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069B1 -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069B1
KR900006069B1 KR1019870013567A KR870013567A KR900006069B1 KR 900006069 B1 KR900006069 B1 KR 900006069B1 KR 1019870013567 A KR1019870013567 A KR 1019870013567A KR 870013567 A KR870013567 A KR 870013567A KR 900006069 B1 KR900006069 B1 KR 900006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arm
extruder
outl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035A (ko
Inventor
로에더 게오르그
모엑크 게르하트
크루엑켈 페터
Original Assignee
쉬반-스타빌로 쉬반호이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한스 요하임 호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반-스타빌로 쉬반호이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한스 요하임 호프만 filed Critical 쉬반-스타빌로 쉬반호이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88000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5Pen-lik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05B11/1026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the piston being deformable and its deformation allowing opening of the outlet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도포장치의 투약펌프장치를 확대한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테이너 11,19 : 배출구
12 : 투약펌프장치 16 : 유입구
17 : 압출기 18 : 관
20 : 도포요소 21 : 작동요소
21a,21b : 아암 22 : 케이스
23 : 받침점 24 : 신장부
27 : 결합설비 28 : 날개
29 : 보스 30 : 스터드
34 : 피스톤 38 : 비복귀밸브
40 : 슬리이브 46 : 칼라
48 : 압력평형관 52 : 통기관
본 발명은 (a) 점성물질 특히 손톱니스로 채워진 세장 컨테이너를 갖는 케이스와; (b) 점성물질을 위한 도포요소 특히 연필형 브러시와; (c) 컨테이너로부터 도포요소로 점성물질의 인도를 위한 관을 구비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고, 컨테이너의 배출구와 관의 유입구사이에 있는 제어밸브는 도포요소에 가까이 있으며 도포요소의 축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작동요소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도포장치는 예를들면 영국특허 명세서 GB-A-531 741에 공지되어 있다. 이 도포장치에서 밸브는 푸시버튼에 의해서 원통공간에 있는 도포요소의 축에 가로로 이동가능한 피스톤이다. 피스톤은 바람직하게 될 때 서로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된 유입구 및 배출구와 함께 정렬될 수 있는 포오트를 구비한다. 따라서 유입구와 배출구는 동시에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개구들이 개방되어 있는 한 컨테이너의 내용물은 빠져나올 수 있다. 이 도포장치에서 도포요소로 인도되는 양은 한편으로 컨테이너에 있는 각각의 압력에 좌우되고 다른 한편으로 푸시버튼으로 작동되는 제어밸브의 개방시간에 좌우된다.
실제로 푸시버튼의 작동주기가 다양하여 한 작동마다 다른 양들이 도포요소로 인도된다. 그러나 도포요소는 도포요소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해 너무 적지않게 또 도포요소로부터 흘러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너무 많지 않게 작동마다 같은 양을 항상 수용하게 되어 있다.
독일 특허 명세서 DE-B-13 02 372에는 유입구와 배출구사이의 축방향에서 이동가능한 펌핑요소를 구비한 투약펌프장치(트러스트 피스톤펌프)가 공지되어 있고, 이것은 송출관이 신장되는 축방향 압축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런 투약펌프장치는 예를들면 안에 담겨진 물질을 뿌리기 위해 약병에 장착된다. 그러나 투약펌프장치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에서 서로서로 뒤에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펌핑요소가 도포장치의 축방향에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이런 투약펌프장치는 상기의 최초에 언급한 종류의 도포장치에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축방향에 있는 투약펌프장치의 작동요소의 조작은 필기구와 같이 손으로 잡아야 하는 손톱니스용 도포장치의 경우에 매우 불편하다. 도포요소의 손상위험 때문에 도포요소의 억압에 의한 투약펌프장치의 작동은 프라이오리(priori)를 방해한다.
독일 실용신안 명세서 85 15 618은 페이스트의 도포를 위한 도포장치를 기술하며, 여기서 도포장치는 페이스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급탱크를 가진 케이스를 구비하고, 추진 가스용기는 공급탱크로부터 페이스트를 밀어내기 위해 공급탱크뒤에 배열된다. 추진가스용기는 도포요소의 축에 가로로 이동가능한 푸시버튼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어밸브를 구비한다. 이런 푸시버튼은 램프를 거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브와 협동한다. 추진가스의 사용이 환경에 유해하다는 사실은 별개문제로 하고 포시버튼을 작동시키기 위한 필요동력은 비교적 크다. 왜냐하면 이동통로가 도포장치로부터 너무 멀리 돌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짧아야만하고 램프들사이에 비교적 높은 수준의 마찰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짧은 이동통로는 페이스트의 인도가 정도있게 투약될 수 없다는 결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간단한 처리로 점성물질의 한정된 양을 정확한 투약으로 인도할 수 있는 것으로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 손톱니스와 같은 점성물질로 채워진 컨테이너; 이런 점성물질을 위한 도포요소; 이런 점성물질을 컨테이너로부터 도포수단에 인도하기 위한 것; 관의 유입구와 컨테이너의 배출구사이에 있으며 도포요소의 가까이에 있는 작동요소에 의해서 작동가능하고 도포요소의 축에 가로로 이동가능한 제어밸브로 이루어진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어밸브가 투약펌프장치에 통합되고 이 투약펌프장치는 컨테이너의 배출구에 연결된 유입구, 관의 유입구에 연결된 배출구, 도포요소를 점성물질을 인도하기 위해 관이 위치되는 장치내에 축방향 압출기에 의해서 도포장치의 축방향에 있는 유입구와 배출구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있는 펌핑요소를 구비하며; 작동요소는 작동요소의 더 긴 아암이 도포장치의 축에 가로로 이동할 때 압출기가 투약펌프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더 짧은 아암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도포장치의 케이싱에 힌지되고 L형상의 레버로 설계된다.
상기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도포장치에 있는 공지의 투약펌프장치의 사용 때문에 도포장치로 한정된 양을 인도할 수 있다. 단 한번의 완전한 도포요소의 억압은 점성물질 예를들면 손톱니스의 소정량을 인도하며, 이 소정량은 손톱하나를 칠하기에 충분히 많은 양이다. 도포장치가 필기구같이 손에 쥐어질 수 있고 도포요소가 엄지손가락에 의해 쉽게 또 정밀하게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램프에 의해 압출기와 협동하는 푸시버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L형상의 레버는 긴 레버통로 때문에 작동력이 작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포요소의 실질적으로 더 긴 작동통로가 압출기의 작은 이동을 필요로하고 이에 따라 제어밸브가 작은 개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긴 레버통로는 또한 양호한 투약을 가능하게 한다. 도포요소는 예를들면 단지 중간정도만 억압될 수 있다.
L형상 도포요소의 받침점은 짧은 아암의 자유단에 적절히 위치된다. 이것은 받침점이 L형상 레버의 짧은 아암과 긴 아암사이의 접합지점에 위치되는 경우보다 더 긴 레버통로를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 L형상의 작동요소의 긴 아암은 도포장치의 케이스를 에워싸는 날개를 측면에 구비한다. 한편으로 이들 날개는 도포요소의 안내를 거들고, 다른 한편으로 이들 날개들은 도포장치의 케이스와 작동요소의 긴 아암 사이의 공간으로 불순물의 침투에 대항하여 보호한다. 또한 날개들은 도포장치에 더 좋은 외관을 제공한다.
날개의 내측부에서 도포장치의 케이스에 있는 대응하는 리세스와 협동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설계는 손톱니스 도포장치의 사용자에게 도포요소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투약을 손쉽게 하는 정도의 감각을 제공한다. 특히 이런 특징은 작동요소의 완전히 억압된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투약펌프장치를 이미 완전하게 작동하였는지 또는 작동하지 않았는지를 사용자가 명확히 감지하도록 날개의 내부측에 있는 한 보스는 도포장치의 케이싱에 있는 리세스에 탄력성있게 결합될 수 있다. 리세스에 보스의 결합은 "클릭효과"를 만들도록 소리의 발생을 겸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요소의 짧은 아암은 양측에 있는 압출기를 에워싸고 압출기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상에서 지탱된다. 이 설계는 힘의 평형을 확실하게 하고, 이에따라 양호한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강한 특성으로 두드러진다. 작동요소의 긴 아암이 억압될 때 압출기의 반경방향스터드는 포오크형상의 짧은 아암을 경유하여 힘을 받고, 압출기는 이것과 함께 이동된다.
더욱이 예를들면 환상설계에서 작동요소의 짧은 아암이 바람직하게 압출기를 아래로부터 에워싸고 한쌍의 결합요소와 협동하는 포옹부품에서 결합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압출기는 예를들면 작동요소를 경유하는 작동이 예정될 때 도포요소의 뒤로 부주의한 푸싱에 의해 압출기를 경유하는 투약펌프장치를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에서 정지된다.
힘을 받지 않는 위치에서 작동요소를 정지시키기 위해 커버캡이 도포요소를 보호하도록 도포장치상에 장착되고, 더욱이 긴 아암은 바람직하게 L형상의 작동요소의 긴 아암과 짧은 아암 사이의 접합지점에서 연장부를 가질 수 있고; 이 긴 아암은 점성물질을 도포요소의 우연한 공급과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캡의 슬롯에 결합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 더 명백할 것이다.
손톱니스용 도포장치는 관형 컨테이너(10)를 구비하며, 이 컨테이너의 배출구(11)에는 투약펌프장치(12)가 삽입된다. 투약펌프장치의 유입구는 참조번호 16이다. 제1도에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펌핑요소는 도포장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압출기(17)에 의해서 작동되며, 이 압출기내에는 투약펌프장치(12)의 배출구(19)와 연통하는 도포요소(20)(이 경우에서 연필형브러시)로 인도되는 관(18)이 신장된다.
압출기(17)는 펌핑요소를 작동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압출기는 L형상의 작동요소(21)에 의해서 이동되고 도포장치의 케이스(22)의 한 단부에 힌지되며; 컨테이너(10)는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22)의 다른 단부에 나사고정된다.
제1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L형상의 레버의 받침점(23)이 환상으로 있는 짧은 아암(21b)의 자유단부에 위치하여서 압출기(17)가 통하여 지날 수 있다. L형상의 작동요소(21)의 안정위치에서 도포장치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신장된 짧은 아암(21b)과는 현저히 달라서 L형상의 작동요소(21)의 긴 아암(21a)은 포도장치의 축에 단지 약간 경사져 신장되고 짧은 아암(21b)과의 접합지점에서 신장부(24)를 구비하고, 이 신장부는 작동요소(21)의 안정위치에서 또 커버캡(25)이 장착될 때 커버캡의 슬롯(26)에 결합되어서 작동요소(21)가 정지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아래로부터 압출기(17)를 에워싸는 짧은 아암(21b)의 그 부품상에서 결합돌출과 협동하는 예를들면 압출기(17)에 있는 결합 리세스의 형태로 아래에서부터 압출기(17)를 에워싸는 짧은 아암(21b)의 부품에서 다른 정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결합설비(27)는 작동요소(21)의 안저위치에서 커버캡(25)이 나사풀림될 때 압출기(17)가 더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투약펌프장치(12)가 도포요소(20)의 부주의한 억압에 의해서 작동될 수 없게 하는 것을 확실히 한다. 이 멈춤설비는 작동요소(21)가 억압되어 투약펌프장치(12)가 작동될 수 있을 때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작동요소(21)의 긴아암(21a)을 도포장치의 케이스(22)와 긴 아암(21a)사이의 공간으로 불순물의 침입을 주로 방지하기 위해 도포장치의 케이스(22)를 에워싸는 날개(28)를 양측에서 구비한다 : 또한 날개들은 시각적인 외관을 향상시킨다. 한 날개의 내부측에서 또는 양날개의 내부측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보스(29)는 케이스(22)의 외측에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리세스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고 감촉에 의해서 이미 억압된 작동요소의 범위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보스가 작동요소의 전체 작동을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투약펌프장치의 전체 작동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한 보스가 들을 수 있는 "클릭효과"를 얻는 방식으로 보스와 리세스를 설계하는 것이 적절하다.
필요시 플라스틱 재료가 충분한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가 도포장치의 구조에 바람직한 재료이다. 받침점(23)은 예를들면 도포장치의 케이스(22)에 있는 대응하는 리세스에 결합하도록 작동요소(21)의 짧은 아암(21b)에서만 굵게 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투약펌프장치는 압출기(17)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34)를 구비하고, 이 피스톤(34)은 압출기(17)에 대항하여 피스톤을 미는 스프링(36)에 의해 압출기(17)로부터 먼 단부에서 지지된다. 유입구(16)의 가까이 있는 투약펌프장치의 이 단부에서 볼밸브형태로 있는 비복귀밸브(38)가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스톤(34)은 탄성 슬리이브(40)로 에워싸고, 이 슬리이브는 압출기(17)상에 지지되며 압출기(17)에 맞은편의 단부에서 피스톤(34)를 위한 원통공간의 내부벽(42)상에 있다.
더욱이 제2도에 도시한 안정위치에서 슬리이브는 원통공간의 내부벽(42)에 접하는 단부와 압출기(17)상에 지지되는 단부사이에서 피스톤을 에워싸는 칼라(46)상의 시이팅(44)에 있다. 시이팅(44)은 컨테이너(10)로부터 도포요소(20)로 손톱니스의 인도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구성한다. 손톱니스는 유입구(16)를 경유하여 비복귀밸브(38)를 지나서 원통공간의 내부벽(42)과 피스톤(34)사이로 흐르고, 슬리이브(40)가 칼라(46)로부터 이격되면 시이팅(44)을 지나고, 슬리이브(40)와 피스톤(34)의 몸체사이에서 벨과 같은 방식으로 피스톤(34)을 에워싸는 압출기(17)로 지나가며 관(18)으로 송출된다.
제2도에서 압출기(17)가 우측을 향하여 밀리면 슬이이브(40)뿐만 아니라 피스톤(34)은 스프링(36)의 힘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밀리고, 비복귀밸브(38)와 시이팅(44)사이의 액체는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비복귀밸브(38)는 자동적으로 폐쇄위치에 있다. 어느정도의 액체압축후 탄성 슬리이브(40)는 칼라(46)로부터 분리되고, 즉 제어밸브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며 압축유체가 송출관(18)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 설정된 유체의 양이 초기 설정된 압력에서 송출되고, 이 초기설정된 양의 송출후 다시 제어밸브는 자동적을 폐쇄되고, 스프링(36)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슬리이브(40)와 압출기(17)로 피스톤(34)을 편의시킨다.
컨테이너(10)로부터 액체가 더 덜어짐에 따라 컨테이너(10)의 압력이 감소되어서, 결국에는 특별한 압력 평형조처가 취해지지 않으면 외부압력이 너무 높아서 액체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된다. 적절한 경우에서 이들 조치는 투약펌프장치(12)의 케이스와 압출기(17)사이에 위치된 압력평형관(48)으로 형성되고 도포요소에 액체의 인도를 제어하는 동일한 제어밸브로 제어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정위치에서 슬리이브(40)는 피스톤(34)의 칼라(44)뿐만 아니라 투약펌프장치의 케이스에 대항하여 맞은편에 기대고 있다. 따라서 안정위치에서 즉 도포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압력평형관(48)은 폐쇄된다. 제2도에서 피스톤(34)이 비복귀밸브(38)와 시이팅(44)사이의 액체를 압축하기 위해 우측을 향하여 밀릴 때 슬리이브(40)가 칼라(46)로부터 분리되기전에 제어밸브는 바람직하게 압력평형관(48)을 개방하고, 이에 따라 도포요소로 액체의 인도가 자유로이 된다. 따라서 압력평형이 사전에 행해진다. 압력평형관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구역은 참조번호 50으로 가리킨다.
밸브영역(50)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투약펌프장치의 케이싱에서 시작되는 통기관(52)으로 지나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복귀밸브(58)로 폐쇄되는 단부를 갖는 튜브렛(54)으로써 계속된다. 이 비복귀밸브(58)는 도포액체가 압력평형관(48)이나 통기구역(50)으로 지나지 않도록 방지하고 가령 태양의 가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컨테이너의 과다압력의 경우에 통기관을 막아서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격리펌프장치는 독일 특허 명세서 DE-B-1 302 372에 공지되어 있다.
더욱이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압출기(17)는 맞은편에 반경방향 스터드(30)를 구비하며, 이 스터드는 투약펌프장치(12)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압출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압출기(17)를 에워싸는 짧은 아암(21b)의 측면부품과 협동한다.

Claims (8)

  1. 케이싱과; 손톱니스와 같은 점성물질로 채워지며 배출구를 구비한 세장 컨테이너와; 점성물질을 위한 도포요소와; 컨테이너로부터 도포요소로 점성물질을 인도하기 위해 컨테이너와 도포요소를 연통시키고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관과; 컨테이너의 배출구와 관의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도포요소의 축에 가로로 이동가능하며 도포요소에 가까이 있는 작동요소로 이루어지며; 투약펌프장치가 관의 유입구에 연결된 배출구와 컨테이너의 배출구에 연결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밸브가 상기 투약펌프장치에 일체로 되며; 더욱이 상기 투약펌프장치가 도포장치의 축방향에서 투약펌프장치의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펌핑요소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투약펌프장치가 축방향압출기를 포함하고, 이 압출기내에는 도포요소를 점성물질의 인도를 위한 관이 위치되며; 상기 작동요소가 더 긴 아암과 더 짧은 아암을 구비한 L형상의 레버로써 설계되고; 작동요소의 더 긴 아암이 도포장치의 축에 가로로 이동될 때 축방향 압출기가 투약펌프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더 짧은 아암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힌지수단이 도포장치의 케이싱에서 선회가능하게 작동요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L형상의 작동요소가 상기 짧은 아암의 자유단에 위치된 받침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L형상의 작동요소의 더 긴 아암에 측면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날개가 작동요소의 케이싱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날개들중 한 날개의 내부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스와 협동하기 위해 도포장치의 케이싱에 있는 대응의 리세스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작동요소의 짧은 아암이 양측에서 압출기를 에워싸고, 압출기가 상기 에워싸는 짧은 아암과 결합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작동요소의 짧은 아암이 긴 아암으로부터 먼 상,하 측면에서 압출기를 에워싸고, 상기 짧은 아암이 에워싸는 부품에서 결합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축방향 압출기가 짧은 아암의 결합요소와 협동하는 한쌍의 결합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도포장치의 보호하는 커버캡이 도포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캡이 슬롯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긴 아암이 L형상의 작동요소의 긴 아암과 짧은 아암 사이의 접합지점에서 시작되는 신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요소가 연필형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KR1019870013567A 1986-12-04 1987-11-30 도포장치 KR900006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641392.5 1986-12-04
DE3641392A DE3641392C1 (de) 1986-12-04 1986-12-04 Auftragsgera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035A KR880007035A (ko) 1988-08-26
KR900006069B1 true KR900006069B1 (ko) 1990-08-22

Family

ID=631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567A KR900006069B1 (ko) 1986-12-04 1987-11-30 도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10124A (ko)
KR (1) KR900006069B1 (ko)
DE (1) DE3641392C1 (ko)
FR (1) FR2607732B1 (ko)
GB (1) GB2200041B (ko)
IT (1) IT12115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6095A1 (de) * 1987-10-24 1989-05-03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Auftragsgeraet
DE3820184A1 (de) * 1988-06-14 1989-12-21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Auftragsgeraet fuer eine viskose, vorzugsweise kosmetische masse
DE19617777A1 (de) * 1996-05-03 1997-11-06 Ahrens Hans Joachim Korrekturkuli mit verschiedenen Strichbreiten
JPH11206453A (ja) * 1998-01-20 1999-08-03 Ikeda Bussan Kk サイドノック式容器
US6623201B2 (en) * 2000-09-08 2003-09-23 John Francois Brumlik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AU2003900110A0 (en) * 2003-01-10 2003-01-23 Pariece Pty Ltd Nail polish applicator
KR200338799Y1 (ko) * 2003-09-08 2004-01-24 변영광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US20090311036A1 (en) * 2008-06-12 2009-12-17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Dispensing device for consumer products
KR200456236Y1 (ko) * 2008-12-16 2011-10-20 주식회사 하나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WO2015171148A1 (en) * 2014-05-08 2015-11-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36A (en) * 1910-11-22 1911-10-03 Bedros M Terzian Fountain blacking-brush.
GB122784A (en) * 1918-07-08 1919-02-06 William Ingram An Improved Brush for Applying Varnishes and like Substances.
US1376702A (en) * 1920-06-24 1921-05-03 Miles M Kellogg Fountain paint-brush
US1700807A (en) * 1927-01-25 1929-02-05 Dannie E Newton Dispensing device
GB480873A (en) * 1936-09-18 1938-03-28 Aero Brush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supplying paints and other liquids to surfaces
GB531741A (en) * 1939-08-01 1941-01-09 Clairol N V Improvements in devices for the dyeing and bleaching of human hair
US2417370A (en) * 1944-12-13 1947-03-11 Diagraph Bradley Stencil Machi Fountain brush
US2642607A (en) * 1950-03-06 1953-06-23 Delbert J Bozzalla Charge ejecting nail polish applicator
US2715236A (en) * 1953-04-07 1955-08-16 Tereno Jack Liquid ejector and applicator
DE1302372C2 (de) * 1967-01-17 1978-06-08 Pfeiffer Zerstäuber-Vertriebsgesellschaft mbH & Co KG, 7760 Radolfzell In einem gefaess eingebaute einfachwirkende handbetaetigte schubkolbenpumpe
US3603694A (en) * 1969-11-10 1971-09-07 Ronald D Hamm Device for feeding paint to a painting brush
US3883253A (en) * 1972-03-03 1975-05-13 Pentel Kk Mechanical pencil
US4132359A (en) * 1976-04-09 1979-01-02 Yoshino Kogyosho Co., Ltd. Manually operative atomizer
US4640638A (en) * 1983-03-24 1987-02-03 Sani-Fresh International, Inc. Cleaning system
DE8515618U1 (de) * 1985-05-28 1985-07-11 Alpina Plast AG, Eichberg, St. Gallen Gerät zum Auspressen und Auftragen von Pas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07732A1 (fr) 1988-06-10
US4810124A (en) 1989-03-07
FR2607732B1 (fr) 1990-04-13
GB2200041A (en) 1988-07-27
DE3641392C1 (de) 1988-05-26
GB8727653D0 (en) 1987-12-31
IT8768037A0 (it) 1987-12-01
IT1211572B (it) 1989-11-03
KR880007035A (ko) 1988-08-26
GB2200041B (en) 199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1142A (en) Manually operable fluid dispenser
AU722098B2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JP3381917B2 (ja) 媒体用吐出装置
US4175704A (en) Non-aerosol continuous spray dispenser
US4274560A (en) Atomizing pump dispenser
KR900006069B1 (ko) 도포장치
KR101833957B1 (ko) 화장품 디스펜서
HU221949B1 (hu) Billentyűs-szivattyús folyadékadagoló
GB2406330A (en) A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metering chamber
JP2005272015A (ja) 液体の包装兼小出し組立体
CZ153199A3 (cs) Čerpací dávkovač
US5257726A (en) Dispenser for flowable media
AU2002343848B2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fluid, housing for such a dispenser, storage holder destined for placement therein and arrangement for the dosed pumping of a fluid from a fluid reservoir
US4674658A (en) Fluid dispenser
JP2018523617A (ja) スプレーディスペンサ用ポンプ機構
US5405060A (en) Liquid spray device
EP0484615B1 (en) Manually operated pump device for dispensing fluids
BR9609770A (pt) Aplicador de líquidos em partes múltiplas
JP2003523238A (ja) ヘアセッティング装置
US4886186A (en) Paste dispenser
US5361944A (en) Device for the conditioning and the distribution of pasty or liquid products
JPS63170569A (ja) 非絞り型ポンプ組立物
CN103492086B (zh) 流体产品分配泵及包括该泵的流体产品分配装置
US5437398A (en) Media dispenser with isolated pump restoring system
US3788525A (en) Compressed air aspirating and propellant actuated fluid product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