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609B1 -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 Google Patents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609B1
KR900007609B1 KR1019870009333A KR870009333A KR900007609B1 KR 900007609 B1 KR900007609 B1 KR 900007609B1 KR 1019870009333 A KR1019870009333 A KR 1019870009333A KR 870009333 A KR870009333 A KR 870009333A KR 900007609 B1 KR900007609 B1 KR 90000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opening
fixed bearing
bearing portion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498A (ko
Inventor
후미유끼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9Article carrier for electrical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2Plural, selectively usable, article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제1도 및 제2도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의 사시도 및 전개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본 발명의부착구를 도시한 제 1도 및 제 2도와 유사한 도면.
제5a도 내지 제5f도는 6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제 1도의 상태에 유지된 부착구의 부착부재 또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6a도 내지 6e도는 5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제3도의 상태에 유지된 부착구의 부착부재 또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7a도 내지 제7d도는 4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부착부재 및 고정부재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배치된 회전 베어링 부분과 함께 있는 부착구를 도시한 도면.
제8a도 내지 제 8d도는 4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부착부재 및 고정부재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된 회전 배어링 부분과 함께 있는 부착구를 도시한 도면.
제9a도 및 제 9b도는 2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고정 베어링 부분을 도시한 도면.
제10a도 내지 제 10c도는 3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회전 베어링 부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화 수화기 11 : 부작판 부분
12,13,17,18 : 고정 베어링 부분 15,19 : 회전 베어링 부분
16 : 고정관 부분 20 : 부착부재
21 : 고정부재 22 : 숫나사
31 : 받침대 40 : 개구
42 : 핀 43 : 맞춤부재
44,52 : 개구 51,54 : 기복 부분
53 : 회전 베어링 부분 극단부
본 발명은 차량 전화기와 같은 전화기의 받침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mount)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기술한 형태의 부착구는 전화기 받침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 차량의 본체에 부착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부착부재와 고정부재상에 견고하게 제공되는 베어링 부분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는 전화기가 바람직한 각위치에 부착되게 한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부착구는 한 방향을 제외하고는 개방되고 페쇄될 수 없으므로, 부착부재의 단부들이 부착부재와 받침대의 상대 각 위치에 따라, 예를 들어 부착부재와 받침대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향될 때, 덮히지 않게 된다.이러한 것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차량 구획실의 공간 절약 및 설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부착부재의 단부들이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부착부재 및 고정부재는 부착구가 필요에 따라2개의 수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4모서리에 베어링 부분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그러나, 이 실시는 사용되지 않는 베어링 부분들이 개방 및 폐쇄 동작으로 접속되어, 유용한 개방 및 폐쇄각을 제한시킨다는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한 개방 및 폐쇄 동작의 방향 및 각이 용이하게 설정되게 하는 전화기받침대 부착구를 제공하기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가 교차 방향으로 부착되더라도 부착구의 단부가 노출되지 못하게 하는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충분한 각에 걸쳐서 개방될 수 있는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기의 부착각이 충격 및 충돌에 의해 용이하게 변하지 못하게 하는 전화기받침대 부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한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전화기 받침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와 고정부재로 구성된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가 제공되는데, 각각의 부착부재 및 고정부재는 장방형 부착판 부분, 부착판 부분에 수직으로 각각 제공되고, 부착판 부분의 제1대향 측면들 중의 한 측면과 제1대향 측면에 수직인 제2대향 측면들 중의 한 측면을 따라 각각 연장되며, 제1 및 제2개구를 각각 갖추고 있는 제1 및 제2고정 베어링 부분, 및 제3개구를 갖고 있고 제3개구가 제1 및 제2개구와 선택적으로 정렬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베어링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받침대를 부착시키기 위한 장방형 제1부재, 및 선정된 본체에 부착구를 부착시키기 위해 제1평판 부재와 동일 형태로 제공된 제2부재로 구성된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가 제공되는데, 각각의 제1및 제2부재들은 대향 측면들 중의 한 측면에 수직으로 제공되고 한 단부에 제1개구를 갖추고 있는 제1고정 베어링 부분, 상기 대향 측면에 수직인 대향 측면들 중의 한 대향 측면에 수직으로 제공되고 한 단부에 제2개구를 갖추고 있는 제2고정 베어링 부분, 및 제1및 제2고정 베어링 부분이 제공된 각각의 판 부분 측면들이 서로 연결된 모서리에 수직으로 제공되고, 수직 부분을 통하는 제3개구를 갖추고 있으며, 수직 부분이 제1 및 제2고정 베어링 부분에 평행하도록 회전되는 회전 베어링 부분으로 구성되고, 부착구는 제1 및 제2평판 부재들이 서로 접촉하면서 제1 및 제2평판 부재의 회전 베어링 부분들이서로 동일 방향으로 배향될 때 서로 결합되는 제1 또는 제2고정 베어링 부분과 회전 베어링 부분을 선택적으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숫나사를 포함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장점 및 그외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사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전화 수화기(10) 및 받침대(31)도 도시되어 있다.
부착구는 받침대(31)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 부분(11), 고정 베어링 부분(12,13,17 및 18), 회전 베어링부분(15 및 19), 고정관 부분(16), 부착부재(20), 고정부재(21), 및 2개의 숫나사(22,단 한개만이 도시되어있음)를 포함한다.
회전 베어링 부분(15)는 부착부재(20)에 관련하여 90˚ 회전하도록 부착부재(20)에 접속된다. 이 특정한 실시예에서, 회전 베어링 부분(15)는 만곡 및 상승 직립 부분의 평면이 고정 베어링 부분(18)의 것과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회전 베어링 부분(19)는 90。회전하도록 부착부재(21)에 접속되고, 평면이 고정 베어링 부분의 것과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 및 상승 직립 부분을 포함한다. 회전 베어링 부분(15)과 고정 베어링 부분(18)은 숫나사(22)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회전 베어링부분(19)와 고정 베어링 부분(13)은 도시하지 않은 숫나사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부착부재(20)이 고정부재(21)에 관련하여 0 내지 90。범위내의 바람직한 각으로 배치된 후에,2개의 숫나사(22)는 바람직한 각으로 부재(20 및 21)을 고정시키기 위해 조여진다. 이후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베어링 부분(15 및 19)와 고정 베어링 부분(18 및 13)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숫나사(22)가 조여진 후에 부재(21)에 관련된 부재(20)의 각 위치가 용이하게 변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대(31)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부착구(20)의 부착판 부분(11)상에 부착된다. 한편, 부착구(21)의 고정판 부분(16)은 차량의 본체에 고정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개방될수 있는 다른 특정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부착구가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은 고정부재(21)에 관련하여 부착부재 180。회전시키고 회전 베어링 부분(15 및 19)를 각각 90。회전시킨 후에 함께 있게 된다. 이 형태에서, 부착부재(20)은 제1도의 부착부재(20)에 수직으로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형태에서, 사용되지 않은 고정 베어링 부분(12,17,13 및 18)은 숫나사(22)가 배치된 측면의 대향 측면상에 배치된다. 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이 페쇄될 때 사용되지 않는 이 베어링 부분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결합된 이것은, 이 베어링 부분들이 부재(20)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간섭하지 못하게 한다. 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은 정확히 동일한 형태로 제공된다.
제5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부착부재(20)과 고정부재(21)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5a도 내지 제5f는 6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제1.도의 부착부제(20) 또는 고정부재(21)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5a도, 제5b도, 제5c도, 제5d도, 제5e도, 및 제5f도는 각각 평면도, 후면도, 좌측에서 본 측면도, 우측에서 본 측면도, 후방 단부도, 및 전방 단부도이다.
도면에 도시하고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재[20,또는 고정부재(21)]은 다수의 개구(40)을 갖추고있는 장착판 부분[11,또는 고정판 부분(16)]을 포함한다. 이 개구(40)들은 받침대 또는 차량 본체에 관련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 베어링 부분(13 또는 18)과 (12 또는 17)은 각각 부착판 부분[11,또는 고정판 부분(16)]의 대향 장 측면들 중의 한 측면과 대향 단측면들 중의 한 측면으로 부터 부착판 부분[11,또는 고정판 부분(16)]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는 고정 베어링 부분(13 및 12,또는 18 및 17)이 부족한 다른 측면들이 서로 결합하는 판 부분(11 또는 16)의 모서리 부근에 배치된다.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는 제5a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핀(42) 주위에서 90˚ 회전하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직립 부분의 평면이 고정 베어링 부분(13 또는 18)의 것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멈춤부재(43)은 고정 베어링 부분(13 또는 18)의 직립 부분의 평면에 평행하게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의 직립 부분의 평면을 정확하게 배치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회전 베어링부분(15 또는 19)와 고정 베어링 부분(l3 또는 18)은 부재(20 및 21)을 개방할 수 있게 접속하기 위한 숫나사(22,제2도 또는 제4도)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44)를 각각 갖추고 있다.
제6a로 내지 제6e도는 5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보고 제3도의 부착부재[20,또는 고정부재(21)]을 도시한것이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6a도, 제6b도, 제6c도, 제6d 및 제6e도는 각각 평면도, 좌측에서 본 측면도, 우측에서 본 측면도, 후방 단부도, 및 전방 단부도이다. 후면도는 제5도의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는 이것의 직립 부분의 평면이 고정 베어링 부분(12또는 17)의 것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제5도의 위치로 부터 90o 회전된다. 이 형태에서, 부착부재(20)은 제3도에 도시한 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7a도 내지 제7d도를 참조하면, 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어 조절된 회전 베어링 부분(15 및 19)와 조립된 부착구가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7a도, 제7b도, 제7c도 및 제7d도는 각각 부착구의 평면도, 좌측에서 본 측면도, 후방 단부도, 및 전방 단부도이다. 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은 제7b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숫나사(22)를 향해 서로 떨어져서 0 내지 90˚ 범위에 걸쳐 각이지게 이동할 수 있다. 숫나사(22)는 바람직한 각 위치에서 부재(20 및 21)을 고정시키도록 고정될 수 있다. 부재(20과 21)사이의 각 거리가 0이면, 사용되지 않는 고정 베어링 부분(12 및 17)이 개방 및 폐쇄 동작을 간섭하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 부분(12 및 17)이 숫나사(22)와 대향측에 배치되고, 제7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8a도 내지 제8d도는 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이 제6도의 상태에 유지된 회전 베어링 부분(15및 19)와 조립되는 부착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8a도, 제8b도, 제8c도 및 제8d도는 각각광면도, 좌측에서 본 측면도, 우측에서 본 측면도 및 전방 단부도이다. 제8도에서는, 제7도에서와 같이,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이 제8D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숫나사(22)를 향해 서로 떨어져서 0 내지 90˚범위에 걸쳐 각이지게 이동할 수 있다. 부재(20 및 21)은 숫나사(22)를 조임으로써 바람직한 각위치에 고정된다. 사용되지 않는 고정 베어링 부분(13 및 18)은 숫나사(22)의 대향측에 배치되고,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정렬된다. 또한, 이것은 베어링 부분(13 및 18)이 부재(20 및 21)의 개방 폐쇄동작을 간섭하지 못하게 한다.
제9a도와 제9b도 및 제10a도 내지 제10c도를 참조하여 고정 및 회전 베어링 부분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9a도 및 제9b도는 제5d도에 X로 표시한 바와 같은 고정 베어링 부분의 확대 전면도 및 확대 측면도이다. 제5d도의 부분 x는 모든 고정 베어링 부분(12,13,17 또는 l8)에 공통적인 것이다. 제10a도, 제10b도 및 제10c도는 각각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전방 단부도,및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제9도 및 제10도에서, 고정 베어링 부분(12,13,17 또는 18)은 기복부분(undulated portion,51)을 포함하고,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는 기복 부분(54)를 포함한다. 기복 부분(51 및 54)는 부착판(20)과 고정판(21) 사이에 바람직한 각을 설정하도록 서로 맞물려 있다. 기복 부분(51 및 54)는 개구(44)를 통해 숫나사(22)에 의해 적소에 고착된다. 이러한 것은 전화기(10)의 부착각이 충격 및 충돌에 의해 용이하게 변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개구(52)는 고정핀(42,제5도)가 이 개구를 통과하도록 제공된다.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의 극단부(53)은 멈춤부재(43)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부착부재와 고정부재상에 제공되는 회전 베어링 부분을 간단히 회전시키고 숫나사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의 개방 및 폐쇄 동작 방향 및 각이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다. 사용되지 않는 고정 베어링 부분은 부착구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간섭하지 않기때문에, 충분한 개방 및 폐쇄 각이 보장된다. 그러므로, 전화기가 전례가 없는 효율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전화기가 교차 방향으로 부착되더라도, 부착구의 단부들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공간 절약 및 쾌적한 설계를 도모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부착부재와 고정부재가 정확하게 동일형태로 구성되므로 부착구가 대량 생산될 수 있어 경비가 절감된다.

Claims (7)

  1. 전화기 받침대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20), 및 고정부재(21)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착 및 고정부재가, 부착판 부분(l1), 상기 부착판 부분에 수직으로 가각 제공되고, 부착판 부분의 제1대향 측면들 중의 한 측면과 제1대향 측면에 수직인 제2대항측면들 중의 한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및 제2개구를 각각 갖추고 있는 제1 및 제2고정 베어링 부분(13 및 12,18 및 17), 및 제3개구를 갗고 있고 제3개구가 제1 및 게2개구와 선택적으로 정렬되도록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베어링 부분(15 또는 1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및 제2고정 베어링 부분이 이 고정 베어링 부분에 관련된 제1또는 제2 개구 주위에 제1기복 부분을 갖추고 있고, 상기 회전 베어링 부분이 제3 개구 주위에 제 1기복 부분에 대응하는 제2기복 부분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어링 부분이 돌출 극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부팍판 부분이 선정된 본체에 고정부재의 부착판 부분을 고정시키기 의한 개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본체가 차량 본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 부분이 상기 회전 베어링 부분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돌출 극단부에 대응하는 멈춤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7. 받침대(31)를 부착하기 위한 장방형 제1부재(11), 및 선정된 본체에 부착구를 부착시키기위해 제1평판 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된 제2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제1 및 제2부재가, 대향 측면들 중의 한 측면에 수직으로 제공되고, 한 단부에 제1개구를 갖추고 있는 제1고정 베어링 부분, 상기 대향측면에 수직인 대향 측면들 중의 한 대향 측면에 수직으로 제공되고, 한 단부에 제2개구부를 갖추고 있는 제2고정 베어링부분(18 및 19), 및 상기 제1 및 제2고정 베어링 부분이 제공된 각각의 판부분 측면들이 서로 연결된 모서리에 수직으로 제공되고, 수직 부분을 통하는 제3개구를 갖추고 있으며, 수직 부분이 제1 및 제2고정 베어링 부분에 평행하도록 회전되는 회전 베어링 부분(15 및 19)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착구가 제1 및 제2부재들이 서로 접촉하면서 제1 및 제2부재의 회전 베어링 부분들이 서로 동일방향으로 배향될때 서로 결합되는 제1또는 제2고정 베어링·부분과 회전 베어링 부분을 선택적으로 상호접속시키기 위한 숫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KR1019870009333A 1986-08-26 1987-08-26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KR900007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30190 1986-08-26
JP1986130190U JPH0427244Y2 (ko) 1986-08-26 1986-08-26
JP130190 1986-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98A KR880003498A (ko) 1988-05-17
KR900007609B1 true KR900007609B1 (ko) 1990-10-17

Family

ID=1502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333A KR900007609B1 (ko) 1986-08-26 1987-08-26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76553A (ko)
EP (1) EP0261807B1 (ko)
JP (1) JPH0427244Y2 (ko)
KR (1) KR900007609B1 (ko)
AU (1) AU590114B2 (ko)
CA (1) CA1275749C (ko)
DE (1) DE3780548T2 (ko)
HK (1) HK60093A (ko)
SG (1) SG482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1806A1 (de) * 1987-07-02 1989-01-12 Philips Patentverwaltung Mobilfunkanlage
US4881254A (en) * 1987-12-28 1989-11-14 Gte Mobilnet Incorporated Hand-held pay telephone and holder
JPH02153660A (ja) * 1988-06-07 1990-06-13 Boosei Internatl Kk 自動車用電話機及び一般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送受話装置
US5301224A (en) * 1990-02-20 1994-04-05 Nokia Mobile Phones (U.K.) Limited Mobile telephone with lateral loudspeaker
US5121427A (en) * 1990-03-22 1992-06-09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phone base members and support members
US5109411A (en) * 1990-06-21 1992-04-28 Scientific Dimensions Telephone handset cradle mount
US5060260A (en) * 1990-07-24 1991-10-22 Connell Joseph J O Mounting cradle for a portable cellular telephone
US5033709A (en) * 1990-08-29 1991-07-23 Yuen Michael M Holding device
US5141196A (en) * 1991-02-21 1992-08-25 Monarch Marking Systems, Inc. Keyboard support
US5187744A (en) * 1992-01-10 1993-02-16 Richter Gary L Hand-held portable telephone holder
US5388792A (en) * 1993-09-09 1995-02-1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ivotable computer tower support foot apparatus
SE502059C2 (sv) * 1993-11-29 1995-07-31 Ericsson Telefon Ab L M Inställningsmekanism för att ställa en apparat i olika lutningslägen relativt en stödyta
JP3571851B2 (ja) * 1996-05-17 2004-09-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車載用携帯電話機の取付機構
US5833206A (en) * 1997-03-05 1998-11-10 Ericsson, Inc. Universal foot for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cabinet
JP3049274B2 (ja) * 1997-06-25 2000-06-0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携帯電話ホルダー
US7104516B2 (en) * 2001-01-10 2006-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angle varying apparatus
US7013163B2 (en) * 2001-01-26 2006-03-14 Dell Products L.P.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ocking system
US7066450B2 (en) * 2004-04-08 2006-06-27 Lundrigan Brian E WYSE mid-span winch kit
US8505795B2 (en) * 2006-05-31 2013-08-13 Chance Dunn C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54783B2 (en) * 2009-03-17 2011-06-07 Vigil Aurelio A Folding bracket for light bar
GB2470729B (en) * 2009-06-01 2013-01-02 Promethean Ltd Projector mount
CA149646S (en) 2013-02-07 2014-01-09 Cledlight Semiconductor Lighting Co Ltd Linear led light
CA2809709C (en) * 2013-03-14 2018-02-13 Cledlight Semiconductor Lighting Co., Ltd. Rotational mounting for linear led light
TWM531910U (zh) * 2016-07-22 2016-11-11 范裕雄 用於車內cd插槽的個人電子設備支架
US20200062191A1 (en) * 2018-08-27 2020-02-27 Ragner Technology Corporation Device holder systems for mot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31613A (fr) * 1962-06-14 1963-07-05 Philips Nv Genouillère notamment pour montage de radiorécepteurs
DE1238363B (de) * 1965-04-12 1967-04-06 Visomat Geraete G M B H Halterung fuer Lichtschranken
JPS6118249A (ja) * 1984-07-04 1986-01-27 Fujitsu Ltd 電話機取付台
JPS61122052A (ja) * 1984-11-20 1986-06-10 Fujitsu Ltd 車輛用電話機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98A (ko) 1988-05-17
CA1275749C (en) 1990-10-30
US4776553A (en) 1988-10-11
DE3780548D1 (de) 1992-08-27
SG48293G (en) 1993-06-25
JPH0427244Y2 (ko) 1992-06-30
DE3780548T2 (de) 1993-01-28
AU7745887A (en) 1988-03-03
HK60093A (en) 1993-07-02
AU590114B2 (en) 1989-10-26
JPS6338441U (ko) 1988-03-12
EP0261807B1 (en) 1992-07-22
EP0261807A2 (en) 1988-03-30
EP0261807A3 (en) 198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609B1 (ko) 전화기 받침대 부착구
US5659929A (en) Multi-function hinge structure
US7924553B2 (en) Computer device locking system
US6340146B1 (en) Ceiling LCD mounting structure
ATE416885T1 (de) Schraubendreher-gehäuse mit zwei stellungen
BR0012119A (pt) Antena moldada com placa de polaridade
CA2484868A1 (en) Interlockable element for structure assembly set
US20080053853A1 (en) Toolbox
JP4749038B2 (ja) アンテナの取付構造
CN210372666U (zh) 一种三脚架
JPH076486Y2 (ja) 計測器の取り付け台
JPH0439406A (ja) 照明器具の反射板取付装置
CN215215656U (zh) 一种多功能支架
US11339955B1 (en) Rotary joint for lighting fixture
CN217634855U (zh) 一种显示屏用的转动组件
JP3933443B2 (ja) フレキシブルパーテイションにおけるパネルの連結構造
JPH0750483Y2 (ja) パネル連結用のコーナー部材
CN218935932U (zh) 一种车载显示器安装支架
JPH0351892Y2 (ko)
JP3210832U (ja) 挟持工具
JP4512740B2 (ja) こんろ器体
JPH0422511Y2 (ko)
GB2137690A (en) Fixing element
JPH0319265Y2 (ko)
JPS5931005Y2 (ja) 非常灯の電池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