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872B1 -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 Google Patents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72B1
KR900007872B1 KR1019860700518A KR860700518A KR900007872B1 KR 900007872 B1 KR900007872 B1 KR 900007872B1 KR 1019860700518 A KR1019860700518 A KR 1019860700518A KR 860700518 A KR860700518 A KR 860700518A KR 900007872 B1 KR900007872 B1 KR 90000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resin
equivalent ratio
epoxy resin
aver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023A (ko
Inventor
비. 캐비트 마이클
브이. 베슬리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70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1Monoisocyanates or mono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58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oxy Resin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및 이들로 제조한 도료(coatings)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비경화성)에폭시 수지는 문헌[참조 : J.M.Dale in DEVELOPMENT OF LANE DELINEATION WITH IMPROVED DURABILITY, Report No.FHWA-RD-75-70, July 1975]에 기재된 바와같이, 고속도로, 포장도로, 표시 페인트(marking paint)의 제형으로 사용되어 왔다. 페인트 제형은 이를 사용하는 동안 상승된 온도, 약 450℃(232℃)에서 유지된다. 페인트 제형은 내마모성의 견지에서 우수한 고속도로용 표시 페인트를 제공하는 반면, 사용온도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실제로 점도가 증가하므로 적용성이 부족하다.
본 발명은 상승된 온도에서 매우 감소된 점도증가를 나타내는, 즉 더욱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효량의 적합한 촉매의 존재하에서 (A) 몰당 평균 하나 이상의 인접한 에폭시 그룹을 가진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 (B) 임의로 하나 이상의 다가 페놀; 및 (C) 1가 페놀 및 알콜, 모노카복실산 및 이의 무수물, 지방족 및 방향족 모노-2급 아민, 모노-티올,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A)에 대한 성분(B)의 당량비가 0 : 1 내지 0.95 : 1, 바람직하게는 0.3 : 1 내지 0.9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0.45 : 1 내지 0.85 : 1로, 성분(A)에 대한 성분(C)의 당량비가 0.87 : 1 내지 1.1 : 1, 바람직하게는 0.93 : 1 내지 1.05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0.95 : 1 내지 1 : 1로, 성분(A)에 대한 성분(B+C)의 당량비가 0.87 : 1 내지 1.96 : 1, 바람직하게는 0.93 : 1 내지 1.95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0.95 : 1 내지 1.85 : 1로 되는 양으로 반응시켜 제조한,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는 (A) 상기에서 언급한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와 (B) (1) 하나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 및 (2) 하나 이상의 충진제중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페인트 제형에 혼입하기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에폭시수지는, 예를들면, 하기의 일반식(I) 내지 (IV)의 에폭시수지를 포함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A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 바람직하게는 C1-C6의 2가 하이드로카빌 그룹, -S-,-S-, S-
Figure kpo00002
또는 -O-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 바람직하게는 C1-C6의 2가 하이드로카빌 그룹이며;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의 하이드로카빌 그룹이고 ; R'는 수소 또는 C1-C10, 바람직하게는 C1-C6의 하이드로카빌 그룹이며 ;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롬) 또는 C1-C12의 하이드로카빌 그룹이고 ; n은 0 또는 1이며; n'는 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1.5의 평균값이고; m은 0.00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의 평균값이며; m'는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의 평균값이다.
특히 접합한 에폭시 수지는, 예를들면 레조시놀,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K, 트리스-하이드록시페닐메탄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가 페놀의 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다가 페놀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하기 일반식(V) 내지 (VII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A, A', R', X, n 및 m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특히 적합한 다가 페놀 화합물은, 예를들면, 레조시놀,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K, 트리스-하이드록시페닐메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1가 페놀 화합물은, 예를들면, 하기 일반식(IX)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X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특히 적합한 1가 페놀 화합물은, 예를들면, 페놀, 알킬페놀(예 : 노닐페놀, 3급-부틸페놀 및 크레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1가 알콜은,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모노카복실산은, 예를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페닐아세트산, 톨루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모노카복실산 무수물은, 예를들면, 아세트산 무수물, 프로피온산 무수물, 부티르산 무수물, 발레르산 무수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모노-2급 아민은, 예를들면, 디메틸 아민, 디에틸 아민, 메틸 에틸아민, 디부틸 아민, 메틸 부틸 아민, 에틸 부틸 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모노-티올은, 예를들면, 프로판티올, 부탄티올, 펜탄티올, 헥산티올, 도데칸티올, 티오크레졸 및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모노-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들면, 에틸 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부틸 이소시아네이트,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톨릴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에폭시 수지와 페놀성 하이드록실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에 적합한 촉매는,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306,872호; 제3,341,580호; 제 3,379,684호; 제 3,477,990호; 제3,547,881호; 제3,637,590호; 제3,843,605호; 제3,948,855호; 제3,956,237호; 제4,048,141호; 제4,093,650호; 제4,131,633호; 제 4,132,706호; 제4,171,420호; 제4,177,216호 및 제 4,366,295호에 기재되어 있는 촉매를 포함한다.
특히 적합한 촉매는, 예를들면,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요오다이드,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디아세테이트(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의 착체),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요오다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아세테이트,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디아세테이트(테트라부틸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의 착체),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네이트,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 비스페네이트,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 비카보네이트,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4급 포스포늄 및 암모늄 화합물이다.
다른 적합한 촉매는, 예를들면, 투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2-메틸이미다졸, 벤질디메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등의 3급 아민과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안료는, 예를들면, 이산화티탄, 크롬산납, 크롬산아연, 크롬, 그린(chrome green), 프탈로시아닌 그린 및 블루우(phthalocyanine green and blue), 산화철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원하는 색을 가진 도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충진제는, 예를들면, 탄산칼륨, 활석(talc), 글래스 비드(glass bead), 분말 또는 박편 아연 또는 알루미나, 분말 또는 박편 유리, 콜로이드상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며, 어떤 방법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A. 차단된(capped)에폭시 수지의 제조
교반장치와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평균 에폭사이드 당량(EEW)이 1646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37.1lb(16.8kg, 19.2g 에폭시 당량), 평균 EEW가 187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18lb(8.2kg, 43.8g 에폭시 당량), 노닐페놀 23lb(10.4kg, 47.3g 하이드록실 당량) 및 메탄올중에 용해된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70% 용액 0.077lb(0 .169kg)를 가한다. 이들 혼합물을 1.5℃/min(0.025℃/s)의 속도로 160℃까지 가열하고, 동일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물은 무색 내지 담황색 수지이며, 실온에서 고체이다.
B. 교통용 표시 페인트의 제조
200℃에서 하기 성분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 1. 상기(A)의 수지 100중량부; 2. 이산화티탄 20중량부; 3. 탄산칼슘 20중량부; 및 4. 200메쉬(체구멍 0.074mm)의 글래스 비드 28중량부, 성분 1,2 및 3을 전단응력이 높은 조건하에서 혼합한다. 성분 4를 느린 속도로 혼합한다.
교통용 페인트 제형의 특성은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C. 대조용으로, 노닐페놀 차단(capping)없이 에폭시 수지 혼합물로부터 유사한 페이트 제형을 제조한다. 제형은 하기와 같다 : 1. EEW가 186 내지 192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DGEBA) 40중량부; 2. EEW가 1600 내지 2000인 DEEBA 60중량부; 3. 이산화티탄 20중량부; 4. 탄산칼슘 20중량부; 및 5.200메쉬(체구멍 0.074mm)글래스 비드 28중량부, 이러한 제형의 특성은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2
A. 차단되지 않은(non-capped)에폭시 수지 혼합물(에폭시수지 혼합물)의 제조
교반장치, 질소 정화장치 및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평균 에폭사이드 당량(EEW)이 186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725.5g(3.9g 에폭시 당량)과 비스페놀 A 374.8g(3.29g 에폭시 당량)을 가한다. 이들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한 다음, 메탄올중에 용해된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70% 용액 1.69g(0.003mole)을 가한다. 온도를 150℃까지 상승시키면, 반응물은 206℃까지 발연한다. 온도를 190℃에서 1시간(3600s) 동안 유지한다. 에폭사이드는 2.48%이다. 이들 혼합물에 평균 EEW가 186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528.4g(2.84g 에폭시 당량)을 가한 다음, 혼합물의 온도를 150℃까지 저하시킨다. 이들 생성물은 에폭사이드가 9.1%(473EEW)이다.
B. 차단된 에폭시 수지의 제조
교반장치와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상기 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 180g(0.38g 에폭시 당량)과 라우르산 76.2g(0.38mole)을 가한다.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한 후, 메탄올중의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70% 용액 0.21g(0.0004mole)을 가한다. 온도를 156℃까지 상승시키고 약 155℃에서 1.5시간 동안 유지한다. 생성물을 진공건조기내에서 160℃로 2시간(7200s) 동안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74. 5cps(0.0745pa.s)이며, 연화점은 60.1℃이다.
실시예 3
교반장치와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실시예 2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 150g(0.32g 에폭시 당량)을 가한다. 혼합물을 50℃까지 가열한 후,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트 0.3g(0.002mole)을 가한다. 온도를 60℃까지 상승시키고, 60℃ 내지 63℃에서 3.17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200℃까지 가열하고,2.8시간(7488s) 동안 진공스트리핑한다. 진공건조기내에서 160℃에서 2시간(7200s) 동안 생성물을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189.5cps(0 .1895pa.s)이며, 연화점은 78℃이다.
실시예 4
교반장치, 질소 정화장치 및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실시예 2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 200(0.42g 에폭시 당량), 메틸 에틸 케톤 200g(2 .77mole), 물 43g(2.39mole), 메탄올중의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70% 용액 1.7g(0.003mole) 및 옥살산 2수화물[(COOH)2·2H2O] 2.09g(0.016mole)을 가한다. 반응기를 질소로 정화시킨 다음, 압력을 80psig(552kPa gage)까지 상승시킨다. 반응기의 온도를 135℃까지 상승시키고, 약 4.5시간(16,200s) 동안 유지한 다음, 다시 145℃까지 상승시키고, 이어서 5시간(18,000s) 동안 유지한다. 약 200℃에서 약 0.25시간(900s) 동안 방치하여 반응용기내의 과량의 휘발성분을 제거한다. 생성물을 진공건조기내에서 160℃로 2시간(7200s) 동안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362cps(0 .362pa.s)이며, 연화점은 106.6℃이다.
실시예 5
교반장치와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50g과 디부틸아민 13.6g(0.015mole)을 가한다. 1시간(3600s)에 걸쳐서 실시예 2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의 50% 용액 100g(0.106g 에폭시 당량)을 가한다. 온도를 140℃까지 상승시킨 다음, 2시간(7200s) 동안 유지한다. 온도를 약 0.25시간(900s) 동안 약 200℃까지 상승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진공건조기내에서 160℃에서 2시간(7200s) 동안 생성물을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100.5cps(0.1005pa.s)이며, 연화점은 72.4℃이다.
실시예 6
교반장치와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97g, 아세트산 무수물 89(0.078mol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중 에폭시 수지 혼합물(실시예 2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의 50% 용액 70g(0.074g 에폭시 당량) 및 에탄올중의 에틸트리페닐 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70% 용액 0.25g(0.0009mole)을 가한다. 온도를 120℃까지 상승시키고, 5.2시간 (18,720s) 동안 유지한다. 145℃에서 약 0.5시간(1800s) 동안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한 다음, 생성물을 206℃에서 1시간(3600s) 동안 열판 위에 올려놓는다. 진공건조기속에서 160℃에서 2시간(7200s)동안 생성물을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154(0.154pa.s)이며, 연화점은 79.5℃이다.
실시예 7
교반장치와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1-펜탄티온 8.5g(0 .082mol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중 실시예 2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의 50% 용액 70g(0.074g 에폭시 당량) 및 메탄올중의 에틸트리페닐 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70% 용액 0.25g(0 .0009mole)을 가한다. 온도를 100℃까지 상승시키고, 3.55시간(12,780s) 동안 유지한다. 추가로 1-펜탄티올 2g(0.019mole)과 에틸트리페닐 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용액 0.25g(0.0009mole)을 가한다. 2.5시간(9000s)후, 추가로 에틸트리페닐 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의 용액 0.25g(0.0009mole)을 더 가한다. 다시 1시간(3600s) 후에 추가로 1-펜탄티올 2g(0.019mole) 및 에틸트리페닐 포스포늄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과의 착체 0 .25g(0.0009mole)을 더 가한다. 온도를 1시간(3600s) 동안 100℃로 유지한 다음, 약 1시간(3600s) 동안 약 150℃까지 상승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진공건조기 내에서 160℃에서 2시간(2700s) 동안 생성물로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119cpa(0.119pa.s)이고, 연화점은 72.4℃이다.
실시예 8
교반장치, 질소 정화장치 및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실시예 2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 200g(0.423g 에폭시 당량)과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49.5g(0.416mole)을 가한다. 온도를 130°내지 145℃에서 유지한다. 0.73시간(2628s)에 걸쳐서 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한다. 0.77시간(2772s) 후, 메탄올 2 .5g 중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0.75g(0.0022mole)을 가한다. 온도를 155℃까지 상승시키고, 155℃ 내지 160℃에서 6.75시간(24,300s) 동안 유지한다. 진공건조기내에서 160℃에서 2시간(7200s) 동안 생성물을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670cps(0.67pa.s)이고, 연화점은 123.5℃이다.
실시예 9
교반장치, 냉각장치 및 온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실시예 2A에서 제조한 에폭시 수지 혼합물 50g(0.106g 에폭시 당량)과 사이클로헥사논 150g(1 .531mole)을 가한다. 온도를 90℃까지 상승시켜 에폭시수지 혼합물을 용해시킨 다음, 45℃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메탄올 12g(0.375mole)을 가한다. 온도를 0.75시간(2700s) 동안에 33℃까지 저하시킨 다음,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2.2g(0 .103mole)을 가한다. 온도를 45℃까지 상승시킨 다음, 메탄올 1g(0.031mole) 중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0.12g(0.0004mole)을 가한다. 다시 온도를 145℃까지 상승시키고, 2.17시간(7812s) 동안 유지한다. 150℃에서 0.75시간(2700s) 동안 용매를 제거한다. 생성물을 208℃에서 1.5시간(5400s) 동안 열판 위에 올려놓는다. 생성물을 진공건조기내에서 160℃로 2시간(7200s) 동안 건조시킨다. 생성물의 점도는 450°F(232℃)에서 2520cps(2.52pa.s)이며, 연화점은 128.3℃이다.
실시예 2A의 차단되지 않은 에폭시 수지 혼합물과 실시예 5,6 및 8에서 제조한 차단된 에폭시 수지의 열안정성 시험을 행한 결과를 다음 표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06

Claims (8)

  1. 촉매의 존재하에서 (A)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 수지; (C) 1가 페놀 및 알콜, 모노카복실산 및 이의 무수물, 지방족 및 방향족 모노-2급-아민, 모노티올,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성분(A)에 대한 성분(C)의 당량비가 0.87 : 1 내지 1.1 : 1로 되는 양으로 반응시켜 제조한,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2. (A) 제1항의 열에 안정한 수지와 (B) (1) 하나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 및 (2) 하나 이상의 충진체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페인트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B) 적어도 하나의 다가 페놀을 추가로 포함하고 성분(A)에 대한 성분(B)의 당량비가 0.3 : 1 내지 0.95 : 1로, 성분(A)에 대한 성분(C)의 당량비가 0.87 : 1 내지 1.1 : 1로, 성분(A)에 대한 성분(B+C)의 당량비가 0.87 : 1 내지 1.96 : 1로 되는 양으로 반응시켜 제조한 수지.
  4. 제3항에 있어서, (i) 성분(A)에 함유된 에폭시 그룹이 글리시딜 에테르 그룹이고; (ii) 성분(A)에 대한 싱분(B)의 당량비가 0.3 : 1 내지 0.9 : 1이며; (iii) 성분(A)에 대한 성분(C)의 당량비가 0.93 : 1 내지 1.05 : 1이고; (iv) 성분(A)에 대한 성분(B+C)의 당량비가 0.93 : 1 내지 1.95 : 1인 수지.
  5. 제3항에 있어서, (i) 성분 (A)에 대한 성분(B)의 당량비가 0.45 : 1 내지 0.85 : 1이고; (ii) 성분(A)에 대한 성분(C)의 당량비가 0.95 : 1 내지 1 : 1이며; (iii) 성분(A)에 대한 성분(B+C)의 당량비가 0.95 : 1내지 1.85 : 1인 수지.
  6. 제3항에 있어서, (i) 성분(A)는 본 명세서의 일반식(I), (II), (III) 및 (IV)의 에폭시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당해 일반식에서, A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9인 2가 하이드로카빌 그룹, -S-, -S-S-,
    Figure kpo00007
    또는 -O-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2가 하이드로카빌 그룹이며,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의 하이드로카빌 그룹이고, R1는 수소 또는 C1-C10의 하이드로카빌 그룹이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C1-C12의 하이드로카빌 그룹이고, n은 0 또는 1이며, n'는 0 내지 15의 평균값이고, m은 0.001 내지 6의 평균값이며, m'는 0 내지 4의 평균값이다)이고; (ii) 성분(B)는 본 명세서의 일반식(V), (VI), (VII) 또는 (VIII)의 다가 페놀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당해 일반식에서, A, A', R', X, n 및 m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이며; (iii) 성분(C)는 본 명세서의 일반식(IX)의 1가 페놀 화합물, 지방족 알콜, 모노카복실산,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7. 제3항에 있어서, (i) 성분(A)는 일반식(II)의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당해 일반식에서, A는 C1-C10의 2가 탄화수소이고, X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n은 1이고, n'는 0.035 내지 12의 평균값이다)이고; (ii) 성분(B)는 일반식(IV)의 하나 이상의 다가 페놀 화합물이며; (iii) 성분(C)는 노닐페놀, n-부틸알콜, 라우르산,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8. 제3항에 있어서, (i) 성분(A)는 n'가 0.01 내지 0.05의 평균값을 갖는 에폭시 수지와 n이 2 내지 15의 평균값을 갖는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이고; (ii) 성분(B)는 비스페놀 A이며; (iii) 성분(C)는 노닐페놀인 수지.
KR1019860700518A 1984-12-04 1985-11-26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KR900007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778184A 1984-12-04 1984-12-04
US677781 1984-12-04
US71530585A 1985-03-25 1985-03-25
US715305 1985-03-25
PCT/US1985/002330 WO1986003507A1 (en) 1984-12-04 1985-11-26 Thermally stable thermoplastic res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023A KR880700023A (ko) 1988-02-15
KR900007872B1 true KR900007872B1 (ko) 1990-10-22

Family

ID=2710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518A KR900007872B1 (ko) 1984-12-04 1985-11-26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204771B1 (ko)
KR (1) KR900007872B1 (ko)
AT (1) ATE64930T1 (ko)
AU (1) AU594934B2 (ko)
BR (1) BR8507103A (ko)
DE (1) DE3583395D1 (ko)
DK (1) DK356986A (ko)
ES (1) ES8705013A1 (ko)
FI (1) FI863103A0 (ko)
NO (1) NO164911C (ko)
NZ (1) NZ214415A (ko)
WO (1) WO1986003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4185A (en) * 1986-04-14 1990-04-03 The Dow Chemical Company Adducts of metabrominated phenols and polyfunctional epoxides
US4931157A (en) * 1988-02-18 1990-06-05 Ppg Industries, Inc. Epoxy resin advancement using urethane polyols and method for use thereof
CA1338614C (en) * 1988-06-22 1996-09-24 Michael B. Cavitt Monocarboxylic acid derivatives of aromatic based epoxy resins
WO1994012556A2 (en) * 1992-11-25 1994-06-09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osettable composition containing discotic mesogenic moieties
US5414046A (en) * 1994-06-17 1995-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thermally stable resi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8664A (en) * 1956-06-11 1959-10-13 Devoe & Raynolds Co Modified epoxide resins
US2928794A (en) * 1956-12-05 1960-03-15 Devoe & Raynolds Co Inc Curing of polyepoxides
NL256864A (ko) * 1959-10-16
CH443342A (de) * 1962-05-07 1967-09-15 Ciba Geigy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hydroxylgruppenhaltigen Polyäther-estern
GB1064988A (en) * 1963-05-17 1967-04-12 Devoe & Raynolds Co Improvements in polymeric polyhydroxy-polyether resins
US3377406A (en) * 1963-12-16 1968-04-09 Shell Oil Co Process of esterification of polyepoxides with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in the presence of onium salts of inorganic acids
FR2261295A1 (en) * 1974-02-19 1975-09-12 France Etat Epoxy reeeesins with modified epoxy gps - obtd by reacting resin with aliphatic alcohol, giving multifunctional resin
CA1051031A (en) * 1974-06-21 1979-03-20 The Dow Chemical Company Latent catalysts for promoting reaction of epoxides with phenols and/or carboxylic acids
US4029621A (en) * 1975-08-07 1977-06-14 Ppg Industries, Inc. Reaction products of a polyepoxide with a thiol having a group hydroyzable to carboxyl, and aqueous solubilized products
NL7605372A (nl) * 1976-05-20 1977-11-22 Oce Van Der Grinten Nv Tonerpoeder voor het ontwikkelen van elektro- statische beelden.
CH630940A5 (de) * 1977-11-02 1982-07-15 Ciba Geigy Ag Haertbares epoxidharz/aminhaerter-gemisch zur herstellung flexibler formstoffe.
US4338242A (en) * 1980-09-19 1982-07-06 The Dow Chemical Company Urethane modified polymers having hydroxyl groups
US4465816A (en) * 1980-11-28 1984-08-14 Parker Chemical Company Stable water-borne epoxy resin
US4354015A (en) * 1981-02-05 1982-10-12 The Dow Chemical Company Phosphonium bicarbonate catalysts for promoting reaction of epoxides with phenols
US4358578A (en) * 1981-08-24 1982-11-09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reacting a phenol with an epoxy compound
US4451550A (en) * 1982-07-29 1984-05-29 James River Graphics, Inc. Vesicular film and composition with phenoxy resin matrix
US4405766A (en) * 1982-07-30 1983-09-20 The Dow Chemical Company Phosphonium bicarbonate catalysts for promoting reaction of epoxides with carboxylic acids or anhydrides
US4438254A (en) * 1983-02-28 1984-03-20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epoxy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56986D0 (da) 1986-07-28
EP0204771B1 (en) 1991-07-03
FI863103A (fi) 1986-07-29
NO863124D0 (no) 1986-08-01
NO164911C (no) 1990-11-28
BR8507103A (pt) 1987-03-31
FI863103A0 (fi) 1986-07-29
KR880700023A (ko) 1988-02-15
ATE64930T1 (de) 1991-07-15
EP0204771A4 (en) 1988-07-21
AU5198086A (en) 1986-07-01
ES8705013A1 (es) 1987-04-16
DK356986A (da) 1986-07-28
WO1986003507A1 (en) 1986-06-19
ES549529A0 (es) 1987-04-16
NO164911B (no) 1990-08-20
NZ214415A (en) 1988-06-30
NO863124L (no) 1986-08-01
DE3583395D1 (en) 1991-08-08
EP0204771A1 (en) 1986-12-17
AU594934B2 (en) 199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7885A (en) Process for curing polyepoxides with anhydrides and phosphonium halide catalysts therefor
GB2052513A (en) Storage table homogeneous mixture containing epoxide resin curing agent and curing accelerator and the use of the mixture for producing cured products
US4389520A (en) Advancement catalysts for epoxy resins
US5623031A (en) Modified liquid epoxy resin composition
US4632971A (en) Thermally stable capped thermoplastic phenolic resin
US4721743A (en) Non-thermoset thermally stable capped epoxy resin compositions
KR900007872B1 (ko) 열에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KR900006913B1 (ko) 에폭시 수지의 작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EP0299421B1 (en) Imide modified epoxy resins
JPH01254733A (ja) 予備触媒化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高分子量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US4783509A (en) Non-thermoset thermally stable capped epoxy resin compositions
EP1307497A2 (en) Epoxy resin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801662A (en) Monoisocyanate capped epoxy resins
US4153586A (en) Process of making epoxy resins modified with mercaptocarboxylates
US4713404A (en) Paint formulation comprising a thermally stable capped thermoplastic phenolic resin
US4797432A (en) Thermoplastic epoxy resin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US4845135A (en) Thermoplastic epoxy resin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JPH0211613B2 (ko)
CA1257447A (en) Thermally stable thermoplastic epoxy resin
US4876295A (en) Flexible thermoplastic epoxy resin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US5057552A (en) Flexible thermoplastic epoxy resin and coatings prepared therefrom
JPH0616776A (ja) 晶出が抑制された未硬化エポキシ樹脂
JPH0625246B2 (ja) 未硬化エポキシ樹脂の結晶化抑制方法
JPS60144323A (ja) 高分子量ポリ(ヒドロキシエ−テル)を製造する方法
JPH0233050B2 (ja) Ehokishijushikokaz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