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987B1 - 동전로(銅轉爐)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동전로(銅轉爐)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87B1
KR900005987B1 KR1019860011518A KR860011518A KR900005987B1 KR 900005987 B1 KR900005987 B1 KR 900005987B1 KR 1019860011518 A KR1019860011518 A KR 1019860011518A KR 860011518 A KR860011518 A KR 860011518A KR 900005987 B1 KR900005987 B1 KR 90000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anode
coin
movable memb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164A (ko
Inventor
세이지 모리
마사히로 하야시
유우지 다니오까
스미오 오끼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구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마지마 기미 사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구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마지마 기미 사부로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구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전로(銅轉爐)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의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에서 사용하는 대차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대차장치의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측면도.
제4도는 대차장치에 부착한 레일클 램프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에서 사용하는 푸서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푸서장치의 횡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푸서장치에 조립하여 넣은 옮겨실은 장치의 측면도.
제7a도에서 제7d도까지는, 제7도에 도해한 옮겨실은 장치의 검지 옮겨실은 부분의 작동설명도.
제8도는 제1도의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에서 사용하는 반상(搬上) 컨베이어 장치의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반상컨베이어장치의 단편 측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반상컨베이어장치의 정상부에 장치한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의 단편부분 단면측면도.
제11도는 제1도의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 삽입장치에서 사용하는 슈우트장치의 측면도.
제12도는 전로의 노벽에 마련하여 투입구를 개폐하는 여닫이문 장치의 정면도.
제13도는 종래의 전로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랩 애노우드(scrap anode) 12 : 애노우드랙
14 : 대차(臺車) 장치 16 : 푸서(fusher) 장치
18 : 옮겨싣는 장치 29 : 반상(搬上)컨베이어
22 : 슈우트(chute) 장치
본 발명은, 동전로(copper converter)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동의 용연정제(熔鍊精製)는 동원료(동정광 등)를 용광로, 반사로, 자용로 등에서 처리하는 피(鍍 : 쇠꼬챙이)를 만들고, 이어서 용액피를 전로에 옮긴 다음, 산소를 함유한 공기를 블로우잉하여 금속 등을 정제한다.
이상의 전로(converter)조업은 일반적으로 조피기(造鍍期) 및 제동기(製銅期)의 2분기로 나누어 실시한다. 조피기는 피에 함유하는 철분(Fes)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다)를 공기 블로우잉에 의하여 산화하고, 규산광 등을 첨가함에 따라 슬랙화하여 분리한다.
다음에 정제한 백피(白鍍)(Cu2S)를 다시금 블로우잉하여 금속 구리가 될 때까지 정제한다. 이상의 산화반응은 황화 물속의 유황(S)의 연소반응이며, 발열반응이므로, 노 내용 융물의 용량 온도는 그대로라면 연소되는 황화물량과 용액량에 따라서 계속하여 노체연화를 손상한다. 그래서 통상 전로조업에서는 용량 온도 상승을 어떤 온도 영역에서 머므르게 하기 때문에 피품위(鍍品位), 피량에 따라서 냉재(冷材)를 투입한다.
냉재로서는 통상 각종의 구리를 함유하는 스트랩 류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동정련의 최종 공정인 전해 작업에서 폐기되는 스크랩 애노우드를 냉재로 하여 사용하는 것을 경제상 및 작업상 바람직한 일로 간주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냉재는 전로의 조업전이나 혹은 조업도중의 어느 것으로 몇번에 나누어서 포오트에 정리하여 쌓아 넣어서 기중기로 일괄하여 투입할 수 있으나, 특히 조업도중에 투입의 경우에는 블로우잉을 중단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조피기 및 제동기를 통하 1 배치(batch) 조업시간이 연장되고 따라서 노의 1배치 조업당의 처리량이 결과적으로 감소하여 버린다.
또 전로조업중에 발생하는 유황연소가스(고농도 SO2가스)는 황산공장에 도입되어서 처리되지만, 냉재투입에 있어 전로조업을 중단하였을 경우에는 통상 황산공정에서도 연소가스의 도입을 휴업하기 때문에, 전로에서 SO2함유가스의 누설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누설가스는 탈황설비등으로 흡인처리되지만, 그 처리비는 고가일뿐 아니라, 그대로 탈황처리하지 않으면 환경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나아가서 또 상기한 냉재투입에 의한 중단회수를 가급적 억제하기 위하여는 한번에 냉재를 정리하여 기중기로 투입할 필요가 있으나, 이 냉재가 다량으로 되면 전로내온도가 급상승, 급강하를 반복하여 제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냉재의 투입에 따라 전로조업이 중단하여 결과적으로 1배치조업당의 처리량이 감소하는 것에 착안하여 블로우잉중에 스크랩 애노우드 냉재를 블로우잉을 중단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전로에 투입하여 냉각재투입에 의한 전로처리시간의 연장을 억제함에 있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냉재의 투입에 따라 전로조업이 중단하여 결과적으로 1배치조업당의 처리량이 감소하는 것에 착안하여 블로우잉중에 스크랩 애노우드냉재를 블로우잉을 중단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전로에 투입하여 냉각재투입에 의한 전로처리시간의 연장을 억제함에 있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상기한 바 냉재투입에 의한 블로우잉의 중단회수를 감소하고 이에 따라 누설가스의 량을 감소하여 그 처리작업을 저감함과 함께 결과적으로 작업환경을 개선함에 있다.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냉재의 일괄투입에 의한 전로내온도의 급상승 및 급강하를 방지하도록 냉재를 블로우잉하는 동안 균일하게 투입하도록 함에 있다.
이와 같이 냉재가 균일하게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탕온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쉽고 이에따라 노체연와의 손상이 경감되어, 전로의 수명이 연장된다고 하는 부차적효과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랩 애노우드를 좋은 효율로 자동적으로 전로에 투입하고 이에 따라 전로의 조업시간을 단축하며, 가스누설을 더욱 저감하도록 억제함과 동시에 나아가서, 노내온도제어를 일정하게 하여 전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동전로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목적을 닿하도록 본 발명은 여러개의 스크랩 애노우드를 수용한 애노우드랙과 이 애노우드랙을 싣고 일정위치까지 이동하는 대차와 이 대차상의 애노우드랙으로부터 스크랩 애노우드를 1장씩 순차로 밀어내는 추진장치(pusher device)와, 이 추진장치로 밀어낸 스크랩 애노우드를 1장씩 순차 동전로의 투입구 근처까지 뻗어 있는 반상콤베이어위에 이송하는 이재 장치와 반상콤베이어의 동전로 투입구 가까이 끝에 마련한 투입슈우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삽입장치를 제공함에 이르렀다.
제1도를 참조하여 여기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삽입장치는, 여러 개의 판상의 스크랩 애노우드(10)를 장전한 애노우드랙(12)을 실은 대차장치(14)와 이 대차장치(14)상의 애노우드랙(12)으로부터 스크랩 애노우드(10)를 1장씩 순차 밀어내는 추진장치(16)와, 밀어낸 스크랩 애노우드(10)를 잡고 이동시키는 옮겨싣는 장치(18)로부터 스크랩 애노우드를 하단에서 받은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반상콘베이어장치(20)와, 반상콘베이어장치(20)의 상단에 인접하여 마련하고, 반상콘베이어장치(20)로부터 스크랩 애노우드를 받아서 전로(1)에 투입하는 투입 슈우트 장치(22)를 포함하고 있다.
제2도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차장치(14)는 가늘고 긴 차체(24)와 이 차체에 부착한 여러개의 차륜과를 포함하고 있다. 도해한 실시예에서는 차륜은 2개의 구동균(26)과 6개의 종동륜(28)과 2개의 보조륜(30)으로 되어 있다. 이것들 차륜이 레일(32)(제1도, 제3도, 제4도, 참조)위에 실려있어 대차장치(14)가 레일(32)에 잇따라서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륜(26)은 차체(24)상에 배치한 사이클로 감속기를 부착한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모우터(34)의 회전축에 굳게 부착한 평기어(spur gear)(36)는 평기어(38)와 맞물려 있으며, 이 평기어(38)는 차체(24)를 가로질러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그 위에 베어링(40)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횡축(42)에 핀(44)으로 고정되어 있다. 횡축(42)의 양단에는 각기 평기어(46)가 핀(48) 고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평기어(46)는 구동륜(26) 동심으로 고정한 평기어(50)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우터(34)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륜(26)이 평 (36)(38),(46),(50)를 개재하여 회전구동되어 대차장치(14)가 이동하게 된다.
모우터(34)에의 전기는 전동식 감기통(motor driven winding drum)(52)에 감겨지는 케이블(도면에 없음)을 개재하여 공급하게 되고, 대차장치(14)가 이동하여도 케이블은 항상 느슨해지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더우기, 차체(24)상에는 잘알려진 무정전장치(54), 제어반겸조작반(56)도 배치하고 있다.
도해한 실시예에서는 대차장치(14)상에 7개의 애노우드랙(12-1),(12-2),(12-3),(12-4),(12-5),(12-6),(12-7)이 실려있으며, 각 애노우드랙(12)에는 주지하는 구조의 편상스크랩 애노우드(10)가 세트되어 있으며, 이것들 애노우드랙(12)은 전련(電鍊)공장으로부터 트럭 등으로 반송되어온다. 대차장치(14)상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포오크리프트에 의하여 애노우드랙(12)을 실을 수 있다. 나아가서, 차체(24)에는 레일클램프장치(60)도 장치하고 있다.
제4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레일클램프장치(60)는 차체(24)를 가로질러서 뻗어있으며, 또한 그 차체위에 베어링(62)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가로방향축(64)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가로방향축(64)에는 평기어(66)가 핀(66')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평기어(66)는 차체(24)상에 설치한 사이크로 감속기 부착모우터(68)의 회전축에 고정한 평기어(70)와 맞물리고 있다.
가로 방향축(64)의 각단부에는 2중나사(좌우나사)(72)가 마련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한쌍의 클램프부재(74)가 맞물려있다.
이것들 클램프부재(74)의 대략 중간의 부분은 차체에 핀(76)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클램프부재(74)의 하단(74A)은 레일(32)의 상부양측면에 걸어맞춤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그리하여 모우터(68)가 회전하면 평기어(70), (66)를 개재하여 가로방향축(64)이 회전하게 되고, 2중나사(72)의 작용으로 클램프부재(74)가 서로 멀어지기도 하고 가까와지기도 하며, 그것들 하단(74A)에서 레일(32)을 끼우기도 하고, 해제하기도 한다.
이렇게 하여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차장치(14)가 푸서장치(16)에 향하여 이동하고, 대응한 애노우드랙(12)을 푸서장치(16)에 정합시킨 다음에, 대차장치(14)를 레일클램프장치(60)를 사용하여 레일(32)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더우기, 레일 클램프장치(60)의 모우터(68)에의 전력 공급도 감기통(winding drum)(52)에 감긴 케이블을 통하여 할 수 있다.
푸서장치(16)는 상자 모양의 프레임(80)을 기니고 있으며, 그 수직부분(82)은 바닥(84)위에 고정되었으며, 가로 방향부분(86)은 양단을 수직부분(82)의 정상부에 고정하고 있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도해한 실시예에서는 푸서장치(16)는 프레임의 가로 방향 부분(86)내에 배치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보올 나사(88)도 포함하였으며, 이들 보울나사(88)에는 각기 푸서부재(90)가 나사 맞춤되어 있다.
각 보올나사(88)의 일단에는 스프로킷(9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스프로킷(92)은 체인(94)을 개재하여 사이클로 감속기 부착모우터(96)의 회전축에 고정한 대응 스프로킷(98)과 구동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모우터(96)에 힘을 가함에 따라서 보올나사(88)가 회전하고 그 회전방향에 따라서 푸서부재(90)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더우기, 푸서부재(90)를 원활하게 이동시킴과 동시에 보올나사(88)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방향 프레임부분(86)에 슬라이드레일(100)을 마련하고, 각 푸서부재(90)의 상부(90A)의 측면에 마련한 시프트테이블(102)을 이러한 슬라이드 레일(100)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반대의 배치였어도 좋다.
더 나아가서 보울나사(88)위에 축적하는 먼저등을 제거하도록 각 푸서부재(90)의 상부(90A)에 브러시와이퍼(104)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푸서장치(16)의 가로방향 프레임부분에는 옮겨실은 장치(18)도 장착되어 있다.
이 이재장치(18)는 제7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프레임부분(86)에 들이워져 있으며, 또한 지지축(18a)에 기울어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한쌍의 실린더(100)(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내고 있다)를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110)의 피스톤로드의 외단(112)에는 옮겨실는 집게장치(114)가 부착되어 있다. 옮겨실는 집게장치(114)는 애노우드와 걸어맞춤하는 2가닥으로 분리된 집게부분(116)을 지녔으며, 집게부분(116)에는 축(116a)을 개재하여 흔들이(118)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흔들이(118)는 그 자체의 무게때문에 통상시에는 아래쪽으로 기우러진 상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실린더(110)도, 그 피스톤 로드외단(112)에 무게가 있는 옮겨실는 집게장치(114)가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측이 아래쪽으로 기우러져 있다.
애노우드그립 검지장치는 흔들어(118)가 집게부분(116)에 상대적으로 회동하였을 때에 애노우드 1장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옮겨실는 장치(18)가 그 피스톤(11)을 작동시켜서 1장씩 애노우드를 앞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옮겨 싣는 집게장치(114)의 애노우드 1장씩을 검지하기 위한 동작을 제7a도에서 제7d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대차장치(14)상의 여러 개의 애노우드랙 중의 예컨데 애노우드랙(12-1)이 푸서장치(16)와 정합한 상태에서 푸서장치(16)가 애노우드군을 옮겨실는 장치(18) 쪽으로 밀어낸다.
이 때문에 애노우드는 제7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애노우드랙(12-1)의 상단에 마련한 한 쌍의 렉레일(12A)위의 미끄러진다. 선두의 애노우드랙에 렉레일(12A)위에 형성된 비스듬히 위쪽으로 융기하는 캠면(12B)의 정상부에 도달하였을때에 푸서장치(16)의 동작이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비스듬히 상방으로 향한 캠면(12B) 때문에 일련의 애노우드의 상부는 인접한 애노우드에 관하여 서로 단차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옮겨실는 장치(18)의 실린더(110)가 동작하여 피스톤로드를 안으로 끌어넣는다. 이 동작에서 집게부분(116)의 하부집게(116A)의 하단이 선두의 애노우드의 상부에 잇따라 더욱 그위를 미끄려진다.
이어서 하부집게(116A)는 계속적인 피스톤로드의 끌어당김에 의하여 다음의 후방의 애노우드의 상부에로 낙하한다. 이 때문에 집게부분(116) 전체가 하강하지만 한편 흔들이(118)는 그 하면이 선두의 애노우드의 상부에 닿기 때문에 낙하를 저지하므로 축(116a)의 둘레를 집게부분(116)에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집게부분(116)에 장착된 검지기(120)가 이 때문에 여기(enrgization)된다. 검지기(120)는 신호를 발신하여 실린더(110)의 끌어당기는 동작이 정지된다. 이 직후에 옮겨실는 장치(18)는 실린더(110)를 반전동작시켜 피스톤로드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집게부분(116)의 하부집게(116A)는 선두애노우드의 후면을 밀어서 애노우드의 이송을 하게 된다.
이 동작단계의 반복에 따라 차례차례로 그리고 한장한장 애노우드를 옮겨실게 된다. 더우기 검출기(120)는 포토센서등을 사용하는 광학식의 것이라도 좋으나,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는 기계적인 것이라도 좋다.
이상에 따라 애노우드는 통상의 경우 1장 1장의 확실하게 옮겨실을 수 있으나 어떠한 이유로 애노우드의 상부의 단차가 적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차가 없을 경우 이상의 옮겨실는 집게장치(114)의 구성만으로는 애노우드랙의 2중잡이(doublegripping)가 발생하여 즉 확실하게 1장1장 애노우드가 검지되어 옮겨실을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흔들이(118)가 집게부분(116)에 상대적으로 충분한 회전동작을 할 수 없으므로 검지기(120)를 동작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2중안 전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제7a도에서 명료하게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집게부분(116)의 선단에 탄성의 검지막대(120A)를 들이우고, 이 검지막대(120A)와 집게부분(116)의 하부집게(116A) 하단과의 통상적인 간격을 애노우드의 판두께의 2배이하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애노우드랙 상부의 단차가 적고 흔들이(118)가 충분히 회전동작하지 않고 검지기(12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라도, 하부집게(116A) 선단이 애노우드 2장이상을 초월하여 그 상부위를 미끄러지려할때, 제7d도에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두의 애노우드 전체면에 검지막대(120A)가 닿아서 흔들리므로, 이 동작을 예컨데 마이크로스위치등으로 검출하여 옮겨실는 장치(18)의 실린더(110)의 피스톤로드의 기어들어가는 동작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흔들이(118)에 의한 검지기(120)의 동작과 검지막대(120A)에 의한 마이크로스위치 동작의 어느것인가가 발생한 시점에서 실린더(110)에 기어들어가는 동작을 정지하도록하면 2중잡이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특히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반상컨베이어장치(20)는 푸서장치(16)를 연결한 직립부분(130)과 이 직립부분(130)의 정상에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뻗은 경사부분(132)과를 포함한다.
이 반상컨베이어장치(20)는 한쌍의 서로 떨어진 무단컨베이어체인(134)을 지녔으며 이러한 무단컨베이어체인(134)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에서 훅요소(hook element)(136)가 부착되어 있다.
이 훅요소(136)는 직립부분(130)의 푸서장치(16)에 면한곳에 마련한 애노우드받침(138)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옮겨실는 장치(18)에 의하여 애노우드랙(12)으로부터 이 애노우드랙받침(138)에 낙하된 애노우드(10)를 연속적으로 받아서 반상컨베이어장치(20)의 정상단부로 향하여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상컨베이어장치(20)의 경사부분(132)의 상단에는 슈우트 장치(chute device)(22)가 배치하고 있으며 반상컨베이어장치(20)에 의하여 이송되어온 스크랩 애노우드(10)를 받도록 되어 있다.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상컨베이어(20)의 정상부에는 애노우드의 변형, 중량등을 원인으로 하였을때에 발생하는 감아돌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1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감아돌리기 것의 방지장치(140)는 좌우 스프로킷(142)의 안쪽에서 훅(136)와 동일원주상에서 축(144)에 부착한 베어링 내장로울러(146)를 포함하여 훅(136)에 걸린 애노우드(10)를 신속하게 슈우트장치(22) 내에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감아돌리는 것의 방지장치(140) 그 자체는 헤드축(148)에 부착되어 있다.
제1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슈우트장치(22)는 반상컨베이어장치(20)의 정상단부로부터의 낙차와 경사각에 의하여 애노우드가 자체의 무게때문에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애노우드(10)가 반상컨베이어장치(20)에서 이탈하여 슈우트내에 낙하하는 위치는 슈우트(22)의 중심이거나 중심으로부터 반상컨베이어쪽으로 가까워진 위치이면 장애가 없어서 좋다.
슈우트 장치(22)는 내통(150)과 외통(152)으로 되어 있으며, 외통(152)만이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외통(152)의 구동은 슈우트 장치(22)의 프레임(22A)에 고정한 트러니 언브래킷(154)에 회동이 자유롭록 부착한 유압실린더(156)에 의하여 실행한다.
유압실린더(156)는 전진한도 및 후퇴한도의 최대치를 정하는 근접스위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근접스위치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서 외통(152)의 스트로우크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슈우트 장치(22)의 외통(152)이 전로(1)에 향하여 이동하였을때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벽(1A)에 부착한 개폐문(160)을 열도록 되어 있다.
이 개폐문(160)은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길게되어 있는 좌우양쪽으로 개폐하는 식의 것이며, 전로(1)의 투입구의 좌우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2개의 축(162)에 각기 개폐문부분(164)이 브래킷(166)에 의하여 장치되어 있다. 축(162)은 정상단부의 곳에 서로 맞물려있는 부채꼴기어(168)를 지녔으며, 같은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2도에서 보아서 우측의 개폐문부분(164)의 1의 브래킷(166)에는 유압실린더(170)의 피스톤로드(172)의 외단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하고 있으며, 유압실린더(170)를 가압함에 따라서 좌우의 개폐문부분(164)을 동시에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폐문(160)을 열면, 슈우트 장치(22)의 외통(152)이 투입구내에 뻗게되어 스크랩 애노우드를 투입하게 된다. 이상의 배치에서 조업할때, 대차장치(14)에는 애노우드랙(12)을 포오크리프트로 싣는다.
도해한 실시예에서는 7개의 애노우드랙(12-1),(12-2),(12-3),(12-4),(12-5),(12-6),(12-7)이 실려있다. 다음에 조작원이 조작반(56)에 의하여 대차장치(14)를 발진시켜 퓨서장치(16)까지 이동시킨다.
대차장치(14)의 차체(24)의 아래에는 도면에 없는 선택센서(제한스위치와 도그(dog))를 마련하고 있으며 푸서장치(16)의 밑의 소정위치에 대차를 정지시키고 우선 제1애노우드랙(12-1)을 작업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레일크램프장치(60)가 작동되어서 대차장치(14)를 고정한다.
다음에 푸서장치(16)의 푸서부재(90)가 전진(제1도에서 보아서 왼쪽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애노우드랙(12-1)에는 스크랩 애노우드(10)를 압출하며, 압출된 스크랩 애노우드(10)는 옮겨실는 장치(18)에 의하여 반상컨베이어장치(20)의 애노우드받침1(38)으로 낙하하게 된다.
애노우드랙(12-1)으로부터 모든 스크랩 애노우드(10)가 압출되면 푸서부재(90)는 후퇴하여 후퇴제한 스위치(도면에 없음)를 작동시켜 대차장치(14)의 레일클램프장치(60)를 해제한다.
이어서 대차장치(14)를 이동시켜서 제2애노우드랙(12-2)을 푸서장치(16)의 밑에 위치하게 한다. 그런다음, 레일클램프장치(60)가 재차 작동하게 되어서 대차장치(14)를 고정한다. 이렇게하여 2번째 이후의 애노우드랙에 대하여 마찬가지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대차장치(14)상의 모든 애노우드랙으로부터 스크랩 애노우드를 반상컨베이어장치(20)에 옮겨싣게 되면 푸셔부재는 자동적으로 후퇴하여 옮겨실는 작업을 종료한다.
이어서, 조작원은 대차장치(14)를 적재위치에 되돌려서 속이빈 애노우드랙을 스크랩 애노우드를 세트한 별도의 애노우드랙과 교환한다. 여기에서 푸서장치(16)에 대차장치(14)에 적재하여 넣은 애노우드(10)의 높이를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어느 한 애노우드가 돌출할때면, 그 이상한 높이를 이 센서로 검지하여 대차장치(14)를 비상정지하도록 하여 전술한 기구를 정지시켜서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반상컨베이어장치(20)의 직립부분(130)에 있는 애노우드받침(138)에 순차로 낙하된 스크랩 애노우드(10)는 이동하여 오는 무단컨베이어체인(34)상의 훅(136)을 사용하여 순차 수습하여 올려지게 되며, 점차로 반상컨베이어장치(20)의 정상단부에서 슈우트 장치(22)내에 투하된다.
스크랩 애노우드(10)가 투하되기전에 슈우트 장치(22)의 외통(152)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폐문(160)이 열려서 그것을 받아 넣게되어 전로(1)에 스크랩 애노우드가 투입된다.
이상의 동작은 요소요소에 제한 스위치나 센서를 배치함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타이밍을 맞출수가 있어서, 스크랩 애노우드의 전로에의 투입을 완전자동화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차로 운반하여온 애노우드랙으로부터 순차로 1장씩 스크랩 애노우드를 반상컨베이어에 옮겨싣고 1장씩 순차로 진로에 투입하므로 가스누출을 최소한 억제함과 동시에 일괄 투입과 달라서 노내온도를 급강하시킬 수 없었다.
또 조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기중기의 불필요, 누출가스의 집진대책, 노내온도 조정으로 에너지 절약에도 공헌하였다.

Claims (4)

  1. 여러개의 애노우드를 수용한 애노우드랙(12)과 이 애노우드랙(12)을 싣고 소정위치까지 이동하는 대차와, 이 대차위의 애노우드랙(12)상의 스크랩 애노우드(10)를 압출하는 푸서장치(16)와 압출된 스크랩 애노우드(10)를 1장씩 순차, 동전로의 투입구까지 뻗어있는 반상컨베이어(20)위에 옮겨실는 장치(18)와, 반상컨베이어(20)의 동전로 투입구 가까운 끝에 마련한 투입슈우트장치(charging chute device)(22)와 를 지닌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10) 자동투입장치에서 동전로가 투입구를 막는 좌우양쪽으로 개폐하는 문을 지녔으며, 투입슈우트장치(22)가 반상컨베이어(20)로부터 스크랩 애노우드(10)를 받기전에 좌우양쪽으로 개폐하는 문이 열려서 투입슈우트장치(22)의 일부가 투입구내에 뻗어서 스크랩 애노우드(10)를 동전로내에 투입하며, 또한 일정한 랙수를 종료한 다음, 투입슈우트부분이 끌려들어가고, 다음에 좌우양쪽으로 개폐하는 문을 닫아서 운전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로 스크랩 애노우드자동투입장치.
  3. 동전로자동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의 애노우드랙(12)상의 스크랩 애노우드(10)를 1장씩 옮겨실는, 옮겨실는 장치(18)에 마련하게 되는 스크랩 애노우드(10) 1장 1장을 검지 및 포착장치에 있어서, 가로이동장치에 의하여 들이워진 집게부재와, 이에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의 상대운동에 따라 가압되는 스위치장치와 여러개의 스크랩 애노우드(10)를 미끄러지게 하는 랙레일상에 마련한 경사캠면과를 지니고, 캠면상에 도달한 여러개의 스크랩 애노우드(10)는 이 캠면의 경사때문에 그 상부가 인접하는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에 대하여 단차가 생기도록 되어, 가로이동장치가 집게부재를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때 집게부재는 그 하단에 선두의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를 미끄러져서 단차가 있기때문에 계속 다음의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에 낙하하며, 한편 가동부재는 선두의 스크랩 애노우드(10)에 닿아 결과적으로 이 가동부재가 집게부재에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스위치 장치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포착장치.
  4. 동전로자동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의 애노우드랙(12) 위의 스크랩 애노우드(10)를 1장씩 옮겨실는 장치에 마련되는 스크랩 애노우드(10) 1장 1장을 검지 및 포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로이동장치에 의하여 들이워진 집게부재와 이에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의 상대운동에 따라 가압되는 스위치장치와 집게부재에 들이워진 탄성검지막대와, 여러개의 스크랩 애노우드(10)를 미끄러 지게하는 렉레일위에 마련한 경사캠면과를 지녔으며, 탄성검지막대와 집게부재의 하단과의 통상의 간격은 스크랩 애노우드 판두께의 2배 이하로 설정되었으며, 캠면상에 도달한 여러개의 스크랩 애노우드(10)는 이 캠면의 경사때문에, 그 상부가 인접하는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에 대하여 단차가 생기도록 되어 가로 이동장치가 집게부재를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가 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집게부재는 그 하단 이 선두의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를 미끄러져서 단차가 있기 때문에 이어서 다음의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에로 낙하하며, 한편 가동부재는 선두의 스크랩 애노우드(10)에 닿게되어 결과적으로 가동부재가 집게부재에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스위치장치를 가압하게 되고 그래서 단차가 적어도 가동부재의 상대운동이 스위치장치를 가압함에 충분한 양이 아니므로 따라서 집게부재의 하단이 더욱 다음의 스크랩 애노우드(10)의 상부위를 미끄러지려할때 탄성검지막대가 선두의 스크랩 애노우드(10)에 닿아 흔들려서 전술한 스위치장치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포착장치.
KR1019860011518A 1986-02-07 1986-12-30 동전로(銅轉爐)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 KR900005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5150 1986-02-07
JP61025150A JPS62182231A (ja) 1986-02-07 1986-02-07 銅転炉スクラツプアノ−ド自動装入装置
JP25150 1997-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64A KR870008164A (ko) 1987-09-24
KR900005987B1 true KR900005987B1 (ko) 1990-08-18

Family

ID=1215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518A KR900005987B1 (ko) 1986-02-07 1986-12-30 동전로(銅轉爐)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2182231A (ko)
KR (1) KR900005987B1 (ko)
MX (1) MX1598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2511B1 (es) * 2012-03-14 2012-12-28 La Farga Rod, S.L. Sistema de carga de cátodos de cobre automatizado y procedimiento de utilización
CN104818363B (zh) * 2015-04-21 2017-03-15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转炉加料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64A (ko) 1987-09-24
JPS6352095B2 (ko) 1988-10-18
MX159888A (es) 1989-09-27
JPS62182231A (ja) 198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64099B (zh) 一种铝合金滚镀硬铬生产线及其生产工艺
CA2827162A1 (en) Pallet car changing device
CN111824690A (zh) 悬挂输送装置
US1903102A (en) Fiber board manufacture and apparatus therefor
CN108715916A (zh) 一种自动淬火机床
KR900005987B1 (ko) 동전로(銅轉爐) 스크랩 애노우드 자동투입장치
US4966853A (en) Cell culturing apparatus
CN208429521U (zh) 一种建筑工程用的斗式提升机
CN210237675U (zh) 拖链式步进加热设备
CN210237683U (zh) 一种热处理炉料框循环设备
CN114314001A (zh) 一种玻璃插片设备
CN210037654U (zh) 一种鸡蛋蛋壳暗斑检测及分拣装置
CN219278623U (zh) 一种微波改性装置
US3489398A (en) Welding rod handling and baking system
CN216011756U (zh) 布料装置
CN214191392U (zh) 一种双排填料机
CN211311629U (zh) 一种能够自动上料的熄弧片电镀加工装置
CN218404333U (zh) 一种破碎锤热处理连续炉
CN218114212U (zh) 一种游戏方向盘组装治具循环装置
CN217737811U (zh) 一种抬升式洁净型热风干燥机
SU8231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кладки рамок с кир-пичОМ HA пОлОчНыЕ ВАгОНЕТКи
CN211140673U (zh) 一种接线端子的生产线
CN212150488U (zh) 全自动表面处理生产线
CN215785021U (zh) 一种基于二氧化碳无接触式全自动清洁设备
CN219829488U (zh) 一种可分离式热处理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