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709Y1 - 조립식 부잔교 (浮棧橋)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잔교 (浮棧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709Y1
KR900008709Y1 KR2019870017807U KR870017807U KR900008709Y1 KR 900008709 Y1 KR900008709 Y1 KR 900008709Y1 KR 2019870017807 U KR2019870017807 U KR 2019870017807U KR 870017807 U KR870017807 U KR 870017807U KR 900008709 Y1 KR900008709 Y1 KR 900008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lot
unit
buza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923U (ko
Inventor
임권신
Original Assignee
임권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권신 filed Critical 임권신
Priority to KR2019870017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709Y1/ko
Publication of KR890008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부잔교(浮棧橋)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부잔교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부잔교의 측면 예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단위 플롯트의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단위 플롯트의 측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연결용 찬넬과 형강의 체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연결용 찬넬과 형강의 체결상태를 보인 실시 예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체결구의 예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체결 부분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단위 플롯트 5' : 부잔교
6, 6' : 체결구멍 7 : 찬넬
7' : 형강 8, 8' : 탄성편
9 : 체결핀 10 : 고정핀
11 : 고리 12 : 중력형 앙카
13 : 사슬
본 고안은 선박에 승하선하거나 하역하는 부잔교(浮棧橋)에 있어서 좁고 긴 직사각형 입장체의 속이 빈 단위 플롯트를 형성하고 이 단위 플롯트의 상면에 복수개의 연결용 찬넬을 형성하여 길이가 긴 연결용 형강을 찬넬에 끼워서 여러 단위 플롯트를 횡열로 결합시키기 부잔교를 조립하며 태풍시에는 조립한 부잔교의 플롯트를 해체하여 각 단위 플롯트를 묻 위로 끌어내어 안전하게 대피한 다음 간편하게 조립하여 오래 사용할수 있게한 조립식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해안은 굴곡이 심하고 조수의 간만 차이가 클뿐 아니라 해안의 수심이 얕은 지역 범위가 넓어서 선박의 접안(接岸)이 어렵고 따라서 해안에서 떨어진 선박과 해안 사이에는 종선에 의하여 왕래해야 하는 번거러운 불편과 위험한 폐단이 있었다.
물론 섬이나 해안의 어촌마다 모두 선착장을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경제적으로 실현이 어렵고 대부분 간이 선착장으로써 부잔교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종래의 일반적인 부잔교는 폭 11m, 높이 1.5m, 길이 21m, 정도 크기의 입방체의 속이 빈 단일부체(浮體)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 장소에 고정된채 대피가 불가하여 태풍권 지역인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태풍으로 인하여 부잔교가 파손되는 피해가 극심하고 새로운 부잔교를 건설하는데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갖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도강(渡江) 등의 군사적 목적이나 해상 작업을 위한 것으로 여러개의 플롯트를 결합한 부체가 있으며 예컨대 일본 공개실용신안 공보 공고번호 56-43695호, 동 56-9995호, 동 49-20292호, 동 59-43508호, 동 59-80505호, 등 공개 특허공보 공고번호 46-29572호등이 있으며 기타 수상놀이장으로 된 것도 있다.
상기한 종래의 것들은 단위플롯트를 여러개 집합적으로 결합한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각각의 목적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만큼 플롯트의 구조가 각각 다르고 그 목적이 아닌 부잔교로서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즉, 군사적 목적으로 된 절첩식 부교(浮橋)는 특수장비에 의하여 설치하거나 철저할수 있는 것으로 설치된 부교는 부분적으로 상하 유동이 심하여 고도의 훈련을 받은 장병들만이 임시적인 도강에 사용할수 있을뿐 아녀자들의 안전한 승하선이나 하역을 위한 부잔교는 쓸수 없다.
또한 해상 작업을 위하여 여러개의 플롯트를 연결한 것은 해상에서 작업할수 있게 숙련된 특정인들만이 사용할수 있을뿐이며 이들 결합된 플롯트의 상하 유동이 심하여 부잔교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종래 단위플롯트를 결합하여서된 부잔교가 있으나 각 플롯트를 평면의 전후 좌우로 결합하게 되어있고 연결구는 각 플롯트의 사방 상연부와 수중의 하연부에 함께 체결할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서 플롯트의 조립시에나 분리시에는 잠수복을 입고 수중에서 작업을 해야 하면 물속의 체결구는 심하게 녹이 쓸게 됨으로 한번 조립후에는 거의 분해사지 않은 영구 설치용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잔교는 현재 사용중인 단일 부체의 거대한 부잔교와 같이 태풍등에 신속한 대피가 불가하여 태풍으로 파손될 위험이 큰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부잔교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태풍시에는 보다 신속하게 부잔교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면은 평평하면서 저면은 경사지거나 평평하게 된 좁고 긴 직사각형의 속이 빈 입방체의 단위플롯트를 형성하여 단위 플롯트의 길이가 곧 조립된 부잔교의 교폭이되게 하고 단위 플롯트의 상면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용 찬넬을 나란히 형성하여 플롯트의 연결용 형강을 찬넬에 끼우고 체결핀으로 체결하면서 다수개의 단위 플롯트를 횡열로 결합시키어 부잔교를 조립할 수 있게하고 단위 플롯트의 상면 양단부와 측면부에는 각각 고리외 쿳숀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중력형 앙카의 사슬을 플롯트의 고리에 매어 부잔교를 사방에서 지지할 수 있게하는 동시 선박의 접안시에는 쿳숀에 의하여 충격을 완충할수 있게 구성하여서 선박이 접안할 수 없는 수심이 해안에 바다를 향하여 임의 거리고 부잔교를 조립 설치하여 사용하고 여름철의 태풍시에는 일기 예보에 따라 신속하게 단위 플롯트를 해체하여 단위 플롯트의 고리를 이용하여 보우트 등으로 예인하여서 묻위로 대피하여 안전하게 보호하고 평온하면 간편하게 부잔교를 조립설치하면서 경제적으로 안전하고 오래 사용할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면(1)은 평평하고 저면(2)은 경사지거나 평평하게된 직사각형의 입방체로서 세로 폭(3)에 비하여 가로 길이(4)가 훨씬 긴(설계적으로는 폭 3m, 높이 2m, 길이 10-15m가 바람직함) 속이 빈 단위플롯트(5)를 형성하고 단위플롯트(5)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구멍(6)이 형성된 연결용 형강(7')을 찬넬(7)에 세로 방향으로 끼워 탄성편(8)(8')이 찬넬의 양면에서 지지되게 체결핀(9)을 체결구멍(6)(6')에 끼워 핀공(9')에 고정핀(10)을 끼워서 부잔교(5')을 조립할수 있게 하며 단위 플롯트(5)의 양단부측 상면과 측변부에는 다목적 고리(11)와 공지의 쿳숀(14)을 각각 형성하여 부잔교의 지지에 적합한 무게와 닷이 형성된 특수 콘크리트 중력형 앙카(12)에 맨 사슬(13)을 고리(11)에 결착시키어 수중 사방에서 부잔교(5')를 견고하게 지지할수 있게하고 쿳숀(14)에 의하여 선반의 접안시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3'는 보조사슬, 15는 지주, 16은 깔판, 17은 수리를 위한 맨홀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잔교의 설치장소에 다수개의 동일 구조의 단위 플롯트(5)를 횡열로 연접하여 플롯트(5)에 형성된 연결용 찬넬(7)을 일직선으로 맞추고 길이가 긴(설계적으로는 9-12m가 바람직함) 연결용 형강(7')을 찬넬(7)에 세로 방향으로 끼워 찬넬의 체결구멍(6)과 형강의 체결구멍(6')을 마춘 다음 제 5 도 및 제 6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탄성편(8)(8')과 함께 체결핀(9)을 체결구멍(6)(6')에 끼워 찬넬(7)의 양면에 탄성편(8)(8')이 밀착되게 체결핀(9)에 형성된 핀공(9')에 고정핀(10)을 끼워 고정시키면서 목적하는 임의 길이로 부잔교(5')를 조립하고 부잔교(5')의 상면에 필요하면 깔판(16)을 깔며 수중바닥 설치된 콘크리트 중력형 앙카(12)에 맨 사슬(13)을 해당 위치의 고리(11)에 적절하게 걸어서 조립된 부잔교의 사방에서 안전하게 지지시킬수 있게하며 해안의 지주(15)에 보조 사슬(13')을 부잔교(5')의 고리(11)에 걸어서 부잔교의 수평으로 지지되게 설치 사용한다.
이때 단위 플롯트(5)로 조립된 본 고안의 부잔교는 콘크리트 중력형 앙카(12)에 맨 사슬(13)에 의하여 사방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파랑에 의한 부잔교의 변위나 뒤집힘을 방지하는 동시 부잔교의 상하 출렁이는 요동을 억제한다.
특히 부잔교(5')의 폭에 대하여는 단위플롯트(5)의 길이(4)로써 견고성이 있고 부잔교(5')의 길이에 대하여는 여러개의 플롯트를 연결한 찬넬(7)과 형강(7')에 의하여 수평 강도를 유지하게 되어 마치 섹쇼날 선체구조와 같은 결합 구조물이 되어서 파도에 의하여 부잔교가 부분적으로 상하 출렁거리는 일이 없고 부잔교의 일부분에 국부적으로 하역등에 의하여 가하여져도 하중이 부잔교의 전면에 분산되어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전체적으로 수평을 유지하여서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선하거나 부잔교 위에서 하역이 가능할뿐 아니라 운반차량등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선착장으로 사용되는 부잔교를 근거리의 섬사이의 바다 또는 강에 설치하면 부교가 되어서 다리나 배가 없이 왕래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태풍 경보가 있는 경우 모든 선박은 항해를 중지하고 대피하게 됨으로 이때 사실상 부잔교의 기능은 잠시 정지되어도 무방함으로 신속하게 플롯트(5)를 연결한 체결핀(9)을 분리하고 형강(7')을 찬넬(7)에서 분리하면 모든 단위플롯트는 해체됨으로 플롯트에 형성된 고리(11)를 이용하여 보우트 등으로 예인하여서 묻 위로 대피시키어 태풍으로부터 단위 플롯트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때 앙카(12)의 사슬(13)에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부구를 연결하여 두면 후에 사슬의 사용이 편리하다.
플롯트의 대피성은 태풍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서 해마다 태풍으로 부잔교가 파손되는 피해를 방지할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태풍이 지난후에는 처음의 요령으로 단위 플롯트를 연접시키어서 간편하게 부잔교를 조립 설치하며 이때 체결핀은 나사식으로 보울트나 너트를 사용할수도 있지만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장기간 지나는 동안에 보울트에 녹이쓸면 분해 조립에 어려움이 따르고 플롯트의 분해 조립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됨으로 탄성편을 가진 체결핀과 고정핀으로 찬넬과 형강을 체결하는 것이 편리하고 시간도 절감되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플롯트를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좁고 긴 직사각형의 단위 플롯트를 형성하여 찬넬과 형강에 의하여 임의 길이로 연접하여 부잔교를 조립할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부잔교의 조립이 간편하고 태풍시에는 단위 플롯트를 해체하여 대피시킬수 있어 해마다 반복적으로 태풍에 의한 부잔교의 파손되는 피해를 방지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편리하게 오래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1)은 평평하면서 저면(2)은 경사지거나 평평하게 된 입방체로써 세로 폭(3)에 비하여 가로 길이(4)가 훨씬 긴 속이 빈 단이 플롯트(5)를 형성하고 단위 플롯트(5)의 상면에 체결공(6)이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봉 찬넬(7)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하여 체결공(6')이 형성된 연결용 형강(7')을 찬넬(7)에 끼워 체결시키어 여러개의 단위 플롯트를 횡열로 결합하여서된 조립식 부잔교.
KR2019870017807U 1987-10-20 1987-10-20 조립식 부잔교 (浮棧橋) KR900008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807U KR900008709Y1 (ko) 1987-10-20 1987-10-20 조립식 부잔교 (浮棧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807U KR900008709Y1 (ko) 1987-10-20 1987-10-20 조립식 부잔교 (浮棧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923U KR890008923U (ko) 1989-05-29
KR900008709Y1 true KR900008709Y1 (ko) 1990-09-22

Family

ID=1926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807U KR900008709Y1 (ko) 1987-10-20 1987-10-20 조립식 부잔교 (浮棧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7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42Y1 (ko) * 2009-12-31 2010-04-09 오세진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42Y1 (ko) * 2009-12-31 2010-04-09 오세진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923U (ko) 198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3023B2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US3967569A (en) Floating dock
CN100393576C (zh) 停泊的方法和系统
US3763808A (en) Universal marine module
US5107784A (en) Docking system for boats
US4602587A (en) Float structure
KR900008709Y1 (ko) 조립식 부잔교 (浮棧橋)
US20050263056A1 (en) System for connecting buoyant marine bodies
EP0137625B1 (en) Transport of prefabricated offshore structures
KR101699961B1 (ko) 다용도 폰툰용 닻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폰툰의 정박용 닻 연결구조
EP0135393A2 (en) Sea-going self-propelled vessels for transport of prefabricated offshore structures
KR102209351B1 (ko) 경사접안구조물을 이용한 요트계류장치
RU85439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по внутренним водным путям
JP2519618B2 (ja) ポンツ―ン
JPH0728174Y2 (ja) 浮桟橋
JP2637753B2 (ja) 氷のなかを航行可能な船ユニット
KR20240013167A (ko) 부유식 제작 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의 구축 방법
JPH05339928A (ja) 駐艇構造
SU1449449A1 (ru) Корпус плавсредства
JPS60164508A (ja) 海上空港
WO1981001275A1 (en) A marine structure
CN115946823A (zh) 下水工作船及其使用和船体高度范围计算的方法
JPH0714403Y2 (ja) 浮桟橋構造
GB2186527A (en) Platform topsides removal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