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28B1 - 낚시용 스피닝 리일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28B1
KR900005728B1 KR1019860004272A KR860004272A KR900005728B1 KR 900005728 B1 KR900005728 B1 KR 900005728B1 KR 1019860004272 A KR1019860004272 A KR 1019860004272A KR 860004272 A KR860004272 A KR 860004272A KR 900005728 B1 KR900005728 B1 KR 90000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otation
lock
dra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711A (ko
Inventor
쥰 이찌 도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171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7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3083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7507Y2/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우 filed Critical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75Protection arrangements against over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bell or flashing light
    • A01K89/0123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리일
제1도는 본 발명 리일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종단 측면도.
제2도는 동 종단 배면도.
제3도는 동 횡단 저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리일 전체의 측변도.
제7도 내지 제10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
제7도는 일부 생략종단 측면도.
제8도는 동 종단 배면도.
제9도는 동 횡단 저면도.
제10도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11도 내지 제12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
제11도는 일부 생략 종단면도.
제12도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13도 내지 제16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
제13도는 제1도에 대응한 일부 생략 종단측면도.
제14도는 동 종단 배면도.
제15도 내지 제16도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일본체 21 : 피니언 기어
22 : 구동축 3 : 회전틀
4 : 스풀축 5 : 스풀
23 : 핸들축 24 : 주기어
25 : 핸들 10 : 왕복동기구
11 : 지지벽 6 : 드랙기구
60 : 마찰제 7 : 로크기구
8 : 조작기구 12 : 고정부재
13 : 지지축 9 : 복귀기구
61 : 조정체 71 : 로크체
72 : 걸어마춤체 73 : 지지부재
74 :스프링 81 : 캠체
82 : 레버축 83 : 조작레버
91 : 킥핀 92 : 접촉체
93 : 작동체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리일 특히 리일 본체와, 이 리일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틀과, 스풀(spool)축 및 스풀과, 이 스풀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드랙(drag)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틀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을 상기 스풀에 감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 상기 스풀측은 회전 불능으로 하고 리일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스풀측에 스풀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상기 스풀축과 스풀의 사이에 스풀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드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스풀축을 리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스풀측에 스풀을 고정하고 상기 스풀축과 리일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스풀축의 회전, 나아가 스풀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드랙기구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드랙기구에 의해서 스풀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낚아 올리는 물고기의 인력에 따라 상기 스풀을 소망하는 회전 저항에 의거하여 회전시켜 낚시줄에 그 내력(耐力)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드랙기구는 스풀에 가해지는 회전 저항을 조정하는 조정노브가 있고 이 조정노브에 의하여 스풀의 회전 저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노브에 의한 조정을 신속하게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낚시를 하는 경우, 상기 드랙기구에 의하여 사전에 낚싯줄의 내력에 따라 스풀의 회전에 소망하는 저항을 부여하고 있으나, 물고기가 낚싯밥을 물었을 때 상기 낚싯줄에는 드랙기구를 거쳐 소정의 인출 저항이 작용하고 있어 고기가 낚싯밥을 물어 잡아 당기려고 해도 낚싯줄의 풀림에 저항이 있기 때문에 모처럼 물고기가 낚싯밥을 물었어도 바로 낚싯밥을 토해내므로서 낚시 성과가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고기가 낚시에 걸릴때까지는 스풀에 회전저항을 부여하지 않고 자유회전시켜 물고기가 낚싯밥을 물었을 때에는 낚싯줄의 잡아 당김에 저항을 주지 않고, 낚싯밥의 입질을 양호하게 행하고 물고기가 낚싯밥을 삼켜 낚시가 물고기에 걸린후에는 스풀의 회전에 드랙기구에 의하여 설정된 저항을 신속하게 작용시켜 줄이 끊어지는 일 없이 물고기를 낚아 올릴 수가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드랙기구를 구비한 스피닝 리일에 있어서, 상기 드랙 기구를 스풀에 대하여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작동상태와, 이 작동 상태를 해제하고 스풀의 회전을 자유회전으로 하는 작동 해제상태로 변환시키는 변환제어 기구를 설치한 점에 있다.
상기 드랙기구는 상기 스풀과 스풀축 사이에 설치되는 소위 프론트형과, 스풀축과 리일 본체 사이에 설치하는 소위 리어형이 있으며, 프론트형의 드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풀축을 리일 본체에 대하여 회전기구와 이 로크기구를 조작하는 조작기구 및 로크체를 스풀축의 로크해제 위치로부터 로크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 리얼형의 드랙기구에 있어서는 스풀축에 통형상 부재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통형상 부재와 스풀축의 사이에 드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변환제어 기구를 통형상 부재의 스풀축에 대항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체를 가진 로크기구와, 이 로크기구를 조작하는 조작기구 및 통형상 부재의 로크해제 위치로부터 로크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에 의하여 구성된다.
어느 경우나 조작기구에 트랙기구를 작동해제 상태로 조작함으로서 스풀은 자유회전을 하게되어 물고기나 낚시밥을 물었을때 낚시줄의 풀림 저항을 작게하여 물고기의 낚시밥 입질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어 그 만큼 낚시성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드랙기구를 작동해제 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의 변환은 신속하게 변환되므로 물고기가 낚싯밥을 먹어 삼켜 올릴 때에는 낚싯줄이 절단되는 일 없이 확실하게 낚아올릴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자유회전이라 함은 스풀의 회전에 저항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회전은 물론 스풀의 회전에 이 스풀이 가볍게 회전할 정도의 작은 저항을 부여하여 물고기가 낚싯밥을 물었을 때 물고기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스풀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의 회전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스피닝 리일은 프론트형의 드랙기구를 갖는 것으로 그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부에 낚싯대에 대한 부착발(1a)를 가진 리일 본체(1)에, 베아링(1b)를 거쳐 피니언 기어(21)를 가진 통형상의 구동축(22)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구동축(22)의 전단외주부에 배일(bail)아암을 가진 회전틀(3)을 부착하여 상기 리일 본체(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22)의 중심부에 스풀축(4)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스풀축(4)의 전단부에 스풀(5)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리일 본체(1)의 측면에 구동축(22)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핸들축(23)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핸들축(23)에 상기 피니언 기어(21)와 함께 구동기구를 구성하는 주 기어(24)를 설치하고, 이 주 기어(24)를 상기 피니언 기어(21)에 맞물리게 치합시키고, 또, 상기 핸들축(23)의 리일 본체(1)외부로의 돌출부에 핸들(25)을 설치하고, 이 핸들(25)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22)을 구동시켜 회전틀(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풀축(4)을 왕복동 기구(10)를 통해서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5)에 낚싯줄을 감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리일 본체(1)는 제2도와 같이 한 측면이 개구된 상자형의 몸체와 이 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서는 스풀(5)을 스풀축(4)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스풀(5)과 스풀축(4)의 사이에, 상기 스풀(5)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드랙기구(6)를 설치함과 동시에, 스풀축(4)을 구동축(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스풀축(4)의 후단부와 상기 리일 본체(1)의 사이에 스풀축(4)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체(71)를 가진 로크기구(7)와, 이 로크기구(7)를 조작하는 조작기구(8) 및 로크체(71)를 스풀축(4)의 로크해제 위치로부터 로크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9)가 설치된다. 이 제1실시예에서는 로크기구(7)와 조작기구(8)와 복귀기구(9)에 의하여 드랙기구(6)를 스풀(5)에 대하여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작동상태와, 이 작동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스풀(5)의 회전을 자유회전으로 하는 작동 해제상태로 변환하는 변환제어 기구를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드랙기구(6)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5)의 전단면에 대향하는 마찰체(60)와, 이 마찰체(60)를 상기 전단면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이 압접력을 조정하는 조청체(61)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정체(61)는 스풀축(4)에 나사결합되고, 그 회전조작에 의하여 스풀(5)에 가해지는 회전저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상기 로크기구(7)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걸어마춤 홈부(72a)를 가진 걸어마춤체(72)와, 걸어마춤홈부(72a)에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는 걸어마춤래치(71a)를 가진 로크체(71)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어마춤체(72)를 스풀축(4)의 후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이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통형상의 지지부재(73)의 외주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걸어마춤체(72)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비원형 구멍을 가진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 요철홈으로 된 걸어멈춤부(72a)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또 상기 로크체(71)는 제2도와 같이 한 끝에 상기 걸어멈춤부(72a)에 걸어마추는 걸어마춤부(71a)를 가진 대략 초생달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일 본체(1)에 상기 걸어마춤체(72)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로크체(71)와 상기 리일 본체(1)의 저벽 내면과의 사이에 로크체(71)를 항상 스풀축의 로크 위치 방향 즉, 상기 걸어마춤체(72)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스프링(74)이 설치된다.
또 상기 지지부재(73)는 리일 본체(1)의 측벽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벽(1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스풀축(4)은 이 회전부재(73)를 거쳐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걸어마춤체(7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풀축(4)의 후부에 상대 회전불능으로 지지된 지지부재(73)에 상대회전 불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크체(71)의 걸어마춤래치(71a)가 상기 걸어마춤체(72)의 걸어마춤홈부(72a)가 걸어 마춰지므로서 스풀축(4)이 상기 로크체(71)에 의하여 걸어마춤체(72) 및 지지부재(73)를 거쳐서 회전 불능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스풀축(4)의 앞쪽과 이 앞쪽에 지지되는 스풀(5)의 사이에는 상기 드랙기구(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풀축(4)이 회전 불능이 되는 경우 상기 스풀축(4)의 스풀(5)에는 상기 드랙기구(6)의 조정체(61)에 의해 조정한 회전 저항이 작용된다.
그리고 상기 스풀(5)에 회전저항 이상의 회전 즉, 고기의 인력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될때에는 상기 스풀(5)는 스립회전을 하고, 상기 스풀(5)에 권장하여 사용하는 낚시줄이 절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걸어마춤래치(71a)의 상기 걸어마춤홈부(72a)에 대한 걸어마춤이 이탈할때에는 상기 로크체(71)에 의한 걸어마춤체(72)의 회전구속이 해제되므로, 상기 로크체(71)에 의하여 걸어마춤체(72) 및 지지부재(73)를 거쳐서 회전 불능으로 되어 있던 상기 스풀축(4)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스풀축(4)의 자유로운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풀축(40과 이 스풀축(4)에 지지된 스풀(5)와 상기 스풀축(4)과 스풀(5)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드랙기구(6)는 동시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되며 이 결과로 상기 드랙기구(6)는 작동하지 않게 되고 상기 스풀(5)는 상기 드랙기구(6)에 의한 회전저항을 받는 일없이 자유회전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조작기구(8)는 로크체(71)의 걸어마춤래치(71a)를 걸어마춤홈부(72a)에 대하여 결합과 이탈의 조작을 행하고, 상기 로크체(71)의 다른끝과 접촉되는 캠체(81)를 가진 레버축(82)과 이 레버축(82)에 지지되는 조작레버(83)로 이루어지고, 레버축(82)을 리일 본체(1)의 측벽사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레버축(82)의 양단에 제2도와 같이 조작레버(83)가 부착된다.
또 상기 캠체(81)는 제2도와 같이 레버축(82)과 별개로 형성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나,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복귀기구(9)는 주 기어(24)의 측면에 설치되는 킥핀(Kick pin)(91)과 이 킥핀(91)에 맞붙어 작동하는 접촉체(92)와, 이 접촉체(92)와 상기 레버축(82)과의 사이에 설치된 작동체(93) 및 연동체(94)로 이루어지고, 핸들(25)의 회전조작에 따른 상기 주기어(24)의 구동 회전에 의해 킥핀(91)이 접촉체(92)를 제1도에서 윗쪽으로 밀어 올리므로서 상기 작동체(93) 및 연동체(94)를 거쳐서 조작레버(83)를 상기 스풀(5)의 자유회전 조작위치 즉, 드랙기구(6)의 작동해제 상태로부터 작동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걸어마춤래치(71a)를 걸어마춤홈부(72a)에 걸어마추어 스풀축(4)의 자유회전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기어(24)에 설치된 킥핀(91)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2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 수는 1개라도 된다.
또 상기 접촉체(92) 및 작동체(93)은 리일 본체(1)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에 한 개의 지지축(13)을 거쳐 각각 작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접촉체(92)에는 지지축(13)에 끼워마추는 긴구멍(92a)과, 킥핀(91)에 맞붙게 되는 제1당접부(92b)와, 작동체(93)에 설치된 밀어올림편(93b)에 맞붙게 되는 제2당접부(92c)와, 스프링받이부(92d)가 설치되고,이 스프링받이부(92d)와 상기 고정부재(12)에 설치된 스프링받이편(12a)과의 사이에, 접촉체(92)를 전진위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95)이 개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체(92)는 제4도에 나타낸 전진위치와 제1도에 나타낸 후퇴위치 사이를 왕복동하게 되고, 상기 킥핀(91)에 의한 접촉체(92)의 전진시에 제2당접부(92c)가 밀어올림편(93b)에 맞닿아 작동체(93)를 밀어 올려 조작레버(83)를 상기와 같이 작동시키고, 또 조작레버(83)의 작동후는 상기 리턴스프링(95)에 의하여 후퇴되고, 이 후퇴 위치에서는 제4도에 나타낸 제1위치와 제5도에 나타낸 제2위치에 규제된다.
즉 제1위치는 상기 제1당접부(92b)가 킥핀(91)의 회전궤도내에 돌입하는 위치이고, 이 제1위치는 상기 지지축(13)과 고정부재(12)에 설치된 규제핀(14)에 의하여 규제되고, 상기 리턴스프링(95)의 작용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2위치는 상기 제1당접부(92b)가 킥핀(91)의 회전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이고 이 제2위치는 상기 작동체(93)가 전진하는 상태에서 지지축(13)과 작동체(93)에 설치된 규제핀(93c)에 의하여 규제되어, 상기 리턴스프링(95)의 작용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 상기 작동체(93)는 지지축(13)에 끼워마추는 긴 구멍(93a)과, 밀어올림편(93b)과 규제핀(93c)이 설치되어 이 작동체(93)의 밀어올림편(93b)측 끝부를 연동체(94)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체(94)는 상기 작동체(93)와의 연결측 끝부에 스프링받침편(94a)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받침편(94a)과 리일 본체(1)의 상벽내면에 돌출된 스프링받침편(15)사이에 비틀림스프링을 개제시켜서 연동체(94)의 기단부를 레버축(82)에 상대 회전 불능하게 지지하여 조작레버(83)의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한다.
또 상기 비틀림스프링(96)은 연동체(94)를 요동방향의 한쪽으로 힘을 가하게 하고, 이 비틀림스프링(96)에 의한 연동체(94)의 힘을 가하는 방향을 연동체(94)의 요동 도중에서 반전시켜 작동체(93)를 전진위치와 복귀위치의 한쪽에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리일에 있어서는 상기 스풀축(4), 즉 스풀(5)의 회전에, 스풀(5)이 가볍게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저항을 가하는 부드랙기구(40)가 설치된다. 이 부드랙기구(40)는 한쌍의 마찰판(41)과 이들 마찰판(41)사이에 개제된 스페이서(42)와 스프링(43)과, 이 스프링(43)과 상기 마찰판(41)의 하나와의 사이에 개제되는 회전 지지판(45) 및 조정체(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페이서(42)를 지지부재(73)에 상대 회전 불능하게 지지하고,
또 마찰판(41)의 하나를 지지벽(11)에 대향시키고, 또 다른 쪽의 마찰판(41)과 조정체(44)의 사이에 회전 지지판(45) 및 스프링(43)을 개재시킴과 동시에 조정체(44)를 리일 본체(1)의 후벽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조정체(44)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상기 마찰판(41)의 압접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판(45)은 지지부재(73)에 상대회전 자유롭고 또한 축방향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부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리일 본체(1)에 걸어 멈추고 회전 저지를 위한 저지편(45a)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나사체(44b)에 걸어마추고 이 나사체(44b)의 회전 저지를 행하는 한 쌍의 회전 저지편(45b)이 설치된다.
또 조정체(44)는, 리일 본체(1)에 대하여 회전만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정노브(44a)와, 이 조정노브(44a)에 나사결합되고, 이 조정노브(44a)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나사체(4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노브(44a)의 회전에 의해 나사체(44b)를 전진 후퇴시켜서 스풀축(4)에 가해지는 회전 저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가 나사체(44b)에는 회전 저지판(45)의 회전 저지편에 걸어마추는 축방향의 홈을 설치하여 상기 조정노브(44a)에 대하여 회전 불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42)의 외주에는 다수의 치형(tooth)(42a)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12)에 이치형(42a)과 걸어 마추는 클릭음 발생래치(20)를 피버팅하고, 상기 스페이서(4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73) 및 스풀축(4)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클릭음 발생래치(20)가 스프링(20a)에 대항하여 움직이고, 상기 치형(42a)에 대하여 결합 이탈되어 클릭음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일에는 도시하지 아니했으나, 상기 회전틀(3)의 역전을 저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를 역전 지지체제와, 해제체제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상기 회전틀(3)에 배일아암(31)이 설치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것은 조작기구(8)의 조작레버(83)를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로 조작하고 로크체(71)의 걸어마춤래치(71a)를 걸어마춤체(72)의 걸어마춤홈부(72a)에서 이탈시켜, 로크기구(7)를 로크 해제체제로 변환시킨 상태이며, 상기 스풀축(4)은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드랙기구(6)는 작동 해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스풀(5)은 스풀축(4)과 함께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체(92)의 제1당접부(92b)는 킥핀(91)의 회전 궤적내에 돌입되어 있다.
여기서 스풀(5)에 감겨진 낚싯줄의 투척시는, 상기 조작레버(83)를 제1도에 나타낸 복귀위치로부터 제5도에 나타낸 전진위치로 변환 조작하여, 로크기구(7)를 로크체제로 변환시켜, 상기 스풀축(4)의 회전을 로크함과 동시에 회전틀(3)에 설치된 베일아암(31)을 개방측 위치로 반전시켜 투척하게 된다.
그리고, 투척 종료후에는 상기 베일아암(31)을 폐쇄측 위치로 반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83)를 제1도에 나타낸 복귀위치로 위치시켜, 즉 스풀축(4)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여 물고기가 낚싯밥을 무는 것을 기다린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부드랙기구(40)에 의하여 스풀축(4), 즉 스풀(5)의 회전에 작은 저항을 부여하는 낚싯줄이 낚시중에 풀려나가지 않도록 하게 되나, 스풀축(4)의 회전에 저항을 주는 일없이, 스풀축(4)과 함께 스풀(5)이 저항을 받지 않는 상태로 자유회전 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물고기가 낚시밥을 물어 물고기의 끄는 힘이 작동하면, 그 인력에 의하여 낚싯줄이 원활하게 풀려나가게 된다. 따라서 물고기가 낚싯밥을 입질하는 것이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물고기가 낚싯밥을 삼켜서 낚시바늘이 물고기에 걸리면 핸들(25)을 회전 조작하게 되고, 이 핸들(25)의 회전에 의하여 주기어(24)가 회전되고, 이 주기어(24)에 설치된 킥핀(91)이 접촉체(92)의 제1당접부(92b)에 맞닿고 , 이접촉체(92)는 리턴 스프링(92)에 대향하여 제1도에 나타낸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접촉체(92)의 이동에 따라 작동체(93)가 상기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여 제4도의 위치로 전진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킥핀(91)의 제1당접부(92b)의 접촉이 해제로 될 때, 비틀림스프링(96)의 연동체(94)에 대한 걸어멈춤부가 제4도에 나타낸 반전위치(0)를 넘어 비틀림스프링(96)의 힘을 가하는 방향이 반전되고, 이 비틀림스프링(96)에 의하여 작동체(93)는 독자적으로 상기 화살표 X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5도와 같이 전진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체(93)의 이동에 연동하여 조작레버(83)가 연결체(94)를 거쳐 전진위치로 변환되고, 로크체(71)는 스프링(74)의 힘에 의하여 걸어마춤체(72)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걸어마춤래치(71a)가 걸어마춤홈부(72a)에 걸어마추어져서, 로크기구(7)는 로크체제가 된다.
이 로크기구(7)의 로크체제에 의하여, 스풀축(4)의 회전이 로크되어 드랙기구(6)가 작동상태가 되고, 이 작동상태에서 낚싯줄을 스풀(5)에 감아 올려 물고기를 낚아 올리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스풀(5)과 스풀축(4)의 사이에 드랙기구(6)를 설치한 소위 프론트형의 것이나, 이 드랙기구(6)는 제7도 내지 제10도와 같이 스풀축(4)과 이 스풀축(4)에 씌워진 통형상 부재(50)와의 사이에 설치하여 소위리어형으로 해도 좋다.
제7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는 한끝부에 내향플랜지를 가진 통형상부재(50)의 플랜지 부분을 스풀축(4)에 회전불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73A)의 외주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여, 이들 통형상 부재(50)와 지지부재(73A)와의 사이에 드랙기구(6A)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부재(50)와 리일 본체(1)와의 사이에, 로크기구(7)와 조작기구(8) 및 복귀기구(9)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재(50)의 외주에 한 쌍의 마찰판(41)과 이들 마찰판(41)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42)를 설치하고 이 스페이서(42)를 상기 통형상부재(50)에 상대회전 불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마찰판(41)의 한쪽을 상기 지지벽(11)에 대향시키고, 다른쪽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회전저지판(45)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리일 본체(1)에 조정노브(44a)와 이 노브(44a)에 나사조립하여 이 노브(44a)의 회전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나사체(44b)에 의해 구성되는 조정체(44)를 설치하고, 이 조정체(44)가 상기 나사체(44b)와 상기 회전저지판(45)의 사이에 스프링(43)을 개재하여, 상기 노브(44a)의 회전조작으로 상기 나사체(44b)의 나사전진과 나사후퇴를 시킴으로서 상기 스프링(43) 및 회전저지판(45)을 통해서 상기 마찰판(41)이 상기 지지벽(11)에 대한 압접력을 조정하도록 한 부드랙기구(40)를 설치한다. 이 부드랙기구(40)는 후술하는 드랙기구(6)의 작동을 해제할 때 즉, 상기 통형상부재(50)의 로크를 해제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할 때에 상기 통형상부재(50)의 자유회전 나아가서 상기 스풀(50)의 자유회전에 상기 드랙기구(6)에 의한 회전저항 보다도 작은 회전저항을 부여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크체(71)에 있어서의 걸어마춤래치(71a)가 걸어마춤체(72)의 걸어마춤홈부(72a)에 대하여 걸어마춤으로서 통형상부재(50)의 회전을 로크하고, 상기 통형상부재(50)와 지지부재(73A)의 사이에 설치된 드랙기구(6)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드랙기구(6)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마찰판(62, 63)과, 스프링(64) 및 조정체(6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마찰체(62)를 지지부재(73A)의 외주면에 회전 불능하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2마찰판(63)을 통형상부재(50)의 내주면에 회전 불능하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시킴과 더불어, 조정체(65)를 상기 통형상부재(5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하고 이 조정체(61)와 사이 제2마찰판(63)의 사이에 스프링((64)을 개재시켜 상기 조정체(65)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제1 및 제2마찰판(62, 63)을 압접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로크기구(7), 조작기구(8)와 복귀기구(9) 및 부드랙기구(40)의 구조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상태는 조작레버(83)를 전진위치로부터 복귀위치로 조작하고, 로크체(1)의 걸어마춤래치(71a)를 걸어마춤체(72)의 걸어마춤홈부(72a)에 대하여 이탈시켜, 로크기구(7)를 로크해제체제로 변환한 상태이고, 통형상부재(50)는 자유회전 가능으로 되어 있고, 또 드랙기구(6)는 작동상태로 되어 있고, 또 접촉체(92)의 제1당접부(92b)는 킥핀(91)의 회전 궤도내에 돌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제7도 내지 제9도의 상태에서 핸들(25)을 회전 조작하면 킥핀(91)에 접촉체(92)와 접촉되어, 접촉체(92)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작동체(93)는 제10도의 전진위치에 정지하고, 조작레버(83)는 전진위치로 변환되고, 또 로크기구(7)는 로크체(71)가 걸어마춤체(72)에 걸어마추어 로크체제가 된다.
이 로크기구(7)가 로크체제가 됨으로써, 통형상부재(50)의 회전이 저지되고 드랙기구(6)가 작동상태가 되고, 이 드랙작동 상태에서 낚싯줄을 스풀(5)에 감아 물고기를 낚아 올리게 된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복귀기구(90)의 접촉체(2)와 작동체(93)를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지지했으나, 기타 제11도, 제12도와 같이 작동체(193)를 리일 본체(1)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작동체(193)에 접촉체(192)를 피버팅시켜도 좋다.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풀(5)과 스풀축(4)의 사이에 드랙기구(6)를 설치함과 동시에, 스풀축(4)을 회전 가능하게 한 스피닝 리일이고, 상기 리일 본체(1)의 한쪽 내면에 지지벽(16)을 돌설하고, 이 지지벽(16)에 작동체(193)를 스풀축(4)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작동체(193)의 선단에 피버트핀(97)을 통해 상기 접촉체(192)를 요동가능하게 피버팅하고, 이들 접촉체(192)와 작동체(193)의 사이에, 상기 접촉체(192)를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98)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체(193)에 접촉체(192)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편(193a)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작동체(193b)의후단부를 리일 본체(1)의 측벽에 지지하는 조작레버(183)에 지지하여, 이 조작레버(193)에 설치된 캠체(181)를 로크체(171)에 걸어 맞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193)의 후단부에는 축체(193b)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축체(193b)가 들어가는 긴 구멍(183a)이 상기 조작레버(183)에 설치된다. 그리고 캠체(181)는 고위 캠면(181a)과 저위 캠면(181b)을 가진 판체로 이루어지고, 이 캠체(181)의 일단에 축체(181c)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축체(181c)가 들어가는 긴 구멍(183b)이 조작레버(183)에 설치된다. 또 상기 로크체(171)는 봉 모양을 이루어 리일 본체(1)의 후벽내면에 설치된 지지부(17)에 지지되고, 선단에 걸어마춤부(171a)를 가지며, 또한, 중간에는 상기 로크체(171)의 래치부(171a)를 걸어마춤체(72)의 걸어마춤홈부(72a)에 대해 힘을 가하는 스프링(174)를 지지하는 스프링 받침턱(171c)를 가지며, 이 로크체(171)의 기단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구멍(171c)을 설치하고, 이 안내구멍(171c)에 상기 캠체(181)가 끼워진다.
제11도에 나타낸 상태는, 조작레버(183)를 복귀위치로부터 전진위치로 변환하고, 로크기구(7)를 로크 해제체제로 변환한 상태이고, 스풀축(4)은,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드랙기구(6)는 작동해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스풀(5)은, 스풀축(4)과 함께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접촉체(192)의 당접부는 킥핀(91)의 회전 궤적내에 돌입되어 있다.
이 제11도의 상태에서 핸들(25)을 회전 조작하여, 주기어(24)를 회전시키면, 주기어(24)에 설치된 킥핀(91)이 접촉체(192)에 맞닿아져서 접촉체(192)는 작동체(193)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작동체(193)와 함께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킥핀(91)의 회전에 따라 이 킥핀(91)의 접촉체(192)와의 걸어마춤이 이탈하면, 작동체(193)는 복귀위치에 정지하고, 또 작동체(193)에 연동하여 조작레버(183)가 전진위치로부터 복귀위치로 변환되어, 로크체(171)는 스프링(174)의 힘에 의하여 걸어마춤체(72)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부(17a)가 걸어마춤홈부(72a)에 걸어마추어지고 로크기구(7)는 로크체제가 된다.
이 로크기구(7)의 로크체제에 의하여, 스풀축(4)의 회전이 로크되고, 드랙기구(6)가 작동상태로 되고, 이 작동상태에서 낚싯줄을 상기 스풀(5)에 감아 올려 물고기를 낚아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 기구는,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3실시예 외에,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제4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제4실시예는 상기 복귀기구를 주기어(24)와 리일 본체(1)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조립한 것이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촉체(292) 및 작동체(293)는, 리일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주기어(24)와 리일 본체(1) 사이의 스페이스에 배치한 것으로서, 상기 작동체(293)는 그 후단부를 조작레버(283)를 지지하는 레버축(2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연동체(294)에 핀(100)을 통해 피버팅함과 동시에 전단부에는 긴 구멍(293a)을 설치하여 리일 본체(1)에 돌설된 안내축(101)에 지지한다. 또, 상기 접촉체(292)는, 그 후단부를 작동체(293)에 핀(102)을 거쳐 피버팅함과 동시에, 전단부와 리일 본체(1) 사이에 접촉체(292)의 전단부를 주기어(24)의 배면측에 설치된 킥핀(291)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스프링(295)을 설치한다.
또 상기 접촉체(292)의 전단부에는 킥핀(291)과 걸어마추는 걸쇠부(292a)를 설치하고, 후단부에는 작동체(293)의 후단부에 설치된 규제편(293b)과 맞닿는 당접부(292b)를 설치하고, 이 당접부(292b)의 구제편(293b)에 맞닿아서 접촉체(292)의 스프링(295)에 의한 요동을 규제한다.
이로서 상기 접촉체(292) 및 작동체(293)는 제16도에 나타낸 전진위치와 제13도에 나타낸 복귀위치를 왕복동하게 되므로, 제16도에 나타낸 전진위치에서는, 제16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쇠부(292a)가 킥핀(291)의 회전 궤적내에 들어가고, 또 제13도에 나타낸 복귀위치에서는 당접부(292b)의 규제편(293b)에 맞닿므로서 요동규제에 의하여 걸쇠부(292a)가 킥핀(291)의 회전궤적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또 상기 레버축(282)에 설치되는 연동체(294)에는 스프링 받침편(294a)을 설치하고 이 받침편(294a)과 리일 본체(1)의 측벽내면과의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296)이 설치한다.
이 비틀림 스프링(296)은, 연동체(294)를 레버축(282)의 회전방향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 비틀림스프링(296)에 의한 연동체(294)의 가세 방향을, 연동체(294)의 요동 도중에서 반전시켜 작동체(293), 즉 레버(283)를 전진위치와 복귀위치의 어느 한쪽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연동체(734)는, 레버축(732)과는 별개로 형성하여 레버축에 대하여 회전 불능하게 지지한다.
또 제4실시예에서는 킥핀(21)을 주기어(24)의 배면에 직접 돌설하지 않고, 주기어(24)와는 별개로 설치한 링 형상의 제어판(240)에 돌설한 것이다.
이 제어판(240)은 주기어(24)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주기어(24)의 이면에, 복귀스프링(241)이 들어가는 원호형상의 긴 구멍(24a)을 설치하여 이 긴 구멍(24a)의 한끝면과 제어판(240)에 설치된 스프링 받침부(240a)와의 사이에, 복귀스프링(241)을 기재시켜 상기 제어판(240)을 주기어(24)의 정(正)회전방향과 반대방항으로 힘을 가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판(240)은 긴 구멍(24a)의 범위내에서 주기어(24)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고, 이 제어판(240)의 외측에 주기어(24)에 고정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이탈방지판(242)을 설치하여 주기어(24)에서 탈락되지 않게 유지한다.
그리고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축(282)에 캠체(281)를 설치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또 캠체(281)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로크기구(7)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부드랙기구(40)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 부드랙기구(40)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도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283)를 제16도에 나타낸 복귀위치로부터 제13도에 나타낸 전진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드랙기구(6)를 작동해제시키거나, 작동시키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3도는 로크기구(7)에 있어서 로크체(71)의 걸어마춤래치(71a)가 걸어마춤체(72)의 홈부(72a)에 걸어 마춰지고 드랙기구(6)가 작동위치로 변환되는 상태로서, 접촉체(292)의 축부(292a)는, 킥핀(291)의 회전궤적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레버(283)를 제13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캠체(281)의 동작에 의해 로크체(71)의 걸어마춤래치(71a)가 홈부(72a)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스풀축(4)은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고, 또 스풀(5)은 스풀축(4)과 함께 자유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이때 접촉체(292)의 걸쇠부(292a)는 제16도에서의 쇄선과 같이 킥핀(291)의 회전 궤적내에 돌입하게 된다.
이 경우 킥핀(291)이 걸쇠부(292a)의 이동 궤적내에 있고, 걸쇠부(292a)가 킥핀(291)에 맞닿으면, 이 킥핀(291)을 가진 제어판(240)이 스프링((241)에 대향하여 주기어(24)에 대하여 제13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킥핀(291)은, 제16도에 있어서의 쇄선위치로부터 실선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레버(283)는 킥핀(291)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확실하게 전진위치로 변환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판(240)은, 킥핀(291)이 걸쇠부(292a)로부터 이탈된 다음 스프링(241)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귀하게 된다.
또 접촉체(292)가 제16도의 위치에 있고, 드랙기구가 작동해제된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 조작하여, 주기어(24)를 제16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회전시키면, 주기어(24)에 설치된 제어판(240)의 킥핀(291)이 접촉체(292)의 걸쇠부(292a)에 맞닿아서, 접촉체(292)를 제16도의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접촉체(292)의 이동에 따라 작동체(293)도 상기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6도와 같이 킥핀(291)의 접촉체(292)와의 접촉이 해제될 때, 비틀림 스프링(296)의 연동체(294)에 걸어멈춤체가 반전위치(0)를 넘어 비틀림 스프링(296)의 힘을 가하는 방향이 반전되고, 이 비틀림 스프링(296)에 의하여 작동체(293)는 독자적으로 화살표 Z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13도에 나타낸 전진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이때 작동체(293)에 연동하여 레버(283)가 전진위치로 되돌아가고, 로크체(72)는 스프링(74)의 힘에 의하여 걸어마춤체(72)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걸어마춤래치(71a)가 홈부(72a)에 걸어마춰지고, 스풀축(4)의 회전이 로크되어 드랙기구(6)가 작동상태가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스풀(5)과 스풀축(4) 사이에 드랙기구(6)를 설치하여 제1실시예와 동일한 프론트형을 구성하였으나, 이 드랙기구(6)는 제2실시예와 같이 스풀축(4)과 이 스풀축(4)에 씌워 끼운 통형상부재(50)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변환제어 기구를 로크기구(7)와 조작기구(8) 및 복귀기구(9)로 구성했으나, 요점은 상기 드랙기구(6)를 작동상태와 작동해제 상태로 변환하는 것이면 된다.
또 복귀기구(9)로서 핸들(25)의 회전에 의하여 로크체(71, 171)를 스풀축(4)의 로크 해제위치로부터 로크위치로 자동복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사용했으나, 기타 이 자동복귀 기구를 작동시키지 않고, 예를 들어 조작레버(82, 183)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복귀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조작기구(8)를 복귀기구(9)와 겸용시키면 된다. 또 이와같이 했을 경우 상기 자동 복귀기구를 생략해도 좋다.
또 복귀기구(9)의 접촉체(92, 192)를 작동체(93, 193)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게 설치했으나, 접촉체(92, 192)와 작동체(93, 193)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그러나 접촉체(92)를 작동체(93)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작레버(83)를 복귀위치로부터 전진위치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킥핀(91)이 접촉체(92)와 맞닿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조작레버(83)를 전진위치로 변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로크기구(7), 조작기구(8), 복귀기구(9)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 각 기구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드랙기구(6)가 작동해제 상태일 때 스풀(5)의 회전에 작은 저항을 부여하여, 이 저항 부여 상태에서 스풀(5)은 자유회전시키기 위한 부드랙기구(40)를 설치했으나, 이 부드랙기구(4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Claims (3)

  1. 리일 본체(1)와, 이 리일 본체(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틀(3)과, 이 회전틀(3)을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스풀축(4)과 스풀(5)과 이 스풀(5)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드랙기구(6, 6A)를 구비한 스피닝 리일에 있어서, 상기 드랙기구(6, 6A)에 관련하여 상기 스풀(5)에 대하여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작동 상태와, 이 작동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스풀(5)의 회전을 자유회전시키는 작동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걸어마춤체(72)와, 이 걸어마춤체(72)에 관련하여 상기 드랙기구(6, 6A)를 작동상태로 하는 작동 변환위치와 작동해제 변환위치로 작동시키는 로크체(71, 171)와 이 로크체(71, 171)를 작동 변환위치와 작동해제 변환위치로 조작하는 조작레버(83, 183, 283)을 가진 조작기구(8)와, 상기 구동축(22), 핸들축(23), 주 기어(24), 핸들(25) 등으로 되는 구동기구에 의한 상기 회전틀(3)의 구동시에 회동된 킥핀(91, 291)의 회동으로 전전하여 상기 로크체(71, 171)를 상기 걸어마춤체(72)의 작동해제 변환위치로부터 작동변환 위치로 자동복귀시키는 복귀기구(9)이며 상기 킥핀(91, 291)의 회동시에 이 킥핀(91, 291)에 접촉하여 동작하는 접촉체(92, 192, 292)와, 이 접촉체(92, 192, 292)의 동작에 연동되어 작동하고 상기 조작레버(83, 183, 283)를 상기 로크체(71), (171)의 작동해제 변환위치로부터 작동 변환위치로 제어하는 작동체(93, 193, 293)를 가지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마춤체(72)와 더불어 회전하는 지지부재(73)와 통형상부재(50)와 리일 본체(1) 사이에서 상기 로크체(71), (171)에 의해 작동해제 변환위치로 작동될 때 상기 스풀(5)의 회전에 상기 드랙기구(6), (6A)에 의한 상기 스풀(5)의 회전저항 보다도 작은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부드랙기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프닝 리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마춤체(72)는 상기 스풀축(4)에 상대회전 불능으로 지지한 지지부재(73)나 통형상부재(50)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되며, 상기 로크체(71, 171)는 상기 걸어마춤체(72)에 걸어마춤과 이탈을 행하고 걸어마춤시 상기 걸어마춤체(72)의 회전을 로크하여, 상기 지지부재(73)나 통형상부재(50)의 회전을 저지하고, 이탈시에는 상기 걸어마춤체(72)의 회전을 자유회전 시킬 수 있는 로크체로 구성되고 상기 걸어마춤체(72)에 걸어마추는 로크위치로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드랙기구(6, 6A)가 작동되어, 상기 걸어마춤체(72)로부터 이탈하는 로크해제 위치로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드랙기구(6, 6A)가 작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
KR1019860004272A 1985-05-30 1986-05-30 낚시용 스피닝 리일 KR900005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17177 1985-05-30
JP60117177A JPH0697933B2 (ja) 1985-05-30 1985-05-30 スピニングリ−ル
JP?117177 1985-05-30
JP19308385U JPH0347507Y2 (ko) 1985-12-16 1985-12-16
JP?193083 1985-12-16
JP?60-193083 1985-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711A KR860008711A (ko) 1986-12-18
KR900005728B1 true KR900005728B1 (ko) 1990-08-09

Family

ID=2645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272A KR900005728B1 (ko) 1985-05-30 1986-05-30 낚시용 스피닝 리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746077A (ko)
KR (1) KR900005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0168B (sv) * 1986-06-11 1989-09-18 Abu Garcia Produktion Ab Betesfiskebroms foer haspelrulle
US4834307A (en) * 1988-06-01 1989-05-30 Abu Garcia Produktion Ab Open fixed-spool fishing reel
US5201477A (en) * 1989-04-11 1993-04-13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drag brake mechanism and clutch
KR910002135Y1 (ko) * 1989-04-22 1991-04-04 주식회사 은성사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력 절환장치
US5120001A (en) * 1989-07-07 1992-06-09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drag mechanism
FR2650732A1 (fr) * 1989-08-09 1991-02-15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bobine debrayable
EP0429923B1 (en) * 1989-11-17 1996-03-27 Daiwa Seiko Inc. Drag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DE4004244C2 (de) * 1990-02-12 1994-06-09 Kuntze Angelgeraete Dam Angelrolle mit Spule und einstellbarer Bremse
US5289991A (en) * 1990-07-04 1994-03-01 Shimano Inc. Spinning reel
KR920003650Y1 (ko) * 1990-08-31 1992-06-08 주식회사 은성사 낚시용 릴의 스풀제동력 절환장치
JP2779580B2 (ja) * 1993-04-16 1998-07-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GB2287165B (en) * 1994-02-24 1997-10-15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AUPO185596A0 (en) * 1996-08-23 1996-09-19 Jarvis Walker Pty Ltd A spinning reel for fishing
JP3542284B2 (ja) * 1998-09-08 2004-07-14 シマノ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釣り用リール
US6354525B1 (en) * 1999-11-05 2002-03-12 Shin A Sports Co., Ltd. Spinning reel with drag brake mechanism and clutch
FR2805968A1 (fr) 2000-03-08 2001-09-14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arbre debrayable
US7055771B2 (en) * 2001-03-26 2006-06-06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 Trip mode selector switch for spinning reel
GB0723491D0 (en) * 2007-11-30 2008-01-09 Fox Int Group Ltd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876U (ja) * 1982-05-26 1983-11-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S6075222A (ja) * 1983-09-30 1985-04-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US4509705A (en) * 1984-02-10 1985-04-09 Brunswick Corporation Surfcasting spinning reel
FR2561497B1 (fr) * 1984-03-26 1987-01-23 Mitchell Sports Frein pour moulinet de peche au l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711A (ko) 1986-12-18
US4746077A (en) 198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728B1 (ko) 낚시용 스피닝 리일
JP3542284B2 (ja) 釣り用リール
EP0639328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304065B1 (ko) 낚시용스피닝릴의드래그장치
US4614314A (en) Spinning reel
JPH0697933B2 (ja) スピニングリ−ル
JPH086463Y2 (ja) 両軸受リール
KR10119107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970005230B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
KR100290699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100522647B1 (ko) 낚시용 릴
KR100877308B1 (ko) 스피닝 릴
JP382751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139214A (en) Anti-reverse mechanism for use in fishing reel
KR900003016Y1 (ko)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KR100574309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351588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347507Y2 (ko)
JP3448324B2 (ja) 両軸受リール
JP389453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970007301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20030023587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23520599A (ja) プル・ターン式レバードラグ・プリセットノブ
JP3525063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797832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