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031Y1 -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장치 - Google Patents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031Y1
KR900010031Y1 KR2019870011069U KR870011069U KR900010031Y1 KR 900010031 Y1 KR900010031 Y1 KR 900010031Y1 KR 2019870011069 U KR2019870011069 U KR 2019870011069U KR 870011069 U KR870011069 U KR 870011069U KR 900010031 Y1 KR900010031 Y1 KR 900010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
reflecting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554U (ko
Inventor
히로시 다니까와
Original Assignee
도오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이다 마꼬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이다 마꼬또 filed Critical 도오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0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2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5Current mirrors using bipolar transistor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characterised by reference voltage circuitry, e.g. soft start, remote shut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스위치 회로 장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제3도는 다른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된 스위치 회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스위치 회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내지 N : 스위치 회로 3 : 전원 단자
4 : 접속 단자 5 : 정전류원 회로
6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전압원으로 작동하고, 다수의 입력 신호 가운데에서 소망신호를 택일적으로 선택 가능하여, 아나로그 신호의 절환 제어가 가능한 스위치 회로 장치이다.
종래의 스위치 회로 장치는 차동 증폭기를 입력 신호에 대응한 수만큼 이용하여, 이러한 차동 증폭기의 전류원용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신호의 선택을 하였다.
종래의 스위치 회로 장치에 대해서 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 차동 증폭회로 A1는 트랜지스터 Q100, Q101로 부터 이루어지는 차동쌍과 다이오드 D100과 트랜지스터 Q102로부터 이루어지는 능동 부하 회로와 전류원용 트랜지스터 Q104와, 귀환용의 트랜지스터 Q102으로 구성되며, 차동 증폭회로 A2에 있어서도 트랜지스터 Q105내지 Q109와 다이오드 D101이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차동 증폭회로 A1, A2의 출력단이 공통 접속되어 출력단자 lout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Q100과 Q105의 베이스가 각각의 입력단자 I1N1, I1N1에 접속된다. 입력 신호의 선택은 전류전용 트랜지스터 Q104, Q109를 제어하여 차동 증폭회로 A1, A2중 하나를 작동시킴에 의해 신호 선택을 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 회로 장치는 차동 증폭 회로에서 구성되기 때문에 소자수가 많아지며, 2개 이상의 입력 신호로부터 택일적으로 신호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신호 절환부가 점유하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반도체 집적회로화에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 만은 아니다. 또한, 차동 증폭회로를 이용하고 있고, 그 전류원용 트랜지스터를 제어하여 신호의 절환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차동 증폭회로 자체의 전압 강하가 크며, 전원 전압이 1V정도의 저전원 전압에서는 안정한 개폐동작을 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 주된 목적은 1V 내지 1.5V정도의 저전압원에서 작동하는 스위치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아나로그 입력 신호로부터 택일적으로 목적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도출할 수 있는 스위치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신호 입력단에서 소정의 반사 전류에 신호 전류가 중첩되며, 출력단에서는 입력 신호 전류가 중첩된 반사 전류와 같은 반사 전류를 제거함에 의해, 소망의 신호 전류를 선택하는 것이며, 도면에 도시한 스위치 회로 장치가 그 대표적인 실시예이다.
본 고안의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 장치에 대해서, 제1도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 2 내지 N은 스위치 회로, 3은 전원단자, 4는 접지단자, 5는 정전류원 회로, 6은 트랜지스터등에서 형성된 스위치 61내지 6N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스위치군, 10내지 17은 전류 반사회로이며, I01내지 I0N은 입력단자 Iout은 출력 단자이다.
다음에, 제1도의 스위치 회로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력단자 I1내지 I0N부터는 입력신호 전류 S1내지 SN이 스위치 회로 1내지 N에 입력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군(6)의 안에 스위치 61은 오프상태이고, 다른 스위치 62내지 6N은 온상태로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1내지 Q5로 형성된 전류 반사회로(17)는 정전류원 회로(5)로부터 정전류 Io가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 Q1에 공급되고, 그 출력측의 트랜지스터 Q2내지 Q5에 전류 반사회로(10, 12, 14)로 부터 반산회로 Io가 흘러 들어가는 것 같이 된다.
스위치(61)는 오프상태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10,Q11로 이루어지는 전류 반사회로(11)가 동작하고 있고, 스위치 회로(1)는 온상태로 된다. 반사전류 Io에 중첩된 신호 전류 S1은 새로은 반사 전류(Io-S1)로서 전류 반사회로(11)에 공급된다.
한편, 스위치 62내지 6N은 온상태로 되어 있고, 전류 반사회로(13, 15)는 이것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Q14, Q15및 Q18, Q19의 베이스 전극이 스위치 62, 6N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상태로 되어 있다.
입력단자 Io1에 신호 전류 S1가 입력되면, 전류 반사회로(17)의 출력단의 트랜지스터 Q5의 콜렉터에 흘러온 반사전류는 일정하기 때문에,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 Q8의 콜렉터(케소드)측으로부터는 반사 전류 Io에 신호 전류S1가 중첩된(Io-S1)의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반사쌍의 출력측 트랜지스터 를 통하여 ()의 반사전류가 전류반사회로(11)의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 Q10에 흘러 들어간다. 또한 입력단자 Io2내지 IoN으로 부터 공급되는 입력신호 S2, SN은 각각 트랜지스터 Q3, Q4의 콜렉터로 흘러 들어가는 반사전류 Io에 중첩되고, (Io-S2), (Io-SN)의 전류가 전류반사회로(12, 14)에서 흐른다. 그러나, 전류 반사회로(13, 15)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Q14, Q15및 Q18, Q19의 각각 베이스가 스위치 62,6N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류 반사회로(13, 15)의 출력측 트랜지스터 Q15, Q19의 콜렉터에는 반사 전류가 인입되지 않는다. 즉, 전류 반사회로(16)에서는 반사 전류로서 의 전류가 유출되어 전류 반사회로(11)에 (Io-S1)의 반사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출력단자 Iout로 부터 여분으로 이루어지는 전류가 출력 전류 S1으로서 출력된다.
물론, 신호 전류 S2내지 SN은 전류 반사회로(13,15)가 차단상태로 되기 때문에 출력단자 Iout로 부터는 출력되지 않는다.
상기 동작을 제2도의 회로도에 의해 설명한다면, 입력단자 Io1내지 IoN로 부터 입력된 신호전류 S1내지 SN은 스위치(6)의 접점을 결점 61에 접속함으로써, 입력단자 Io1에 입력된 신호 전류 S1만이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다.
본 고안의 스위치 회로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전원단자(3)과 접지단자(4)간의 전압 강하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 VBE와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 전압 VCE(SAT)만이 있고, 전원전압이 1V내지 1.5V정도로서 충분하게 작동하는 스위치 회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스위치를 회로 장치의 출력 신호 전류의 진폭은 영레벨로 부터 반사 전류 Io의 레벨 사이를 변동한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 회로 장치에 이용되는 전류 반사회로는 제1도의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다른 회로 구성의 전류 반사회로이어도 좋다.
제3도는 제1도와 전류 반사회로의 구성이 다르다. 제3도의 전류 반사회로(100)에서 설명한다면 트랜지스터 Q8, Q9의 베이스가 공통접속되며, 그 공통 접속점에 트랜지스터 Q21의 에미터가 접속되며, 그 베이스가 트랜지스터 Q8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 Q21의 콜렉터가 접지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3도의 다른 전류 반사회로(101 내지 107)도 같은 형태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3도의 실시예에 의한 전류 반사회로에 따르면, 반사 전류의 정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위치 회로 장치는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함으로써, 극히 간단한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1V 정도의 낮은 전원 전압에서 동작하며, 여러 용도에 이용할 수 있는 극히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2)

  1. 복수의 신호 전류중 한 신호 전류를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회로장치는 신호 입력단에 소정의 반사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류 반사회로와, 신호 입력단에서 소정의 반사 전류에 신호 전류를 중첩하여 반사 전류로서 도출하는 제1전류 반사회로군과 제1전류 반사회로군으로 부터 얻게 되는 반사 전류가 공급되는 제2전류 반사 회로군과 제2전류 반사 회로군의 출력단이 공통 접속되어, 공통 접속에 상기 제1전류 반사회로에서 얻게 되는 반사 전류와 동일한 반사전류가 공급되는 제2전류 반사회로와, 제2전류 반사 회로군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류 반사 회로군의 출력단이 공통 접속된 공통 접속점과 제2전류 반사뢰로의 출력단의 접속점을 스위치 회로 장치의 출력단자로 하며, 출력단자로부터 스위치군을 작동시킴으로서 제2전류 반사 회로군중 어느 하나의 전류 반사 회로를 작동시켜 복수의 신호 전류로부터 소망의 신호 전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반사 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류 반사회로가 제1및 제2트랜지스터가 공통 접속되어 제3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접속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전류 반사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반사 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 장치.
KR2019870011069U 1986-07-10 1987-07-07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장치 KR9000100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05753U JPH0514582Y2 (ko) 1986-07-10 1986-07-10
JP105753 1986-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54U KR880003554U (ko) 1988-04-14
KR900010031Y1 true KR900010031Y1 (ko) 1990-10-29

Family

ID=1441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069U KR900010031Y1 (ko) 1986-07-10 1987-07-07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67979A (ko)
JP (1) JPH0514582Y2 (ko)
KR (1) KR9000100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6106A (en) * 1988-12-09 1992-09-08 Synaptics, Incorporated CMOS winner-take all circuit with offset adaptation
US5049758A (en) * 1988-12-09 1991-09-17 Synaptics, Incorporated Adaptable CMOS winner-take all circuit
FR2649505B1 (fr) * 1989-07-07 1991-10-25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integre avec oscillateur reglable a frequence independante de la tension d'alimentation
JP2777742B2 (ja) * 1990-03-30 1998-07-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光通信装置の信号伝送性能評価装置
DE4122029C1 (ko) * 1991-07-03 1992-11-26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8050 Freising, De
JPH0635376U (ja) * 1992-10-20 1994-05-1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浮玉締付機
SE509882C2 (sv) * 1995-11-10 1999-03-15 Ericsson Telefon Ab L M Mottagarkrets innefattande parallella ingångskretsar
US7504814B2 (en) * 2006-09-18 2009-03-17 Analog Integrations Corporation Current generating apparatus and feedback-controlled system utilizing the current generating apparatus
CN102591392B (zh) * 2012-02-01 2013-11-2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及芯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9935A (en) * 1980-06-03 1981-12-26 Toshiba Corp Digital-to-analog converting circuit
US4608530A (en) * 1984-11-09 1986-08-26 Harris Corporation Programmable current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4582Y2 (ko) 1993-04-19
JPS6312936U (ko) 1988-01-28
US4767979A (en) 1988-08-30
KR880003554U (ko) 1988-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0031Y1 (ko) 전류 반사회로를 이용한 스위치 회로장치
US5057792A (en) Current mirror
US4808845A (en) High voltage pulse generating semiconductor circuit with improved driving arrangement
KR19990008323A (ko) 연산 증폭기
US4096399A (en) Crosspoint bias circuit arrangement
JPH0548054B2 (ko)
US5032745A (en) Current sensing of DC or a stepper motor
JPS62174814A (ja) 安定化電源回路
JPS6223494B2 (ko)
US4501933A (en) Transistor bridge voltage rectifier circuit
US4645999A (en) Current mirror transient speed up circuit
US5099139A (en) Voltage-current converting circuit having an output switching function
JPH09306193A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
US4140926A (en) Inverted transistor circuits for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
US4423357A (en) Switchable precision current source
US5764042A (en) Controlled power supply source
US4221980A (en) Electrical switching means
KR0131568B1 (ko) 베이스 전류 보상용 회로를 갖는 정전류 절환용 회로
JP2908298B2 (ja) 可変利得増幅器
US5973513A (en) Integrated circuit arrangement with an open-collector transistor designed as npn transistor
JP2592990B2 (ja) 電圧制御回路
US4260955A (en) Current amplifier with regenerative latch switch
KR950008531Y1 (ko) 아날로그 신호의 선택 스위칭회로
JP2687160B2 (ja) スイッチ回路
JPH04136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