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798Y1 - 핀 격자배열(格子配列) 전기 콘넥터 - Google Patents

핀 격자배열(格子配列) 전기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798Y1
KR900008798Y1 KR2019870700001U KR870070001U KR900008798Y1 KR 900008798 Y1 KR900008798 Y1 KR 900008798Y1 KR 2019870700001 U KR2019870700001 U KR 2019870700001U KR 870070001 U KR870070001 U KR 870070001U KR 900008798 Y1 KR900008798 Y1 KR 900008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ove
contact
terminal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700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위즌버거 로렌스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bent configuration, e.g. slotted bigh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핀 격자배열(格子配列) 전기 콘넥터
본 고안은 다중접점 전기 콘넥터, 특히 전선과 같은 도선으로 절연대체 접촉을 이루게 하고, 도선들을 핀 격자배열로 한줄 또는 그 이상의 줄로 배열된 핀과 같은 복수의 콘택트와 상호 접속하는 전기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4,159,158호는 개개의 전선 또는 도선이 인쇄 회로 기판이나 판넬에 0.100 인치 간격으로 배열된 단자주(terminal posts)에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절연대체 단자 또는 절연치환(絶緣置換) 단자를 사용하는 다중 콘택트 전기 콘넥터를 공개하고 있다. 그 콘넥터는 복수개의 단자를 갖고 있는데, 각 단자는 전선이 콘택트 단자안에 삽입되는 절연치환 콘택트 부분을 가진다. 콘택트 단자가 배치되는 콘넥터의 하우징은 절연치환 콘택트 표면을 옆방향으로 지지할 뿐아니라, 도선이 절연치환 콘택트 부분안으로 삽입될 때 콘택트 단자를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미국특허 제4,159,158호로 공개된 전기 콘넥터의 주요장점들중 하나는 절연 전선과 같은 도선들이 단일 작업으로 복수의 단자에 집단적으로 종단접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집단종단접속 기술은 도선과 단자의 상호접속을 매우 간소화하고, 따라서 조립 원가를 그만큼 절약한다. 이러한 콘넥터는 전자산업에서 대량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가격이 저렴한 상호접속 방식을 제공하지만, 개개의 절연도선들과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단자주(terminal post)와 같은 콘택트 부재들을 상호접속하는 방식에 있어서, 재료원가와 조립원가를 모두 줄여야 할 필요성이 아직도 높은 형편이다.
재료원가를 감소시키고, 조립원가를 감소시키며 동시에 다중 콘넥터의 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서로 모순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062,610호 선행기술에 의한 단자의 절연치환부의 횡단면이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홈의 유효길이가 L'로 되어 있다. 절연치환 홈은 직립판 부분 즉 제 10a 도의 직립판부분(18a) 및 (18b)의 평면 안에 있어야만 하고, 구부린 부분까지 들어가서는 안된다. 제 10a 도에 최소반지름(R)은 재료의 두께에 따라 제한되므로 커오브부분의 외부표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그 뿐만 아니라, 절연치환 홈은 도선을 절연치환 홈 안에서 종단접속하기 위해서, 절연체를 전단하여 도선을 절연치환 홈 안에서 종단접속하기 위해서, 절연체를 전단하여 도선을 노출시키는 작업을 돕도록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부(54')가 필요하다. 위와 같이 최소반지름과 안내부를 필요로 하므로 절연치환홈의 이용가능한 접촉부분의 길이는 감소된다. 제 10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의한 홈의 이용 가능한 접촉 부분은 L'로 줄어드는데, 이는 바이트부(19a')(19b')의 밑면(21) 바로 아래가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절연치환부(92)는 또한 직립판 부분(18a),(18b)과 인접하여 연장되며 직립판 부분(18a), (18b)과 같은 평면내에 곧바로 서 있는 손가락 모양부분(55)을 포함한다.
제 10 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부(19a), (19b)를 형성하는 스트랩부분이 직립판부분(18a), (18b)과 손가락 모양부분(55)에 대하여 구부러지므로, 커어브 반지름(R)은 홈의 이용 가능 부분에 대하여 구부러지므로, 커어브 반지름(R)은 홈의 이용 가능 부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단자 자체의 전체적인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홈의 이용 가능 부분이 이제 L로 증가되었으므로, 이는 바이트부(19a), (19b)의 밑면(21) 바로 위가 된다. 절연치환 홈은 홈의 이용가능한 접촉부분을 실제적으로 감소시키지 않고도 여전히에 설명된 콘넥터는 도선들을 좁은 간격으로 하우징 안에 집단종단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콘택트 단자의 제작, 그의 도금 및 제작에 필요한 재료의 양등은 비교적 고가이다. 그와 유사한 예로, 미국특허 제4, 385, 794호로 공개된 콘넥터는 여러가지 많은 장점이 있어서 매우 성공적인 상호접속 방식이지만, 그 콘넥터의 단자로 제작하기 위하여서는 많은 양의 재료를 필요로 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385,794호나 본 고안에 따른 형식의 콘택트들은 단자들이 좁은 간격의 조밀한 배열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이 통상 0.100인치 정도이다. 이런 형식의 간격에 사용되는 전선의 크기는 22-28AWG(미국전선번호)이며 절연피복의 지름은 약 0.050인치이다. 그러므로, 성형된 접점의 폭은 0.050인치보다 크고 0.100인치보다 작아야 한다. 이런 크기의 콘택트는 케리어 스트립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취급하기 용이하므로, 스탭핑 성형한 뒤 대개 케리어스트립(carrier strip)에 연결된 채로 남겨둔다.
일단 콘택트들이 모두 각 공동부 속에 삽입되면, 케리어스트립을 잘라버려 모든 콘택트는 콘넥터안에서 제자리를 잡게 된다. 제작을 단순화하고 조립원가를 줄이기 위하여는, 콘택트의 폭을 미가공단계의 평평한 상태에서 콘넥터 공동부의 중심선 간격(이 예의 경우는 0.100인치 이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계가 이루어지면 모든 콘택트가 단일 케리어 스트립에 의해서 하우징 공동부 속에 장전될 수 있다. 만일 콘택트의 폭이 미가공단계의 평평한 상태에서 공동부의 중심선간격보다 크면, 콘택트들은 단일 케리어스트립에 의해서 콘넥터 공동부 속에 장전될 수 없다. 왜냐하면 성형된 콘테트의 중심선 간격이 콘넥터 공동부의 중심선 간격과 일치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특허 제4,385,794호의 제 1 도에 도시된 콘택트를 보면, 평평한 상태에서 찍어낸 것의 펼쳐진 폭이 콘택트의 중심선 간격보다 넓다는 것을 상자모양의 리셉터클부 16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콘택트의 설치는 모든 콘택트를 하우징에 장전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케리어스트립이 필요하므로 더욱 어려워진다.
미국특허 제4,435,03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식의 콘넥터는 집단 종단접속 기술을 사용하여, 도선들을 절연치환 단자에 삽입함과 동시에 단자들을 하우징 안에 완전히 삽입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중심선 간격은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콘넥터는 단자를 성형하는데 많은 재료를 필요로 한다.
바이트부로 서로 연결된 두개의 직립판을 갖도록 금속판을 찍어내어 형성된 절연치환 홈을 갖고 있는 콘넥터가 미국특허 제4,335,929호로 공개되어 있다. 이 콘넥터는 같은 콘넥터안에 있는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을 좁힐 수 있지만 제4, 335, 929호 특허의 단자의 U부분은, 전선종단접속 홈이 도선을 수용하고 우수한 전기적 접속을 이루어야 되기 때문에 비교적 높게 되어 있고, 이러한 높이의 단자는 인접한 콘넥터를 옆으로 쌓을 수 없고 중심선 간격을 0.100인치로 유지시키지 못한다.
한쪽끝에 절연치환 홈과, 다른 끝에 칼날형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하여 접힌 암을 이용한 단자가 미국특허에 제4, 527, 857호에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콘택트는 4각 매트릭(square matrix)상의 콘택트주에 사용할 수가 없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콘택트는 칼날형 단자와 접촉하기 위하여 두쌍의 평행하고 마주보는 콘택트를 갖고 있다. 칼날형 단자는 0.100인치보다 길기 때문에 미국특허 제4,527, 857에 발표된 단자는 0.100인치 4각 매트릭스에는 이용될 수 없다.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는 선행발명들의 상호 접속방식의 우수성을 그대로 가지면서, 콘택트 단자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를 상당히 줄이고, 찍어낸 단자소재의 일면만을 도금하고, 다른 비슷한 콘택트 하우징 어셈블리와 측면 또는 종단을 서로 맞대게 배치할 수 있는 절연체 하우징을 제공하여 여러가지 크기로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단자주와 같은 콘택트 부재 사이의 상호 접속방식을 형성케 하므로써, 가격이 저렴한 상호접속 방식을 제공한다.
복수의 절연도선과, 0.100인치의 4각 매트릭스의 핀열에 배열된 핀들 또는 단자주들과 같이 좁은 간격을 가진 콘택트 부재들의 고정된 열사이에 절연치환 접속을 이룩하기 위한 전기 콘넥터로서, 이 콘넥터 절연체 하우징과, 찍어내어 성형한 다음 절연체 하우징에 뚫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공동부 안에 배치시킨 복수의 개별단자들을 포함하고 있고, 각 단자는 단자주와 맞물리게 되는 탄성의 콘택트부와, 절연전선과 같은 개개의 도선들과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절연치환 부분을 갖고 있다. 절연치환부분은 두개의 직립 판 부재와 그를 잇는 바이트 부분으로 된 U자 모양의 부재로 찍어낸다. 판부분의 평면내에 있고, 바이트 부분을 형성하는 스트랩(strap) 부분과 분리되어 있는 손가락모양 부분은 판에 있는 홈 옆에 배치되어 있고 판에 있는 홈의 가장자리와 일치된 가장자리를 갖고 있어, 단자의 전체적인 외형을 증가시킴이 없이 홈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단자의 핀 콘택트 부분은 대개 축방향으로 뻗은 두갈래진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들 두갈래진 부재는 윗쪽으로 형성되고, 두 갈래진 부재의 각각에 형성된 콘택트 표면이 안쪽으로 향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꼬아 구부러져서 인접한 단자주들 사이에서 측면으로 단자주와 접촉하도록 위치를 정한다. 단자들과 두갈래진 핀 콘택트 부분의 폭은 절연치환부분의 콘택트 단자의 폭보다 크지 않다. 절연치환부분과 핀 맞물림 부분은 모두 단자의 베이스로부터 윗쪽으로 성형되어 있어, 도선이 그 축의 측방향으로 전선 맞물림 홈에 삽입되게 하는 동시에 단자가 절연체 하우징 안에 완전히 위치하게 하며, 또한 핀 맞물림 부분을 형성하는 두갈래진 부재가 하우징 안에 중심을 맞춘 핀과 맞물리도록 한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수직 및 수평의 핀 헤더(header)에 삽입되도록 위치하고, 수직 및 수평으로 취부(取付)된 핀 격자배열 콘넥터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절연체 하우징 안에 삽입된 한개의 단자를 도시하는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에 대한 일부분의 평면도이다.
제 3 도는 하우징 안에 취부된 한개의 단자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는 제 2도의 3-3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한개의 단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 5 도는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둥근 단면 도선을 다중 콘택트단자에 집단종단접속한 것을 도시하는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제 5a 도는 삽입장치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또한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콘택트 전기콘넥터 안에서 단자에 부착된 도선들을 도시하는 제5도와 유사한 사시도이다.
제 6 도는 절연전선과 절연치환 접속을 이루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제 5a 도의 6-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에 포함된 단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오무러진 변형해제 장치를 도시하는데 제 5a 도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8 도는 단자의 바이트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제 9 도는 대표적인 선행기술에 의한 단자의 바이트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제 10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절연치환부분의 확대도이다.
제 10a 도는 제 9 도의 10a-10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 11 도는 두꺼운 피복을 가진 종단접속된 전선을 도시하는 제 8 도와 유사한 횡단면도이다.
여기에 설명한 적합한 실시예는 절연된 전선과 같은 개개의 도선과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단자주와 같은 콘택트 부재 사이에 상호접속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 다중접촉 전기콘넥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콘택트 부재 또는 단자주는, 가로 세로의 줄에 있는 인접한 핀들 사이의 거리가 0.100인치로 배열된 4각 매트릭스에 배치할 수 있다. 이 표준중심선간격보다 크거나 혹은 작은 중심선 간격을 가진 단자주에 도선들을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또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한 콘넥터 어셈블리는 피복하지 않은 도선을 종단접속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다중도선 평면형 케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평면형 도선을 종단접속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리본케이블의 둥근 단면 도선을 종단접속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개별적으로 절연피복된 둥근 단면의 전선을 단자주에 종단접속하는 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또한 도선의 수가 여러개인 전기콘넥터에 특히 사용하기 적합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단일위치 전기콘넥터에 사용하여도 적절하고, 여기서 설명한 6위치 콘넥터보다 훨씬 많은 위치를 갖는 콘넥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콘넥터 어셈블리는 단자주(11)(여기서는 핀헤더 4안에 보임)와 같은 콘택트와 전기적인 접촉을 이룩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12)를 포함하는 하나의 플러그 부재(2)로 되어 있다. 제 1 도는 동일한 두개의 플러그 콘넥터(2) 및 (2A)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도는 또한 똑같은 플러그 헤더가 인쇄 회로기판(6)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뻗은 단자주(11)와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콘넥터(2a)가 인쇄 회로기판(6)에 수직으로 뻗은 단자주(11a)와 상호접속을 이루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자유롭게 서 있는 콘택트 또는 단자주(11) 또는 (11a)에 적용시킬 수 있지만, 제 1 도에 도시한 수평 핀헤더(4) 및 수직핀 헤더(4a)와 같은 핀헤더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그래서 제 1 도에서 설명한 콘넥터 어셈블리는, 절연된 둥근 단면의 전선(10) 및 (10a)와 같은 복수개의 도선을 인쇄 회로기판(6)의 도전성통로(8) 및 (8a)에 연결하는데 교대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단자주(11) 및 (11a)에 연결하는 수단이 된다.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자(12)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절연치환부(92)와 콘택트 즉 핀 맞물림부(90)를 갖고 있는, 찍어내어 성형한 하나의 전기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콘택트 단자들은, 상호 접속을 이룩할 인접한 핀들의 간격보다 좁은 폭을 가진 소재(素材)로 찍어낸다. 콘택트 단자 소재의 폭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전체의 길이에 대해서 일정하며, 콘택트 또는 핀 맞물림부(90)의 폭도 절연치환부(92)의 폭보다 크지 않다. 그뿐 아니라, 평평하게 찍어낸 것(제12)도)의 폭도 성형된 단자(제4도)보다 넓지 않다. 찍어내어 성형된 소재에 있는, 절연치환부(92) 및 콘택트, 즉 핀 맞물림부(90)의 폭은, 인접한 핀 삽입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을 제 2 도, 제 4 도 및 제 12 도로부터 알 수 있다. 콘택트 단자들의 폭은 또한 절연체 하우징에 있는 인접된 공동부 및 채널의 중심선 간격보다 작다.
콘택트 단자(12)는 황동과 같은 탄성금속재로 찍어낸다. 주석-연 도금 또는 금도금과 같은 통상의 도금방식을, 맞물리는 핀에 가공된 표면을 제공하도록 단자에 사용한다. 단자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명백해지겠지만, 단지 콘택트가 최종형태로 성형되기전에 찍어낸 콘택트의 한면만을 선택적으로 도금하든지, 또는 찍어낸 금속소재의 일부만을 도금함으로써 콘택트 또는 핀에 맞물릴 콘택트 표면 부근에서 단자(12)를 도금한다. 이와 같이 한면만을 선택적으로 도금할 수 있다는 것을 금도금과 같은 비싼 도금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도에 도시된 콘택트 단자(12)의 절연치환부(92)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도선수용홈(일반적으로 (20)으로 표시되어 있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은 단자양끝의 중간에 있고 단자의 한쪽에 위치한 탱(tang)부 (14a) 및 (14b)를 구성하는 전선 고정부분과 인접해 있다. 탱부(14a) 및 (14b)는 찍어낸 소재의 중앙부에 있는 재료를 제거하여 성형되며, 탱부(14a) 및 (14b)를 상향으로 성형하여, 찍어낸 소재의 본래의 평면인 베이스부(16)에 대하여 통상 수직하게 뻗도록 만든다. 도선수용홈, 즉 절연치환 홈(20)은 피복 도선을 그 축의 옆방향으로 움직여서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하는 수단을 가지며, 두개의 직립 판부분(18a) 및 (18b)에 형성되는 도선 접촉모서리(22)를 포함한다. 두개의 직립판부분(18a) 및 (18b)는 바이트부(19a) 및 (19b)로 연결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수용홈(20)은 직립판부분(18a)에 있는 첫째홈부분(20a)과, 바이트부(19a) 및 (19b) 사이에 있는 두째홈부분(20a)과 베이스(24)안으로 뻗어 있는 세번째의 홈부분(20c)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도선수용홈(20)의 종단은 찍어낸 소재의 본래의 평면내에 있는 베이스부(24)안으로 뻗어있다. 이래서, 홈의 길이는 직립판 부분(18a) 및 (18b)의 높이보다 크다. 첫째 홈부분(20a)과 바이드부(19a) 및 (19b)에 의해서 형성된 바이트부는 피복도선의 심( )을 이루는 도선(50)보다 일반적으로 넓다.
안내부(54)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55)는 또한 전선이 도선수용홈(20)에 삽입될 때 맨 먼저 절연체와 닿는 커어브진 부분(57)을 가지고 있어, 처음 절연체를 뚫을 때 도움을 준다. 돌출부(55)는 또한 삿갓모양의 경사진 표면(61)(제 10 도)을 갖고 있어 이것이 또한 절연체를 뚫는 작업을 돕는다. 만일 두꺼운 절연체를 가진 전선을 종단접속하면,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가 커어브 부분을 채우고 표면(63)에 수직력을 작용하게 만들어서, 직립판의 모서리(22)와 도선 사이에 힘을 증가시켜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홈의 모서리(22)가 도선과 접촉한 상태를 제 6 도에 명백히 도시하고 있다. 홈(20b) 및 (20c)의 끝부분이 직립 판부분(18a) 및 (18b)를 관통할 뿐 아니라 베이스부(16) 및 (24) (제3도) 까지 뻗쳐 있으므로, 도선(50)은 홈(20b) 및 (20c)에 삽입될 때 절연체(52)가 단자의 밑바닥까지 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절연치환부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콘넥터 하우징들과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한 낮은 형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그 뿐만 아니라 콘넥터가 이룩할 수 있는 탄성변형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따라서 지름이나 혹은 크기가 다른 전선에 대해서도 본 단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콘택트 단자의 중앙 베이스부(24)는, 중앙베이스부(24)의 평면에서 밖으로 튀어나온 란스(lance)(25)가 있고, 그 중앙부는 단자의 형태가 성형될 때 찍어낸 소재의 본래의 평면내에 머물러 있다. 중앙베이스부(24)는 단자의 도선 접촉부에 있는 절연치환부(92)와 단자의 뒷부분 즉 맞물림종단(90)과의 중간에 위치한다. 단자의 뒷부분 즉 맞물림종단(90)은 콘택트 부재 즉 핀 맞물림부분으로 되어 있고, 경사진 부분(26a) 및 (20b)와, 서로 마주보는 콘택트표면(34a) 및 (34b)가 형성된 암을 가진 두갈래진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두갈래진 부재는 각기 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도선수용홈(20)과 일반적으로 같은 선상에 있는 제2홈(36)(제 4 도)에 의해서 한정된다. 캔틸레바암과 그 위에 형성된 콘택트표면(34a) 및 (34b)는 콘택트단자의 높이의 중간쯤에 위치한다. 경사진 표면(26a) 및 (26b)는 콘택트를 만드는 동안에 성형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콘택트표면(34a) 및 (34b)가 도선수용홈(20)과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하고 또한 콘택트표면(34a) 및 (34b)가 콘택트 핀의 측면과 닿을 수 있게 배치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바암은 첫부분(28a) 및 (28b)를 갖고 있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베이스부(24)로 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캔틸레바 암의 종단들 중간쯤에 꼬인 부분(30a) 및 (30b)가 성형되고 두번째 꼬인부분(32a) 및 (32b)은 일반적으로 중간베이스부(24)에 수직이 되게 하고 또 단자가 성형되는 찍어낸 소재의 본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게 한다. 콘택트 표면(34a) 및 (34b)가 캔틸레바암의 가로부분 또는 수직으로 뻗은 부분에 성형되고, 콘택트표면(34a) 및 (34b)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두갈래진 부재의 나머지부분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굴곡이 되어 있다. 두갈래진 부재는 따라서 단자핀이 콘택트표면(34a) 및 (34b) 사이에 삽입될 때 단자핀과 탄력있는 콘택트를 형성한다.
두갈래진 부재(34a) 및 (34b)는 대략, 찍어내어 두갈래진 부재를 형성하는 두번째 홈의 뿌리 부근에서 휘어진다.
콘택트단자를 찍어내어 만들 때 서로 측면이 마주보게 되어 있는 콘택트표면(34a) 및 (34b)는 먼저 콘택트단자의 같은 표면에 성형된다. 그리하여 찍어낸 단자 즉 소재가 콘택트표면(34a) 및 (34b) 부근의 한쪽면만 도금된다면, 단자가 그후 제 4 도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성형될때, 서로 마주보는 콘택트표면(34a) 및 (34b)가 모두 도금되게 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택트단자(12)는 다중콘택트 콘넥터 절연체 하우징(40)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하우징(40)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하우징(40)의 한끝에서 다른 끝까지 뻗친 이들 공동부는 일면이 개방된 첫번째 채널(42)과 각 채널(42)과 합쳐지고 축방향으로 일치되는 폐쇄공동부(44)로 구성되어 있다. 폐쇄 공동부(44)는 대응하는 콘택트단자의 콘택트 즉 핀과 맞물리는 부분(90)을 수용할 수 있는 규격으로 만들어져 있고, 한편 개방면이 있는 채널(42)은 단자(12)의 절연치환부분(92)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플랜지(flange)(25) 및 단자의 중간 베이스부(24)는 절연체 하우징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수용되어, 단자가 삽입된후 빠져 나오지 못하게 어깨와 맞물리게 된다. 절연치환부(92)와 그의 도선수용홈(20)은 채널(42)에 자리잡게 되는데, 각 채널은 두개의 마주모는 측벽과 하나의 베이스로 되어 있다. 이리하여 도선수용홈(20)은, 다음에 그 축의 옆방향 및 채널(42)축의 옆방향으로 도선이 도선수용홈(20)에 삽입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하우징의 종단 가까이에 있는 채널(42)은 이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보다 넓다. 전선고정용탱부(14a) 및 (14b)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넓은 부분에 위치한다. 채널과 축이 같은 폐쇄된 공동부(44)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널(42)보다 높이가 낮다. 폐쇄된 공동부(44)가 만들어져 있는 절연체 하우징의 맞물림종단은 단자의 절연치환 부분이 있는 하우징의 도선 맞물림 종단부를 따라 형성된 길다란 돌출부(46)의 공간을 제공하고 도선 맞물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지 않게 되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돌출부(46)의 반대편, 하우징의 맞물림 종단의 표면에 고정탭부재(48)를 만들 수 있다. 맞물림부분을 얇게 함으로써 고정탭부재(48)와 키작용하는 돌출부(46)를 모두 하우징 외부에 일체가 되게 만들수 있고, 그리고도 하우징의 전체 두께는 고정 탭부재(48) 및 키작용을 하는 돌출부(46)로 인하여 증가되지 않는다.
제 5 도 및 제 5a 도는 복수의 절연도선들이 단자(12)안으로 집단 종단접속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무리는 부분(74)과 절연치환 삽입부분(72)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중 위치 삽입기부배(70)를 콘넥터(2)의 하우징(40)안에 있는 단자(12)의 절연치환부(92)에 맞춰서 자리잡게 한다. 오무리는 부분(74)은 단자의 전선고정용 탱부(14a) 및 (14b)에 맞춰서 정돈하고, 한편 삽입기부배(72)는 단자(12)에 형성된 도선수용홈(20)에 맞춰서 자리잡게 한다. 이리하여 삽입기를 단자쪽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도선들을 축의 평방향으로 움직여서 채널 안으로 삽입하면, 복수의 도선들(10)이 개개의 정돈된 단자(12)안에 있는 도선수용홈인 절연치환홈(20)에 동시에 집단종단접속된다. 그 뿐아니라, 도선들로 하여금 도선수용홈(20)과 전기적 접촉을 유지케 하기 위하여, 전선고정용탱부(14a) 및 (14b)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의 외부 둘레를 감고 오무러들게 할 수 있다. 제 5a 도는 각 단자가 해당 도선(10에서 형성한 절연치환접속을 나타내고 있다. 단자가 완전히 절연체 하우징 안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선이 종단접속되고, 따라서 전선이 종단접속된 후 단자를 완전히 삽입하는 추가 단계가 없어졌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절연체 하우징의 자유종단 부근에 있는 채널(42)의 넓은 부분이, 삽입기(70)의 오무리는 부분을 들어가게 하여 고정용탱부(14a) 및 (14b)를 오무려 도선둘레에 감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도선들이 제 5 도 및 제 5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각 단자에 종단접속된 후, 플러그 콘넥터(2)는 제 1 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핀헤더 하우징(4) 또는 (4a)안에 삽입될 수 있다. 수평 핀 헤더(4) 및 수직 핀헤더(4a)는 각각 칸막이(13) 및 (13a)를 갖고 있어 핀(11) 및 (11a)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핀헤더(4)의 한쪽벽에 홈(1) 및 (17)이 성형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수직 핀헤더(4a)의 벽에도 홈(15a) 및 (17a)가 성형되어 있다. 이들 홈(15) 및 (17)과 (15a) 및 (17a)는 각각 플러그 콘넥터 하우징(40)의 한쪽표면에 있는 키 역할하는 돌출부(46)를 수용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46)를 콘낵터 하우징의 한쪽표면에 임의로 배치하여, 짝이 맞는 플러그와 리셉터클하우징 만이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함으로써, 적절한 도선이 적절한 콘택트 즉 핀(11)과 상호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플러그 어셈블리는 두개의 돌출부(46)를 갖고 있고, 각 핀헤더 리셉터클 하우징은 두개의 홈(15a), (17a)을 가지고 있어서 키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적합한 실시예는 특히 복수의 도선율, 0.100인치 중심선 간격의 4각 매트릭스 위에 배치된 핀격자 배열상태의 좁은 간격을 가진 단자 핀에 집단종단접속하여 상호접속하는데 적용된다.
서로 마주보는 콘택트표면(34a) 및 (34b)는 길이의 중간부분에서 구부리어 대단히 작은 물체와 탄력있는 접촉을 이루게 하며, 또한 인접한 접점들 사이에 좁은 간격을 갖도록 한다. 손가락 모양부분(55)은 단자의 높이를 늘리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홈의 길이를 연장시키므로, 콘넥터들을 0.100인치 중심간격으로 옆으로 쌓아 올릴 수 있다.
형암성형한 납짝한 소재가 콘택트의 중심선 간격보다 넓지 않고 또 성형된 단자보다 넓지 않으므로, 그 콘택트는 사용된 재료의 양에 비하여 매우 효율적이다. 선행기술에 의한 단자는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배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적은 양의 재료를 사용하여 원가를 상당히 줄일 뿐 아니라, 콘택트 사이의 중심선 간격보다 좁은 콘택트를 가진 납짝한 소재의 설계는, 콘택트들이 0.100인치의 중심선 간격으로 성형된 뒤, 한개의 케리어스트립에 설치 되게 한다. 이와 같은 설계는 콘택트들을 하우징 안에 삽입하는 자동 조립기계가 단 하나의 케리어스트립만을 취급하면 된다는 점에서 더욱 간단하고 효율적인 조립작업을 할 수 있게한다. 선행기술에 따른 콘택트 설계에 있어서는, 납짝하게 찍어낸 콘택트의 소재가 콘택트 사이의 중심선 간격보다 컸으므로 자동조립기계가 복수의 캐리어스트립을 취급해야 했다. 두개의 케리어스트립을 설치하기 위한 자동조립기계는, 콘택트들을 0.200인치 중심선 간격으로 찍어낸 다음 0.100인치 중심선간격을 주기 위해서 겹쳐야 하기 때문에, 한개의 케리어스트립을 삽입하는 자동조립기계보다 더욱 복잡하고 비싸게 먹힌다.
이 콘넥터의 설계는 또한 모든 전선을 완전히 장전된 콘택트와 집단적으로 종단접속할 수 있게 한다. 콘넥터 하우징은 절연치환부가 노출되는 구멍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다중도선케이블 또는 리본케이블의 개개의 전선이 제 5 도 및 제 5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장전된 콘택트와 더불어 집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Claims (8)

  1. 각 단자(12)가 인접하여 연결된 굴곡진 부분을 갖는 금속판수단으로 구성되는 절연치환부(92)를 갖으며, 상기 금속판수단은 절연전선(10)의 도선(50)을 종단접속하도록 만들어진 도선 수용홈(20)을 포함하는 하우징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갖는 콘넥터에 있어서, 단자(12)이 절연치환부(92)는 실제적으로 상기 금속판수단의 평면내에 놓이고, 도선수용홈(20)의 측면에 접하고 있는 굴곡진 부분과 인접하고, 상기 굴곡진 부분에서 분리된 손가락 모양부분(55)을 포함하며, 손가락 모양부분(55)은 도선수용홈(20)의 모서리와 일치하는 모서리를 갖고 있어, 홈이 굴곡진 부분과 금속판수단 사이의 교점 위로 뻗게 하여, 상기 단자(12)의 외형을 증가시킴이 없이 도선수용홈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선들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전기 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들(12)이 같은 평면의 표면을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대향하는 부재(32a, 32b)를 형성하는 두개의 길다란 암(28a, 28b)을 축선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꼬은 상기 암(28a, 28b)을 또한 포함하는 수직력을 받는 콘택트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판수단이 평행한 제1(18a) 및 제2(18b) 직립판으로 되어 있고, 그 사이에 바이트부(19a, 19b)를 가지며, 직립판부분(18a, 18b)과 바이트부(19a, 19b)가 굴곡진 부분에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12)가, 상기 손가락모양 부분(55)과 상기 굴곡진 부분사이에 위치하는 여유부(relief area)(59)를 갖고 있어서, 절연 전선(10)이 절연체(52)를 수용하게 되어있고, 상기 여유부(59)는 직립 판부분과 손가락모양부분(55)이 분리되는 곳에서 직립판 수단의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도선수용홈(20)은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로 형성되며, 그 모서리는 상기 각 직립판부분(18a, 18b)의 종단에서 각 상기 직립판부분(18a, 18b)을 통하여 윗쪽으로 손가락 모양부분(55)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에 의해서 형성된 도선수용홈(20)의 길이가 상기 각 직립판부분(18a, 18b)과 상기 굴곡진 부분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거리마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단자(12)가, 양 종단 사이에 거의 직선이고 평행한 옆모서리를 가지고 있는 찍어낸 금속소재로부터 성형되며, 찍어낸 금속소재의 폭이 인접한 공동부들(44) 사이의 중심선 간격보다 크지 않으며, 절연치환홈(20)은 소재의 평면에서 윗쪽으로 성형되고 중간의 바이트부(19a, 19b)에 의해서 연결된 두개의 직립판부분(18a, 18b)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직립판부분과 바이트부는 소재의 옆모서리 사이에 뻗어 있으며, 탄성의 핀 접촉 콘택트는 두갈래진 부재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두 갈래진 부재는 끝부분중간에 꼬아서 구부린 부분을 가지며, 꼬아진 부분과 이웃한 종단사이의 두갈래진 부재의 부분은 공동부의 측벽으로 부터 떨어져 있으며, 두갈래진 부재안에 있는 절연홈은 각 채널과 공동부에 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되어 있어 인접한 도선과 핀 사이에 서로 맞서는 내부응력을 내도록 되어 있으며, 단자의 꼬인 부분과 절연치환 홈 부근에 있는 종단 사이에 있는 단자의 옆모서리는 채널의 측벽과 공동부의 측벽에 닿아서, 단자들이 하우징 안에 미리 설치되고 도선들을 단자의 옆방향으로 절연치환 홈 안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복수의 도선을 집단적으로 동시에 종단접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굴곡된 접촉표면들(34a, 34b)이 꼬인 부분(32a, 32b)과 인접한 단자 종단 사이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KR2019870700001U 1985-09-19 1986-09-17 핀 격자배열(格子配列) 전기 콘넥터 KR9000087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669085A 1985-09-19 1985-09-19
US776,690 1985-09-19
US06/887,841 US4743208A (en) 1985-09-19 1986-07-21 Pin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US887,841 1986-07-21
PCT/US1986/001942 WO1987001870A1 (en) 1985-09-19 1986-09-17 Pin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798Y1 true KR900008798Y1 (ko) 1990-09-24

Family

ID=2711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700001U KR900008798Y1 (ko) 1985-09-19 1986-09-17 핀 격자배열(格子配列) 전기 콘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43208A (ko)
EP (1) EP0236490B1 (ko)
JP (1) JPH0713180Y2 (ko)
KR (1) KR900008798Y1 (ko)
DE (1) DE3673990D1 (ko)
WO (1) WO1987001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1559U1 (ko) * 1989-02-10 1990-06-13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US5059137A (en) * 1990-08-23 1991-10-22 Amp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flat cable
GB2254968B (en) * 1991-04-12 1994-09-14 Pressac Ltd Electrical connectors and terminal elements for use therein
US5145383A (en) * 1991-07-26 1992-09-08 Molex Incorporated Male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embodying same
US5139446A (en) * 1991-10-30 1992-08-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435757A (en) * 1993-07-27 1995-07-25 The Whitaker Corporation Contact and alignment feature
US6007389A (en) * 1997-09-09 1999-12-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Dual-beam ground contacts having a realignment twist for gang insertion into an insulator housing
JPH11135175A (ja) * 1997-10-31 1999-05-21 Dai Ichi Denshi Kogyo Kk ソケット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187338B2 (ja) * 1999-03-01 2008-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344981B2 (ja) * 1999-12-20 2002-11-18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91553B2 (en) * 2000-12-20 2002-12-10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a formed solder cup
FR2826786B1 (fr) * 2001-06-29 2004-03-05 Framatome Connectors Int Contact electrique femelle
US6830465B2 (en) 2001-08-24 2004-12-14 Adc Telecommunications, Inc. Interconnect chassis and module
US6511330B1 (en) 2001-08-24 2003-01-28 Adc Telecommunications, Inc. Interconnect module
US6616459B2 (en) * 2001-08-24 2003-09-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rd edge contact including compliant end
US6814631B2 (en) * 2002-04-02 2004-11-09 Marconi Intellectual Property (Ringfence) Inc. Electrical terminal for surge protection cartridge
JP4084292B2 (ja) * 2003-11-21 2008-04-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US20070141903A1 (en) * 2005-12-19 2007-06-21 Casperson Paul 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640986B2 (ja) * 2005-12-27 2011-03-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US20070221591A1 (en) * 2006-03-24 2007-09-27 Yang-Yuan Hsu Wedged sliding trough structure
CN200959421Y (zh) * 2006-09-13 2007-10-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828578B1 (en) * 2009-09-10 2010-11-09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having two contact portions and two leaning portions extending from a base
US8562374B2 (en) * 2011-04-21 2013-10-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arness connector
CN104685729B (zh) 2012-07-16 2017-08-08 美国北卡罗来纳康普公司 平衡的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DE102015100401B4 (de) * 2014-11-27 2016-12-15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flexible Leiterfolien
DE102014118687B3 (de) * 2014-12-15 2016-06-16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202014106058U1 (de) 2014-12-15 2015-01-21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GB2547958B (en) 2016-03-04 2019-12-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wo-wire plug and receptacle
DE102016117112A1 (de) 2016-09-12 2018-03-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bindungselement und Querbrückeneinrichtung für elektrische Klemmen
CN110546822A (zh) 2017-04-24 2019-12-0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单个扭绞导体对的连接器
US11271350B2 (en) 2017-06-08 2022-03-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WO2019147774A1 (en) 2018-01-26 2019-08-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EP3759765A4 (en) * 2018-02-26 2022-04-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JP7226944B2 (ja) * 2018-09-06 2023-02-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EP3939129A4 (en) 2019-03-15 2022-12-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2645B (de) * 1958-04-01 1960-06-02 Harting Elektro W Gabelfoermige Kontaktfeder
US3503036A (en) * 1968-03-27 1970-03-24 Amp Inc Contact terminals and manufacturing method
AU5574573A (en) * 1972-05-30 1974-11-21 Amp Inc Electrical contact elements and connectors electrical contact elements and connectors
SE395204B (sv) * 1975-03-13 1977-08-01 Ericsson Telefon Ab L M Anslutningsklemma
US4097106A (en) * 1975-04-04 1978-06-27 Amp Incorporated Terminal housing having an integral strain relief
JPS5216688A (en) * 1975-07-29 1977-02-08 Tatsuo Teraoka Method of connecting insulator coated electric wires
US4062610A (en) * 1976-06-04 1977-12-13 Amp Incorporated Square matrix electrical post receptacle
US4116522A (en) * 1976-07-09 1978-09-26 Amp Incorporated Slotted terminal
US4159158A (en) * 1977-05-06 1979-06-26 Amp Incorporated Displation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upporting means
US4141618A (en) * 1977-12-05 1979-02-27 Amp Incorporated Transversely slotted barrel terminal
JPS5813366B2 (ja) * 1978-01-19 1983-03-14 オ−ツタイヤ株式会社 車輪
US4385794A (en) * 1978-07-25 1983-05-31 Amp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4403821A (en) * 1979-03-05 1983-09-13 Amp Incorporated Wiring line tap
US4296988A (en) * 1980-02-20 1981-10-27 Amp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support
US4335929A (en) * 1980-05-06 1982-06-22 Amp Incorporated Line assignment module
US4333700A (en) * 1980-05-23 1982-06-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Insulation-penetrating slotted beam contact element
US4350404A (en) * 1980-09-24 1982-09-2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US4435035A (en) * 1981-03-31 1984-03-06 Amp Incorporated Mass terminatable single row connector assembly
US4428115A (en) * 1981-04-27 1984-01-31 Raychem Corporation Cable preconnectorization method
JPS5973308A (ja) * 1982-10-19 1984-04-25 Noa Rabitsuto:Kk 乗物の車輪のホイ−ル
US4527857A (en) * 1983-04-18 1985-07-09 Amp Incorporated Terminal for connecting a wire to a blade type terminal
US4527852A (en) * 1983-08-09 1985-07-09 Molex Incorporated Multigaug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contacts therefor
US4548459A (en) * 1984-08-31 1985-10-2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for wires of different ga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6490A1 (en) 1987-09-16
EP0236490B1 (en) 1990-09-05
JPH0713180Y2 (ja) 1995-03-29
DE3673990D1 (de) 1990-10-11
US4743208A (en) 1988-05-10
WO1987001870A1 (en) 1987-03-26
JPS63500009U (ko) 198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798Y1 (ko) 핀 격자배열(格子配列) 전기 콘넥터
US553618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EP0519196B1 (en) A terminal block for printed circuit boards
EP1188204B1 (en) Modular electrical plug, plug-cable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and load bar and terminal blade for same
US594776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ing wire fixture
JP4168158B2 (ja) 改良コネクター
CA1241715A (en)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US4261629A (en) Slotted plate terminal
CA1169518A (en)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flat insulated cable
US4784623A (en) Mass terminable flat flexible cable to pin connector
US4950176A (en) Modular plug for terminating cordage
JPS6130390B2 (ko)
EP0372767B1 (en) Miniature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tact
US4264118A (en) Insulation-pierce and crimp termination and method for effecting same
JPS6297273A (ja) 電気コネクタ
US5114362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4561712A (en) Versatile electric connector
EP0549158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having backup spring
US462452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JP2568405B2 (ja) ケ−ブル用多対コネクタ
US4414740A (en) Insulation-pierce and crimp termination tool
US6176730B1 (e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517374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and press connector device
CA1115371A (en) Connector including a contact for forming a crimped insulation-piercing electrical connection
JPH0914792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圧着工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