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92B1 -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92B1
KR910000192B1 KR1019880000857A KR880000857A KR910000192B1 KR 910000192 B1 KR910000192 B1 KR 910000192B1 KR 1019880000857 A KR1019880000857 A KR 1019880000857A KR 880000857 A KR880000857 A KR 880000857A KR 910000192 B1 KR910000192 B1 KR 91000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
output
inverter
voltag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451A (ko
Inventor
김용훈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192B1/ko
Publication of KR89001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M : C모스 MP : 모스
MN : N모스 NOR : 노이게이트
IN : 인버터
본 발명은 PLL(Phase Lockde Loop)에 사용되는 제어전압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변화시켜 주기위한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 모스(가)와, OP 앰프(OP1), 저항(R4) 및 콘덴서(C1)를 이용한 적분기(나)와, O 앰프(OP2) 및 저항(R1-R3)을 이용한 슈미트 트리거(다)로 구성되어 있다. 즉, C 모스(가)의 제어전압(Vm1-Vm)에 따른 적분기(나)의 충방전시간을 변화시켜 슈미트 트리거(다)에서의 출력전압 주파수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전압 주파수 제어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2개의 OP 앰프와 저항과 콘덴서를 다수의 소수가 사용되므로 이를 집적회로화 할 경우 회로면적이 커지게 되고 도한 원가상승을 초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모스 FET의 VCR(Voltaged-Controlled Resistor) 특성을 이용하여 간단한 출력전압 주파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P 모스(MP1)를 통한 전압(Vcc)이 각각 N.P 모스(MN1, MP2) 및 N.P 모스(MN2, MP3)로 구성되는 각 C 모스(CM1, CM2)로 인가되게 연결하고, C 모스(CM1, CM2)의 양출력단 사이에 콘덴서(C)을 연결하고 또한 인버터(IN1)를 통한 C 모스(CM1)의 출력과 인버터(IN5, IN6)를 통한 C 모스(CM2)의 출력이 낸드게이트(NAND1)로 인가되게 연결하며, 인버터(IN1-IN4)를 통한 C 모스(CM1)의 출력과 인버터(IN7)를 통한 낸드게이트(NAND1)의 출력이 레치로 구성된 노이게이트(NOR2, NOR1)로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노어게이트(NOR1-NOR2)의 출력이 C 모스(CM1, CM2)의 입력으로 되게 연결구성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노드(08)가 하이레벨이라면 N 모스(MN1)가 온 되어 노드(05)는 로우레벨이 되고, 이때 노드(06)는 로우레벨이므로 P 모스(MP3)가 온 되어 바이어스 전압으로 그 저항치가 결정되는 P 모스(MP1)를 통한 전압(Vcc)으로 콘덴서(C)가 충전을 시작한다.
이 콘덴서(C)가 인버터(IN5)를 턴온시킬 수 있는 전위로 되는 시간(tm)경과후 인버터(IN6), 낸드게이트(NAND1), 인버터(IN7), 노이게이트(NOR1)를 통하는 시간(td1)동안 콘덴서(C)는 계속 충전이 되고, 노드(06)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될 때 노드(06)는 하이레벨로 되므로 노드(07)의 전위로 시간(tm +td1)동안 충전된 전하를 순식간에 N 모스(MN2)를 통하여 방전하게 된다. 노드(05)의 전위는 P 모스(MP1)와 P 모스(MP2)를 통하여 인버터(IN1)를 턴온시키기 까지의 시간(tm)동안과 인버터(IN2, IN3, IN4) 및 노어게이터(NOR2)를 지나는 시간(td2)동안 충전이 된다.
이때 다시 노드(08)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바뀌게되고 노드(06)는 하이레벨로 변하여 노드(05)의 전위는 온 상태인 N 모스(MN1)를 통하여 방전되고, 노드(07)의 전위는 다시 콘덴서(C)에 충전되어 발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발진 주파수(fosc)와 지연시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td1은 인버터(IN1-IN4)와 노이게이트(NOR2)를 통과하는 지연시간이고, td2는 인버터(IN5-IN7)와 낸드게이트(NAND1)와 노어게이트(NOR1)를 통과하는 시간이고, VTL은 인버터(IN1, IN5)의 턴온 전위이고, VGS는 P 모스(MP1)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이고, VTP는 P 모스(MP1)의 드레쉬 호울드 전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는 비교기 및 적분기를 사용하지 않고 모스 FET를 사용하게 되므로, 집적화가 용이하면서 그 구성소자수가 대폭 줄어들게 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P 모스(MP1)를 통한 전압(Vcc)이 인가되는 C 모스(CM1, CM2)의 출력단 사이에 콘덴서(C)를 연결하고, 각각 인버터(IN1)와 인버터(IN5, IN6)를 거친 상기 각 C 모스(CM1, CM2)의 출력이 낸드게이트(NAND1)를 통하여 인버터(IN7)를 거친 후 노어게이트(NOR2)와 함께 레치로 구성되는 노어게이트(NOR1)로 입력되게 연결하고, 또한 인버터(IN1-IN4)를 가진 C 모스(CM1)의 출력이 노어게이트(NOR2)로 입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노어게이트(NOR1, NOR2)의 각 출력이 C 모스(NOR1, NOR2)의 입력으로 되게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KR1019880000857A 1988-01-30 1988-01-30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KR91000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0857A KR910000192B1 (ko) 1988-01-30 1988-01-30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0857A KR910000192B1 (ko) 1988-01-30 1988-01-30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51A KR890012451A (ko) 1989-08-26
KR910000192B1 true KR910000192B1 (ko) 1991-01-21

Family

ID=1927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857A KR910000192B1 (ko) 1988-01-30 1988-01-30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1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51A (ko) 198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6384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with symmetrical output and logic gate for use in same
US5568099A (en) High frequency differential VCO with common biased clipper
KR900019371A (ko) 전압제어발진회로
KR100286155B1 (ko) 집적 회로에 내장된 발진 회로
US5923222A (en) Low power amplifier and an oscillating circuit incorporating the amplifier
US5341113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a 50% duty cycle
JPH0818340A (ja) 水晶発振回路
JP2743853B2 (ja) 電流源回路
KR910000192B1 (ko) 모스를 이용한 전압발진 주파수 제어회로
JPS6046610A (ja) 単一入力発振回路
US4779063A (en) Oscillator with feedback loop including delay circuit
US4904960A (en) Precision CMOS oscillator circuit
JPH0254698B2 (ko)
JP2551871B2 (ja) 発振制御回路
US5923201A (en) Clock signal generating circuit
US5701105A (en) Timer oscillation circuit with comparator clock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oscillation signal
KR100189746B1 (ko) 파워 온 리세트 신호 출력 회로
JPH0677781A (ja) 発振回路
JPS63172505A (ja) 発振停止機能付cmosゲ−トアレイ発振回路装置
JPH0865048A (ja) 発振回路
JPH0494210A (ja) 電圧制御発振回路
JPS6036644B2 (ja) 発振回路
JPH05268002A (ja) 電圧制御発振器
JP2577295Y2 (ja) 電圧制御発振回路
JP2616226B2 (ja) 電圧制御発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