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039B1 -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039B1
KR900007039B1 KR1019860011585A KR860011585A KR900007039B1 KR 900007039 B1 KR900007039 B1 KR 900007039B1 KR 1019860011585 A KR1019860011585 A KR 1019860011585A KR 860011585 A KR860011585 A KR 860011585A KR 900007039 B1 KR900007039 B1 KR 90000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skip
section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281A (ko
Inventor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1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039B1/ko
Publication of KR88000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트롤부 1-1 : 제어부
1-2 : 동작모드조작스위치부 1-3 : 곡시작인식부
2 : 스킵신호발생부 3 : 기록재생부
3-1 : 믹서 3-2 : 기록용 앰프
3-3 : 기록/재생수단 3-4 : 기록매체
3-5 : 재생용 앰프 3-6 : 스킵신호분리부
4 : 스킵신호판단부 5 : 구동부
6 : 신호처리부 6-1 : 기록신호처리계
6-2 : 재생신호처리계 a : 스킵시작부설정명령신호
b : 스킵신호발생명령신호 c : 스킵요구신호
d : 곡시작인식신호 e : 구동부정지/동작신호
f : 구동부고속/정속신호 g : 기록/재생모드신호
sw : 스킵시작부설정스위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는 정보기록매체에다 소정의 스킵(skip)신호를 기록해 놓음으로써 재생시에 필요한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된 전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기록/재생장치는 특정의 기록매체에다 필요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또는 특정신호 형태의 정보를 기록해 놓은 다음 이를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들만 재생시키는 경우 기존의 기록/재생장치에서는 기능키를 반복조작해서 필요한 재생부분을 찾도록 되어 있고, 또한 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들을 편집하여 연속적이고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여러대의 기록/재생장치를 사용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중에서 필요한 내용들만 새로운 기록매체에 편집하여 재기록하여 줌으로써 연속재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기록/재생장치의 기능키를 반복조작해 주어야만 필요한 재생부분을 찾을 수 있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재생부분 선택에 따른 소비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또한 여러대의 기록/재생장치를 사용하여 새로운 기록매체에 연속적으로 재생부분을 편집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편집과정이 번거롭게 되게 됨과 더불어 재편집기록시 복수의 기록/재생장치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일반사용자에게는 그다지 유용한 방식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기록매체에 기록된 내용중에서 원하는 재생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대해 기록매체, 예컨대 DAT(Digital Audio Taperecorder)에 사용되는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 부분에 특정의 스킵(sklp)신호를 기록해 놓은 다음 재생시에는 스킵신호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테이프를 고속으로 주행시킴으로써 필요한 내용들만 재생시킬 수 있도록 된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록신호(RS)를 처리하는 기록신호처리계(6-1)와 재생신호(PS)를 최초 기록상태로 처리하는 재생신호처리계(6-2)로 이루어진 신호처리부(6)와, 스킵신호의 유무를 판단해서 스킵요구신호(c)를 발생시키는스킵신호판단부(4), 스킵시작부설정명령신호(a)를 발생시키는 스킵시작부설정스위치(SW)와, 동작모드신호(h)를 발생시키는 동작모드조작스위치부(1-2), 상기 재생신호처리계(6-2)에서 처리되는 재생신호의 내용을 판단해서 곡시작인식신호(d)를 발생시키는 곡시작인식부(1-3) 및, 상기 신호(a, c, d, h)를 인가받아 이를 처리하여 스킵신호발생명령신호(b)와 구동부정지/동작신호(e) 및 구동부고속/정속신호(f)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1)로 이루어진 콘트롤부(1), 스킵하고자 하는 부분의 시작을 재생시에 인식하기 위해 상기 스킵신호발생명령신호(b)에 따라 스킵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킵신호발생부(2), 상기 기록신호처리계(6-1)에서 신호처리되어 출력되는 기록신호와 상기 스킵신호발생부(2)에서 출력되는 스킵신호를 혼합하는 믹서(3-1)와, 이 믹서(3-1)로부터 출력되는 기록신호를 기록용앰프(3-2)를 통해 증폭해서 상기 기록/재생모드신호(g)에 따라 기록매체(3-4)에 기록하면서 재생신호를 재생용 앰프(3-5)에 인가하는 기록/재생수단(3-3) 및, 상기 재생용앰프(3-5)에 의해 증폭된 재생신호중 스킵신호를 분리하는 스킵신호분리부(3-6)로 이루어진 기록/재생부(3) 및, 상기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부정지/동작신호(e)와 구동부고속/정속신호(f)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3-4)에 신호를 기록/재생하기 위해 작동되는 구동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블럭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기록매체에 스킵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킵시키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 스킵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기록/재생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부(1)의 스킵 시작부설정스위치(SW)를 누르면, 스킵시작부설정명령신호(a)가 하이레벨상태로 되어 제어부(1-1)에 인가되면서 스킵구간이 결정되고, 제어부(1-1)는 이를 제어하여 스킵시작부설정 명령신호(a)에 의해 스킵신호발생명령신호(b)를 발생시켜 이를 스킵신호발생부(2)에 인가시켜 스킵신호발생부(2)를 인에이블시킨다. 이에 따라 스킵신호발생부(2)에서는 스킵신호를 생성시켜 이를 기록/재생부(3)의 믹서(3-1)에 인가한다. 이때 믹서(3-l)에서는 신호처리부(6)의 기록신호처리계(6-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스킵신호가 혼합되어 믹싱신호로서 출력되고, 이 믹싱신호는 기록용 앰프(3-2)에 인가되어 기록매체(3-4) 및 기록/재생수단(3-3)에 적합한 전류·전압상태로 증폭되어 상기 기록/재생수단(3-3)에 인가되고, 상기 기록/재생수단(3-3)에 인가된 기록수단인가신호는 기록매체(3-4)에 기록된다.
한편, 기록모드로의 전환은 사용자가 콘트롤부(1)의 동작모드조작스위치부(1-2)를 조작하여 동작모드신호(h)가 기록모드로 설정되어 인가되면 제어부(1-1)는 이를 인식하여 기록/재생모드신호(g)를 기록모드로 절환하여 출력하고, 구동부정지/동작신호(e)를 동작상태로 절환하여 출력하며, 구동부고속/정속신호(f)를 정속상태로 절환하여 출력한다.
이상이 기록동작에 대한 설명이고, 이후 재생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재생모드로의 전환시 사용자가 동작모드조작스위치부(1-2)를 조작하여 동작모드신호(h)가 재생모드로 설정 인가되면, 제어부(1-1)는 이를 인식하여 기록/재생모드신호(g)를 재생모드로 절환하여 출력하고, 구동부정지/동작신호(e)를 동작상태로 절환하여 출력하며, 구동부고속/정속신호(f)를 정속상태로 절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기록매체(3-4)에 기록된 신호가 기록/재생수단(3-3)을 통해 재생되고, 이 기록/재생수단(3-3)으로부터 출력된 재생수단출력신호가 재생용앰프(3-5)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재생용 앰프(3-5)에 인가된 재생수단출력신호는 신호처리부(6)의 재생신호처리계(6-2)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증폭되어 스킵신호분리부(3-6)에 인가되고, 이 스킵신호분리부(3-6)에서는 재생용앰프(3-5)의 출력신호중 스킵신호와 신호처리될 재생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며, 재생신호처리계(6-2)에서는 스킵신호분리부(3-6)로부터 인가되는 재생신호를 최초의 기록신호(RS)와 동일하게 되도록 신호처리(복조, 보상, 증폭등)하여 재생신호(PS)를 출력한다.
한편 재생중 스킵신호가 기록된 부분이 재생되면, 스킵신호분리부(3-6)에서 분리출력된 스킵신호가 스킵신호판단부(4)에 인가되고, 이 스킵신호판단부(4)는 이를 인식하여 스킵요구신호(c)를 발생시켜 제어부(1-1)에 인가한다. 제어부(1-1)에서는 인가된 스킵요구신호(c)에 따라 구동부고속/정속신호(f)를 고속상태로 절환시켜 스킵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스킵동작중 다음 곡(또는 프로그램)의 시작부분에 도달하면 재생신호처리계(6-2)에서 출력되는 곡시작판별용신호가 곡시작인식부(1-3)에 인가되고, 이 곡시작인식부(1-3)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1-1)에 곡시작인식신호(d)를 인가한다. 제어부(1-1)에서는 고시작인식신호(d)에 의해 구동부고속/정속신호(5)를 정속상태로 절환출력하여 스킵동작시작부 이후의 곡의 선두부분부터 정상재생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재생장치를 사용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편집,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미 기록되어져 있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등을 손상시키지않고 재생편집신호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기록/재생장치를 사용치 않고서도 편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편집작업의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재편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기록신호(RS)를 처리하는 기록신호처리계(6-1)와 재생신호(PS)를 최초 기록상태로 처리하는 재생신호처리계(6-2)로 이루어진 신호처리부(6)와, 스킵신호의 유무를 판단해서 스킵요구신호(c)를 발생시키는 스킵신호판단부(4), 스킵시작부설정명령신호(a)를 발생시키는 스킵시작부설정 스위치(SW)와, 동작모드신호(h)를 발생시키는 동작모드조작스위치부(1-2), 상기 재생신호처리계(6-2)에서 처리되는 재생신호의 내용을 판단해서 곡시작인식신호(d)를 발생시키는 곡시작인식부(1-3) 및, 상기 신호(a, c, d, h)를 인가받아 이를 처리하여 스킵신호발생명령신호(b)와 구동부정지/동작신호(e) 및 구동부고속/정속신호(f)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1)로 이루어진 콘트롤부(1), 스킵하고자 하는 부분의 시작을 재생시에 인식하기 위해 상기 스킵신호발생명령신호(b)에 따라 스킵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킵신호발생부(2), 상기 기록신호처리계(6-1)에서 신호처리되어 출력되는 기록신호와 상기 스킵신호발생부(2)에서 출력되는 스킵신호를 혼합하는 믹서(3-1)와, 이 믹서(3-1)로부터 출력되는 기록신호를 기록용 앰프(3-2)를 통해 증폭해서 상기 기록/재생모드신호(9)에 따라 기록매체(3-4)에 기록하면서 재생신호를 재생용 앰프(3-5)에 인가하는 기록/재생수단(3-3) 및, 상기 재생용 앰프(3-5)에 의해 증폭된 재생신호중 스킵신호를 분리하는 (3-6)로 이루어진 기록/재생부(3) 및, 상기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부정지/동작신호(e)와 구동부고속/정속신호(f)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3-4)에 신호를 기록/재생하기 위해 작동되는 구동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KR1019860011585A 1986-12-30 1986-12-30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KR90000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585A KR900007039B1 (ko) 1986-12-30 1986-12-30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585A KR900007039B1 (ko) 1986-12-30 1986-12-30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281A KR880008281A (ko) 1988-08-30
KR900007039B1 true KR900007039B1 (ko) 1990-09-27

Family

ID=1925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585A KR900007039B1 (ko) 1986-12-30 1986-12-30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0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281A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039B1 (ko) 기록/재생장치의 선택재생회로
JPH0428344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7139B1 (ko) 곡소개방법
JPH02165490A (ja) 再生装置
KR100340795B1 (ko) 오디오기기의콤팩트디스크재생방법
JP2512853B2 (ja) デジタル録音再生装置の録音方式
KR100223173B1 (ko) 8mm 비데오카세트레코더(VCR)의구간자동반복 재생장치
KR930016991A (ko) 음향기기에 있어서의 뮤트장치
KR980004556A (ko) 하이파이 vcr에서의 음성 시간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JPH0317717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76787B1 (ko) 녹음용 가라오케 장치
JP2712209B2 (ja) 記録再生装置
JPS61105708A (ja) デイ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KR960020647A (ko) 자동비디오스틸기능을 갖춘 tvcr
JPH0342752B2 (ko)
JPH05290453A (ja) 記録再生装置
KR970050123A (ko) 음성다중신호의 기록/재생제어장치
KR960002230A (ko) 카세트테이프의 자동재생장치 및 방법
JPH0320835B2 (ko)
KR970017442A (ko) 텔레비디오의 방송모드시 비디오테이프 음성재생제어장치
JPH092932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38137A (ja) 記録再生装置
KR19990025382A (ko) 듀플리케이터의 자동 모드 절환 방법
JPH087764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70029457A (ko) 비디오테이프의 고속재생제어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