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992Y1 -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9992Y1 KR900009992Y1 KR2019830006843U KR830006843U KR900009992Y1 KR 900009992 Y1 KR900009992 Y1 KR 900009992Y1 KR 2019830006843 U KR2019830006843 U KR 2019830006843U KR 830006843 U KR830006843 U KR 830006843U KR 900009992 Y1 KR900009992 Y1 KR 9000099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ing
- curtain
- belt
- swelling
- wind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장치의 개략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계하는 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제4도, 제5도, 제7도, 제9도, 제 11, 12, 13도는 팽융부재의 여러가지예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표시하는 팽융부재의 한쪽부재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팽융부재를 한쪽부재를 표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링(56)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에 표시하는 팽융부재에 벨트를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5도 a, b, c도는 벨트의 설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6도 내지 제20도는 벨트의 이동 방지부재의 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1도는 작동의 한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2a도 - 제22c도에 있어서의 구동부(140)은 감속기구와 전동기가 일체가 되어서 권취로드(1)의 단부에 연결고정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권취로드 2, 2' : 커어튼
2a' : 터어튼의 이동끝 가장자리 3 : 벨트
3a : 벨트구멍 4, 4a,4b : 팽융부재
4a', 4b', 4a", 4b" : 팽융부재의 접합면 4c, 4d : 팽융부재의 작은 직경부
4e, 4f : 팽융부재 홈통 4m : 보울트부
4n : 너트무 4n : 고정핀
4h : 고정핀 구멍 9, 9a : 넷트
9b : 지지구 9c : 지지재
9d : 탄성링 9e : 점착부재
7f : 지지간
41, 41c, 42, 44, 49, 50, 51, 55 : 팽융부재의 요철부분 및 구멍
42c : 압압판 43c : 나사
45 : 보울트 46 : 너트
43, 53 : 멈춤나사 47, 48 : 팽융부재의 돌출편
54 : 돌기 54a : 갈고리
55a : 턱부분 56 : 고정용 C링
56' : C 링 56a' : 원형링부재
56b' : 레버 56c' : 걸이
56e, 56f : 고정용 C링의 갈고리부분 56g : 고정용 C링의 구멍
56h' : 클램프 갈고리부분 57 : 평융부재의 요구부분
91 : 가이드부재 91a : 세워진 리브
100 : 자전억지기구 101 : 회전 전달기
102 : 가이드 부재 103 : 회전와이어
104, 140 : 전동기 105 : 지지부재
109 : 중앙들보 140 : 구동부
150 : 리이드부재 153 : 로울러
160 : 연결부재 170, 180 : 지축
본 고안은 폭이 넓고 길이가 긴 필름과 시이트등, 특히 필름과 시이트등, 특히 온실보온용 간막이커어튼을 권취하고, 되감기에서 개폐하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런 종류의 커어튼 개폐장치로서는 제1도(전동형) 및 제2도(정위치 회전형)에 표시하는 것처럼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직봉제 또는 직관제인 권취로드(1')가 사용되고, 그 권취로드(1')에 커어튼(2')의 한쪽 끝 가장자리를 고정시키고, 이것을 로울모양으로 권취와 되감기를 실시해서 간막이면을 개폐하는 것이다.
그런데 권취를 할때에 그 폭이 넓고, 길이가 긴 커어튼을 완전히 균일한 로울모양으로 권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길이가 긴 권취로드가 휘어지는것에 의한 회전축심의 엇갈림과 유연한 커어튼 자체가 부분적으로 늘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기타의 원인에 의해서 권취의 당기는 힘을 받은 커어튼면에는 크거나 작은 주름과 비틀림이 생긴다.
이 주름과 비틈림의 부분이 권취되면 로울모양의 면에 요철이 생기고 그대로 권취되면 권취경이 상이한 것으로 된다.
그 결과, 커어튼이 당겨지는 속도가 각 부분에서 상이한 것으로 되어버리고 커어튼에 무리하게 당기는 힘이 작용해서 부분적으로 길어지거나 헐거워지거나, 파손이 생기기도 하고 상기한 주름과 비틀림을 더욱 증폭하는 원인으로 되어있다.
또한 이 커어튼이 부분적으로 길어지는 것과 헐거워지는 것은 커어튼의 되감기에 의해서 간막이면을 닫았을때에 커어튼의 이동끝 가장자리(2a')가 구불구불하게 되어서 고르지 않은 상태가 나타나고, 완전하게 간막이가 닫히게 할수 없게 되는 것으로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고, 그 목적은 커어튼을 권취할때에 커어튼을 대체로 균일하게 권취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커어튼의 권취가 완료할 무렵에는 부분적인 미권취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은 커어튼을 권취로드에 권취와 되감기를 하는 것에 의해서 간막이면을 개폐하게끔 설치한 온실커어튼 개폐장칭 있어서의 권취장치에 의해서 정위치회전 또는 전동회전에 의해서 커어튼을 로울모양으로 권취와 되감기를 하기위한 권취로드와 그 권취로드위에 적당한 간격으로 끼워 넣어서 고정되어 대체로 원통상 팽융부를 형성하는 팽융부재와 한쪽끝부분이 권취로드 및 팽융부재에 고정되고, 중간부 및 다른쪽은 커어튼과 함께 팽융부재위에 로울모양으로 권착 가능하게 설치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벨트로 구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입각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서 권취축 전동형인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본 고안을 적용한 실시예가표시되어 있고, (1)은 권취로드, (2)는 간막이용 커어튼으로, 한쪽끝 가장자리는 그 권취로드(1)에 고착되고 다른끝 가장자리는 온실의 움직이지 않는 부분(F)에 고착되어서, 권취로드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에 로울모양으로 권취되어서 개방하고,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되감겨서 닫혀진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1은 감속기구가 부착된 회전 전달기, 102는 2회전 전달기(101)의 자전을 지지하면서, 이것을 커어튼 간막이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 103은 잘 휘어지고 회전되는 와이어, 104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용 전동기, 105는 커어튼(2)의 간막이편을 형성하기 위해서 길게 고정된 와이어등의 지지부재이다.
(3)은 가요성인 유연한 재질,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나이톤섬유제인 대상체 등으로 형성되는 벨트, (4)는 권취로드(1)위에 적당한 간격으로 끼워넣어서 고정되어 대체로 원통상 팽융부를 형성하는 팽융부재이다.
이 팽융부재는 제4도 내지 제12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횡단면이 대체로 U자 모야인 2부재(4a)(4b)로 구성되고, 권취로드(1)의 외부에서 끼워 맞추어서 고정함과 동시에 그 접합부(4a')(4b')에 있어서 벨트의 끝 부근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
부재(4a)(4b)는 동일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제작에 필요한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4도 도시예는 부재(4a)(4b)의 접합면(4a')(4b')를 접합시켰을때에 끼워넣어서 맞추는 철(凸)부(41)과, 요(凹) 부분(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재(4a)(4b)의 중앙에는 권취로드(1)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멈춤나사(43)가 결합하는 구멍(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렇긴 하지만 그 멈춤나사(43), 구멍(44) 대신에 부재(4a)(4b)의 내주면에 뾰족한 돌기를 마련해서 로드(1)를 압박하여 끼우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45)는 두 부재(4a)(4b)를 고착하기 위한 보울트이고, (46)은 그것에 결합되는 너트이다.
제5a도, 제5b도에 표시하는 것은 팽융부재(4a)(4b)의 양끝부분을 작은 직경부부재(4c)(4d)로 하고, 한끝 (4c)의 주면의 적당한 곳에 구멍(42)을 뚫어두는 동시에 다른한끝(4d)에는 홈통(4e)(4f) 를 설치하고 있다.
(56)은 고정용 C링이고, 양쪽끝에 갈고리부(56e)(54f)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중앙부에는 구멍(56g)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팽융부재(4a)(4b)를 끼워합친 후에 두 측방에서 C링(56)을 끝부분(4c)의 바깥주위에 끼워넣는다.
이때에 C링의 갈고리부분(56e)(56f)를 각각 홈통(4e)(4f)에 결합시킨다.
다음은 멈춤나사(43)을 C링의 구멍(56g), 팽융부재의 작은 직경부 구멍(42)안에 나입시켜서 그 선단이 권취로드(1)의 바깥주위에 압접할때까지 나사조임을 실시하므로서, 팽율부재(4a)(4b)는 서로 강하게 밀착하는 동시에 권취로드(1)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제5b도)
또한 제4도와 동일한 부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표시한다.
제6a도, 제6b도에 표시하는 팽융부재에는 철부분(50)과 요부분(51)과 그 부분 측벽에 끼워넣는 구멍(52)가 설비되어 있다.
다른쪽의 부재(4b)의 접합면(4b")에도 상기 부호(49)(50)(51)(5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맞추기가 가능한 대면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 부재(4a)(4b)를 고정시킬때에는 먼저 돌출조리브(49)와 철부분(50)을 상대방 부재의 요부분(51)안으로 끼워넣은후에,부재(4a)(4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미끄럼시켜서 철부분(50)(50)을 구멍(52)(52)에 끼워넣고, 이어서 대응하는 돌출편(47)(48)을 접합해서 멈춤나사(53)(53)을 결합시킨다.
제7도의 도면에는 부재(4a)(4b)의 접합면(4a')(4b')에 끼워 합치는데 쓰는 돌기(54)(54)를 만들고, 다른쪽의 접합면(4a")(4b")에 그 돌기(54)(54)가 끼워지는 구멍(55)(55)를 만들고 있다.
이 돌기(54)의 선단에는 갈고리(54a)기 설계되어 있고, 다른쪽 구멍(55)에는 그 갈고리에 대응하는 턱부분(55a)가 설치되어 있다(제8도 참조)
이 두부재(4a)(4b)를 조성시킬때에는 돌기(54)(54)와 구멍(55)(55)을 대응시켜서 설치하고, 그 돌기(54)(54)를 구멍(55)(55)에 삽입해서 결합시킨다.
이때에 벨트(3)의 단부에 돌기(54)(54)를 삽입하는 구멍(3a)(3a)를 형성해두면 두부재(4a)(4b)를 조합할때에 그 구멍(3a)(3a)에 돌기(54)(54)를 삽입시켜서,두 부재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동시에 벨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제9도의 도시예의 팽융부재(4)는 두 부재(4a)(4b)의 각각의 두 부분을 밀착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링(56)(56)에 의해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안에서 (57)(57)은 고정용링(56)(56)의 설치되는 부분에형성된 요구부분이다.
이 요구.(57)(57)은 링(56)(56)이 벗어나가는 것을 막는 작용과 함께 부재(4a)(4b)의 상호간에 엇갈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링(56)(56)에 대신해서 제10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클램프(56')(56')를 사용하면, 상기 두 부재(4a)(4b)의 밀착이 보다 강고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 클램프(56')는 한끝에 갈고리(56h')를 가지는 대체로 원형인 링부재(56a')와 그 링부재의 다른쪽 끝에 핀 등에 의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받쳐져 고정된 레버(56b')와 그 레버(56b')의 요소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고정된 걸이(56c')로 형성된다.
그 클램프(56')는 걸이(56c')를 갈고리(56h')에 걸고레버(56b')를 화살표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부재(4a)(4b)를 밀착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한 클램프(56')에 한정됨이 없이 공지된 클램프에 의해서 밀착해도 상관없다.
제11도 부재(4a)(4b)의 두 끝부분의 외주면에 보울트부분(4m)(4m)를 설치하고, 그 두부재(4a)(4b)를 접착했을때에 너트부(4n)(4n)가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그 보울트부(4m)(4m)은 부재 (4a)(4b)의 밀착이 보다 더 강고하게 되도록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도에는 부재(4a)(4b)의 두 단면에 대체로 U자형 고정핀(4u)를 삽입 가능하도록 끼워넣는 구멍(4h) ... 을 설치한 것이 표시되어 있다.
제13도, 제14도는 팽융부재(4)를 원통상태(4c)의 바깥둘레에 그 장축심과 평행으로 요구부분(41c)를 형성하고, 그 요부분(41c)에서 벨트(3)의 끝부분을 압압판(42c)에 의해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 그림에 있어서, (43c)(43c)는 당해 압압판을 원통상체(4c)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이다.
커어튼의 한쪽끝을 고정할때에 제4도 내지 제12도에 표시하는 팽융부재(4)에 의해서 고정하는 데에는 권취로드(1)에 그 커어튼의 한쪽끝을 권착하고, 그 바깥쪽에 팽융부재(4)로 덧대로 고정시킨다.
또한 제13도, 제14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팽융부재(4)의 바깥둘레에 커어튼으 한쪽끝을 면착한 후, 압압판(42c)에 의해서 벨트(3)와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3)의 설치예가 제15a, b, c표에 표시되어 있다.
제15a도는 커어튼(2)의 상면에서 권취방향에 일치하게끔 벨트(3)이 대체로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고착되거나 또는 대치되어 있다.
제15b, c 그림은 커어튼(2)의 아래면에 고착하거나 또는 상대하여 접하게끔 배치한 것이다.
벨트(3)을 커어튼(2)의 권취 전체길이에 걸치지않고 그 일부길이, 예를들면 권취 후반부에 걸쳐서만 설정하는 것, 또는 접해서 벨트(3)의 한쪽 끝과 권취로드(1)사이에 끈, 로오프등의 연결로 장치해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권취로드(1)를 제3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권취로드(1)은 팽융부재(4)에서 커어튼(2)가 벨트(3)를 중첩적으로 로울모양으로 권취하면서 회전이동한다.
따라서 도시한 것처럼 팽융부재(4)와 벨트(3)를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해두면 로울모양의 권취가 진행함에 따라서 벨트(3)의 중첩권의 권취직경은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부(R)로 된다.
이와 같이 로울모양의 권취경에 대소가 생기면, 간 큰직경부(R)의 주면에 있어서 커어튼(2)은 밀착긴장되어서 권착하고, 한편 이것보다 직경이 작은직경부분(r)의 주면에서는 밀착 긴장되지 않고 느슨하게 권착하게 된다.
따라서 감리려고하는 커어튼(2)의 면상에 주름과 비틀림이 생기고 있더라도 작은 직경부(r) 로 진입하는 주름등은 그대로 권취됨과 동시에 큰 직경부(R)위로 진입하는 주름등을 긴장력을 받아서 양쪽에 있는 작은 직경부(r)의 요부분에 감긴다.
그리고 간 큰 직경부(R)의 주면에서는 주름등을 그대로 권취함이 없이 항상 커어튼(2)과 벨트(3)의 두꺼운 만큼 권취경이 증가해나가게 된다.
또한 큰 직경부(R)에 있어서 주름등이 권착됐을때 일지라도 강한 압접 권착력을 받고 주름에 의한 공간은 눌러 펴진 상태로 밀착하기 때문에, 다른 큰 직경부와의 차는 거의 생기지 않게된다.
한편, 작은직경부(r)에 감기에되는 주름부분등의 권취직경은 큰 직경부(R)에 있어서의 권취경을 초과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커어튼(2)는 권취축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같은 속도로 권취되기 때문에 파손등의 사고가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권취경이 권취로드(1)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권취축 본체의 한쪽에서 회전력을 부가하더라도 로드의 공간부분에 있어서의 비틀림과 휘어짐, 굴곡이 생기는 일이 없이 직선적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본 고안에 있어서는 권취회수가 증가하더라도 상기한 작은 직경부(r)하 큰 직경부(R)와의 요철단차를 권취종료시까지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작용효과각 감소하는 일이 없다.
즉, 권취로드(1) 자체에 큰직경부와 작은직경부를 형성했을 경우에도 일단 상기한 효과를 가지지만, 권취수가 많아지면 크고 작은 권취차가 점점 적어지고, 그 단차에 의한 작용효과가 적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한편, 벨트(3)을 직접 권취로드(1)에 권착해서 커어튼과 벨트와의 권취를 행하므로 인해서 큰직경부분(R)와 작은 직경부분(r)을 형성하게한 경우에는 권취개시에 있어서의 크고작은 권취경의 차가 너무 작기때문에 커어튼의 주름과 비틀림을 그대로 권취해 버리는 결점을 가진다.
이에 대해서 본 고안에서는 권취로드(1)의 권취의 개시는 팽융부재(4)에 의해서 당해 커어튼의 주름과 비틀림을 없애고 권취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벨트(3)의 권취두께의 증가에 의해서 상기한 효과를 지속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전동형인 권취로드에 적용한 경우에는 제21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작용효과 까지도 발생한다.
즉 커어튼 등의 권취종료 때에는 무엇인가의 원인, 예컨대 큰 직경부분(Rn)에의 주름진입부의 압축 불충분등에 의해서 긴축권착인 큰 직경부(R1)과 느슨한 권착인 큰 직경부(Rn)과의 사이에 권취경의 차가 생기고, 대경부(Rn)쪽이 먼저 권착을 종료하고 있는데도 기타의 큰 직경부(R1)등은 아직 권착 미완이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1도 처럼 권취로드(1)은 부동부재(F)에 대해서 경사하고, 또는 구불구불한 형태로 되고 완전히 커어튼(2)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그래도 권취로드(1)를 더욱 회전에 힘을 부가하므로서 느슨한 권착인 큰직경부분(R1)을 그 장소에서 긴축시킴과 동시에, 긴축이 끝난 대경부(Rn)등을 전동시켜서 부동부재(F)에 맞닿도록 완전히 직선상인 권취종료상태로 만들수 필요가 있다.
이때에 커어튼(2)면, 특히 큰 직경부분(Rn)의 부분에는 강한 긴장이 작용하게 되지만, 벨트(3)의 보강제가 되어서 그 긴장은 거의 커어튼에 작용하기 않기 때문에 커어튼 파손의 방지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벨트(3)의 끝을 부동부재(F)에 고정하면 보다 더 상기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6도 내지 제20도에는 커어튼(2)의 아래면쪽에 벨트(3)를 대면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 그 벨트(3)를 소정의 위치로 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위한 예가 표시되어 있다.
제16도는 커어튼(2)에 의한 간막이면 전체에 넷트(9)를 설치한 것이고, 제17도는 벨트(3) 보다도 약간 폭넓게 그리고 그 벨트(3)의 장수방향에 따라 설치한 넷트(9a)를 배치한 것이다.
제19도는 양단에 지지구(9b)(9b)가 설치된 끈 또는 대상체인 지지대(9c)를 커어튼(2)의 하면에 고정하고, 그 지지대(9c)를 커어튼(2)의 횡이동을 방치하고 있다. 더우기 같은 그림에 의해서 (9d)는 계지구(9b)와 쌍을 이루고, 그 지지구(9b)에 조입해서 커어튼(2)를 고정하기위한 탄성링이다.
지지구(9b) 대신에 제19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지지대(9c)의 양끝에 커어튼(2)에 점착할 수 있는 따위의 부재(9e), 예컨대 상면에 접착제를 바른것을 사용해도 좋다.
제20도에는 지지간(9f)의 양쪽에 세워진 리브(91a)(91a)를 돌출되게 설치하므로서 형성된 가이드부재(91)를 적당한 간격을두고 복수열로 설정하고, 벨트(3)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고 있는 예가 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구성으로 성립되고, 커어튼의 권취 개시는 팽융부재에 의해서 커어튼의 주름과 비틀림에서 생기는 폐혜를 방지하고, 또한 어느 정도로 권취한 경우에는 벨트의 권취두께의 증가에 의해서 팽음부의 특성을 살려 상기 폐해를 제거하고 커어튼을 대체로균일, 또한 권취미완 부분이 생기는 일이 없이 완전히 권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온실에서 육성하는 식품에 당해 권취미완 부분에 의해서 악영향을 생기게하는 따위의 일은 일체 없어진다.
더우기 제15b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커어튼 간막이면을 형성하는 로프재 또는 직복재(P)에 벨트(3)를 매치하도록 설치하므로서 커어튼(2)의 마찰, 열손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더구나 제2도에 표시하는것처럼 권취로드(1')이 정위치에서 회전하고 주행로프(L)에 의해서 커어튼(2')의 이동끝 가장자리(2a)를 지지 견인해서 커어튼을 개폐하는 것으로한 경우에도 권취로드(1')에 팽융부재(4)와 벨트(3)를 설정하므로서 상기한 경우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생기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2a-22c도에는 귄취로드(1)를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전동기(140)을 그 자전을 지지하면서 권취로드(1)와 함께 이동안내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자전억지기구(100)이 표시되어 있다.
즉 제3도에 표시하는 회전전달기(101)와 안내간(102)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작동시에 있어서의 권취로드의 축심이 항상 권취되감기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직각인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축심방향으로의 미끄럼도 없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폭 넓은 커어튼을 권취되감기와 길이가 긴 권취로드가 전동이동 할때에는 부분적인 권취경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해서 진행방향에 대한 축심의 각도가 변화하는 일, 또는 커어튼의 권취경의 증감에 의해서 권취로드가 상하 움직이는 일, 동등에 의한 권취로드(1)의 끝부분 축심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진행방행에 대한 각도가 변화하는 일이 많은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3도에 표기하는 것으로는 부재(101)과 (102)와의 결합부에 강력한 마찰저항이 작용해서 잠김상태를 생기게하고 권취로드(1)의 이동자체가 지지되어서 커어튼의 개폐동작을 행할 수 없게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제22a도 이하에 표시한 실시예는 이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고, 그 목적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더구나 권취로드의 비틀림과 부분적 권취 속도의 오차에의한 이동각도가 생기더라도, 또한 권취로드의 축중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도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자전 지지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우기 다른 목적은 직선적으로 배치된 가이드부재 뿐만이 아니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굴곡부로한 가이드 부재(102)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자전지지기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제22a도에 있어서(102)는 커어튼(2)의 장설면의 개폐방향에 따라서 가설된 움직이지 않는 가이드부재이고, 예컨대, 둥근파이프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1)은 커어튼(2)의 한끝이 이 고착된 권취로드, (140)은 그 권취로드(1)의 한끝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150)은 가이드부재(10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리이드부재, (160)은 한끝이 지축(170)(170)을 연결해서 리이드부재(150)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다른 한끝은 지축(180)을 연결해서 구동부(140)의 적당한 곳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이다.
연결부재(160)은 리이드부재(150)과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지만, 그 회전방향은 리이드부재(150)가 가이드부재(102)를 축으로해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면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고, 한편 구동부(140)와의 관계에서는 그 가이드부재(150)에 고정한 지축(170)과 평행으로 설치해서 구성되는 지축(18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리이드부재(150)은 가이드부재(102)의 축중심 방향으로 접촉 가능하게 또한 그 축중심 방향과 직각인면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면 상관없고, 예컨대 가이드부재(102)를 끼워서 높게 하는 둥근틀체로 구성되는 것, 혹은 그림에 표시하는 것처럼 4각의 환상으로 형성한 리이드를 (151)에 축핀(152)을 연결해서 회전자재로 로울러(153)를 축지한 것이라도 좋다.
로울러(153)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리이드틀(151)이 가이드부재(102)를 따라 이동할때에 그 로울러(153)의 회전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로드(1)을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해서 커어튼(2)를 권취하려면 구동부(140) 자체는 반작용으로 화살표(r) 방향으로 자전하려고 하지만, 로울러(153)이 가이드부재(102)에 맞닿아서 자전은 억지되고, 또한 그대로 권취를 계속했을때에 그 로울러(153)은 그 가이드부재(102)를 따라서 접촉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권취동작에 있어서의 권취로드(1)의 이동이 원활하게 실시되는 것이다.
더우기 제22c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2매의 커어튼을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개폐하게끔 구성한 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재(102)(102)가 중앙에서 교차하는 위치의 근처에서 굴곡시켜서 리이드부재(150)와 이동거리를 연장시키므로 인해서 좌우의 로울러모양 권취부를 온실중앙들보(109)까지, 즉 커어튼 끝 가장자리까지 권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커어튼 개방시에 있어서의 커어튼 권취미완부분이 생기는 일이없이 완전한 커어튼 개방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2a도 - 제22c도에 있어서의 구동부(140)은 감속기구와 전동기가 일체가 되어서 권취로드(1)의 끝부분에 연결고정된 예이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140)를 제3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케이싱에 내장된 회전전달기(101)로 하고, 이것을 유연한 한 회전와이어(103)을 개제시켜서 온실내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킨 원동기(104)에 연결하는 것으로해도 좋을것은 물론이다.
Claims (1)
- 권취로드에 의핵 커어튼을 일측으로 가고 되감는 것에 의해서 간막이면을 개폐하도록 설치한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정위치회전 또는 전동회전에 의해서 커어튼(2)을 로울모양으로 일측으로 감고 되감기를 하기위한 권취로드(1)와, 이 권취로드(1)위에 일정 간격으로 끼워넣고 고정되어 원통형의 팽융부를 형성하는 팽융부재(4)와, 한쪽 단부가 권취로드(1) 및 팽융부재(4)에 고정되고, 중간부 및 다른쪽 단부는 커어튼(2)과 함께 팽융부재(4)위로 로울모양으로 말려지기 가능하게 설치된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벨트(3)등으로 형성되는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30006843U KR900009992Y1 (ko) | 1983-08-03 | 1983-08-03 |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30006843U KR900009992Y1 (ko) | 1983-08-03 | 1983-08-03 |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1122U KR850001122U (ko) | 1985-04-08 |
KR900009992Y1 true KR900009992Y1 (ko) | 1990-10-29 |
Family
ID=1923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30006843U KR900009992Y1 (ko) | 1983-08-03 | 1983-08-03 |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9992Y1 (ko) |
-
1983
- 1983-08-03 KR KR2019830006843U patent/KR9000099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1122U (ko) | 1985-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89965B1 (en) | Take-up drum for a cordless shade counterbalance | |
US7614439B2 (en) | Roller tube having external slot for mounting sheet material | |
CN111924653B (zh) | 一种自动收线拉紧的绕线盘 | |
US9227488B2 (en) | Tensioning device and sunscreen assembly provided therewith | |
JPH09303068A (ja) | ロールスクリーン | |
KR900009992Y1 (ko) | 온실커어튼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장치 | |
JPH0858365A (ja) | 自動巻取りブラインド | |
JPS6228857Y2 (ko) | ||
CN209828077U (zh) | 一种双拉绳卷簧收线器 | |
CN220469744U (zh) | 一种顶棚帘防坠驱动装置及顶棚帘 | |
JPH0125191Y2 (ko) | ||
JPS6145801Y2 (ko) | ||
CN217263823U (zh) | 一种机电机械工程用的高效率线缆收卷设备 | |
JPS6350385Y2 (ko) | ||
JP2937748B2 (ja) | オーニング装置 | |
JP2564051Y2 (ja) | 巻取軸に巻き取られる撓性体の取付構造 | |
JP3305649B2 (ja) | ロールブラインド | |
JPH0631112Y2 (ja) | シヤツターカーテン案内構造 | |
JPS5848434Y2 (ja) | 二重掛けワイヤ駆動機構におけるワイヤ折り曲げ端を掛止するためのワイヤガイド | |
JPH05171882A (ja) | 電動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駆動装置 | |
JPS6141563Y2 (ko) | ||
RU2112296C1 (ru) | Способ намотки бескаркасных якорей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200160404Y1 (ko) | 비닐하우스의 권취파이프 휨 방지장치 | |
JPS6324782Y2 (ko) | ||
JPH0378349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0907 Year of fee payment: 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