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26Y1 - 전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26Y1
KR900006526Y1 KR2019860012440U KR860012440U KR900006526Y1 KR 900006526 Y1 KR900006526 Y1 KR 900006526Y1 KR 2019860012440 U KR2019860012440 U KR 2019860012440U KR 860012440 U KR860012440 U KR 860012440U KR 900006526 Y1 KR900006526 Y1 KR 900006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aper
high voltage
thicknes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989U (ko
Inventor
정범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2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526Y1/ko
Publication of KR880004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4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사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두게 검출기구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전사제어장치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용지두께 신호 발생회로 17 : 정류완충회로
18 : 고압전원 제어회로 19 : 전사용 고압전원 발생회로
본 고안은 감광체 드럼상에 나타난 현상에 의해 가시광을 용지로 전사(Transfer)하는 복사기의 전사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사용지의 두께에 따라 전사전류 제어를 제어하여 복사용지에 관계없이 가시상이 양호한 전사가 되도록한 전사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전복사기에서 원고에 대응한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감광드럼(Drum)상에 형성하고, 감광드럼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Toner)로 현상하여 가시상을 만들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가시상을 복사용지로 전사하기위한 전사 방식은 코로나(Corona)전사방식을 사용한 전자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코로나 전사 장치에서는 코로나 방전 전극을 이용하여 감광드럼상에 부착된 토너의 극성과 반대극성의 전하를 전사용의 용지 이면에 주어 가시상을 용지 표면으로 전사시켜 왔다.
이와같은 전사장치에서는 코로나 방전전극으로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전류치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 전류치는 통상 사용하고 있는 용지가 감광드럼에 적당히 부착되어 전사효율이 가장 최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값이다.
그러나 복사기에서 사용하는 용지의 종류가 다양화되어 감에 따라 관제엽서 등의 두꺼운 용지로 복사할 기외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수한 두꺼운 용지로 복사를하면 코로나 방전 전극으로 흐르는 전사 전류가 소정의 전류치 이하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전사장치의 전사효율이 저하되고 양호한 복사화상이 얻어지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즉, 두꺼운 용지를 사용하면 감광드럼에 대한 용지의 부착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동시에 복사 화상이 부분적으로 흩어짐(Smearing)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사전류를 통상의 전사전류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놓은 방법과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PF롤러(PF Roller)(140-141)와 검지접촉자(151)와 변위센서(152)와 변위측정판(153)과 회전측(154)과 검지제어회로(155)로 구성된 용지 두께 검출 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전사전류를 통상의 전사전류보다 크게 설정하여 놓는 전자의 경우에는 통상의 복사용지를 사용할때 전사효율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용지가 감광드럼에 강하게 부착되어 용지와 감광드럼과의 분리가 어려운 동시에 화질이 노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용지 두께 검출 장치는 용지가 용지반송로(A)를 통하여 PF롤러(140-141)에 의해 롤리(Rolling)되면 용지두께에 따라 PF롤러(140)가 상하로 움직이며 이로인해 회전측(154)에 축지된 변위측정판(153)이 변화된다.
이때 변화되는 변위측정판(153)의 변화변위는 검지접촉자(151)에 의해 변위센서(152)가 변위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변위량을 검지제어회로(155)로 출력하여 전사전류를 제어하여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께검출장치는 변위량을 감지하는 변위센서(152)에 검지접촉자(151)를 사용하고, 용지두께를 측정하기위해 복잡한 제어기구 및 회로를 사용하게 되므로써 장기간 사용시 검지접촉자(151)가 마모되어 전사전류 제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동시에 제작 검사, 수리시 어려운 문제점을 수반 하였을며, 공수의 증가로인한 원가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지의 두께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전사전류를 제어하므로써 가시상이 양호한 전사가 되도록하는 전사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롤링되어 삽입되는 용지의 두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정류완충 출력하는 정류수단과, 상기 정류 수단에서 완충 출력하는 전압을 입력하여 용지두께에 대응한 고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압 제어수단과, 상기 고압 제어수단에서 출력하는 고압제어 신호에 의해 전사전류를 발생하는 전사용 고압전원 발생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 구성도로서 도면중 1은 원고를 조사(Irradiation)하기 위한 노광용 램프이고, 2는 도시하지 않은 테이블 상에 놓인 원고이며 3과 5는 반사 거울이고 4는 광학렌즈, 6은 감광드럼, 7은 감광드럼(6)을 양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용 코로나 방전기이며, 8은 감광드럼(6)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용지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용 코로나 바언기이며, 10은 급지트레이(Tray), 11은 용지, 12는 반송롤러, 13은 반송로이며, 14와 15는 PF롤러 이다.
또한 16은 용지의 두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용지두께 신호발생회로이며, 17은 정류완충 회로이고, 18은 고압제어회로이며, 19는 전사용 고전압 발생회로이며, 20은 교류고압전원, 21은 분리용 코로나 방전기, 22와 23은 용지 배출롤러이고, 24는 교류전원이며, 이중 용지두께 발생회로(16)와 정류완충회로(17)와 고압제어회로(18)와 전사용 고압전압 발생회로(19)가 본 고안의 전사 제어장치이다.
한편, 제 3도는 상기 제2도의 전사제어장치의 상세회로도로서 용지 두께검지판(TS)과 저항(R1-R2)과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 회로가 용지두께 신호 발생회로(16)에 대응하고, 다이오드(D1-D2)와 캐패시터(C1)와 저항(R3)과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된 회로가 정류 완충회로(17)에 대응하며, 고압제어회로(18)와 전사용 고압 전원 발생회로(19)로 구성된다.
따라서 교류전원(24)에서 교류전원이 출력하여 용지두께 검지판(TS)의 (C)측에 입력되면(d)와 (c)사이에 전압을 충전하는 동시에 저항(R1)을 통하여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두께 검지판(TS)에서 출력하는 교류전압을 입력한 연산증폭기(OP1)은 증폭저항(R2)을 매개하여 교류전압를 반전증폭출력하여 다이오드(D1)의 애노드(Anode)에 입력시킨다.
이때 증폭된 교류신호를 입력한 다이오드(D1)는 이를 정류하여 볼테지풀로워(Voltage Follower)인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로 출력한다.(이때 캐패시터 C1는 평활개폐 시터 역할을 함)
따라서 연산증폭기(OP2)는 비반전단자(+)로 입력한 정류 신호를 완충하여 고압제어회로(18)로 출력하며, 상기 고압제어회로(18)는 정류신호에 의한 고압제어신호를 전사용 고압전원 발생회로(19)로 출력한다.
따라서 고압제어신호를 입력한 전사용 고압전압 발생회로(19)는 용지 두께에 대응한 전사전류를 출력한다.
한편, 용지반송로(13)를 통해 통상의 용지가 두께 검지판(TS)의 (c)와 (d)사이에 입력되면 두께 검지판(TS)사이 (e)의 유전율이 변화함으로써 정전용량이 변화하여 교류전원(24)에 대한 전류가 감소되어 저항(R1)을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연산증폭기(OP1)는 이를 반전증폭하여 다이오드(D1)로 출력하며, 다이오드(D1)는 용지두께의 전기신호를 정류하여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로 출력한다.
따라서 두께검지판(TS)에 용지가 삽입되면 유전율의 변화로 전류가 감소됨으로써 연산증폭기(OP2)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용지가 삽입되지 않았을때보다 감소되어 고압 전원제어회로(18)로 출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산증폭기(OP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한 고압제어회로(18)는 정류신호전압의 변화에 따른 고압제어 신호를 전사용 고압전원발생회로(19)로 출력하고, 전사용 고압 전원 발생회로(19)는 통상의 용지를 전사할 수 있는 전사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관제엽서 등과같은 두꺼운 용지가 반송로(13)를 통해 두께검지판(TS)에 입력되면 유전율이 더욱크게 변화하며 이로인해 전류전압은 더욱 감소되며 고압제어회로(18)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고압제어회로(18)는 통상의 용지보다 큰 전사가 될수 있도록 고압제어신호를 전사용 고압전원 발생회로(19)로 출력하여 제어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사제어장치를 사용한 제2도의 개략도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교류전원(24)이 두께신호발생회로(16)로 입력되는 상태하에서 반송롤러(12)가 회전하면 급지트레이(10)안에 놓여 있는 용지(11)가 용지반송로(13)를 통해 삽입되고 이로인해 PF롤러(14)(15)가 롤링하여 용지(10)를 제3도에서 전술한 두께 검지판(TS)을 거쳐 전사위치(b)로 출력한다.
이때 노광램프(1)가 원고(2)를 조사하면 원고(2)의 광상은 제1반사거울(3)과 광학랜지(4)와 제2반사거울(5)을 통해 회전하는 감광드럼(6)상의 노광위치(a)에 노광된다.
한편, 대전용 코로나대전기(7)는 회전하는 감광드럼(6)으로 일정하게 코로나 방전을 하여 감광체드럼(6)을 양전하(+)로 대전시킨다.
따라서 회전하는 감광체드럼(6)의 노광위치(a)에는 원고(2)와 동일한 화상의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이 정전잠상은 현상장치(6)안에서 음전하(-)로 대전된 토너(Toner)에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감광체드럼(6)의회전으로 인해 전사위치(b)로 이동된다.
또 한편, PF롤러(14-15)의 롤링으로 인해 용지가 삽입된 두께신호 발생(16)은 제3 도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용지 두께에 따라 두께 검지판(TS)의 유전율이 변화하며 이로인해 용지의 두께가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정류완충회로(17)로 출력한다.
상기 두께 신호발생회로(16)에서 출력되는 용지두께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한 정류 완충회로(17)는 이를 정류하여 완충 후 두께 검출회로(18)로 용지두께에 상응한 정류신호를 입력시킨다.
이때 정류신호를 입력한 고압제어회로(18)는 정류전압을 감지하여 고압제어신호를 전사용 고압전원 발생회로(19)로 출력하면, 고압제어신호를 전사전류 제어신호로 입력한 전사용 고압전원 발생회로(19)는 정상적인 전사전류(정상적인 고압)을 전사용 코로나 방전기(9)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전사용 고전압 발생회로(19)에서 출력되는 정상의 전사전류를 입력한 전사용 코로나 방전기(9)는 코로나 방전을하며 이로인하여 전사위치(b)로 입력된 용지(11)에는 감광드럼(6)에 가시광으로 형성된 원고의 화상이 전사되어 지는 동시에 반송로(13)를 통해 분리용 코로나 방전기(21)의 상측을 통과한다.
한편, 분리용 코로나 방전기(21)는 교류고압전원(20)에서 출력되는 고압에 의해 방전하여 감광드럼(6)과 용지(11)를 분리하는 동시에 전사된 가시광의 흩어짐(Smearing)을 방지한다.
상기 분리용 코로나 방전기(21)의 방전 작용에 의해 분리된 용지(11)는 다시 반송로(13)를 통해 반송되어 배출롤러(22-23)의 롤링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배출 트레이로 배출된다.
한편, 관제엽서등과 같은 두꺼운 용지가 반송로(13)를 통해 두께 신호 발생회로(16)의 두께검지판(TS)에 입력되면 전술한 바와같이 두께 검지판(TS)의 유전율이 통상의 용지가 삽입되었을시 보다 더욱 크게 변화되어 교류전원(24)에 의한 전류가 더욱 감소됨으로써 정류신호 또한 감소되고 이로인해 고압제어회로(18)는 정류전압에 대응한 고압제어신호를 전사용 고압전압 발생회로(19)로 출력한다. 이때 전사용 고압전압 발생회로(19)는 통상의 용지가 삽입되었을때보다 더 큰 전사가 되도록 두께 용지에 적절한 전사전류를 전사 코로나 방전기(9)에 가하므로써 용지(10)가 전사위치(b)를 지날때 가시상의 전사가 양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용지 두께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전사전류를 용지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키므로써 가시상의 정확한 전사를 할 수 있는 동시에 복사를 하는 용지의 선택 범위가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감광드럼에 형성된 가시광을 전사하는 전사제어장치에 있어서, 롤링되어 삽입되는 용지의 두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수단(16)과, 상기 수단(16)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정류완충 출력하는 정류수단(17)과, 상기 정류수단(17)에서 완충출력하는 정류전압을 입력하여 용지 두께에 대응한 고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압제어회로(18)과, 상기 고압제어회로(18)에서 출력하는 고압제어신호에 의해 전사전류를 발생하는 전사용 고압전원 발생회로(19)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2019860012440U 1986-08-18 1986-08-18 전사 제어장치 KR900006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40U KR900006526Y1 (ko) 1986-08-18 1986-08-18 전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40U KR900006526Y1 (ko) 1986-08-18 1986-08-18 전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89U KR880004989U (ko) 1988-05-11
KR900006526Y1 true KR900006526Y1 (ko) 1990-07-26

Family

ID=1925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440U KR900006526Y1 (ko) 1986-08-18 1986-08-18 전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5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89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73383A (ja) 画像形成方法
JPS61155168A (ja) コピーシートの水分含有量の検出器
GB2062545A (en) Transferring electrophotographic toner images
JPS6186672A (ja) 紙通路用光学センサ装置
JPH0434563A (ja) 画像形成装置
US620529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whether transfer member should be constant-current-controlled or constant-voltage-controlled is selected depending on thickness of transfer material
JP3681831B2 (ja) 画像形成装置
US560850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evice to measure a resistance of a transfer sheet
US6493523B2 (en) Capacitance and resistance monitor for image producing device
US4572650A (en) Size detecting device of a copy document suitable for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US4341456A (en) Transfer system for a xerographic reproduction machine
US3882308A (en) Detection system for superposed sheets
GB2133942A (en) Protection for a photocopier corona device
KR900006526Y1 (ko) 전사 제어장치
JPH05313517A (ja) 画像形成装置
JPS59149377A (ja) 転写材の分離方式
JPS6056750A (ja) シ−ト状物の検知装置
JPS6321184B2 (ko)
JPH07253691A (ja) 画像形成装置の画質補償装置
JPS60142370A (ja) 転写装置
JP380335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190381A (ja) 転写コロナ放電制御装置
JPH0480771A (ja) 画像形成装置
JPS5940674A (ja) 複写機の転写装置
JPS61197348A (ja) 紙葉体重送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