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852Y1 -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 Google Patents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852Y1
KR900010852Y1 KR2019870020306U KR870020306U KR900010852Y1 KR 900010852 Y1 KR900010852 Y1 KR 900010852Y1 KR 2019870020306 U KR2019870020306 U KR 2019870020306U KR 870020306 U KR870020306 U KR 870020306U KR 900010852 Y1 KR900010852 Y1 KR 900010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terminal
output
signa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110U (ko
Inventor
정동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0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852Y1/ko
Publication of KR890012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20Conversion of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e.g. conversion of colour televi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제1도는 종래의 방송신호 판별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송신호 자동판별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동기 검출부 14 : 증폭기
8 : 지연회로 15 :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
9 : 버스트검출회로 16 : 앤드게이트
10 : 동기발진부 18 : 오피앰프
11 : 국부발진부 12 : 합성회로
13, 17 : 저역통과필터
본 고안은 TV신호 수신 장치 혹은 녹화장치에 있어 NTSC-M과 PAL-M 방식이 동시에 채용된 TV 또는 VC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절환장치 없이 방송되는 신호의 종류를 구분하여 멀티수신 시스템이 자동으로 선택동작되도록 한 방송신호 판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구성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비디오입력단(Vin)이 동기검출부(1)와 수평발진부(2)를 거쳐 카운터(3)의 리셋단(R)에 접속되며, 한편으로는 국부발진부(4)의 출력단이분주기(5)를 거쳐 카운터(3)의 클럭단(CK)에 접속되고, 상기 카운터(3)의 출력단은 래치부(6)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구성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비디오입력단(Vin)으로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는 동기 검출부(1)를 거쳐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한 후 수평발진부(2)를 거쳐 발진된 신호가 카운터(3)의 리셋단(R)에 인가되고, 한편으로는 국부발진부(4)의 3.58(MHZ) 발진주파수분주기(5)를 거쳐 분주되어 카운터(3)의 클럭단(CK)에 인가되므로 카운터(3)의 출력데이타를 판별하여 NTSC-M과 PAL-M의 구분을 수평동기주파수의 차이, 15.75(KHZ)와 15.635(KHZ)의 구분으로 방송신호의 판별을 행하고 있다.
이와같이 동작을 하는 기존의 방송신호판별회로는 TV방송신호를 NTSC-M(한국,미국,일본 등의 지역)과 PAL-M(브라질 지역)의 2개 장소에서 수신 또는 사용가능 하도록 된 TV수신장치 또는 녹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NTSC-M와 PAL-M의 구분을 외부에서 선택하므로서 정상적인 TV방송신호를 수신하거나 녹화할 수 있어 TV 또는 VCR의 경우 외부에 선택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테이프 또는 수신신호 주파수에 따라 조작을 하도록 되어 있어 방송신호의 판별이 매우 불편하게 되었고, 또한 사용자의 방송판별이 어려워 빈번히 오류를 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방송신호 (NTSC-M· PAL-M)의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칼라부반송파 주파수에의 차이를 검출하도록 하여 TV 또는 영상 녹화 재생기에서 모우드 선택신호를 사용함으로서 복합영상신호의 내용이 NTSC-M·PAL-M에 따라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한 것으로 이하 그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송신호 판별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의 연결구성을 살펴보면, 비디오 입려단(Vin)이 버스트(Burst) 검출회로(9)의 일측에 접속되며 동시에 동기검출부(7)와 지연회로(8)를 순차거쳐 버스트 검출회로(9)의 타일측에 접속되고, 상기 버스트 검출회로(9)의 출력단은 동기 발진부(10)을 거쳐 국부발진부(11)와 연결된 합성회로(12)에 접속되고, 합성회로(12)의 출력단은 저역통과 필터(13)와 증폭기(14)에 순차 연결되어 증폭기(14)의 출력단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5)를 거쳐 앤드게이트(16)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동시에 앤드게이트(16)의 타입력단에 접속되고, 앤드게이트(16)의 출력단은 저역통과필터(17)와 오피앰프(18)를 순차거쳐 출력단 (Vout)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 구성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비디오입력단(Vin)으로 복합영상신호가 NTSC-M·PAL-M의 선택없이 인가되면, 그 신호는 버스트 검술회로(9)에 인가되며 동시에 동기검출부(7)를 거쳐 수직, 수평동기신호로 분리된 후, 동기신호의 백포치에 위치한 버스트신호를 검출하게 위해 약5(μsec)정도 지연되는 지연회로(8)를 거쳐 지연되어 버스트 검출회로 (9)의 일측에 인가되고 상기 버스트 검출회로(9)의 출력단으로는 제3a도와 같은 칼라버스트신호를 출력시켜 동기발진부(10)에 인가되므로 주파수(f1, f1')에 의해 발진하게 된다.
상기 동기 발진부(10)의 출력은 제3도의 b와 같이 되어 합성회로(12)에 인가되며 국부발진회로(11)의 국부발진 주파수신호 c와 합성회로(12)에서 합성되어 출력단으로 c와 같은 파형을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출력된 합성회로(12)의 합성출력은 f2±f1가 되며 f2를 NTSC의 칼라부반송주파수와 동일하게 되면, PAL-M의 경우 f2+f1'≒7.15(MHZ) 약f2-f1'≒3934(HZ)의 주파수 성분이 출력되며, NTSC-M 경우에는 f2+f1≒7.159(MHZ) 와f2±f1'≒0(HZ)의 주파수 성분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회로(12)의 출력은 저역통과필터(13)를 통해 고주파성분(f2+f1)은 충분히 감쇄되고, f2-f1,f2-f1'의 성분이 나타나게 되는데 즉, NTSC-M의 칼라부반송파주파수를 f1PAL-M의 칼라 반송파 주파수를 f1'라 하면 제3도의 (e)에서와 같이 f3=f2-f1, f4=f2-f1'가 되며, 저역통과필터(12)의 출력신호는 증폭기(14)에 의해 증폭되어 앤드게이트(16)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동시에 모노멀티바이브래이터(15)를 거쳐(f)와 같이 되어 앤드게이트(16)의 타입력단으로 인가되어 앤드게이트(16)의 출력단으로 (h)파형이 출력되게 된다,
상기 (h)파형은 f3와 f4를 구분할 수 있는 펄스, 즉 주기가 서로 다른 것으로 NTSC-M일경우 f3가 길출되고 PAL-M일 경우 f4가 얻어지며 이에 따라 f3< f4의 구분이 가능하여 (h)파형은 저역통과필터(7)를 거쳐 적분되어지며 이것은 제3도의 (i)파형과 같게된다.
상기 저역통과필터(17)의 출력파형(i)은 오피앰프(18)의 플러스입력단에 인가되며 오피앰프(18)의 마이너스 입력단으로는 판별레벨을 결정하는 전압이(E1)이 인가되므로 오피앰프(18)의 출력은 전압(E1)에 의해 제3도의 (j)파형과 같이 하여 하이(H), 로우(L)레벨을 갖는 신호로 되어 출력단(Vout)으로 출력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f3일 때에는 로우(L)2f4일 때에는 하이(H)가 되며 출력단(Vout)이 로우(L) 상태이면 NTSC-M 방식이고 하이(H)이면 PAL-M 방식이 됨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송신호 판별회로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NTSC-M, PAL-M의 구분출력신호를 TV 또는 영상재생녹화기에서 모우드선택신호로 사용하므로서 복합영상신호의 내용이 NTSC-M, PAL-M에 따라 자동절환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방송판별의 오류를 방지시키는 효과를 갖게된다.

Claims (1)

  1. 비디오입력단(Vin)이 동기검출부(7)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TV/VCR의 PAL /NTSC 방송신호 판별회로에 있어서, 동기검출부(7)의 출력단은 지연회로(8)를 거쳐 비디오입력단(Vin)과 연결된 버스트검출회로(9)에 접속되고, 버스트검출회로(9)의 출력단은 동기발진부(10)를 거쳐 국부발진부(11)와 연결된 합성회로(12)에 접속되어 합성회로(12)의 출력단이 저역통과필터(13)와 증폭기(14)에 순차연결되고, 상기 증폭기(14)의 출력단은 앤드게이트(16)의 입력단과 접속되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 (15)를 거쳐 앤드게이트(16)의 타입력단에 접속되며 앤드게이트(16)의 출력단은 저역통과필터(17)와 오피앰프(18)를 순차거쳐 비디오 출력단(Vout)에 접속되어 출력단(Vout)으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방송신호를 판별하도록 구성한 것은 특징으로 하는 TV/VCR의 방송신호자동판별회로.
KR2019870020306U 1987-11-24 1987-11-24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KR900010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06U KR900010852Y1 (ko) 1987-11-24 1987-11-24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06U KR900010852Y1 (ko) 1987-11-24 1987-11-24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10U KR890012110U (ko) 1989-07-15
KR900010852Y1 true KR900010852Y1 (ko) 1990-11-30

Family

ID=1926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306U KR900010852Y1 (ko) 1987-11-24 1987-11-24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8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10U (ko)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1607A (ja) 映像信号処理器のキャップションライン検出回路
JPH0818994A (ja) マルチ映像信号復調装置
KR900010852Y1 (ko) Tv/vcr의 방송신호 자동 판별회로
JP2527223Y2 (ja) 輝度信号と色信号との時間差の補正回路
JP2684133B2 (ja) 中間周波数信号の周波数測定装置
US530923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a broadcasting system
JP3092938B2 (ja) 画像表示装置用ディジタル同期回路
US4364091A (en) Equalizing pulse removal circuit
US5287170A (en) Broadcasting signal detecting circuit for SECAM and PAL signal formats
JPS59221087A (ja) Vtrにおける音声多重モ−ド自動判別方式
JPH0218636B2 (ko)
JP2714221B2 (ja) テレビジョン方式判別装置
JP2913920B2 (ja) 標準信号検出装置
JP3586916B2 (ja) データ復調装置
JP3516573B2 (ja) テレビ信号判別装置及びテレビ信号判別方法
JP2563402B2 (ja) 非標準信号検出回路
EP0476542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VCR
JP3239437B2 (ja) 水平同期信号検出回路
KR0176596B1 (ko) 다기능 실행시 실제 카운터 보상장치
JP3599253B2 (ja) Pal/secam信号判別回路および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JPS6115637B2 (ko)
JP2809746B2 (ja) 標準信号判別回路
JP3180586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228668B1 (ko) 영상기록시스템의 기록포맷설정장치
KR0134428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자동 절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