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935B1 - 생체촉매와 그 유사입자를 함유한 액체혼합물의 처리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촉매와 그 유사입자를 함유한 액체혼합물의 처리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935B1
KR900007935B1 KR1019870700926A KR870700926A KR900007935B1 KR 900007935 B1 KR900007935 B1 KR 900007935B1 KR 1019870700926 A KR1019870700926 A KR 1019870700926A KR 870700926 A KR870700926 A KR 870700926A KR 900007935 B1 KR900007935 B1 KR 90000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creen
particles
gas
scree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852A (ko
Inventor
헤르만 볼프-디에트리히 카틴거
Original Assignee
체맙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카알 로커·페터 하우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맙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카알 로커·페터 하우사만 filed Critical 체맙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8070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13Continuous ferm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18Aeration or oxygen transfer techniqu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생체촉매와 그 유사입자를 함유한 액체혼합물의 처리방법과 장치
제1도는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기체유입관과 스크린 몸체를 연결하는 찬공원판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실현되는 환기에 관한 그래프.
제4도는 마이크로케니에서 포유류동물의 세포를 배양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발생장치 2 : 보유장치
3 : 용기 5 : 스크린몸체
6 : 생체촉매입자 7 : 샤프트축
8 : 유입관 9 : 배출관
10 : 역류밸브 11 : 기체유입관
12 : 천공판 13 : 기포
15,16 : 관통개구 18 : 진동막
21 : 역류개구
본 발명은 생체촉매 또는 유사한 입자들이 들어있는 액체혼합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혼합물로부터 입자들은 유지하고 반면에 진동하는 스크린면을 통하여 액체가 흘러나가게 하는 방법과 또한, 혼합물 수용용기, 조작과정에서 혼합물을 수용하고 또한 혼합물중 예정된 최소 크기의 입자들을 유지한 반면에 액체는 배출시키는 스크린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기체 또는 영양물을 유입시키거나, 스크린 장치를 통하여 스며들어오는 액체를 배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세포배양물, 매개체 또는 생물학적 활성물질과 결합하거나 그렇지 않은 입자등과 같은 생체촉매를 보유되는 입자들의 크기에 비하여 개구의 폭이 더 작은 스크린과 같은 기계적 메카니즘으로, 또는 생체촉매를 내장물 또는 고정되거나 유체내에 현탁되어 있는 담체에 부착시키는 방법, 세포를 알길산염등과 같은 겔속에 포함시키거나, 물에 떠내려가지 못하도록 침전시킴으로써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모든 방법은 실제에 있어서 상당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입자들이 액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스크린 관통개구 속으로 밀려 들어가고, 따라서 때때로 이러한 관통개구를 열어서 입자들을 다시 현탁상태로 되돌려 놓아야 하기 때문에, 스크린들이 강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보유작용은 스크린을 제거하거나, 고도의 세척하는 것과 같은 특수한 방법에 의하여서만 중지시킬 수 있다. 충전물 또는 내장물에 부착되어 있는 생체촉매에 있어서는 이상적 조건과 다른 조건하에서 배양하면 생체촉매가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배양이 매우 중요하다. 그외에도 생체촉매중 부착에 필요한 부분이 반응을 중단하게 된다. 겔속에 포함되어 있는 생체촉매에 있어서도, 확산장벽이 생길뿐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더이상 효력이 없는 입자들이 여전히 밸러스트(ballast)로서 반응공간내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생체촉매들은 반응용기속에 세척되는 입자들이 예를 들면 분리, 침전등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액체로부터 분리된다.
CH-PS-602102에서 액체내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를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도 공지된 바 있는데, 여기에서는 혼합물이 진동스크린 몸체에 공급되고, 액체와 얻고자 하는 미세입자들이 스크린을 통과하는 반면 스크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입자들은 그대로 잔류되지만, 진동에 의하여 필터 케이크의 생성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방법으로서는 스크린개구 크기보다 더 작은 입자들을 유지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바와같은 생체촉매 또는 유사입자들이 들어있는 액체혼합물을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로서 생체촉매와 유사입자들을 단순한 방법으로 다량 보유할 수 있고 그 결과, 이러한 보유작용을 용이하게 조절하고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하여 보유될 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설치된 스크린 면을 진동시켜서 입자들의 통과를 최소한으로 방해하는 것으로 해결한다.
스크린면의 진동 때문에 액체혼합물속에서 압력파가 생기고, 이 압력파는 생체촉매 또는 유사입자들이 이에 비하여 스크린개구를 통하여 흘러나가는 것을 방해하는 동시에, 가교(bridge)를 형성하여 개구부의 폐색을 억제한다. 다른 한편, 작은 조각으로 분해된 생물학적 비활성 입자들은 스크린개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보유작용을 없애려면 스크린면의 진동을 중단시키거나, 그 진폭이나 주파수를 적당히 변동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또다른 적당한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7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전술한 종류의 액체혼합물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특허청구범위 제8항의 내용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진동장치에 의하여 생기는 진동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보류작용을 원하는 정도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조작중 언제든지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폭을 편리하게 변동시킬 수 있다. 생체촉매들은 충전물 또는 매개체 입자들과는 대조적으로 제한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가 스크린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유속을 참작하여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을 편리하게 조절하면 특별한 보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회전부가 없기 때문에 무균조건하에서 장기 운전이 가능하다. 이 장치의 또다른 유리한 구조가 제9항 내지 18항에 나와있다.
원통형의 스크린 몸체의 하단 가까이까지 도달한 기체유입관을 설치한 경우, 스크린 몸체로 둘러싼 액체컬럼에 용이하게 기체를 첨가할 수 있다. 스크린 몸체의 수직진동은 그 내부공간내에 충전되어 있는 액체에 상응하는 흐름을 일으키고 이 흐름은 액체내의 기체 배분을 촉진하므로 기포없이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거품이 있는 공간에서는 반응이 제대로 실시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기포는 많은 반응에 있어서 매우 해로운 것임으로, 이것은 중요한 장점이 된다. 진동하고 있는 스크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용해기체가 포화된 액체는 보유될 생체촉매가 들어있는 반응실내의 스크린 몸체를 통하여 외측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반응실에서는 기포가 생기지 아니하며, 반응소실에 있는 침투관 때문에 값비싼 침투가스 배출창치를 생략할 수 있다.
원통형 스크린 몸체의 내부공간에 기체를 포화시키기 위해서, 스크린 몸체를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계속적으로 좁아지는 다수의 천공이 있는 하나이상의 공지된 천공원으로 중심 기체 유입관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천공원판 또는 유사한 혼합장치는 체몸체 바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또한 여기에 천공을 만들어서 스크린 몸체를 통하여 반응실내로 확산되고, 기체 포화된 액체를 반응실내에 존재하는 혼합물과 잘 혼합시킬 수 있고, 그외에도 보유될 입자들이 스크린 개구부를 통하여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데에도 도움이 되게한다. 액체는 본질적으로 비압축성이므로, 스크린 몸체와 결합되어 있는 천공원판이 회전하는동안, 그 천공부분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밀려나가는 액체의 흐름이 가속되며, 그결과 더 철저하게 혼합하고, 기체와 액체 사이의 계면교환이 더 활발하게 되기 때문에, 기체유입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는 빨리 용해되고, 액체에 용해기체를 포화시킬 수 있다. 스크린면 가까이에 있는 천공원판내에 또다른 역류개구를 추가로 설치하면 이러한 작용이 더 양호하게 된다.
장치를 변화하는 액체상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체유입관은 교호적으로 적당한 역류밸브를 사용해서 기체를 유입하거나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적당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장치는 덮개로 밀폐하고, 둥근바닥이 달린 원통형의 용기(3), 덮개의 중심개구부를 통하여 용기(3)내에서 동축방향으로 용기의 저부 가까이까지 확장하고, 용기(3)의 벽에 대하여 동심으로된 원통형 스크린몸체(5)가 달린 보유장치(2)를 포함하며, 한편 원통형 스크린몸체는 다수의 천공원판(12)으로 중심 기체유입관(11)과 연결해서 공동으로 움직일 수 있게한다. 수직의 기체유입관(11)은 샤프트(7)를 거쳐 조절할 수 있는 진동장치(1)와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진동장치(1)로 보유장치(2)전체가 샤프트(7)와 기체유입관(11)을 거쳐 진동할 수 있고, 진동장치(1)의 진폭과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기체유입관(11)중 덮개를 관통하는 부분은 배출관(9)으로 둘러싸고, 그 하단은 용기(3)이 최고 충전높이(4)에서 끝난다. 배출관(9)과 덮개의 중심개구부의 주변연단 사이의 원형공간은 진동막(18)으로 밀폐한다.
용기(3)는 충전높이(4)까지 액체혼합물을 충전하고, 생체촉매(6)가 현탁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액체혼합물 또는 생물학적 반응에 필요한 보조물(예 : 영양물)을 덮개내에 배치되어 있는 인입관(8)을 거쳐 공급하고 또한 막을 수도 있다. 스크린몸체(5)에는 다수의 균일한 스크린개구가 뚫려있고, 이러한 개구의 폭은 생체촉매입자(6)의 크기보다 더 크게 되어있다. 따라서 스크린몸체(5)가 정지상태인 경우는 이러한 입자들이 스크린 개구를 통하여 빠져나간다. 그러나, 동작중에는 스크린몸체(5)가 진동장치(1)에 의하여 진동하고 그주파수와 진동폭은 액체가 스크린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속도를 참작하여 서로 조화되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보유될 생체촉매입자(6)는 완전히 저지되어 스크린 개구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동작중에는 적당한 기체 또는 기체혼합물이 역류밸브(10)와 기체유입관(11)을 거쳐 보유장치(2)내에서 원통형 스크린몸체(5)에 둘러싸인 액체컬럼의 최하단 부분으로 유입된다. 기체유입관(11)의 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미세한 기포들은 스크린몸체(5)와 천공원판(12)의 진동때문에 이를 둘러싸고 있는 잘 혼합된 액체내에서 계속하여 새로운 쉽게 흡수되는 액체와 접촉하기 때문에, 원하는 반응에 필요한 기체성분들을 이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속에서 용해할 수 있다. 기포(13)는 스크린몸체(5)에 뚫려있는 10 내지 100μm정도의 개구들을 통과할 수 없으나, 다른 한편 용해된 기체성분들로 농축되거나 포화되어 있는 액체는 이러한 스크린 개구를 통과하여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기체성분들이 농축되어 있는 유체를 진동장치(1)의 진동과 이와 결합된 펌프작용에 의하여 원통형 스크린몸체(15)를 둘러싸는 반응공간내에서도 신속히 고르게 배분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는 유입관(8)을 거쳐 공급되는 액체와도 동시에 혼합되기 때문에 생체촉매입자(6)를 완전히 보유함으로써 이것의 배양에 대해 매우 유리한 반응조건이나 원하는 반응을 얻게된다.
용기(3)가 충전높이(4)까지 충전되면, 남는 액체를 배출관(9)를 거쳐 배출하여 충전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막는다. 용기(3)내에서 실시하는 배양과정에서 액체내에 용해되거나 스크린몸체(5)의 스크린개구를 통하여 유출되는 유용물질이 형성되면, 이러한 물질은 액체와 함께 배출관(9)을 거쳐 배출시켜서 수득할 수 있다. 장치를 부분적 충전이나 교차적인 충전높이까지만 작동시키는 경우, 유용물질이 농축된 액체도 역시기체유입관(11)과 역류밸브(10)를 거쳐 또다른 배출관(9)내로 배출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천공원판(12)은 한편으로는 중심 기체 유입관(11)과 다른 한편으로는 스크린몸체(5)와 결합하여 공동으로 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천공원판에는 스크린몸체(5)로 둘러싸인 그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원추형 같이 좁아지는 다수의 (16)관통개구가 설치되고 또한 스크린표면 가까이에도 또다른 역류개구(21)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몸체(5) 바깥에 방사상으로 향한 천공원판(12)의 외측연단에도 위쪽을 향하여 원추형으로 좁아지는 관통개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장치(2)를 진동발생장치(1)로 수직 진동시키면, 원추형 관통개구(15,16)는 상응하는 펌프작용에 따라 제1도의 화살표로 표시한 액체흐름을 발생시킨다. 제2도에 도시한 천공원판(12)대신, 다른 방법으로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점점 좁아져가는 개구부단면을 가진 원판이나, 완전 혼합을 촉진하는 액체흐름을 발생시키는 또다른 혼합요소로된 원판도 사용할 수 있다. 기포(13)는 관통개구(16)의 펌프작용으로 언제나 스크린몸체(5)의 내부공간에서 순환하고 새로이 흡수될 액체와 접촉하고, 스크린몸체(5)의 외측에 보유될 생체촉매들과는 접촉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크린몸체(5)의 관통개구, 보유될 입자들의 크기에 비하여 확실히 더큰 폭으로 되고 따라서 보유작용이 결국에는 진동의 조정된 주파수와 진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이러한 보유작용은 언제든지 진동을 중단시키거나, 진동을 적당히 감소시킴으로써 진동의 주파수 및/또는 진폭을 줄이거나 하여 없앨 수도 있고 원하는 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장치와 유사하고, 높이가 약 30cm이고, 둥근 바닥이 달린 원통형 용기(작업용적 71)과 저부교반기(직경 10cm)가 달린 진동발효기(CHEMAP LF)내에, 진동믹서와 결합된 보유장치를 원통형의 수직스크린몸체(직경 3cm, 높이 18cm,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된 스크린, 80cm의 스크린개구가 뚫려있는 장방형직물)와 함께 동심으로 배치하였다. 스크린몸체는 4개의 천공원판(간격 5cm)으로 진동믹서에 고정시키고, 중심 개구부를 통하여 용기내에 돌출한 기체유입관과 결합하여 공동으로 진동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용기에는 7l의 물을 충전시키고, 그 온도를 37℃로 조정하였다. 용기내에 돌출한 pO2탐침을 조정하여 교반속도가 30r.p.m.이고, 공기로 포화되었을때 산소의 눈금치가 100%를 가리키게 만든다. 환기효율을 구하기 위하여, 먼저 스크린 몸체를 진동시키면서 질소를 충전하여 산소의 부분압력을 0%로 하강시키고, 그 다음에는 스크린몸체의 내부공간을 거쳐 여러가지 조작조건하에서 공기 또는 순수한 산소를 충전시켜서 기체상이 체몸체로 둘러싼 내부공간내에만 분산되고, 기체가 용해된 형태로서만 스크린을 통하여 용기공간내에 도달하게 하였다. 이 시험의 결과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곡선(1)은 1시간당 7l의 O2를 약 2mm의 진폭으로 유입하였을 때 얻었고, 곡선(2),(3)은 1시간당 7l의 공기를 각각 약 2mm 및 0.8mm의 진폭으로 유입하였을 때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진동발효기에 산소조절장치를 제공하고, 이 산소조절장치는 예정된 산소부분압력에 도달하면 기체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하고, 또한 진동믹서의 진폭을 조절할 수 있는 최저치로 저하시킨다. 산소의 소모로 인하여 예정된 산소부분 압력이 미달되자마자 조절장치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기체(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고, 진동믹서의 진폭도 다시 높은 수치로 상승한다. 환기작용을 촉진하는데 이용하는 고진폭과 또한 스크린면에서 입자들을 떼어내기 위하여서만 이용하는 저진폭은 그때 그때 자유롭게 사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진동발효기내에서 포유동물 세포를 마이크로 매개체(Uppsala제약회사의 Cytodex 3)에서 배양하였다. 마이크로 매개체의 컨디셔닝, 세포접종원의 예비처리 및 세포수 계산등은 제약회사에서 공표한 표준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험중 발효기내의 온도를 37℃로 유지하고 환기기체에 CO2를 첨가함으로써 7.2의 pH값을 유지하였다. 교반기의 회전수는 30r.p.m.으로 하고, 산소부분압력은 20% 공기포화(pO2고정점)에 상응되게 하였다. 진동믹서는 고진폭을 약 1.2mm로 저진폭을 약 0.5mm로 조절하였다. 통풍을 위하여, pH 조절기를 거쳐 자동적으로 혼합되는 CO2량과 함께 1분간에 200ml의 공기를 용기의 상부에 유입하고, 스크린몸체를 거쳐 자동적으로 조절된 후 산소조절장치를 거쳐 1분간에 100ml의 산소를 유입하였다.
접종원(inoculum)을 준비하기 위하여, DMEM(GIBCO)의 톨러 플라스크속에 들어있는 첼리니생쥐(L)의 세포 +10% 태아 송아지혈청(FCS)을 채취하고, 5일 후 확정된 시험기록에 따라 트립신화 반응으로 용해시키고, 사전살균을 하고 Uppsala 제약회사의 확정된 기록에 의하여 DMEM으로 조절된 마이크로매개체 Cytodex 3에 첨가하였다. 접종원의 농도는 토마실(헤모시토제)내에서의 계량에 의하여 35g의 마이크로매개체를 2.5의 배양액(DMEM+10% FCS)속에서 약 7-8×108의 세포와 혼합하고, 혼합직후에 살균된 발효기에 옮겨넣을 수 있도록 선택하였다. 마이크로 매개체를 세포와 함께 군집화하기 위하여 4시간에 걸쳐 1 내지 2분주기로 30 내지 40U/min의 속도로 교반하고, 약 30분간 교반기를 정지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8회 반복하였다. 그 다음에는 교반기의 회전수를 30r.p.m.으로 조정하고, 용기에 배양액(DMEM+10% FCS)을 최종용적이 7l가 될때까지 천천히(약 2시간에 걸쳐)충전시키고, 상부공간을 기체혼합물(공기+CO2)로 채우고, 전술한 고정점을 조정한 후 배양이 되도록 놓아두었다. 1일 1회씩 시료를 꺼내어 소정방법으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배양개시일로부터 2일 후, 발표기의 덮개에 제공된 유입구를 통하여 배량펌프로 1일 3l의 신선한 배양액을 추가주입하고, 배양이 된것은 스크린몸체 내부에 있는 높이관을 거쳐 기체상과 함께 끌어내었다. 제4도에 도시한 시험결과는 약 2일후 용기의 상부공간으로부터 통풍시키는 용량이 더이상 충분하지 아니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화살표로 표시된 곳은 스크린 몸체를 거쳐 자동환기가 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22)

  1. 보유된 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설치된 스크린 표면이 진동하여 입자통과를 크게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입자를 보유한 이 스크린 표면을 통하여 액체가 흘러나가는 것으로된 생체촉매 또는 그 유사입자들이 들어있는 액체혼합물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보유할 입자의 평균크기 보다 10 내지 50%가 큰 통로폭의 개구부를 갖춘 스크린 표면이 액체 유속에 적합하게 맞춘 10 내지 100헤르쯔(Hertz) 주파수와 또한 보유할 입자크기의 0.5 내지 50배 진폭으로 진동하고 또한 입자의 통과를 방해하는 것으로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기체가 스크린표면의 유출면에서 액체 속으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기체가 스크린표면으로 둘러싸인 액체 컬럼속으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기체공급 또는 진동의 주파수 및/또는 진폭을 조절하여 용해된 기체가 농축되어 있는 액체가 스크린 표면을 통하여 보유하고자 하는 입자들이 들어있는 혼합물속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스크린 표면의 유출구 및/또는 유입구에서 혼합작용을 촉진하는 흐름이 유체내에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 표면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진동의 주파수나 진폭을 변화하여 보유작용을 증대 또는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혼합물을 수용하는 용기, 조작과정에서 혼합물중 예정된 최소 크기의 입자들을 보유하고 또한 혼합물에서 액체를 배출시키는 스크린장치, 또한 기체 또는 영양물을 첨가하거나 스크린장치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액체를 배출시키는 장치로 구성되고 이 장치는 a) 보유하고자 하는 입자(6) 크기보다 큰폭의 관통개구를 스크린 몸체(5)에 설치하고 또한, b) 이 스크린몸체(5)를 진동 발생장치(1)와 연결하며 한편 이 장치는 보유할 입자(6)가 이보다 큰 스크린몸체 관통개구를 통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촉매 또는 그 유사입자가 들어있는 액체혼합물의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원통형의 스크린몸체(5)가 용기(3)내의 그 저부(3') 가까이까지 확장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장치(11)를 설치하여 스크린 몸체(5)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기체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진동발생장치(1)에 부착된 기체유입관(11) 전체둘레에 원통형 스크린몸체(5)를 매달고 기체 유입관(11)이 스크린몸체(5) 하단부 가까이까지 동심으로 뻗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주변액체를 혼합하는 흐름을 발생시킬 혼합장치(12)가 원통형 스크린몸체(5)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천공원판(12)를 설치하여 원통형의 스크린몸체(5)를 중심에 있는 기체유입관(11)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천공원판(12)이 스크린몸체(5) 바깥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천공원판(12)에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계속하여 좁아지는 관통개구(16와 1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천공원판(12)에 대해 스크린몸체(5)속에서 또다른 역류개구(2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용기(3)의 최고충전높이에서 배출시키는 배출관(9)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기체유입관(11)에 역류밸브(10)를 설치하고, 또한 액체를 배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기체가 스크린 표면의 유출면에서 액체속으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4항에 있어서, 기체공급 혹은 진동의 주파수 및/또는 진폭을 조절하여 용해된 기체가 농축된 액체가 스크린 표면을 통해서 보유할 입자가 들어있는 혼합물속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9항에 있어서, 장치(11)를 설치하여 스크린몸체(5)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기체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천공원판(12)에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계속 좁아지는 관통개구(16과 1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70700926A 1986-03-06 1987-03-03 생체촉매와 그 유사입자를 함유한 액체혼합물의 처리방법과 장치 KR900007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57686A AT386837B (de) 1986-03-06 1986-03-06 Vorrichtung zur kultivierung von biokatalysatoren
ATA576/86 1986-03-06
PCT/EP1987/000125 WO1987005322A1 (en) 1986-03-06 1987-03-03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 liquid mixture containing a biocatalyst or similar p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852A KR880700852A (ko) 1988-04-12
KR900007935B1 true KR900007935B1 (ko) 1990-10-23

Family

ID=349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926A KR900007935B1 (ko) 1986-03-06 1987-03-03 생체촉매와 그 유사입자를 함유한 액체혼합물의 처리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31388A (ko)
EP (1) EP0259411B1 (ko)
JP (1) JPS63503353A (ko)
KR (1) KR900007935B1 (ko)
AT (2) AT386837B (ko)
AU (1) AU591973B2 (ko)
DE (1) DE3781069D1 (ko)
WO (1) WO1987005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6965B (de) * 1986-06-17 1988-11-10 Chemap Ag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fluessigkeit und/oder gas aus einem schwebstoff-fluessigkeitoder schwebstoff-gas-gemisch
DE3739650C1 (de) * 1987-11-23 1989-05-24 Immuno Ag Fermenter zum Zuechten von Zellkulturen
JPH01206989A (ja) * 1988-02-16 1989-08-21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細胞培養槽
AT394576B (de) * 1991-01-16 1992-05-11 Vogelbusch Gmbh Reaktor zur durchfuehrung biologischer reaktionen mittels biokatalysatoren
JP3116291B2 (ja) * 1992-06-11 2000-12-1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ゴム補強用ガラス繊維の処理液およびゴム補強用ガラス繊維コード
US6054319A (en) * 1998-02-03 2000-04-25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cells using gas or liquid aphrons
NL1009069C2 (nl) * 1998-05-05 1999-11-09 Kees Van Der Manden B V Opklopinrichting.
CA2353307A1 (fr) * 2001-07-13 2003-01-13 Carmen Parent Appareil et procede pour le traitement des effluents gazeux
US20080178581A1 (en) * 2007-01-19 2008-07-31 Juon Co., Ltd. Utilizing biomass
US7754159B2 (en) 2007-06-27 2010-07-13 Enviroge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backflow in a biological fluidized bed reactor
JP7433101B2 (ja) * 2020-03-24 2024-02-19 大阪瓦斯株式会社 反応装置の触媒挿脱方法
CN112080398B (zh) * 2020-09-24 2021-04-27 杭州雅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酵母活细胞面膜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817A (en) * 1885-09-22 Harvester
US3263817A (en) * 1963-05-06 1966-08-02 Pittsburgh Plate Glass Co Vibrating sieve
US3262568A (en) * 1963-12-23 1966-07-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Automatic filter mechanism for drycleaner
CH437213A (fr) * 1964-07-01 1967-06-15 Doucet Charles Installation de filtration d'un fluide
JPS548906B1 (ko) * 1969-05-21 1979-04-19
US3766059A (en) * 1970-12-28 1973-10-16 Toshin Science Co Filtering method and a filtering machine therefor
DE2225057A1 (de) * 1971-12-27 1973-07-12 Dover Corp Filter
CH602102A5 (en) * 1975-09-23 1978-07-31 Woolf Griptight Ltd Lewis Teat ended babies feeding bottle
AT345224B (de) * 1976-07-15 1978-09-11 Chemap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ltivieren von tierischen und humanen gewebezellen
IT1087106B (it) * 1977-10-13 1985-05-31 Snam Progetti Reattore radiale per catalisi enzimatica
US4251633A (en) * 1979-06-11 1981-02-17 Orlowski David C Multi-stage continuous system for production of heteropolysaccharides
US4333893A (en) * 1980-01-23 1982-06-08 Clyde Robert A High area contactor
CH647547A5 (de) * 1982-02-12 1985-01-31 Chemap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echten von mikroorganismen.
US4659662A (en) * 1984-03-26 1987-04-21 J. E. Siebel Sons' Company, Inc. Batch fermentation process
GB8514899D0 (en) * 1985-06-12 1985-07-17 Health Lab Service Board Filters
AT386965B (de) * 1986-06-17 1988-11-10 Chemap Ag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fluessigkeit und/oder gas aus einem schwebstoff-fluessigkeitoder schwebstoff-gas-gemis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9411A1 (de) 1988-03-16
KR880700852A (ko) 1988-04-12
AT386837B (de) 1988-10-25
US4931388A (en) 1990-06-05
ATE79400T1 (de) 1992-08-15
JPS63503353A (ja) 1988-12-08
ATA57686A (de) 1988-03-15
EP0259411B1 (de) 1992-08-12
DE3781069D1 (de) 1992-09-17
AU7122587A (en) 1987-09-28
AU591973B2 (en) 1989-12-21
WO1987005322A1 (en) 198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935B1 (ko) 생체촉매와 그 유사입자를 함유한 액체혼합물의 처리방법과 장치
US45952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induced mixing and blending
KR101305916B1 (ko) 공압식 바이오리액터
FI92220B (fi) Fermenttori soluviljelmien viljelemiseksi
JPS61100190A (ja) 液体特に組織培養体増殖培地の無気泡ガスイング方法及び装置
JP3171634B2 (ja) 生体触媒により生体的反応を実施する反応装置
US5045470A (en) Device for submerged culture of tissue cells
JPS6012636Y2 (ja) 生物学的に分解できる廃棄生成物よりなる液体を処理するための反応器装置
JPH0338232A (ja) ガス吹込装置及び気液接触装置
EP01714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induced mixing and blending
US5846817A (en) Bioreactor, in particular for microgravity
SE447121B (sv) Jesningsanordning med membranpump
JPH05304943A (ja) 生物培養装置
JPH0775549A (ja) 生体の細胞培養装置
CN214031877U (zh) 一种污水处理曝气沉砂池
JPS62269680A (ja) 培養装置
RU2737205C1 (ru) Аппарат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CN212222562U (zh) 一种水处理反硝化生物滤池
KR20110139162A (ko) 바이오 반응기
RU2031113C1 (ru) Биореактор
RU2021849C1 (ru) Перем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фазных сред
RU2050415C1 (ru) Биореактор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клеток на микроносителях
JPH04200382A (ja) 発酵槽
RU47888U1 (ru) Аппарат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SU1114696A1 (ru) Аппарат дл культивировани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