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235Y1 - 자동온도 조절기 - Google Patents

자동온도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235Y1
KR900011235Y1 KR2019880003382U KR880003382U KR900011235Y1 KR 900011235 Y1 KR900011235 Y1 KR 900011235Y1 KR 2019880003382 U KR2019880003382 U KR 2019880003382U KR 880003382 U KR880003382 U KR 880003382U KR 900011235 Y1 KR900011235 Y1 KR 900011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sistors
multivibrator
outpu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743U (ko
Inventor
강희국
Original Assignee
마포산업전자 주식회사
최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포산업전자 주식회사, 최정환 filed Critical 마포산업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3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1235Y1/ko
Publication of KR890019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having a resistance varying with temperature, e.g. a therm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온도 조절기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V1, MV2 :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CO : 카운터
DR1, DR2 :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본 고안은 자동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난방기기에 부착되어 원하는 장소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냉난방기기에 실내온도 제어기능을 갖춘 계기를 부착하여 사용해 왔으나, 종래 온도 조절기는 1점의 온도를 설정해 놓고 그 온도만을 제어할 수 있었으며, 아나로그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과대한 비용을 들여야 했다. 또한 하나의 온도점만을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온도를 자주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연료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기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온도제어를 디지탈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절 온도가 최소 및 최고 온도로 구분되어 2점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장소의 실내온도가 상기 2점의 온도사이에서 자동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더욱 경제적이고 편리한 온도조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탈 방식으로 현재의 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와 연산증폭기, 저항 및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최저 및 최고온도 사이에 실내온도를 유지시키는 온도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온도 감지부(1), 온도 제어부(2), 릴레이, 제1주파수 발생회로(3), 제2주파수 발생회로(4), 제1 및 제2무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 회로(MV1,MV2), 계수기(CO),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DR1,DR2), 동기회로(5), 및 온도 표시기(L1,L2)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 감지부(1)는 더미스터 저항(T), 가변저항(R1), 저항(R2 내지 R5), 및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어 있고, 온도변화에 따른 더미스터 저항(T)의 비선형적 변화를 선형적 전류 변화치로 산출해 내기 의해 제1도와 같이 구성되었다.
온도 제어부(2)는 저항(R6 내지 R12), 가변저항(R13,R14), 트랜지스터(TR1,TR2), 및 연산증폭기(OP2,OP3)로 구성되어 있다. 연산증폭기(OP2,OP3)의 각(+)단자에는 가변저항(R13,R14)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최저 및 최고 전압이 입력되어 진다. 그래서, 상기 온도 감지부(1)로 부터의 전류치가 저항(R6,R11)을 통과할 때의 전압치와, 상기 가변저항(R13,R14)에 의해 정해지는 최저 및 최고 전압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저항(R6,R11)이 전압치를 상기 최저 및 최고 전압치 사이에 자동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만약 온도감지부(1)에서 실내온도 15℃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류치가 저항(R6, R11)을 통과함과 동시에, 연산증폭기(OP2)의 (+)단자에는 10℃에 해당하는 최저전압치가, 연산증폭기(OP3)의 (+)단자에는 20℃에 해당하는 최고 전압치가 설정되어 있다면, 트랜지스터(TR1)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2)도 오프되어 릴레이가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온도 감지부(1)로 부터 5℃에 해당하는 전류가 출력될 경우 트랜지스터(TR1)는 온되고, 트랜지스터(TR2)는 오프되어, 릴레이가 작동하고 히터의 스위치를 단락시키게 된다.
따라서 온도감지부(1)의 온도는 온도제어부(2)의 최저 및 최고 설정온도 사이에서 자동으로 제어되게 된다.
또한 온도감지부(1)로 부터의 전류는 상기 온도제어부(2)와 병렬로 구성된 제1주파수 발생회로(3)에도 전달되며, 제1주파수 발생회로(3)는 저항(R15 내지 R19), 다이오드(D2), 콘덴서(C1), 트랜지스터(TR3) 및 연산증폭기(CP4)로 구성되어 있고, 저항(R19), 다이오드(D2), 콘덴서(C1)의 충전회로 및 콘덴서(C1,), 트랜지스터(TR3), 저항(R18)의 방전회로로 되어 있어 충방전에 의한 주파수 발생을 유도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주파수 발생은 온도변화에 비례하여 그 주기가 정해지게 된다.
그리고, 온도변화와는 무관하게 일정 주파수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주파수 발생회로(4)가 있으며 이회로(4)는 충방전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저항(R20, R21), 다이오드(D3), 콘덴서(C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주파수 발생회로(3,4)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제1 및 제2무안정, 멀피 바이브레이터(MV1,MV2)에 의해 펄스신호로 바뀌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1,MV2)를 동기시키기 위해 각각 동기회로(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동기회로(5)는 트랜지스터(TR4), 저항(R22 내지 R25), 콘덴서(C2,C3) 및 다이오드(D4,D5)로 구성되어 있어, 이 회로(5)에 의해 동기된 신호를 상기 계수지(CO)의 리세트 단자에 보냄과 동시에 발광 다이오드 드라이버(DR1,DR2) 각각의 래치용 단자에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수기(CO)는 그 입력 단자에서 상기 제1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출력을 입력시키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리세트 단자로의 제어 신호에 의해 그 출력을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 계수기(CO)는 해당 펄스를 계수한 후 그 출력을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DR1,DR2)의 입력 단자로 각각 보내며 이때 상기 드라이버(DR1,DR2)는 그의 래치용 단자에서 동기 회로(5)로 부터의 신호 입력을 받았을 때에 한해서 계수기(CO)로 부터의 출력 펄스를 입력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입력된 펄스 신호는 온도 표시기(L1,L2)로 보내지며 이 표시기(L1,L2)에서 현재의 실내온도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디지탈 방식에 의한 실내온도 표시뿐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최저 및 최고 온도를 설정하면 실내온도가 그 범위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한 것으로, 더욱 편리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더미스터 저항(T), 가변저항(R1), 저항(R2 내지 R5) 및 연산증폭기(OP1)로 이루어져 있어 온도변화에 따른 비선형 저항 변화를 선형 전류치로 출력시키는 온도 감지부(1), 저항(R6 내지 R12), 가변저항(R13,R14), 트랜지스터(TR1,TR2) 및 연산증폭기(OP2,OP3)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온도 감지부(1)로 부터의 전류치가 저항(R6,R11)을 통과할 때의 전압치와, 가변저항(R13,R14)에 이해 정해지는 최저 및 최고 전압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저항(R6,R11)의 전압치를 상기 최저 및 최고 전압치 사이에 자동적으로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부(2), 상기 온도 제어부(2)로 부터의 전류에 의해 제어되고 히터의 구동을 온, 오프시키는 역할을 하는 릴레이, 저항(R15 내지 R19), 다이오드(D2), 콘덴서(C1), 트랜지스터(TR3) 및 연산증폭기(OP4)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온도 감지부(1)로 부터의 전류치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진 전류치로 발생시키기 위한 제1주파수 발생회로(3), 저항(R20,R21),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4)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 주파수의 전류을 발생시키는 제2주파수 발생회로(4), 상기 제1 및 제2주파수 발생회로에 의한 신호를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및 제2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V1,MV2),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출력을 그 입력단자에 연결시키고,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출력을 그 리세트 단자에 연결시키어,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에 의한 제어에 의해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출력을 그 입력단자에서 계수하는 계수기(CO), 상기 계수기(CO)의 출력에 각각 연결되어 있은 발광 다이오드(LED) 드라이버(DR1, DR2), 트랜지스터(TR4), 저항(R22 내지 R25), 콘덴서(C2,C3) 및 다이오드(D4,D5)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및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1,MV2)를 동기시킨후 그 동기된 신호는 상기 계수기(CO)의 리세트단자에 보냄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DR1,DR2) 각각의 래치용 단자에 보내는 기능을 하도록 되어있는 동기회로(5) 및 상기 드라이버(DR1,DR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온도 표시기(L1,L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온도 조절기.
KR2019880003382U 1988-03-14 1988-03-14 자동온도 조절기 KR900011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382U KR900011235Y1 (ko) 1988-03-14 1988-03-14 자동온도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382U KR900011235Y1 (ko) 1988-03-14 1988-03-14 자동온도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743U KR890019743U (ko) 1989-10-05
KR900011235Y1 true KR900011235Y1 (ko) 1990-12-22

Family

ID=1927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382U KR900011235Y1 (ko) 1988-03-14 1988-03-14 자동온도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12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444B1 (ko) * 2002-03-16 2004-05-22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센서가 필요없는 히터용 온도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743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7350A (en) Heater with duty cycle controller
DE69412277D1 (de) Zweipoliger temperatursensor mit schaltung zur überwachung der linearen proportionalität des ganzen betriebsstroms
US4305010A (en) Excessive duty cycle and pulse width limiter
GB2221105A (en) Control circuit for a refrigerator combined with a microwave oven
KR900011235Y1 (ko) 자동온도 조절기
US4232305A (en)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warning device
KR940006831B1 (ko) Led의 밝기 조정방법
JP2639910B2 (ja) 遠隔制御装置
KR890006234Y1 (ko) 전자식 온도 스위칭회로
JP3055303B2 (ja) 燃料制御装置
KR810002529Y1 (ko) 에어콘 자동제어 장치
SU1156028A1 (ru) Регул 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KR930007819Y1 (ko) 수족관용 가열기의 온도 조절회로
KR0120385Y1 (ko) 3선식 전압 출력형 트랜스듀서
KR840001383Y1 (ko) 디지탈 온도지시 조절장치
JPH0317351Y2 (ko)
KR890005548Y1 (ko) 써미스터를 이용한 버스의 냉방온도 자동조절장치
US3649854A (en) Regulating arrangement preferably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in heating systems
SU957432A1 (ru) Реле времени
KR930016936A (ko) 온도 변화에 따른 lcd 자동 조정회로
KR900000529B1 (ko) 전자식 에어콘의 콘트롤 회로
JPH0628713Y2 (ja) 電流信号発生器
SU11825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гнализации и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KR880001251Y1 (ko) 냉난방기의 온도자동 조절회로
KR920004990B1 (ko) 조광기의 아날로그 입력 보상방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