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679Y1 - 냉동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679Y1
KR900008679Y1 KR2019890015272U KR890015272U KR900008679Y1 KR 900008679 Y1 KR900008679 Y1 KR 900008679Y1 KR 2019890015272 U KR2019890015272 U KR 2019890015272U KR 890015272 U KR890015272 U KR 890015272U KR 900008679 Y1 KR900008679 Y1 KR 900008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mpressor
fluid control
pressure signal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5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265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155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6403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43970U/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61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3748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40002490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8839A/ko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90015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6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동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냉동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제 2 도는 본원 고안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제 3 도는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신호유로관(16)을 흡입관(5a) 납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4 도는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체제어밸브(8)의 제어부(9)를 단열재로 피복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제 5 도-제 8 도는 본원 고안의 제 2-제 5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제 9a 도는 제 2 도, 제 6 도에 나타낸 유체제어밸브(8), (38)의 상세 단면도.
제 9b 도는 제 5 도, 제 7 도, 제 8 도에 나타낸 유체제어밸브(18), (58), (78)의 상세 단면도.
본원 고안은 압축기, 응축기, 감압기, 증발기를 구비한 냉동장치, 특히 그 냉각운전, 정지의 반복에 의한 에너지손실의 방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등의 냉동장치에서는 냉장고내 온도를 소망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소망의 온도폭으로 냉각운전, 정지를 반복하여 행하고 있다. 이 냉각운전, 정지는 냉각운전의 정지신호에 의해 로터리콤프레서등의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하고, 냉매회로의 각 부의 냉매상태는 밸런스방향으로 변화한다.
즉, 압축기의 토출밸브에서 실린더 내부 및 응축기에 이르는 고압측과 증발기로부터 압축기의 흡입포트(port)에 이르는 저압측이 밸런스압력을 취하기 위해, 모세관등의 감압기를 통해서, 또는 압축기의 슬라이드부분에서 고압 과열가스냉매가 저압측인 증발기로 이동하며, 증발기온도를 상승시켜 버린다. 또, 증발기에 고인 액냉매는 냉각운전시에는 증발기내에서 완전히 증발하지 못하고 압축기내로 직접 되돌아오기 때문에, 시동 후 수분간은 냉장고내를 유효하게 냉각할 수 없는 등 에너지손실이 생기고 있었다.
종래, 상기 결점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서, 제 1 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른바 롤링피스턴(1c)등으로 대표되는 실린더(1b) 내부를 고압으로 한 로터리콤프레서등의 압축기(1), 응축기(2), 모세관등의 감압기(3), 증발기(4)로 이루어진 냉매회로에 있어서, 응축기(2)의 출구측에 전자밸브(6)를 배설하는 동시에, 증발기(4)의 출구측에서 압축기(1)의 흡입포트(1a)에 이르는 흡입관(5)중에 체크밸브(7)를 배설한 구성으로서 전자밸브(6)를 냉각운전 정지신호와 동기시켜 온, 오프하여 냉매회로를 개폐시키며, 또한 체크밸브(7)에 의해 압축기(1)내의 고압 과열가스냉매가 압축기(1)의 슬라이드부에서 새어 나와 증발기(4)측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전자밸브(6)가 고가이며, 더구나 전력소비를 필요로 하고, 또한 작동음이 크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것이 갖는 결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소비전력이 작고, 또한 작동음이 작으며, 더구나 제어동작이 신속한 유체제어밸브를 설치한 냉동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압축기, 응축기, 감압기, 증발기를 순차 환상으로 접속하며, 증발기의 출구측과 압축기의 흡입측과의 사이에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다시 이 체크밸브의 입구와 출구측의 압력차에 따라서 압축기의 동작에 수반해서 자동적으로 열리며, 또한 정지에 수반해서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유체제어밸브를 감압기의 입구측 냉매배관, 또는 출구측 냉매배관, 또는 감압기의 입구와 출구측과의 사이에 설치한 냉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체제어밸브를 다이어프램을 통해서 제 1 및 제 2의 수압실을 설치한 것으로 구성하고, 이 제 1의 수압실에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신호 유로관을 설치하고, 이 압력신호 유로관이 전달하는 압력신호의 맥동을 방지하고, 유체제어밸브의 동작을 확실하게 동작시키도록 한 냉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압력신호 유로관을 증발기의 출구측의 흡입관에 근접해서 배치하고, 양자를 열교환하여 증발기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도록 한 냉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감압기를 제 1의 감압기와 제 2의 감압기로 분할하고, 제 1의 감압기와 제 2의 감압기와의 사이에 유체제어밸브를 배설하고, 이 유체제어밸브는 압축기의 흡입측의 압력과 제 2의 감압기의 입구측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개폐동작하며, 압축기의 흡입측의 압력이 제 2의 감압기의 입구측의 압력 이상일 때 닫히고, 압축기의 흡입측의 압력이 제 2의 감압기의 입구측의 압력보다 작을 때 열리도록 구성한 냉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응축기의 출구측과 감압기 입구측과의 사이에 유체제어밸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압축기와 체크 밸브와의 사이에 머플러를 배설하고, 유체제어밸브는 체크밸브의 상류측의 압력과 체크밸브의 하류측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개폐동작하며, 체크밸브의 하류측의 압력이 체크밸브의 상류측의 압력이상일 때 닫히고, 체크밸브의 하류측의 압력이 체크밸브의 상류측의 압력보다 작을 때 열리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체크밸브의 하류측의 압력신호 유로관을 체크밸브와 머플러와의 사이에 접속한 냉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압축기(1)는 운전중은 원형 실린더(1b)내를 편심된 롤링피스턴(1c)이 일단을 실린더 내면에 슬라이드시키고, 타단을 베인(1d)에 슬라이드시켜서 회전시키고, 흡입포트(1a)측의 저압부(1e)와 토출포트(1f)측의 고압부(1g)를 형성하고, 롤링피스턴(1c)의 회전에 의해 변화하는 저압부(1e)와 고압부(1g)를 형성하고, 롤링피스턴(1c)의 회전에 의해 변화하는 저압부(1e)와 고압부(1g)의 용적 변화에 따라 냉매가스를 토출포트축으로 송출하고 있다.
그러나, 압축기(1)가 정지하면 상기 슬라이드부로부터 냉매가스가 고압측에서 저압측으로 누설되어, 흡입포트에서 증발기측으로 역류되며, 냉각된 증발기를 데워 버리는 결과가 되어 에너지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모세관등의 감압기를 통해서도 응축기측의 고압과열 가스냉매가 증발기로 흘러서, 증발기 온도를 상승시켜 버리는 에너지손실이 발생한다.
더욱이, 이와같이 압력밸런스되어 버리므로, 다시 운전을 개시할 때 압축기는 장치내에 소정의 고저압차가 얻어질때까지 불필요한 압축작업을 해야하는 에너지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에너지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밸브(6)와 체크밸브(7)를 설치했던 것을 다시 본원 발명에서는 제 2 도 및 제 5 도-제 8 도와 같이 전자밸브 대신 유체제어밸브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제 1의 실시예를 제 2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 있어서, 제 1 도의 종래예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8)은 유체제어밸브이며, 제어부(9)와, 이 제어부(9)의 압력을 받아 동작하는 다이어프램(10)과, 이 다이어프램(10)에 연동하는 밸브체(11)와, 다이어프램(10)에 반력을 가하는 스프링(12)과, 냉매통과부(13)와, 이 냉매통과부(13)의 유입구(14) 및 유출구(15)에 의해 구성되며, 이 장치의 요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체크밸브(7)는 압축기(1)의 정지시에 압축기(1)측에서 증발기(4)측으로의 냉매의 역류를 저지하는 저지밸브라도 좋다.
모세관등으로 이루어진 제 1의 감압기(3a) 및 제 2의 감압기(3b)는 유체제어밸브(8)의 유입구(14) 및 유출구(15)를 통해서 직렬로 연통접속되며, 또한 전체가 응축기(2)의 출구측과 증발기(4)의 입구측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냉매회로의 감압기(3)를 구성하고 있다.
유체제어밸브(8)의 제어부(9)와 압축기(1)의 흡입포트(1a) 즉 체크밸브(7)의 하류측을 연통시키는 신호파이프등의 압력신호유로관(16)을 설치하고, 압축기(1)의 흡입측의 압력을 제어부(9)에 전달시키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냉각 운전시에 있어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에서 방열하여 고압의 액냉매로 되며, 제 1의 감압기(3a)에서 감압되어 유체제어밸브(8)의 유입구(14)에 들어가 냉매통과부(13), 유출구(15)를 거쳐 다시 제 2의 감압기(3b)에서 감압된다(이 경우, 제 2의 감압기(3b)는 제 1의 감압기(3a)보다도 튜브가 같은 경이라도 유로 저항을 적게 하고 있다). 또한, 증발기(4)에 냉매가 들어가 증발해서 냉장고(도시생략)내를 냉각시켜 흡입관(5a), 체크밸브(7)를 거쳐 유체제어밸브(8)의 제어부(9)와 압력신호유로관(16)은 체크밸브(7)에서 하류측의 압력 즉 저압으로 되며, 다이어프램(10)에는 반력으로서 이용하고 있는 스프링(12)의 부세력 및 유출구(15)의 압력과의 합의 힘이 작용하여, 밸브체(11)를 여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때문에, 냉매 통과부(13)는 개로(開路)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냉각운전이 정지일때는 압축기(1)가 정지하기 때문에, 압축기(1)의 실린더(1b)내의 고온고압의 과열가스냉매는 압축기(1)의 슬라이드면 등에서 흡입관(5)측으로 역류한다.
이 역류냉매는 압축기(1)와 증발기(4)와의 사이의 흡입관(5)에 배설한 체크밸브(7)를 작동시켜 냉매가 증발기(4)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압축기(1)에서 체크밸브(7)에 이르는 흡입관(5)까지를 순시(瞬時)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시키므로, 이들에 연통하는 제어부(9)와 압력신호유로관(16)을 마찬가지로 순시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시켜, 다이어프램(10)을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압압한다. 따라서, 압축기(1)의 입구측의 압력과 유체제어밸브(8)의 유출구(15)의 압력 즉 제 2의 감압기(3b)의 입구측의 압력과의 차의 압력이 다이어프램(10)의 반력방향의 스프링(12)의 부세력 보다도 클 때 유입구(14)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밸브체(11)를 다이어프램(10)의 부세력에 의해 압압하여, 유입구(14)를 순시에 폐쇄한다.
다음에, 냉각운전의 재시동시에는 압축기(1)의 운전에 의해 체크밸브(7)에서 압축기(1)에 이르는 흡입관(5)이 냉각정지시의 고압에서 순시에 저압으로 변화하며, 냉각정지중 저압을 유지하고 있던 증발기(4)에서 체크밸브(7)까지의 사이의 흡입관(5a)의 압력과 같은 압력으로 된다.
즉, 체크밸브(7)의 하류측에 일단이 연통된 압력신호유로관(16)과 제어부(9)는 순시에 저압으로 되기 때문에, 다이어프램(10)이 받는 압력이 스프링(12)의 부세력보다 강했던 냉각정지중과는 달리, 스프링(12)의 부세력이 강해서 밸브체(11)를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압하여 유입구(14)를 개방시켜 냉각사이클이 재개된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금속재의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압력신호 유로관(16)을 제 3 도에 나타낸 것처럼 흡입관(5a)에 납땜등의 수단으로 열교환되도록 배설함으로써, 압축기(1)의 정지시 고온고압의 역류가스를 흡입관(5a)과 열교환시켜 저온도화해서 유체제어밸브(8)의 제어부(9)로 인도하여 증발기(4)의 온도상승을 방지할수 있다.
또, 유체제어밸브(8)의 제어부(9)를 제 4 도에 나타낸 것처럼 단열재로 피복하거나, 또는 유체제어밸브(8)의 전체를 단열벽증에 매설하여 제어부(9)에 압력신호 유로관(16)을 통해서 유입되는 고압가스 및 밸브체(11)의 폐쇄시에 유입구(14)까지 감압기(3)를 통해서 유입되는 상은 고압가스냉매로부터의 열손실을 저지할 수 있다.
본원 고안의 제 1의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감압기를 제 1의 감압기와 제 2의 감압기로 분할하여 이들 감압기의 중간에 유체제어밸브를 배설하고, 흡입관에 설치한 체크밸브의 하류측 즉 압축기의 흡입측의 압력과 제 2의 감압기의 입구측의 압력과의 차의 압력에 의해 유체제어밸브를 개폐동작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체제어밸브의 유출구측의 압력이 증발기의 입구측의 압력에 의해 냉각운전중에 약간 높아지며, 또한 냉각정지중에 제어부에의 압력신호유로관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기로부터의 역류고온고압냉매가 제어부에 액화해서 신호압력의 승이 정체하지 않도록 또는 정체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다이어프램에 걸리는 압력차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의 작동이 매우 순시에 행해지며, 또한 냉매회로의 압력차에 의해 유체제어밸브를 개폐동작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체제어밸브는 다이어프램, 스프링, 밸브체등에 의한 구성이 가능해지며, 더구나 밸브체가 유입구와 접촉하는 면적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밸브와 같이 작동시의 금속간의 충돌음이 없는 저소음이며, 또한 밸브의 작동 때문에 특히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전자밸브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제 2의 실시예를 제 5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제 1 도의 종래예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18)은 유체제어밸브로서,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 1의 수압실(19)과, 제 2의 수압실(20)과, 이들을 간막이하는 다이어프램(21)과, 이 다이어프램(21)과 연동하는 밸브체(22)와, 다이어프램(21)을 제 1의 수압실(19)에 대해 반력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23)과, 응축기(2)의 출구측과 모세관등의 감압기(3)의 입구측과의 사이에 연결된 냉매 통과부(24)와, 이 냉매통과부(24)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유입구(25), 유출구(26)에 의해 구성되며, 유입구(25)는 응축기(2)의 출구측에 유출구(26)는 감압기(3)의 입구측에 각기 연통되어 있다.
밸브체(22)는 유입구(25)를 제 1의 수압실(19)과 제 2의 수압실(20)의 압력차에의해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의 수압실(20)은 유입구(25)와 유출구(26) 및 냉매통과부(24)에 대해 밀폐되도록 시일블록(27)에 의해 밸브체(22)를 통해서 시일되어 있다.
(28)은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제 1의 압력신호유로관을 나타내며, 압축기(1)의 흡입측의 압력을 유체제어밸브(18)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압축기(1)의 흡입측에 접속된 흡입관(5)과 유체제어밸브(18)의 제 1의 수압실(19)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29)는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을 나타내며, 증발기(4)의 출구측의 압력을 유체제어밸브(18)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증발기(4)와 체크밸브(7)와의 사이에 흡입관(5a)과, 유체제어밸브(18)의 제 2의 수압실(20)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냉각운전시에 있어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에서 방열하여 고압의 액냉매로 되어, 유체제어밸브(18)의 유입구(25)에 들어가 유출구(26)을 거쳐 감압기(3)에 유입하여 감압된다. 감압기(3)에서 감압된 저압냉매는 증발기(4)에 들어가 증발해서 냉장고내를 냉각하며, 흡입관(5a)를 통과하여, 체크밸브(7)를 거쳐 압축기(1)로 되돌아가 냉각사이클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압축기(1)를 운전하고 있는 냉각운전상태에 있어서는 유체제어밸브(18)의 제 1의 수압실(19) 및 제 2의 수압실(20)은 모두 체크밸브(7)의 전후의 입력, 즉 운전중은 저압을 유지하며, 또한 제 1의 수압실(19)의 압력과 제 2의 수압실(20)의 압력과의 차가 대략 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21)에는 스프링(23)의 반력만 작용하며, 다이어프램(21)을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압하고, 이것에 연동하는 밸브체(22)가 유입구(25)를 개로상태로 한다.
한편, 냉각운전이 정지되면, 압축기(1)가 정지하기 때문에 압축기(1)내의 실린더(1b)내의 고온고압의 과열가스냉매는 압축기(1)의 슬라이드면 등에서 흡입관(5)측으로 역류한다. 이 역류냉매는 압축기(1)와 증발기(4)와의 사이에 흡입관(5)에 배설한 체크밸브(7)를 역류냉매에 의해 작동시켜, 냉매가 증발기(4)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압축기(1)에서 체크밸브(7)에 이르는 흡입관(5)까지를 순서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제 1의 수압실(19)과 제 1의 압력신호유로관(28)이 순시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되어, 다이어프램(21)을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압압하여 밸브체(22)가 유입구(2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이때, 제 2의 수압실(20)은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29)과 함께 증발기(4)에서 체크밸브(7)에 이르는 흡입관(5a)을 저압인 채로 유지한다.
그 결과, 다이어프램(21)은 제 1의 수압실(19)과 제 2의 수압실(20)과의 사이의 압력차를 받아 우측으로 변위하며, 다이어프램(21)을 반력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던 스프링(23) 및 유입구(25), 유출구(26)의 고압압력과의 합의 힘에 이겨 다이어프램(21)에 연동하는 밸브체(22)를 작동시켜, 유입구(25)를 순시에 폐쇄하여 응축기(2)에서 증발기(4)측으로 이동하는 고압냉매를 응축기(2)등의 고압측으로 봉지한다.
다음에, 냉각운전의 재시동시에는 압축기(1)의 운전에 의해 체크밸브에서 압축기(1)에 이르는 흡입관(5)이 정지시의 고압에서 순시에 저압으로 변화하며, 정지중에 저압을 유지하고 있던 증발기(4)에서 체크밸브(7)의 사이의 흡입관(5a)로 균압으로 된다. 따라서, 체크밸브(7)의 전후에 각기 연통하는 제 1의 수압실(19)과 제 1의 압력신호 유로관(28) 및 제 2의 수압실(20)과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29)도 저압으로 되기 때문에, 다이어프램(21)은 그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가 거의 없다. 결과적으로 스프링(23)의 부세력에 의해 밸브체(22)를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작동시켜, 유입구(25)를 개방하게 되어 냉각 운전이 재개된다.
상기에 있어서, 고압측에 배설된 유체제어밸브(18)의 냉매통과부(24), 유입구(25), 유출구(26)와 기밀시일이 필요한 제 2의 수압실(20)과는 밸브체(22)를 통해서 시일블록(27)으로 밸브체(22)의 작동시에도 기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고압측의 냉매회로와 제 2의 수압실을 압력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체제어밸브(18)를 제 1의 수압실(19), 제 2의 수압실(20), 다이어프램(21), 스프링(23), 밸브체(22), 냉매통과부(24), 시일블록(27)을 일체화 한 구조로 함으로써, 밸브체(22)의 작동을 확실하고 신속히 하며, 또한 에너지 손실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본원 고안의 제 2의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와 증발기와의 사이에 배설한 체크밸브의 전후의 압력차 즉 체크밸브의 상류측의 압력과 하류측의 차를 신호압력으로 하여, 냉매회로의 고압측에 설치한 유체제어밸브를 개폐 제어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냉각정지시에 유체제어밸브를 순시에 폐쇄하여 응축기에서 증발기측으로 이동하는 고압냉매를 응축기의 고압측으로 빨리 봉지하여, 고압냉매의 저압측으로 이동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또, 유체제어밸브는 다이어프램 제어형식으로 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더구나 밸브체의 충돌음이 없는 저소음의 개폐제어를 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제 3의 실시예를 제 6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6 도에 있어서, 제 1 도의 종래예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38)은 유체제어밸브이며, 제어부(39)과 이 제어부(39)의 압력을 받아 동작하는 다이어프램(40)과, 이 다이어프램(40)에 연동하는 밸브체(41)와, 다이어프램(40)에 반력을 가하는 스프링(42)과, 냉매통과부(43)와, 이 냉매통과부(43)의 유입구(44) 및 유출구(45)에 의해 구성되며, 이 장치의 요부를 이루고 있다. 상기 유입구(44)는 모세관등의 감압기(3)의 출구측에 연결되며, 유출구(45)는 증발기(4) 입구측에 연결되고, 증발기(4)의 출구측에서 체크밸브(7)를 배설한 흡입관(5)을 거쳐 압축기(1)의 흡입포트(1a)에 연결하여, 증기압축식의 냉매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유체제어밸브(38)의 제어부(39)와 압축기(1)의 흡입포트(1a) 즉 체크밸브(7)의 하류측을 통과시키는 신호파이프등의 압력 신호유로관(46)을 설치하고, 압축기(1)의 흡입측의 압력을 제어부(39)에 전달시키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매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냉각운전시에 있어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에서 방열되며, 고압냉매로 되어 감압기(3)에 유입된다.
감압기(3)에서 감압된 저압냉매는 유체제어밸브(38)의 유입구(44)에 유입되는 동시에, 밸브체(41)의 열린 상태에 의해 냉매통과부(43)를 거쳐 유출구(45)에 이르고, 증발기(4)에서 증발하여 냉각해서 증발기(4)의 출구측의 흡입관(5a), 체크밸브(7), 흡입관(5)을 거쳐 압축기(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냉각운전상태에서 있어서는 유체제어밸브(38)의 유입구(44), 냉매통과부(43), 유출구(45)를 비롯하여 증발기(4)가 저압으로 되는 동시에 압축기(1)의 흡입포트(1a)와 체크밸브(7)와의 사이도 저압으로 되기 때문에, 이 사이에 연통된 압력신호 유로관(46) 및 제어부(39)도 저압으로 유지되며, 제어부(39)의 압력과 유출구(45)의 압력과의 차가 없어지며, 다이어프램(40)을 경계로 하여 그 양측이 대략 같은 압력으로 되고, 다이어프램(40)의 반력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의해 다이어프램(40)을 밀어 올려(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압함), 다이어프램(40)에 연동하는 밸브체(41)를 이동시켜 밸브를 연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냉각운전이 정지되면 압축기(1)가 정지하여, 그 실린더(1b)내의 고온고압의 과열가스냉매가 압축기(1)의 슬라이드면등에서 흡입관(5)로 역류한다.
이 역류냉매는 흡입관(5)도중에 설치된 체크밸브(7)를 작동시켜, 냉매의 역류를 저지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압축기(1)와 체크밸브(7)를 잇는 흡입관의 고압상태로 된다. 그리고, 압축기(1)의 흡입포트(1a)측의 흡입관(5)과 유체제어밸브(38)의 제어부(39)를 고압으로 승압시켜 다이어프램(40)을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압압하여, 제어부(39)의 압력이 스프링(42)의 반력과 유출구(45)의 저압압력과의 힘의 합에 이긴 상태일 때 밸브체(41)를 유입구(44)의 밸브시트(도시생략)에 압압하여 순시에 폐쇄한다.
다음에, 냉각운전의 시동시에는 제어부(39), 압력신호유로관(46)을 포함하여 체크밸브(7)에서 압축기(1)의 흡입포트(1a)에 이르는 흡입관(5)이 압축기(1)의 시동에 의해 급격히 저압으로 되어, 다이어프램(40)을 경계로 하는 제어부(39)의 압력이 유출구 즉 증발기(4)의 입구측의 압력보다 작아지면 다이어프램(40)을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42)을 개방해서 밸브체(41)를 개로시켜 정상의 냉각운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본원 고안의 제 3의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흡입측의 압력과 증발기의 입구측의 압력과의 차의 압력에 의해 유체제어밸브를 작동시켜 냉매회로의 개폐동작을 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체제어밸브를 다이어프램, 스프링, 밸브체 등에 의한 구성 및 밸브체와 밸브시트의 접촉면적을 매우 작은 구조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밸브와 같이 작동시의 금속간의 충돌음이 없는 저소음이며, 또한 다이어프램에 의해 밸브작동이므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 전자밸브와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염가로 냉동장치의 냉각운전, 정지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제 4의 실시예를 제 7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7 도에 있어서, 제 1 도의 종래예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58)은 유체제어밸브이며,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 1의 수압실(59)과, 제 2의 수압실(60)과, 이들을 간막이 하는 다이어프램(61)과, 이 다이어프램(61)과 연동하는 밸브체(62)와, 다이어프램(61)을 제 1의 수압실(59)에 대해 반력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63)과, 응축기(2)의 출구측과 모세관등의 감압기(3)의 입구측과의 사이에 연결된 냉매통과부(64)와, 이 냉매통과부(64)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유입구(65), 유출구(66)에 의해 구성되며, 유입구(65)의 응축기(2)의 출구측에, 유출구(66)는 감압기(3)의 입구측에 각기 연통되어 있다.
밸브체(62)는 유입구(65)를 제 1의 수압실(59)과 제 2의 수압실(60)의 압력차에 의해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의 수압실(60)은 유입구(65)와 유출구(66) 및 냉매통과부(64)에 대해 밀폐되도록 시일블록(67)에 의해 밸브체(62)를 통해서 시일되어 있다. (68)은 압축기(1)의 흡입측의 압력을 유체제어밸브(58)에 전달하는 제 1의 압력신호 유로관이며, 압축기(1)의 흡입측에 접속된 흡입관(5)과 유체제어밸브(58)의 제 1의 수압실(59)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69)는 증발기(4)의 출구측의 압력을 유체제어밸브(58)에 전달하는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이며, 증발기(4)와 체크밸브(7)와의 사이에 흡입관(5a)과 유체제어밸브(58)의 제 2의 수압실(60)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압력신호유로관(68), (69)은 압축기의 운전시에 발생하는 냉매의 맥동을 감쇠시킬 목적으로, 흡입관(5)의 내경보다도 가는 모세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 압력신호유로관(68), (69)에는 루프(70), (71)를 가지며, 압축기의 운전시에 생기는 냉매의 맥동을 감쇠시키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냉각운전시에 있어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에서 방열하여 고압의 액냉매로 되며, 유체제어밸브(58)의 유입구(65)에 들어가, 유출구(66)를 거쳐 감압기(3)에 유입하여 감압된다. 감압기(3)에서 감압된 저압냉매는 증발기(4)에 들어가 증발해서, 냉장고내를 냉각하며, 흡입관(5a)을 통과하고, 체크밸브(7)를 거쳐 압축기(1)로 되돌아가 냉각사이클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압축기(1)을 운전하고 있는 냉각운전상태에 있어서는 유체제어밸브(58)의 제 1의 수압실(59) 및 제 2의 수압실(60)은 모두 체크밸브(7)의 전후의 압력, 즉 운전중은 저압을 유지하며, 또한 제 1의 수압실(59)의 압력과 제 2의 수압실(60)의 압력과의 차가 대략 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61)에는 스프링(63)의 반력만이 작용하며, 다이어프램(61)을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압하고, 이것에 연동하는 밸브체(62)가 유입구(65)를 개로상태로 한다.
압축기의 운전중에는 피스턴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냉매의 맥동이 유체제어밸브의 제 1의 수압실(59)내에 전달되어, 다이어프램(61)의 작동 특성상 또는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압력신호 유로관(68), (69)을 흡입관(5)의 내경보다도 가는 모세관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루프형으로 성형하는 맥동을 감쇠시키고 있다.
한편, 냉각운전이 정지되면, 압축기(1)가 정지하기 때문에 압축기(1)의 실린더(1b)내의 고온고압의 과열가스냉매는 압축기(1)의 슬라이드면 등에서 흡입관(5)측으로 역류한다. 이 역류냉매는 압축기(1)와 증발기(4)와의 사이의 흡입관(5)에 배설한 체크밸브(7)를 역류냉매에 의해 작동시켜, 냉매가 증발기(4)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압축기(1)에서 체크밸브(7)에 이르는 흡입관(5)까지를 순시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제 1의 수압실(59)과 제 1의 압력신호유로관(68)이 순시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되며, 다이어프램(61)을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압압하고, 밸브체(62)가 유입구(6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이때, 제 2의 수압실(60)은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69)와 함께 증발기(4)에서 체크밸브(7)에 이르는 흡입관(5a)을 저압인 채로 유지한다. 그 결과, 다이어프램(61)은 제 1의 수압실(59)과 제 2의 수압실(60)과의 사이의 압력차를 받아 우측으로 변위하며, 다이어프램(61)을 반력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던 스프링(63) 및 유입구(65), 유출구(66)의 고압압력과의 합의 힘에 이겨내어 다이어프램(61)에 연동하는 밸브체(62)를 작동시켜 유입구(65)를 순시에 폐쇄하여 응축기(2)에서 증발기(4)측으로 이동하는 고압냉매를 응축기(2)등의 고압측으로 봉지한다.
다음에, 냉각운전의 재시동시에는 압축기(1)의 운전에 의해 체크밸브(7)에서 압축기(1)에 이르는 흡입관(5)이 정지시의 고압에서 순시에 저압으로 변화하여, 정지중에 저압을 유지하고 있던 증발기(4)에서 체크밸브(7)사이의 흡입관(5a)과 같은 압력으로 된다. 따라서, 체크밸브밸브(7) 전후에 각기 연통하는 제 1의 수압실(59)과 제 1의 압력신호유로관(68) 및 제 2의 수압실(60)과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69)도 저압으로 되기 때문에, 다이어프램(61)은 그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가 거의 없으며, 또 압축기(1)로부터의 맥동전달도 압력신호유로관(68), (69)을 모세관으로, 또한 루프형으로 성형함으로써 감쇠시킬 수 있으며, 유체제어밸브의 다이어프램(61)에 주어지는 영향은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스프링(63)의 부세력에 의해 밸브체(62)를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작동시켜, 유입구(65)를 개방하게 되며, 냉각운전이 재개된다.
상기에 있어서, 고압측에 배설된 유체제어밸브(58)의 냉매통과부(64), 유입구(65), 유출구(66)와 기밀 시일이 필요한 제 2의 수압실(60)과는 밸브체(62)를 통해 시일블록(67)으로 밸브체(62)의 작동시에도 기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고압측의 냉매회로와 제 2의 수압실을 압력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제 4의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와 증발기와의 사이에 배설한 체크밸브의 전후의 압력차 즉 체크 밸브의 상류측의 압력과 하류측의 압력의 차를 신호압력으로 하여, 냉매회로의 고압측에 설치한 유체제어밸브를 개폐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유체제어밸브에 압력신호유로관을 모세관등의 세관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루프형으로 성형하도록 했으므로, 압축기의 운전시에 발생하는 냉매의 맥동을 감쇠시켜 다이어프램을 보호하고, 안정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냉각정지시에 유체제어밸브를 순시에 폐쇄해서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이동하는 고압냉매를 응축기의 고압측으로 신속히 봉지하며, 고압냉매의 저압측으로의 이동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또, 유체제어밸브는 다이어프램 제어형식으로 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더구나 밸브체의 충돌음이 없는 저소음의 개폐제어를 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원 고안의 제 5의 실시예를 제 8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8 도에 있어서, 제 1 도의 종래예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78)은 유체제어밸브이며,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 1의 수압실(79)과, 제 2의 수압실(80)과, 이들을 간막이하는 다이어프램(81)과, 이 다이어프램(81)과 연동하는 밸브체(82)와, 다이어프램(81)을 제 1의 수압실(79)에 대해 반력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83)과, 응축기(2)의 출구측과 모세관등의 감압기(3)의 입구측과의 사이에 연결된 냉매통과부(84)와, 이 냉매통과부(84)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유입구(85), 유출구(86)에 의해 구성되며, 유입구(85)는 응축기(2)의 출구측에, 유출구(86)는 감압기(3)의 입구측에 각기 연통되어 있다.
밸브체(82)는 유입구(85)를 제 1의 수압실(79)과 제 2의 수압실(80)의 압력차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의 수압실(80)은 유입구(85)와 유출구(86) 및 냉매통과부(84)에 대해 밀폐되도록 시일블록(87)에 의해 밸크체(82)를 통해서 시일되어 있다.
(88)은 압축기(1)의 흡입측의 압력을 유체제어밸브(78)에 전단하는 제 1의 압력신호유로관이며, 압축기(1)의 흡입측에 접속된 흡입관(5)과 유체제어밸브(78)의 제 1의 수압실(79)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89)는 증발기(4)의 출구측의 압력을 유체제어밸브(78)에 전달하는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이며, 증발기(4)와 체크밸브(7)와의 사이의 흡입관(5a)과 유체제어밸브(78)의 제 2의 수압실(80)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90)은 압축기 운전시에 생기는 냉매의 맥동을 감쇠시키는 팽관형(膨管形)의 머플러이며, 흡입관(5)의 압축기(1)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도, 제 6 도에 나타낸 유체제어밸브(8), (38)는 제 9a 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되며, 또 제 5 도, 제 7 도, 제 8 도에 나타낸 유체 제어밸브(18), (58), (78)은 제 9b 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냉각운전시에 있어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에서 방열하여 고압의 액냉매로 되고, 유체제어밸브(78)의 유입구(85)에 들어가, 유출구(86)를 거쳐 감압기(3)에 유입하여 감압된다. 감압기(3)에서 감압된 저압냉매는 증발기(4)에 들어가 증발해서 냉장고내를 냉각하며, 흡입관(5a)을 통과하여, 체크밸브(7) 및 머플러(90)를 거쳐 압축기(1)로 되돌아가 냉각사이클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압축기(1)를 운전하고 있는 냉각운전상태에 있어서는 유체제어밸브(78)의 제 1의 수압실(79) 및 제 2의 수압실(80)은 모두 체크밸브(7)의 전후의 압력, 즉 운전중은 저압을 유지하며, 또한 제 1의 수압실(79)의 압력과 제 2의 수압실(80)의 압력과의 차가 대략 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81)에는 스프링(83)의 반력단이 작용하며, 다이어프램(81)을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압하고, 이것에 연동하는 밸브체(82)가 유입구(85)를 개로상태로 한다.
또, 압축기의 운전중에는 피스턴의 회전에 의한 가스냉매의 맥동이 발생하고, 이 맥동압이 유체제어밸브(78)의 제 1의 수압실(79)에 전달되어, 다이어프램(81)의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흡입관(5)의 압축기측으로 접속시켜 이 맥동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냉각운전이 정지되면, 압축기(1)의 정지하기 때문에 압축기(1)의 실린더(1b)내의 고온고압의 과열가스냉매는 압축기(1)의 슬라이드면 등에서 흡입관(5)측으로 역류한다. 이 역류냉매는 압축기(1)와 증발기(4)와의 사이의 흡입관(5)에 배설한 체크밸브(7)를 역류냉매에 의해 작동시켜, 냉매가 증발기(4)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압축기(1)에서 체크밸브(7)에 이르는 흡입관(5)까지를 순시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시키다.
따라서, 제 1의 수압실(79)과 제 1의 압력신호유로관(88)이 순시에 저압에서 고압으로 되어, 다이어프램(81)을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압압해서, 밸브체(82)가 유입구(8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이때, 제 2의 수압실(80)은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89)과 함께 증발기(4)에서 체크밸브(7)에 이르는 흡입관(5a)을 저압인 채로 유지한다. 그 결과, 다이어프램(81)은 제 1의 수압실(79)과 제 2의 수압실(80)과의 사이의 압력차를 받아 우측으로 변위하여, 다이어프램(81)을 반력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던 스프링(83) 및 유입구(85), 유출구(86)의 고압압력과의 합의 힘에 이겨 내어 다이어프램(81)에 연동하는 밸브체(82)를 작동시켜, 유입구(85)를 순시에 폐쇄하여 응축기(2)에서 증발기(4)측으로 이동하는 고압냉매를 응축기(2)등의 고압측으로 봉지한다.
다음에, 냉각운전의 재동시에는 압축기(1)의 운전에 의해 체크밸브(7)에서 머플러(90)를 통해 압축기(1)에 이르는 흡입관(5)이 정지시의 고압에서 순시에 저압으로 변화하여, 정지중에 저압을 유지하고 있던 증발기(4)에서 체크밸브(7) 사이의 흡입관(5a)과 균압으로 된다.
따라서, 체크밸브(7) 전후에 각기 연통하는 제 1의 수압실(79)과 제 1의 입력신호유로관(88) 및 제 2의 수압실(80)과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89)도 저압으로 되기 때문에, 다이어프램(81)은 그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가 거의 없어지는 동시에, 압축기(1)로부터의 맥동전달도 머플러(90)에 의해 감쇠되어서 유체제어밸브(78)의 다이어프램(81)에 주는 영향은 없어지므로, 결과적으로 스프링(83)의 부세력에 의해 밸브체(82)를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작동시켜, 유입구(85)를 개방하게 되어 냉각운전이 재개된다.
상기에 있어서, 고압측에 배설된 유체제어밸브(78)의 냉매통과부(84), 유입구(85), 유출구(86)와 기밀시일이 필요한 제 2의 수압실(80)과는 밸브체(82)를 통해서 시일블록(87)으로 밸브체(82)의 작동시에도 기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고압측의 냉매회로와 제 2의 수압실을 압력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제 5의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와 증발기와의 사이에 배설한 체크밸브의 전후의 압력차 즉 체크밸브의 상류측의 압력과 하류측의 압력의 차를 신호압력으로 하여, 냉매회로의 고압측에 설치한 유체제어밸브를 개폐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체크밸브와 머플러간에 압력신호유로관을 접속했으므로, 압축기 운전시에 발생하는 맥동을 감쇠시켜 유체제어밸브의 다이어프램을 보호하여 안정된 작동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냉각정지시에 유체제어 밸브를 순시에 폐쇄하여 응축기에서 증발기측으로 이동하는 고압냉매를 응축기의 고압측으로 신속히 봉지하고 고압냉매의 저압측로의 이동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또, 유체제어밸브는 다이어프램제어형식으로 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전력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더구나 밸브체의 충돌음이 없는 저소음의 개폐제어를 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압축기, 응축기, 감압기, 증발기를 순차 환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측에서 증발기측으로의 냉매의 이동을 저지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에 그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의 냉매압력에 대응한 압력을 타단에 절단하기 위한 압력신호유로관과,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타단이 접속되며, 이 타단의 냉매 압력에 따라서 상기 감압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 또는 입구와 출구와의 사이를 흐르는 냉매를 제어하는 유체제어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유체제어밸브는 압축기의 운전정지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타단의 압력과 상기 체크밸브의 입력에 따른 압력과의 차압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압력을 받아서 동작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에 연동되는 밸브체 및 스프링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압축기의 동작에 수반해서 자동적으로 열리며, 정지에 수반해서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기를 제 1의 감압기와 제 2의 감압기로 분할 구성하며, 상기 유체제어밸브를 상기 제 1의 감압기와 제 2의 감압기와의 사이에 배설하고, 상기 유체제어밸브를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압력과 상기 체크밸브의 입력측의 압력에 따른 상기 제 2의 감압기의 입구측 압력과의 차압에 따라서 개폐제어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을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의 흡입관에 근접배치하여 열교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과 상기 흡입관을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최소한 일부를 단열재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을 루프형으로 형성하여 압력신호의 맥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과 압축기의 흡입측과의 사이에 머플러를 설치하며, 이 머플러의 입구측과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과의 사이에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일단을 접속하여 압력신호의 맥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타단이 접속되며, 상기 감압기와 증발기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압력과 상기 체크밸브의 입력측의 압력에 따른 상기 감압기의 출구측 압력과의 압력과 차압에 따라서 개페제어하는 유체제어밸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을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의 흡입관에 근접 배치하여 열교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과 상기 흡입관을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최소한 일부를 단열재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을 루프형으로 형성하여 압력신호의 맥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과 압축기의 흡입측과의 사이에 머플러를 설치하며, 이 머플러의 입구측과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과의 사이에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일단을 접속하여 압력신호의 맥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밸브는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 1의 수압실과, 상기 체크밸브의 입구측의 압력에 따른 압력이 제 2 압력신호 유로관에 의해서 인도되는 제 2의 수압실과, 상기 제 1의 수압실과 제 2의 수압실과의 차압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압력을 받아서 동작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에 연동하는 냉매유로부를 개폐제어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압축기의 동작에 수반해서 자동적으로 열리며, 정지에 수반해서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을 제 1의 압력신호 유로관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의 입구측과 증발기의 출구측과의 사이에 그 일단이 접속된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을 설치하며, 이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의 타단을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상기 제 2의 수압실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밸브를 상기 감압기의 입구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과 압축기의 흡입측과의 사이에 머플러를 설치하며, 이 머플러의 입구측과 상기 체크밸브의 출구측과의 사이에 상기 제 1의 압력신호유로관의 일단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압력신호유로관에 압력신호의 맥동을 저지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저지수단은 루프형으로 형성된 모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밸브체는 상기 제 2의 수압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압력신호류로관의 타단의 압력과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의 압력과의 차압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동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다이어프램을 상기 제 1의 수압실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동작에 수반해서 생기는 압력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열리며, 또한 정지에 수반해서 생기는 압력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유체제어밸브를 상기 감압기의 입구측 냉매배관, 또는 출구측 냉매배관, 또는 상기 감압기의 입구와 출구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유체제어밸브는 다이어프램을 통해서 형성되는 제 1의 수압실 및 제 2의 수압실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이동에 따라서 냉매통과부를 개폐제어하는 밸브체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제 1의 수압실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제 1의 수압실과 제 2의 수압실에는 각각 상기 체크밸브의 상류측의 압력과 하류측의 압력이 주어지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이들의 압력차에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체크밸브의 하류측의 압력이 상기 상류측의 압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밸브체가 닫히고, 상기 하류측의 압력이 상기 상류측의 압력보다 작거나 또는 대략 같은 경우에 상기 밸브체가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수압실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의 냉매압력에 따른 압력을 압력신호유로관을 통해서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냉매통과부를 상기 제 2의 수압실내에 설치하며, 상기 제 2의 수압실에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의 압력을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수압실은 상기 체크밸브의 입구측의 냉매압력에 따른 압력을 압력신호유로관을 통해서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신호유로관을 루프형으로 형성하여 압력신호의 맥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수압실에 부여되는 압력신호는 냉매의 맥동을 저지하는 수단을 통해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저지수단은 루프형으로 형성된 모세관 또는 머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KR2019890015272U 1983-05-23 1989-10-20 냉동장치 KR900008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272U KR900008679Y1 (ko) 1983-05-23 1989-10-20 냉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90267 1983-05-23
JP58-90266 1983-05-23
JP9026583A JPS59215552A (ja) 1983-05-23 1983-05-23 冷凍装置
JP58-90265 1983-05-23
JP13640383U JPS6043970U (ja) 1983-09-02 1983-09-02 冷凍装置
JP58-136403 1983-09-02
JP58-161657 1983-09-02
JP58161657A JPS6053748A (ja) 1983-09-02 1983-09-02 冷凍装置
KR1019840002490A KR840008839A (ko) 1983-05-23 1984-05-09 냉동 장치
KR2019890015272U KR900008679Y1 (ko) 1983-05-23 1989-10-20 냉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490A Division KR840008839A (ko) 1983-05-23 1984-05-09 냉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679Y1 true KR900008679Y1 (ko) 1990-09-22

Family

ID=2752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5272U KR900008679Y1 (ko) 1983-05-23 1989-10-20 냉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6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510B2 (en) Multi-stage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sub-cycle control characteristics
US5447420A (en) Scroll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EP1492986B1 (en) Injection of liquid and vapor refrigerant through economizer ports
EP0921364B1 (en) Pulsed flow for capacity control
US7100386B2 (en) Economizer/by-pass port inserts to control port size
US20020021972A1 (en) Capacity control of refrigeration systems
JP2008512639A (ja) 四方逆洗弁を通る高温ガスバイパス流れ
US4545215A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H04295566A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
JP2006316852A (ja) パイロット作動式電磁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システム
KR900008679Y1 (ko) 냉동장치
JP2018119777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168295B (zh) 流路切换装置、制冷循环回路及冰箱
JPH0134062Y2 (ko)
JP2001263832A (ja) 冷蔵庫の冷凍サイクル
JPH0226143B2 (ko)
JPH0226144B2 (ko)
JP3617742B2 (ja) 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及び空調装置
JPS5919256Y2 (ja) 冷凍サイクル
JPH1130446A (ja) 冷凍サイクル
JPS6291758A (ja) 冷凍装置
JPS59215552A (ja) 冷凍装置
KR100383127B1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팽창장치
JPH0593548A (ja) 冷凍装置
JPS624411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9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