 냉각 증기 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관(88)과 유입하는 냉매 증기는 압축수단의 실린더(76)에 들어가기에 앞서 모터(60)으로 부터 추가 과열량을 흡수한다. 실린더(76)에 유입되는 냉매 증기는 피스톤(74)의 왕복운동으로 압축되어지며, 그때 압축된 냉매는 냉매 방출 밸브(87) 거쳐서 냉매 출구 통로(86)안으로 통과하여 고온 개스 통로(31)을 거쳐서 응축기(6)으로 이동한다.
압축기 프로브 어셈블리(42)은 흡입관(88)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당한 부싱과, 흡입관(88)안으로 연장하는 온도 프로브(43)을 지닌 밀봉 어셈블리(45)로 구성된다. 서미스터(38)은 프로브(43)에 위치하며, 모터(60)과 옅교환하도록 통과한후와 압축수단(62)의 실린더(76)안으로 냉매 증기를 유입시키기 전에 과열된 냉매 증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점에서, 냉매 증기는 과열량을 정확히 지시하도륵 완전하고 대체로 균질하게 혼합된다. 프로브(43)은 냉매 증기가 압축수단(62) 안으로 유입되기 전에 모터(60)로 열교환을 하므로 인해 과열된 냉매 증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압축기 셀(58)내의 적당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서미스터(36)가 (38)은 팽창밸브(9)의 위치를 점진적으로 제어하는 전기 스텝퍼 모터에 디지탈 출력신호틀 제공하기 위해 소형 컴퓨터(34)에 의하여 처리되는 아날로그 전기 온도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온도 감지 저항이나 다른 소자는 그에 상당하는 필요한 압력이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서미스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신호 처리를 완수하기 위한 기본 프로그램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단계(101)에서, 서미스터(36)에 의해 감지되며, 증발기에서 냉매 포화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는 t1으로써 판독되어 기록된다. 단계(102)에서 서미스터(38)로 감지된 온도는 과열된 냉매 온도 t2로서 판독되어 기록된다. 단계(103)에서, 팽창밸브의 절대적인 현재 위치는 메모리로부터 재호출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된다. 단계(104)에서, 압축수단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과열량은 서미스터(38)에 의해 감지되고 t2에서 t1을 뺌으로써 연산된다. 단계(105)에서, 적절한 밸브 개폐 알고리즘은 팽창밸브(8)읜 개폐를 위해 밸브 변화신호 또는 에러신호를 발생시켜 연산된다. 특수한 알고리즘은 유지되는 원하는 과열량과 유지하고 냉동시스템과 밸브 및 그와 연결된 스텝퍼 모터의 특성 함수로써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예를들면, 시스템의 압축수단으로 유입되는 냉매에서 과열 온도가 약 15℉로 유지되기를 바라면 t2-t1-15=0가 되어야 한다. t2-t1-15°의 값이 0이 아닐 경우에는 15℉의 과열 온도로 회복시킬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밸브 변화신호틀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 기능에 의해 편차가 조절될 수 있다. 시스템의 다양한 특성은 밸브의 비선형 유독 특성을 포함하는 밸브 변화신호를 발생하며 원하는 과열로부터 주어진 편차에 대해 냉매유동을 바람직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속도로 상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시스템의 다른 매개 변수는 감지된 과열, 과도하거나 불충분한 시스템 압력, 과잉 시스템 온도, 과잉 모터 전류, 시스템 부하 변화와 냉매유동의 수정을 필요로 하는 다른 조건들로부터 유도된 밸브 변화신호를 무시하거나 변경하기 위하여 소형 컴퓨터에 입력된다.
단계(106)에서, 시스템 논리는 단계(103)에서 재호출된 현 밸브 위칙와 단계(105)로부터 유도된 밸브 변화신호로부터 원하는 새로운 팽창밸브 위치를 연산한다. 예를들면, 스텝퍼 모터(9)는 완전히 닫힌 밸브 위치와 완전히 열린 밸브 위치간에 760 단계를 제공하는 쌍극 전기 스텝퍼(Stepper)이다. 냉각 시스템 밸브의 작동중의 어떤점에서, 밸브에 대하여 제로(Zero) 기준 위치를 설정하도록 완전히 닫힌다. 그후 소형 컴퓨터는 각 밸브 변화신호가 스텝퍼 모터 앞의 위치로부터 개방하거나 닫게하기 위한 스탭퍼 모터를 적용하므로서 밸브의 절대 위치를 기억한다. 단계(107)에서, 논리는 증발기에서 바라는 냉매유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밸브 전류 위치로부터 더하거나 감하여지는 밸브 모터 단계의 수를 연산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발생된 상기 출력신호는 원하는 수의 단계에 의해 팽창밸브를 점진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도륵 스텝퍼 모터(9)의 적당한 권선을 맥동시키기 위해 디지탈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적당한 출력 구동 논리 단계(108)로 인가된다.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디지탈로 제어할 수 있는 전기 스텝퍼 모터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도시되지만, 팽창밸브(3)은 감지된 과열 상태에 반응하는 적당한 제어장치와 연결된 적당한 밸브 작동기수단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팽창밸브를 제어하는 특히 유리한데 이는 이 모터의 반응이 정밀한 신속하기 때문이며 또한 감지 되고 측정된 모든 시스템 특성에 따라 밸브를 원하는 위치에서 세팅시킬 수 있는 소형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계식, 전기식, 공기압식 및 다른 형태의 제어장치도 압축기 모터로 냉매의 열교환에 의하여 보태진 과열량을 고려하여 모터수단으로부터 냉매 압축기의 압축수단으로 통과한 냉매를 유출한 과열신호에 반응하는 팽창밸브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압축기 모터에 의해 냉매 증기에 보탠 과열량을 고려하면 손상의 원인이 된 압축기수단에 들어오는 냉매 액체의 위험없이 증발기를 떠난 냉매에서 소량의 과열로 가지고 냉동시스템을 작동시키기에 가능하다. 이것은 증발기가 보다 작은 과열이 보태어지는 것을 요구한 사실에 기인한 소량의 열교환으로 증발기를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더우기, 압축기의 압력부와 모터 사이의 시스템에서 임계 위치에서 과열을 감지함으로써 시스템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매를 휠씬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종전에는 증발기에 의해 제공된 필요한 과열량은 압력부에 유입되는 냉매의 실제 과열보다 오히려 압축기로 들어오는 냉매의 안전 과열에 관한 가정을 기준한 다소의 대략치(근사치)이다.
냉각시스템을 안전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매우 큰 안전 계수를 매우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과열량이 매우 과도한 상태로 냉각시스템을 작동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열량이 훨씬 정밀하게 측정되고 압축기수단으로 유입되는 냉매 과열량이 설계 조건에서 벗어나게 되는 작동 조건에서의 비정상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냉매유동이 빠르게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시스템은 과잉 과열에 대한 훨씬 작은 안전 여유로도 안전하게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적은 과열량을 확실히 감지하거나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증발기의 출구에서 과열량(5℉ 정도가 바람직함)을 측정하는 경우 액체 냉매에 의해 압축기의 플러딩(flooding)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여유를 크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 과열량의 측정 위치를 압축기 내부의 냉매가 압축수단에 유입하는 위치에 있고 그 위치에서 과열량은 비교적 높은데 예를들면 15℉ 정도가 되기 때문에 과열량을 용이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실제 과열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과열량의 안전 여유를 한층 더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밸브를 디지탈 제어하면 종래 장치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냉매의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증발기에서 유출된 냉매의 과열량의 안전 여부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냉동시스템 내의 냉매유량이 정열하고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증발기의 열교환면을 대단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동일한 증발기에 의해 일정한 에너지를 입력하는데 종래 장치보다 큰 냉동 능력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냉동 시스템의 초기 비용을 감소시키고 능력을 증대시키며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A) 냉각하기 위해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0)와 ; (B) 냉매 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6)와 ; (C) 상기 증발기(10)내에 형성되어 있는 냉매 증기를 압축시키고 이 압축된 냉매 증기를 응축기(6)로 보내고, 하우징(58)과 상기 냉매 증기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수단(4,62)과 상기 압축 수단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애 배치되어 있는 모터(60)를 포함하는 압축기(4)와 ; (D) 상기 응축기(6)에서 증발기(10)까지의 냉매유동을 제어하는 조절 가능한 냉매 팽창밸브(8) 및 ; (E) 냉매의 온도 함수에 응하여 상기 냉매 팽창밸브(8)를 조절하는 제어장치(2)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에 있어서 ; (F) 상기 하우징(58)을 통하여 냉매 증기를 상기 모터(60)와 열교환하도록 하고 모터를 냉각한후에 상기 압축기수단으로 보내는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는 냉매 통로(84-88)와 ; (G)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냉매 통로의 어떤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압축수단에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기인 압축기 프로브 어셈블리(4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브 어셈블리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어장치(2)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는 상기 모터(60)에서 상기 압축수단(62)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함수로써 조절되는 팽창밸브(8)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시스템의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증발기에서 냉매 포화 온도에 상당하는 제1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감지기인 프로브 어셈블리(40) 및, 상기 압축수단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와 상기 모터와 압축기 사이의 한 위치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 제2온도간의 차이의 함수인 과열 제어신호를 상기 팽창밸브에 제공하도록 연결된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기인 프로브 어셈블리(40,42)는 아날로그 전기 온도신호를 제고하도록 온도 감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아날로그 온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9)에 과열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접속되고 프로그램되는 소형 컴퓨터(74)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9)는 디지탈 과열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냉매 팽창밸브를 점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소형 컴퓨터에 의해 발생된 디지털 과열신호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디지탈식으로 조절 가능한 전기 스텝퍼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
  5. 응축기(6), 조절 가능한 냉매 팽창밸브(8)와, 증발기(10) 및 압축기 모터(60)와 이 압축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수단(62)을 둘러싸는 압축기 하우징(58)을 포함하는 압축기(4)를 구비하는 냉동시스템에서 감지된 냉매 온도의 함수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 상기 제어신호어 응답하여 냉매 팽창밸브(8)를 조절함으로써 응축기(6)로부터 냉동시스템의 증발기(10)까지의 냉매유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냉매를 압축수단(62)로 이동시키기전에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매를 상기 압축기 모터와 열교환하도록 증발기(10)로부터 유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압축기 모터(68)로부터 상기 압축기 하우징(58)을 통해서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축수단(62)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유동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압축기 모터에서 압축수단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과열 함수인 제어신호 발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유동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밸브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디지탈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응축기로부터 증발기까지외 냉매유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디지탈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냉매 팽창밸브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유동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증발기(16)에서 냉매의 포화 온도에 상당하는 상기 시스템 내의 제2온도를 감지하여 제2온도의 함수인 제2온도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 압축기로 유동하는 냉매온도에 해당하는 신호와 상기 제2온도신호와의 차이의 함수인 밸브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 상기 밸브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냉매 팽창밸브(8)를 조절함으로써 응축기(6)에서 상기 냉동시스템의 증발기(10)까지의 냉매유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유동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과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디지탈 과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응축기(6)에서 증발기(10)까지의 냉매유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탈 과열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냉매 팽창밸브(8)를 점진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유동 제어방법.
KR1019840008117A 1983-12-19 1984-12-19 냉동시스템 및 냉매유동 제어방법 KR910000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291383A 1983-12-19 1983-12-19
US562,913 1983-12-19
US562913 1983-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326A KR850004326A (ko) 1985-07-11
KR910000679B1 true KR910000679B1 (ko) 1991-01-31

Family

ID=2424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117A KR910000679B1 (ko) 1983-12-19 1984-12-19 냉동시스템 및 냉매유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148102B1 (ko)
JP (1) JPS60149858A (ko)
KR (1) KR910000679B1 (ko)
AR (1) AR247290A1 (ko)
AU (1) AU551118B2 (ko)
BR (1) BR8406483A (ko)
CA (1) CA1239206A (ko)
DE (1) DE3483150D1 (ko)
DK (1) DK165996C (ko)
EG (1) EG16966A (ko)
IN (1) IN162196B (ko)
MX (1) MX162200A (ko)
PH (1) PH24296A (ko)
SG (1) SG92090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76B1 (ko) * 2007-10-02 2009-09-08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냉동 시스템에서의 팽창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052B1 (ko) * 1986-03-14 1990-05-04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냉동장치의 냉매유량 제어장치
DE3713869A1 (de) * 1987-04-25 1988-11-03 Danfoss As Regelgeraet fuer die ueberhitzungstemperatur des verdampfers einer kaelte- oder waermepumpanlage
DE19647718C2 (de) * 1996-11-19 1998-09-24 Danfoss As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Kälteanlage sowie Kälteanlage und Expansionsventil
US6923014B2 (en) 2003-09-02 2005-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cooling multiple logic molecules
US10668545B2 (en) 2013-02-01 2020-06-02 Husqvarna Ab Power equipment with inertia based measurement and guidance
WO2014160740A1 (en) * 2013-03-26 2014-10-02 Aaim Controls, Inc. Refrigeration circuit control system
US11105556B2 (en) 2013-03-29 2021-08-31 Tokitae, LLC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EP3140092B1 (en) 2014-05-06 2022-06-29 Husqvarna AB Improved power tool
DK3177257T3 (da) * 2014-08-08 2020-08-31 Tokitae Llc Temperaturregulerede medicinske opbevaringsanordninger
US11015848B2 (en) 2016-04-20 2021-05-25 Danfoss A/S Axial flow compressor for HVAC chiller systems
CN108800680A (zh) * 2017-04-28 2018-11-13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冰箱制冷系统
DE102018129571A1 (de) * 2018-11-23 2020-05-28 Viessmann Werke Gmbh & Co. Kg System mit hermetisch dichtem Gehäuse und Außenanreg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6550A (en) * 1966-11-01 1968-08-13 Lennox Ind Inc Arrangement for reducing compressor discharge gas temperature
US3537272A (en) * 1968-08-22 1970-11-03 Hall Thermotank Intern Ltd Expansion valve control including plural sensors
US3577743A (en) * 1969-06-10 1971-05-04 Vilter Manufacturing Corp Control for refrigeration systems
SE402345C (sv) * 1975-11-28 1985-05-07 Stal Refrigeration Ab Reglering av kylanleggning
JPS5268423A (en) * 1975-12-03 1977-06-07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Two-col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SE396468B (sv) * 1976-01-19 1977-09-19 Teknoterm Systems Ab Sett att reglera en kyl-, frys- eller vermepumpanleggning
US4067203A (en) * 1976-09-07 1978-01-10 Emerson Electric Co. Control system for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an evaporator coil
US4244182A (en) * 1977-12-20 1981-01-13 Emerson Electric Co.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nt feed rate in a refrigeration system
JPS5513352U (ko) * 1978-07-14 1980-01-28
JPS588956A (ja) * 1981-07-10 1983-01-19 株式会社システム・ホ−ムズ ヒ−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JPS6045779B2 (ja) * 1981-08-07 1985-10-1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冷媒流量制御装置
EP0078928A3 (de) * 1981-11-10 1983-09-28 Feraton Anstalt Verfahren zur Regelung der umlaufenden Kältemittel in einem Kältemittelkrei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76B1 (ko) * 2007-10-02 2009-09-08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냉동 시스템에서의 팽창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48102B1 (en) 1990-09-05
PH24296A (en) 1990-05-29
DK165996B (da) 1993-02-22
BR8406483A (pt) 1985-10-15
JPH0459544B2 (ko) 1992-09-22
MX162200A (es) 1991-04-08
KR850004326A (ko) 1985-07-11
DE3483150D1 (de) 1990-10-11
AR247290A1 (es) 1994-11-30
SG92090G (en) 1991-01-18
EG16966A (en) 1993-07-30
IN162196B (ko) 1988-04-16
DK165996C (da) 1993-07-05
JPS60149858A (ja) 1985-08-07
DK590684A (da) 1985-06-20
AU3331384A (en) 1985-06-27
EP0148102A2 (en) 1985-07-10
EP0148102A3 (en) 1986-06-11
AU551118B2 (en) 1986-04-17
CA1239206A (en) 1988-07-12
DK590684D0 (da) 198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630B1 (ko) 냉동 시스템의 냉동팽창밸브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23385B1 (ko) 모터 하우징 온도 제어장치
KR910000679B1 (ko) 냉동시스템 및 냉매유동 제어방법
KR100423681B1 (ko) 냉각기의 핀치 및 배출 과열을 기초로 한 전자 팽창밸브의 제어 방법
KR900003052B1 (ko) 냉동장치의 냉매유량 제어장치
KR101602741B1 (ko) 항온액 순환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WO2018110185A1 (ja) 冷媒回路システムおよび冷媒回路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960012739B1 (ko) 다중 압축기 냉방 시스템의 압축기 정지시기 제어 방법 및 장치
JP4711852B2 (ja) 温度調整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
JP2010002173A (ja) 冷凍装置
JP200805787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930000404B1 (ko) 냉매가열식 냉난방기
JPH0123935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30074404A (ko) 공기 조화 장치
JP3660961B2 (ja) 冷凍装置
JP4252184B2 (ja) 空気調和機の冷媒流量制御装置
JP2506377B2 (ja) 空気調和機とその制御方法
JP2004218893A (ja) 複数段ターボ冷凍機
KR820000586Y1 (ko) 개량된 왕복 압축기
JP2004198048A (ja) 冷凍装置
CN105917179B (zh) 马达壳体温度控制系统
JPH05133625A (ja) 冷凍機の制御装置
SU848917A1 (ru) Система термостатировани объекта
CN116263263A (zh) 改变热泵的除霜触发的方法
JPS62248963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