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016Y1 -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016Y1
KR900003016Y1 KR2019870009177U KR870009177U KR900003016Y1 KR 900003016 Y1 KR900003016 Y1 KR 900003016Y1 KR 2019870009177 U KR2019870009177 U KR 2019870009177U KR 870009177 U KR870009177 U KR 870009177U KR 900003016 Y1 KR900003016 Y1 KR 900003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pring
force
clutch leve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052U (ko
Inventor
히데오 노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우 filed Critical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0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901Reengageable responsive to drive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8Axially engaged
    • A01K89/0189Coaxial of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클러치 조작장치를 적용한 리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절결 측면도.
제2도는 부세력 (付勢力)제어 기구만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한 리일전체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클러치레버를 왕동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제1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필리핑 낚시를 할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사이드프레임 3 : 스풀
3 : 스풀축 5 : 마스터기어
6 : 피니온 7 : 클러치
9 : 부세력제어기구 10 : 클러치요크
12, 23 : 접시형커버 20 : 토션스프링
30 : 핸들축 31 : 지지축
32 : 핸들 33 : 마찰판
34 : 역전방지판 42 : 계합체
80 : 리턴스프링 83 : 스프링받침편
84 : 조작부 85 : 당접부
91 : 조작체 92 : 스프링받침체
93 : 부착축 8 : 클러치레버
본 고안은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특히 클러치에 대하여 왕복동(往復動)하는 클러치레버를 구비하고 이 클러치의 왕동(往動)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가 이탈되고 상기 리일의 스풀을 자유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클러치레버의 복동에 의하여 클러치를 걸어맞추고 상기 리일에 있어서의 구동기구의 동력을 전달하여 스풀을 구동회전 가능하게 한 클러치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클러치 조작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리일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0-94048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 표시된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는 상기 클러치레버외에 이 클러치레버를 왕동위치와 복동위치의 한쪽에 선택적으로 부세하는 토션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의한 상기 크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서의 부세력보다 강한 복귀력을 가지며, 상기 클러치레버를 복동위치로 부세하는 리턴스프링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리턴스프링의 복귀력을 상기 클러치레버에 작용시키는 작용상태와 이 작용상태를 해제하는 작용해제 상태로 절환시키는 절환제어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캐스팅조작에 의하여 낚시줄을 투척하여 던질 낚시를 하는 경우는 상기 절환제어기구의 조작체를 조작하고 상기 리턴스프링을 작용상태로부터 작용 해제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클러치레버를 토션스프링의 힘에 반항하여 왕동조작하고 상기 클러치를 이탈시킴과 동시에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레버를 복귀시키고 상기 클러치를 걸어맞추도록 하는 것이며, 또 클러치레버의 소폭의 조작에 의하여 낚시줄을 조금씩 풀어내거나 또는 이 풀어냄을 정지하거나 하여 필리핑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체를 조작하여 상기 리턴스프링을 작용 해제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하고 상기 클러치레버를 상기 리턴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왕동조작하고 상기 클러치를 이탈시킴과 동시에 클러치레버의 왕동조작의 석방에 의하여 그 클러치레버를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귀력으로 복동시키고 상기 클러치를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클러치 조작장치에 의하면 필리핑 낚시를 하는 경우 상기 클러치레버를 왕동위치에 부세할 때에 있어서의 토션스프링의 부세력보다도 강한 복귀력의 리턴스프링을 상기 클러치레버의 왕동조작에 의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이 클러치레버의 소폭의 조작이 무겁고 이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없고 또 상기 클러치레버의 왕동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 클러치레버를 조작하는 손가락이 피로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클러치레버를 왕동위치와 복동위치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부세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레버를 복동위치로 부세하는 리턴스프링을 사용하여 던질 낚시를 하는 사용방법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부세력을 제어하므로서 필리핑 낚시의 클러치레버의 소폭조작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는 손가락이 쉽게 피로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에 대하여 왕복동하고 왕동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를 이탈시키는 클러치레버와 이 클러치레버를 그 왕동위치와 복동위치의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부세하는 토션스프링과 이 토션스프링에 의한 상기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서의 부세력보다 약한 복귀력을 가지고 상기 클러치레버를 복동방향으로만 부세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서의 상기 토션스프링의 부세력을 상기 리턴 스프링의 복귀력보다 약하게 제어하는 부세력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종래예에서 리턴스프링을 토션스프링 보다도 강하게 하여 상기 리턴스프링을 제어하는 대신 리턴스프링을 토션스프링보다 약하게 하여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토션스프링의 부세력을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귀력보다 약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토션스프링의 부세력이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귀력보다 강하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레버를 왕동조작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작용방향이 반전하여 상기 클러치레버는 왕동위치로 부세되어 상기 클러치가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캐스팅조작에 의하여 낚시줄을 투척할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종래의 경우와 같이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레버는 복동하는 것이다.
또, 상기 부세력 제어기구에 의하여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토션스프링 부세력은 상기 리턴스프링의 부세력을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귀력보다 약하게 하므로서 상기 클러치레버를 소폭으로 조작할 때에 이 조작을 가볍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레버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피로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클러치레버의 왕동조작을 석방하므로서 그 클러치레버를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하여 복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클러치를 이탈시켜 개스팅을 행하면서 클러치의 계합의 이탈을 반복하여 예를 들면 루어를 장착한 낚시줄을 세밀하게 풀어내거나 그 풀어냄을 정지하거나 하는 소위 필리핑이라 말하는 낚시법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필리핑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레버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매우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클러치레버를 가볍게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피로를 적게 할 수가 있어 필리핑 낚시를 장시간에 걸쳐 적은 피로로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리일은 양축받이 리일이고 제3도에 나타냄과 같이 측판(11)과 그 측판(11)의 외측에 부착한 접시형커버(12)로 구성된 제1사이드 프레임(1)와 측판(21)과 그 측판(21)의 외측에 부착한 첨가판(22)과 이 첨가판(22)의 외측에 부착한 접시형커버(23)로 구성되는 제2사이드 프레임(2) 및 이들 제1, 제2사이드프레임(1),(2)을 연결하는 복수본의 연결로드(도시없음)를 구비한 리일본체(A)의 상기 제1, 제2사이드프레임(1),(2)의 사이에 스풀(3)을 가진 스풀축(4)을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2)의 첨가판(22)과 접시형커버(23)와의 사이에 마스터기어(5)를 가진 핸들축(30)을 지지축(31)을 거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핸들축(30)의 일단을 상기 커버(2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부에 핸들(32)을 고정하는 한편, 상기 스풀축(4)의 일단을 외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커버(23)내로 진입시키고 그 진입부에 상기 마스터기어(5)와 맞물리는 피니언(6)을 회전 및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피니언(6)과 스풀축(4)과의 사이에 클러치(7)를 배설하고 후술하는 클러치레버(8)의 왕동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7)의 계합 이탈을 행하고 이 클러치(8)의 계합조작에 의하여 핸들(32)로부터 상기 핸들축(30)에 전달하는 조작력을 상기 마스터기어(5) 피니언(6) 및 클러치(7)를 거쳐 스풀축(4)에 전달하여 상기 스풀(3)을 회전시키고 또 클러치(7)의 이탈조작에 의하여 상기 스풀(3)을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 상기 핸들축(30)의 커버(23)내에의 진입부에는 상기 마스터기어(5)를 회전자유롭게 유삽(遊揷)함과 동시에 마찰판(33)과 복수개의 리턴돌기(34a)를 가진 역전방지판(34)을 회전불가능하게 끼워 상기 마찰판(33)을 거쳐 상기 핸들축(30)으로 부터의 회동력을 상기 마스터기어(5)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클러치(7)는 상기 스풀축(4)의 중간부에 편평한 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피니언(6)에 상기 편평면에 계합하는 비원형 내면을 가진 통부를 설치하여 구성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6)의 통부를 상기 클러치레버(8)의 작동으로 상기 스풀축(4)의 편평면 형성부분으로부터 이탈시키므로서 상기 스풀축(4) 및 그 스풀축에 고정된 스풀(3)을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상기 클러치(7)의 조작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낚시용 리일에 적용하므로서 상기 클러치(7)에 대하여 왕복동하고 그 왕동으로 상기 클러치(7)를 이탈하는 클러치레버(8)와 이 클러치레버(8)를 왕동위치와 복동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세하는 토션스프링(20)과 후술하는 리턴스프링(80) 및 부세력 제어기구(9)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레버(8)는 피니언(6)을 지지하여 항상 상기 클러치(7)가 계합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클러치요크(10)에 관련되게 설치하므로서 주로 금속판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요크(10)을 압압하는 압압부(81)와, 상기 스풀축(4)의 축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뻗은 긴구멍(82)과 스프링받침편(83)을 가진 포오크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기단부에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조작부(84)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클러치레버(8)는 제2사이드프레임(2)의 첨가판(22)에 그 일단을 고정하고 그 선단측이 상기 긴구멍(82)에 돌입하는 안내핀(24)을 거쳐 왕복동이 자유롭고 동시에 상기 핀(24)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범위내에서만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클러치레버(8)의 상기 스프링받침편(83)과 첨가판(22)과의 사이에 상기 토션스프링(20)을 끼워넣어져 있다.
따라서 클러치레버(8)의 왕동시에 상기 토션스프링(2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레버(8)의 선단에 설치된 리턴돌기(34a)에의 당접부(85)가 리턴돌기(34a)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 당접부(85) 부근의 계지편(86)을 제4도와 같이 첨가판(22)에 설치한 절결된 턱부(22a)에 계합되므로서 클러치레버(8)를 왕동종단(終端)부 위치에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레버(8)를 상기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왕동시키고 상기 클러치요크(1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상기 피니언(6)을 이동시켜, 클러치(7)를 이탈시키게 되고, 또, 핸들(32)을 회전조작하여 상기 역전방지판(34)에 설치된 리턴돌기(34a)를 상기 클러치레버(8)의 선단의 계합부(85)에 밀어 붙이므로서 클러치레버(8)를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복동시킴과 동시에, 이 복동시에 상기 피니언(24)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키고 제1도에 표시한 복동위치에 복귀시키게 되고, 이 복동위치에의 복귀에 의하여 피니언(6)을 상기 클러치요크(10)에 의한 압압력을 가지고 상기 클러치(7)가 계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제1-제6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제2사이드프레임(2)와 클러치레버(8)와의 사이에 상기 토션스프링(20)에 의한 클러치레버(8)의 왕동위치에서의 부세력보다 약한 복귀력을 가지고, 상기 클러치레버(8)를 항상 복동위치로 부세하는 상기 리턴스프링(80)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2)과 토션스프링(20)과의 사이에 클러치레버(8)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을 리턴스프링(80)의 부세력보다 약하게 하는 조작체(91)를 가진 부세력 제어기구(9)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토션스프링(20)은 선재(線材)의 양단부 및 중간을 권회하여 대략 V자형으로 형성하고 제1스프링의 다리(20a)를 상기 제어기구(9)를 거쳐 제2사이드프레임(2)에 지지하고 제2스프링의 다리(20b)를 상기 클러치레버(8)의 스프링받침편(83)에 지지하고 상기 클러치레버(8)의 왕동조작에 의하여 그 부세방향이 반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리턴스프링(80)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클러치레버(8)의 조작부(84)에 내공부(87)를 마련하고 이 내공부(87)에 상기 리턴스프링(80)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피너(24)의 선단에 스프링 받침시이트(24a)를 설치하여 그 스프링 받침시이트(24a)에 상기 리턴스프링(80)을 지지하여 클러치레버(8)를 항상 복동방향으로 부세시키고 있다.
또, 상기 제어기구(9)는 상기 접시형커버(23)에 피보팅하는 조작체(91)와 이 조작체(91)의 요동에 연동하고 상기 토션스프링(20)의 제1스프링다리(20a)를 지지하는 스프링받침체(92)로 이루어지고 이 스프링받침체(92)를 첨가판(22)에 피보팅시켜 상기 조작체(91)의 조작에 의하여 토션스프링(20)의 제1스프링다리(20a)의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2)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을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조작체(91)는 제2도와 같이 축부(91a)와 그 축심에 대하여 변위하는 전동(傳動)부(91b)와 상기 축부(91a)에 설치되는 노브(91c)로 구성되고 상기 축부(91a)를 상기 커버(23)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노브(91c)와 상기 커버(23)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91)의 위치결정기구(40)를 설치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기구(40)는 상기 클러치레버(8)의 왕동위치에 있어서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을 상기 리턴스프링(80)의 복귀력보다도 약하게 하는 제어위치와 비제어위치로 위치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작체(91)의 요동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요입부(凹入部)(41)와 이들 요입부(41)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계합(42)와, 이 결합체(42)를 상기 요입부(41)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3)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스프링받침체(92)는 상기 전동부(91b)에 계합되는 종동(從動)부(9a)를 가진 대략 L자형의 제1아암(92a)과 그 제1아암(92a)에 대향하는 l자형의 제2아암(92b)과 이들 각 아암(92a),(92b)의 일단을 소정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축(92c)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아암(92a), (92b)의 타단을 설치축(93)을 거쳐 상기 첨가판(22)에 요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연결축(92c)에 토션스프링(20)의 제1스프링다리(20a)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받침체(92)에 있어서의 설치축(93)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종동부(9a)의 길이는 상기 조작체(91)에 있어서의 축부(91a)의 중심으로부터 전동부(91b)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서 캐스팅 조작에 의하여 낚시줄을 투척하여 던질 낚시를 하는 경우 제1도와 같이 조작체(91)를 클러치레버(8)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이 리턴스프링(80)의 복귀력보다 강하게 되는 위치로 절환하므로서 이 제1도의 상태에서 컬러치레버(8)를 왕동조작하면 상기 토션스프링(20)의 작용방향이 반전하여 상기 클러치레버(8)는 제4도와 같이 왕동위치로 부세되고 상기 클러치요크(10)가 이동하여 클러치(7)는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스풀(3)을 자유회전시켜 그 스풀(3)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을 투척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제4도의 상태에서 핸들(32)을 회전조작하면 상기 리턴돌기(34a)가 클러치레버(8)의 선단계합부(85)에 당접하여 상기 클러치레버(8)가 복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토션스프링(20)의 부세방향이 반전하여 상기 클러치레버(8)는 복귀위치로 부세되어 상기 클러치요크(10)가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7)는 계합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32)의 조작력을 상기 클러치(7)를 거쳐 스풀(3)에 전달하여 스풀(3)에 상기 낚싯줄을 감아들일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클러치레버(8)를 소폭으로 조작하여 낚싯줄을 소폭으로 풀어내거나 풀어내는 것을 중지하거나 하므로서 루어를 춤추게 하면서 브랙머스(농어)등의 고기를 유인하여 필리핑 낚시를 하는 경우 상기 조작체(91)를 제5도와 같이 상기 클러치레버(8)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을 상기 리턴스프링(80)의 복귀력보다 약하게 하는 제어위치로 절환하고 이 조작체(91)의 절환에 의하여 상기 토션스프링(20)의 제1의 스프링다리(20a)가 제1도에 있어서의 O1위치로부터 제5도에 있어서의 O2위치로 변위하여 토션스프링(20)의 변형량이 감소하고 그 부세력은 리턴스프링(80)의 복귀력보다 약하게 된다.
그리하여 제5도의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레버(8)를 왕동조작하면 상기 클러치(7)가 이탈되고 또 상기 클러치레버(8)의 왕동조작을 석방하면 그 클러치레버(8)가 상기 리턴스프링(80)의 복귀력에 의하여 복동하여 상기 클러치는 계합된다.
따라서 상기 리턴스프링(80)의 복귀력은 상기 클러치레버(8)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토션스프링(20)의 부세력보다 약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레버(8)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적으로 작게 할 수가 있어 상기 클러치레버(8)를 매우 가볍게 왕동조작할 수가 있으며, 또 상기 클러치레버(8)에 작용하는 힘이 작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레버(8)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피로를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리턴스프링(80)으로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기타 판스프링 또는 선재로 된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 부세력 제어기구(9)로서 조작체(91)를 요동가능하게 한 기구를 채용하였으나 기타 상기 조작체(91)를 직접 이동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채용하여도 되고 또, 상기 토션스프링(20)의 제1스프링다리(20a)를 상기 조작체(91)에 직접 지지시킨 기구를 채용하여도 되며 그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낚상용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이고, 클러치에 대하여 왕복동하고 왕동에 의해 상기 클러치를 이탈시키는 클러치레버와, 이 클러치레버를 왕동위치와 복동위치의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부세하는 토션스프링과, 이 토션스프링에 의한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서의 부세력보다 약한 복귀력을 가지며 상기 클러치레버를 복동방향으로만 부세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토션스프링의 부세력을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귀력보다 약하게 제어하는 제어체를 구비한 부세력 제어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이 제1 및 제2스프링다리를 구비하고, 제1스프링다리가 부세력 제어기구에 지지되고 제2스프링다리가 클러치레버에 지지되어 있는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력 제어기구는 조작체와 이 조작체의 조작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스프링받침체를 구비하고, 토션스프링의 제1스프링이 상기 스프링받침체에 지지되어 있는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리일의 리일몸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상기 조작체와 리일몸체와의 사이에 클러치레버의 왕동위치에 토션스프링의 부세력을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귀력보다도 약하게 하는 제어위치와 비제어위치에 상기 조작체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 및 스프링받침체가 상기 리일의 리일 몸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작체에는 그 조작체의 조작을 상기 스프링받침체에 전달하는 전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받침체에는 상기 전동부에 계합되어 전동부로부터의 조작력을 받는 종동부를 구비한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받침체에 있어서의 요동중심으로부터의 종동부의 길이가 상기 조작체에 있어서의 요동중심으로부터의 전동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KR2019870009177U 1986-06-11 1987-06-09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KR90000301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88629 1986-06-11
JP1986088629U JPH0425975Y2 (ko) 1986-06-11 1986-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052U KR880000052U (ko) 1988-02-17
KR900003016Y1 true KR900003016Y1 (ko) 1990-04-12

Family

ID=1394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177U KR900003016Y1 (ko) 1986-06-11 1987-06-09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49148A (ko)
JP (1) JPH0425975Y2 (ko)
KR (1) KR900003016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7579Y2 (ko) * 1978-12-30 1981-09-02
US4369936A (en) * 1981-04-01 1983-01-25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clutch control mechanism
JPS57194737A (en) * 1981-05-22 1982-11-30 Shimano Industrial Co Fishing reel
JPS59192031A (ja) * 1983-04-13 1984-10-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クラツチ操作兼サミング指当て装置
JPS6094048A (ja) * 1983-10-28 1985-05-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クラツチ着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5975Y2 (ko) 1992-06-23
JPS62198972U (ko) 1987-12-18
US4749148A (en) 1988-06-07
KR880000052U (ko) 198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285B1 (ko) 릴의 클러치 구조
US5058823A (en) Fishing reel clutch mechanism
KR900005728B1 (ko) 낚시용 스피닝 리일
EP0429923B1 (en) Drag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304065B1 (ko) 낚시용스피닝릴의드래그장치
US4281808A (en) Fishing reel
US4179084A (en) Fishing reel
US4705228A (en) Spinning reel having improved bail arm mechanism
JPS62282530A (ja) 魚釣り用リ−ル
KR920003650Y1 (ko) 낚시용 릴의 스풀제동력 절환장치
US5511735A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drag operation and spool free states
KR900003016Y1 (ko) 낚시용 리일의 클러치 조작장치
KR970005230B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
US4585188A (en) Fishing reel
US4369936A (en) Fishing reel clutch control mechanism
JPH0697933B2 (ja) スピニングリ−ル
KR100290699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H0687722B2 (ja) 両軸受リ−ル
US5246187A (en) Baitcasting reel having a clutch restoring device
KR100574309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3384832B2 (ja) 両軸受リール
JP2006262727A (ja) 魚釣用リール
US5799890A (en) Actuating system for changing a fishing reel from a retrieve state into a cast state
JPH0714787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におけるドラグ装置
JPH03475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