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690B1 -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690B1
KR900005690B1 KR1019880001153A KR880001153A KR900005690B1 KR 900005690 B1 KR900005690 B1 KR 900005690B1 KR 1019880001153 A KR1019880001153 A KR 1019880001153A KR 880001153 A KR880001153 A KR 880001153A KR 900005690 B1 KR900005690 B1 KR 90000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candy
conveyor belt
concentrated
finished product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549A (ko
Inventor
윤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윤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윤태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Priority to KR101988000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690B1/ko
Publication of KR89001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동상의 측면도.
제3도는 솜사탕섬유토출기가 설치되는 토출기지지프레임의 부분 사시도.
제4도는 솜사탕섬유토출기의 종단면도.
제5도는 회전토출헤드의 토출링과 히터의 사시도.
제6도는 히터의 부분확대도.
제7도는 제4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제4도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세로절단수단의 요부사시도.
제10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11도는 가로절단수단의 측면도.
제12도는 동상의 종단측면도.
제13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14도는 정렬수단의 평면도.
제15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16도는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의 평면도.
제17도는 동상의 차단상태 측면도.
제18도는 동상의 낙하작동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솜사탕섬유토출기 11 : 장착틀
14 : 중공회전축 15,16 : 도선삽입홈
17 : 구동모터 20 : 회전토출헤드
21,22 : 회전체 23 : 토출링
24 : 토출공 25 : 용융실
26 : 원추형요부 27 : 원추형돌출부
28 : 중간구획부 29,30 : 용융부
31 : 전기히터 32 : 토출간극
35,36 : 히터전원접속링 38 : 카본브러시
43,44 : 카본접점 46 : 원료투입관
48 : 원료투입호퍼 50 :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
55 : 폭 및 두께성형수단 56 : 폭성형가이드
59 : 두께성형로울러 60 : 토출기지지프레임
61 : 솜사탕섬유수집실 62 : U자형지지간
63 : 지지안내레일 64 : 토출기지지안내틀
65 : 안내로울러 66 : 투명커버
68 : 공기분사관 69 : 분사공
AL : 공기공급관
70 :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이송용컨베이어벨트
75 : 안내판 76 : 조절구
80 : 세로절단수단 81 : 세로카타
82 : 원판칼날 83 : 받침로울러
84 : 스크랩퍼
90 :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이송용컨태이어벨트
100 : 가로절단수단 101,103 : 지지대
102 : 구동축 104 : 길이방향안내회전축
106 : 왕복대 107 : 크랭크
108 : 크랭크롯드 109 : 슬라이드기어
110 : 전동기어 111 : 크랭크축
112 : 크랭크돌기 113 : 승강램
114 : 크랭크공 115 : 안내레일
116 : 승강절단칼날 117 : 칼날받침
120 : 크랭크핀 121 : 조정틀
122 : 조절나사 123 : 슬라이더
130 : 교정수단 135 : 교정용컨베이어벨트
136 : 교정용로울러 140 : 정렬수단
145 : 정렬용컨베이어벨트 146 : 공압실린더
147 : 정렬판 148 : 감지센서
150 :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 155 : 낙하 및 정렬선택컨베이어벨트
156 : 차단용공압실린더 157 : 차단판
158,159 : 길이방향이동내측로울러
160,161 : 길이방향이동외측로울러
162,163 : 길이방향이동지지판 164,165 : 낙하용공압실린더
166 : 포장기용컨베이어벨트 168 : 차단지령용감지센서
169 : 낙하지령용감지센서 170 : 낙하금지지령감지센서
A : 솜사탕원료 B : 솜사탕섬유
C :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
D :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
E : 단위 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
본 발명은 솜사탕원료를 고속회전하는 솜사탕섬유토출기에 공급하여 솜사탕섬유를 연속적으로 토출하여 이송시키면서 소정크기로 압축 및 절단하여 매트상의 농축솜사탕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솜사탕섬유 토출기에서 토출되는 솜사탕섬유를 자동적으로 집결하여 이송시키면서 소정크기로 압축 및 절단한 후 다수개의 포장기에 자동적으로 연속 공급토록 함으로써 제조라인의 자동화와 소요인력의 감소 내지 무인화를 도모하여 생산성 향상과 대량생간 및 원가절감을 기하며, 크기가 균일하고 정확한 매트상 농축솜사탕을 제공토록 한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솜사탕 제조방법으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3,930,043호로 알려진 것이 있으며, 이 특허의 방법은, 솜사탕원료(설탕)를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에서 용융하여 그 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공을 통해 솜사탕섬유로서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공정과, 상기 솜사탕섬유를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가 중앙에 설치된 회전팬내에 수집하는 공정과, 수집된 솜사탕 섬유를 상기 회전팬으로 부터 그측방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상으로 옮겨서 이를 상기 회전팬의 접선방향속도보다 약간 바른 속도로 균속이송시키는 공정과, 컨베이어벨트상에 집결된 솜사탕섬유를 컴팩터를 통과시켜 소정크기(두께와 폭)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컴팩터에 의해 성형된 반제품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두께와 폭 및 길이의 제품을 완성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솜사탕 제조방법에서는 솜사탕섬유토출기를 컨베이어벨트의 측방에 설치된 회전팬의 내부중앙에 설치하여 회전토출헤드에서 토출되는 솜사탕섬유를 회전팬내에 일단 수집한 다음 상기 회전팬내에 수집된 솜사탕섬유를 작업자가 갈퀴등으로 긁어모아서 컨베이어벨트상으로 옮겨야 하므로 가 회전팬마다 작업자가 필요하게 되어 인건비증가에 따라 원가 상승요인이 될 뿐만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상으로 옮겨진 솜사탕섬유를 소정크기로 성형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컴팩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상부에 설치되어 솜사탕섬유를 소정두께로 압축성형하는 두께성형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방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솜사탕섬유를 소정폭으로 성형하는 폭성형로울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아니라 상기 컴팩터를 구성하는 두께성형벨트와 폭성형로울러를 통과한 연속매트 상농축솜사탕반제품은 그 폭이 다음의 절단공정에서 소정크기로 절단되어 완성된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의 하나의 폭으로 성형되는 것이고 절단공정에서는 길이방향크기 즉,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제조라인에서는 1개씩의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완제품이 일렬로 제조되는 것에 불과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대량생산이 곤란하게 되며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다수개의 제조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조설비의 설치비가 상승되는 것이었다.
또한 절단공정에서는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고정설치된 다수개(예컨대 4개)의 절단칼날을 이용하여 연속이송되는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것이므로 회전칼날의 절단동작궤적이 상기 반제품에 대해 직각으로 되지 않아 완성된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의 길이방향 전후단면이 수직으로 되지않고 불균일하게 되며 결국 완제품의 크기 및 형상이 부정화하며 불균일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완성된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끝단측에서 포장기에 공급되는 것으로 하나의 제조장치(제조라인)마다 각각 별도의 포장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더욱더 저하되고 설치비가 증가되며 제조설비의 공장내 점유면적이 증대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 솜사탕 제조장치로서 미합중국 특허 4,526,525호로 알려진 것이 있으며, 이 특허의 장치에서는, 솜사탕원료를 원료탱크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내부에서 용융시키고 이를 그 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공을 통해 솜사탕섬유로서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를 저면이 개방된 솜사탕섬유집결실내에 설치하여 토출되는 솜사탕 섬유를 상기 집결실내에 집결시키고, 상기 솜사탕섬유집결실의 하단개구의 하부에 그물망으로된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며 그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면에 흡입구를 보유하는 흡입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집결실내로 토출된 솜사탕섬유를 상기 흡입수단의 홉입력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상에 흡착시키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주행에 의해 솜사탕섬유를 이송시키면서 두께성형로울러와 폭성형로울러에 의해 소정두께와 폭을 갖는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으로 성형하고, 이를 계속 이송시키면서 승강식절단칼날에 의하여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크기(두께,폭,길이)의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 완제품을 완성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솜사탕 제조장치에서는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에서 상기 솜사탕섬유집결실내에 토출된 솜사탕 섬유를 흡입수단의 흡입력에 의하여 그물망으로 된 컨베이어 벨트상에 흡착시켜 컨베이어벨트의 주행에 의해 이송시키는 것이므로 사용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망목이 솜사탕섬유에 의해 폐색되어 상기 집결실의 내부에 작용되는 흡입력이 점차 저하되며 이에따라 컨베이어벨트에의 솜사탕섬유 흡착이 원활치 않게되어 균등한 량의 이송이 곤란하게 되고 결국 완제품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컨베이어벨트의 망목에 끼여들어간 솜사탕섬유를 제거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생산중단을 초래하게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망목에 끼여들어간 솜사탕 섬유를 제거하기란 매우 난해한 것이어서 관리,유지가 불편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솜사탕섬유가 컨베이어벨트의 망목을 통해 상기 흡입수단내로 흡입되어 흡입수단의 성능저하와 흡입팬의 기능고장을 유발케 되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상에서 이송되는 솜사탕섬유를 두께성형로울러와 폭성형로울러로써 소정두께로 성형한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반제품은 그 폭이 절단칼날에 의해 절단하여 완성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완제품의 하나의 폭으로 성형되는 것이고 절단공정에서는 소정의 길이로만 절단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제조라인에서는 1개씩의 단위매트상솜사탕완제품이 일렬로 제조되는 것에 불과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대량생산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다수개의 제조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바,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가 수평설치된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원료탱크에서 회전토출헤드내에 솜사탕원료투입관이 측방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2개이상의 제조장치를 연결설치가 불가능하고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이에따라 각 제조장치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남게되어 설치면적이 증대된다.
또 소정크기로 완성된 단일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은 컨베이어벨트의 끝단에서 포장기로 공급되는 것이어서 하나의 제조장치(제조라인)마다 각각 별도의 포장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더욱더 저하되고 설치비가 증가되며 제조설비의 점유면직이 증대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칼날은 단순히 정해진 위치에서 수직 승강하는 것이어서 상기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절단하는 경우에는 절단칼날이 하강하면서 절단할때 이송되는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의 절단된 선단부가 절단칼날에 의해 저지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 반제품이 계속 일정속도로 이송되므로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이 변형되며 이에따라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이 불균일하고 부정확하게 되고,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칼날의 절단동작중에는 상기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의 이송을 중지하고 절단후 절단칼날이 상승되었을때 다시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의 이송을 재개하는 경우에는 제조속도가 늦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솜사탕섬유를 토출하는 솜사탕섬유토출기를 하나의 제조라인에 다수개 설치하여 이들 각 토출기에서 토출되는 솜사탕섬유를 작업자가 긁어모아서 컨베이어벨트상에 옮겨놓을 필요없이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상에 낙하되면서 자동적으로 집결되도록 함으로써 생산라인에서의 작업자의 감소 내지 무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과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한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벨트상에 집결되어 이송되는 솜사탕섬유를 다단계의 두께성형로울러로 가압하여 소정두께로 성형함과 아울러 양측에서 폭성형가이드에 의해 소정폭으로 성형하여 최종의 단일매트상 농축솜사탕완제품에 비해 두께는 동일하고 폭은 적어도 2배이상인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 반제품을 얻고, 이 연속매트상솜사탕반제품을 길이방향으로 연속절단하여 적어도 2열이상의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얻은 후 이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적어도 2개이상의 단위 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얻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제조장치(생산라인)에서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다수열로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향상과 대량 생산을 기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 절단을 거쳐 완성된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완제품이송용컨베이어벨트상에서 다시 교정용로울러로 압축하여 절단시 다소 변형된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교정함으로써 일층균일하고 정확한 크기의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절단시 흐트러진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완제품을 정렬용컨베이어벨트상에서 승강작동하는 정렬판에 의하여 일렬로 정렬시킴으로써 포장기측으로의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의 이송 및 포장을 자동적으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렬되어 이송되는 단위 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정렬용컨베이어벨트의 끝단부와 이에 연접설치된 낙하 및 이송선택용컨베이어벨트의 선단부사이에서 승강작동하는 차단판으로 차단한 후 정렬용컨베이어벨트의 후단부와 낙하 및 이송선택용컨베이어벨트의 선단부를 수축시켜 그 사이가 벌어지게 함으로써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일행씩 그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된 포장기용컨베이어벨트상으로 낙하시켜 포장기에 자동적으로 이송토록 하여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의 제조 및 포장을 일련의 연속공정으로서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포장기용컨베이어벨트상에 낙하된 선행의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이 상기 정렬용컨베이어벨트의 후단부와 낙하 및 이송선택컨베이어벨트의 선단부 사이의 직하방위치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행의 단위 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차단관으로 차단시키지 않고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벨트상으로 통과시켜 이송되게 하며,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컨베이어벨트의 후단부에는 다수의 낙하 및 이송선택컨베이어벨트를 연접설치하고 이들 각 낙하 및 이송선택컨베이어벨트의 양단부사이에 각각 차단관을 설치하며 그 하방에는 포장기용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여 후행의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각 포장기용컨베이어벨트에 선택적으로 낙하시킴으로써 하나의 제조장치에 다수개의 포장기를 연결설치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따른 대량연속자동포장을 기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솜사탕섬유를 토출하는 다수의 솜사탕섬유토출기를,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상의 토출기지지프레임과 그 전후좌우측에 현수설치된 투명커버사이에 형성되는 솜사탕섬유 수집실내에서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수리 및 정비토록 함으로써 일부 솜사탕섬유토출기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나머지 솜사탕섬유토출기는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 가동시킬 수 있게하여 생산성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수리 및 정비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솜사탕섬유를 토출하는 솜사탕섬유토출기에 공급되는 솜사탕원료를 그 상부에 설치된 원료투입호퍼를 통해 연속적으로 자동투입할 수 있으며, 원료투입호퍼에 솜사탕원료를 한번 투입하는 것만으로써 일일 생산량을 충당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솜사탕 제조방법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솜사탕원료를 다수의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내에서 용융시켜 다수의 토출공을 통해 솜사탕섬유를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공정과, 상기 솜사탕섬유를 하나의 솜사탕섬유수집실내에 수집하는 공정과, 수집된 솜사탕섬유를 상기 수집실하부의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에 낙하시켜 연속적으로 집결시키는 공정과, 집결된 솜사탕섬유를 이송하면서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의 후단부측에서 폭성형가이드와 두께성형로울러에 의해 소정단위폭보다 적어도 2배이상의 폭과 소정단위두께를 갖는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소정단위폭을 갖는 다수열의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으로 연속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소정길이의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교정로울러에 의해 상기절단공정에서 변형된 부분을 교정하는 공정과, 상기 절단공정에서 흐트러진 가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일행씩 정렬하는 공정과, 정렬되어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농축 솜사탕완제품을 일행씩 포장기용컨베이어벨트상에 낙하시켜 포장기로 연속공급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솜사탕 제조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솜사탕원료를 고속회전하는 회전토출헤드 내에서 용융시켜 솜사탕섬유로서 연속토출하는 다수의 솜사탕섬유토출기와, 상기 토출기를 지지하는 토출기지지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솜사탕섬유수집실과, 상기 수집실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솜사탕섬유를 이송하는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의 후단부측에서 솜사탕섬유의 폭을 제한하면서 두께를 압축하여 최종단위폭보다 적어도 2배이상의 폭과 최종단위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으로 성형하는 폭 및 두께 성형수단과, 상기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의 이송용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최종단위폭을 갖는 다수열의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수단과, 상기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의 이송용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단위폭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반제품을 최종단위길이로 절단하여 단위 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으로 완성하는 가로절단수단과, 상기 단위 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이송하면서 가로절단시 변형된 부위를 교정하는 교정수단과, 상기 가로절단시 흐트러진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완제풍 을 일행씩 정렬시켜 이송하는 정렬수단과, 정렬되어 이송되는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을 일행씩 포장기용 컨베이어벨트상에 낙하시키거나 통과시키는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솜사탕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솜사탕 제조장치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설탕 또는 설탕과 향료등 첨가물을 혼합한 솜사탕 원료(A)'를 용융하여 솜사탕섬유로서 토출하는 다수개의 솜사탕섬유토출기(10)가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임(51)상에 설치되어 하나의 솜사탕섬유수집실(61)을 형성하는 토출기지지프레임(6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10)는 수개 내지 수십개가 설치되어 각 솜사탕섬유토출기(10)에서 토출된 솜사탕섬유(B)가 상기 수집실(61)내에 하나로 수집되도록 하는 것인바,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편의상 2개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토출기지지프레임(60)은 양측에 상기 솜사탕섬유로 출기(10)의 소요대수에 상응하는 U자형지지간(62)이 형성되어 있으며, U자형지지간(62)의 양측 상단부에는 한쌍의 지지안내레일(6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안내레일(63)에는 양측에 다수의 안내로울러(65)가 설치된 토출기 지지안내틀(64)이 측방으로 슬라이드 안내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출기지지프레임(60)의 상단부와 상기 U자형지지간(62)의 하단부 및 상기 토출기지지안내틀(64)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솜사탕섬유수집실(61)의 주위를 차폐하는 다수의 투명커버(66)가 설치되어 상기 솜사탕 섬유토출기(10)에서 토출되는 솜사탕섬유(B)가 상기 수집실(61)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집실(61)내의 상황을 투시할수 있도록 되어있다(제3도 참조).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1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토출기지지안내틀(64)에 지지설치되어 토출기지지안내틀(64)을 상기 토출기지지프레임(60)에 대해 측방으로 진입 및 인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10)을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솜사탕섬유수집실(61)내부의 가동위치로 진입시키거나 외부의 수리, 정비위치로 인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곰사탕섬유토출기(10)는 제4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판체로 되어 상기 토출기지지안내틀(64)에 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지지나사봉(12)과 완충스프링(13)으로 완충지지된 장착틀(11)과, 상기 장착틀(11)에 수직으로 굴대설치되고 외주면 양측에는 도선삽입홈(15)(16)이 형성된 중공회전축(14)과, 상기 중공회전축(14)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7)와, 상기 중공회전축(14)의 하단에 고정부착되어 내부에 솜사탕원료용융실(25)이 형성되고 다수의 토출공(24)이 천공된 주면내측에는 다수의 토출간극(32)을 갖는 전기히터(31)가 주설된 회전토출헤드(20)와, 상기 회전축(14)의 외주면에 서로 절연되게 이격설치되어 상기 히터(31)의 양단에 각각 상기 도선삽입홈(15)(16)을 통해 도선(33)(34)으로 연결된 히터전원접속링(35)(36)과, 상기 장착틀(11)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전원접속링(35)(36)에 상시 접촉되는 카본접점(43)(44)을 갖는 카본브러시(38)와, 상기 중공회전축(14)에 삽입되어 하단이 상기 용융실(25)내에 임하며 상기 장착틀(11)에 고정된 원료투입관(46)과, 상기 원료투입관(46)의 상단에 연통설치된 원료투입호퍼(48)와, 상기 회전축(14)의 하반부를 위요하는 커버슬리브(49)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틀(11)은 네모서리에서 토출기지지안내틀(64)에 지지나사봉(12)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장착틀(11)의 상면과 토출기지지안내틀(64)의 저면사이에는 상기 지지나사봉(12)주위에 권취되는 완충스프링(13)이 탄력설치되어 상기 토출기(10)가 토출기지지안내틀(64)에 대해 완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기(10)의 중공회전축(14)은 장착틀(11)에 베어링으로 지지되며, 그 중간부에서 구동모터(17)에 전동수단 예컨대 벨트(19)와 풀리(18a)(18b)로 연동연결되어있다.
상기 회전토출헤드(20)는, 상부회전체(21)와 하부회전체(22)의 주연부사이에 다수의 토출공(24)이 천공된 토출링(23)이 결착되어 그 사이에 용융실(25)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부회전체(21)(22)는 내열성 전열체로 성형되며, 상부회전체(21)의 저면에는 원추형요부(26)가 헝성되고 하부회전체(22)의 상면에는 상기 원추형요부(26)에 대응하는 원추형돌출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링(23)은 상하 한쌍의 ㄷ자형단면의 링체가 접합되어 중간부의 구획벽(28)과 그 상하의 용융부(29)(3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기히터(31)는 제6도와 같이 얇고 좁은 띠모양의 열선(니크롬선)을 지그재그형으로 접어서 열선의 사이에 다수의 토출간극(32)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토출링(23)의 용융부(29)(30)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상기 회전토출헤드(20)의 상하부회전체(21)(22)는 서로 고정나사에 의하여 결착되며 상부회전체(21)는 상기 중공회전축(14)의 하단에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상기 원료투입관(46)은 상기 장착틀(11)에 고정구(47)로써 고정부착되며, 상기 원료투입호퍼(48)는 원료투입관(46)의 상단에 연통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전원접속링(35)(36)은 상기 중공회전축(14)의 외주면에 고정결합된 절연부재(37)에 상하로 이격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회전축(14)의 양측 도선삽입홈(15)(16)에 삽입된 도선(33)(34)의 상단부가 각각 접속되고 도선(33)(34)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토출헤드(20)의 용융실(25)내에서 상기 히터(31)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카본브러시(38)는 상기 장착틀(11)의 일측에 고정구(40)로써 고정된 지지구(39)에 한쌍의 브러시암(41)(42)이 힌지설치되어 스프링(45)에 의해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상기 히터전원접속링(35)(36)에 접속되는 카본접점(43)(44)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45)에 의해 카본접점(43)(44)이 상시 탄성접촉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제7도 참조).
상기 카본브러시(40)의 브러시암(41)(42)은 각각 전원코드(미도시)에 의해 전원에 연결되며, 전원은 상기 브러시암(41)(42)을 통해 그 선단의 카본접점(43)(44)에 공급되고, 상기 히터전원접속링(35)(36)과 도선(33)(34)을 통해 회전토출헤드(20)내의 전기히터(31)에 인가되는 것으로, 구동모터(17)에 의해 중공회전축(14)이 회전되더라도 카본접점(43)(44)이 히터전원접속링(35)(36)에 탄성접촉되고 있으므로 전기히터(31)에는 계속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10)는, 상기 원료투입호퍼(48)에 설탕 또는 설탕과 향료등 첨가물을 혼합한 솜사탕원료(A)를 투입적치하고, 상기 전기히터(31)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아울러 구동모터(17)를 가동시키면 중공회전축(14)이 회전하게되고 그 하단에 고정된 회전토출헤드(20)가 회전되며, 원료투입호퍼(48)에 투입된 솜사탕원료(A)가 원료투입관(46)을 통해 회전토출헤드(20)의 용융실(25)내로 연속투입되고, 용융실(25)에 투입된 솜사탕원료(A)는 회전토출헤드(2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주면측 즉 토출링(23)측으로 퍼져 나가면서 전기히터(31)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해 용융되며, 용융된 솜사탕원료는 전기히터(31)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간극(32)과 토출링(23)에 천공된 다수의 토출공(24)을 통해 섬유상으로 토출되구 외부 즉, 수집실(61)내부로 토출된 즉시 응고되어 솜사탕섬유(B)로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토출헤드(20)의 용융실(25)내로 투입된 솜사탕원료(A)는 원심력에 의해 토출링(23)의 상하부측으로 들어가서 용융됨에 있어 토출링(23)의 중간부에 형성될 구획벽(28)에 의해 상하부용융부(29)(30)가 구획되어 있으므로 솜사탕원료(A)는 하부용융부(30)로 집중되는 일이없이 상하부 용응부(29)(30)에서 균등하게 용융된다.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10)의 회전토출헤드(20)에서 토출된 솜사탕섬유(B)는 상기 토출기지지프레임(60)에 의해 형성된 솜사탕섬유수집실(61)내에 수집된다.
이때 솜사탕섬유수집실(61)내에 토출된 솜사탕섬유는 상기 회전토출헤드(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집실(61)내에 발생되는 난기류(亂氣流)에 의해 부상되려는 힘을 받게 되는바,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10)의 장착틀(11)에 현수지지구(67)로 지지되어 설치된 공기분사관(68)의 주면하부에 천공된 다수의 분사공(69)에서 하향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솜사탕섬유(B)는 부상되지 않고 하방으로 원활하게 낙하된다.
상기 공기분사관(68)은 각 솜사탕섬유토출기(17)마다 각각 설치되며, 각 공기분사관(68)은 공장설비의 에어라인(미도시)에 공기공급관(AL)으로 분기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토출헤드(20)에서 토출되어 공기분사관(68)의 하향분사공기 및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솜사탕섬유(B)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1)에 설치된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상에 수집되며, 각 솜사탕섬유토출기(10)에서 토출 및 낙하된 솜사탕섬유(B)는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상에 하나로 집결된다.
한편 솜사탕섬유토출기(10)에서 솜사탕섬유수집실(61)내로 토출된 솜사탕섬유(B)는 상기 토출기지지프레임(60)의 상단부와 U자형지지간(62)의 하단부 및 토출기지지안내틀(64)의 양측단부에 현수설치된 투명커버(66)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며 모두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상에 낙하되어 집결된다.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1)에 굴대설치된 지지로울러(52)에 의해 양단에서 반전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구동로울러(53)에 의해 구동되어 연속주행되면서 그 위에 낙하 집결된 솜사탕섬유(B)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1)에 부착설치된 벨트받침판(54)에 의해 받혀져서 밑으로 처지는 일이 없이 솜사탕섬유(B)를 원활하게 이송케된다.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의 후방부에는 양측에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부(57)와 직선부(58)를 보유하는 폭성형가이드(56)와, 솜사탕섬유(B)와의 접촉높이 즉, 압축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다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두께 성형로울러(59)로 구성되는 폭 및 두께성형수단(55)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폭 및 두께성형수단(55)의 두께성형로울러(59)는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의 주행속도와 상응하는 원주속도를 갖도록 구동회전된다.
상기 솜사탕섬유이송용컨베이어벨트(50)상에서 이송되어오는 솜사탕섬유(B)는 상기 폭 및 두께성형수단(55)을 구성하는 폭성형가이드(56)의 경사면부(57)에 이르러 점차 그 폭이 제한됨과 아울러 상기 두께성형로울러(59)에 의해 단계적으로 압축되면서 점차 그 두께가 축소되어 소정폭과 소정두께를 갖는 연속매트상농축솜사탕제품(C)으로 성형된다.
상기 폭 및 두께성형수단(55)에 의해 성형된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반제품(C)은 그 폭이 최종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완제품(E)의 단위폭보다 적어도 2배이상 수배 내지 십수배 정도로 되며, 그 두께가 최종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완제품(E)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속 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은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연속되는 것으로 상기 솜사탕 섬유 이송용 컨베이어벨트(57)의 후단에 연접 설치된 연속매트상 농축 솜사탕반제품이송용 컨베이어 벨트(70)에 의하여 계속 이송된다.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70)는 베이스 프레임(71)에 굴대 설치된 지지로울러(72)에 의해 양단에서 반전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구동로울러(73)에 의해 구동되어 연속 주행되면서 그 위로 이송되어 오는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에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것이며, 이 또한 베이스 프레임(71)에 부착된 벨트 받침판(74)에 의해 받혀져서 밑으로 처지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70)의 양측에는 제1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의 양측연부를 안내하는 안내관(75)이 조절구(76)에 의하여 양측간격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75)의 조절구(76)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71)에 고정된 블록(77)과 이에 관통되어 상기 안내관(75)에 선단이 고정된 조절봉(78) 및 조절봉(78)을 블록(77)에 고정하는 셋트스크류(7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75)은 이송되어 오는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의 양측연부를 안내하여 다음의 세로 절단 공정에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이 정화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70)의 후단측에는 다수의 원판칼날(82)을 보유하는 세로 카타(81)와 받침로울러(83) 및 각원판칼날(82)이 삽입되는 절개홈(85)을 보유하는 스크랩퍼(84)로 구성되는 세로절단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제1도, 제9도 및 제10도 참조).
상기 세로절단수단(80)의 받침로울러(83)는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농용 컨베이어 벨트(70)의 구동로울러(7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 구동되며, 상기 세로카타(81)는 상기 받침로울러(83)에 연동기어(86)(87)로 연동연결되어 상기 세로카타(81)는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받침로울러(8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을 이송하면서 소정폭을 갖는 다수개의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으로 절단한다.
절단작용에 있어서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의 절단부에서 상기 세로카타(81)의 원판칼날(82)에 부스러기가 들러 붙게되더라도 상기 스크랩퍼(84)에 형성된 절취홈(85)의 양측연부에 의해 스크랩핑되어 원판칼날(82)의 절단성능이 향상 양호하게 유지되며 절단된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의 양측연부가 항상 정확하고 개끗하게 된다.
여기서 절단되어 나오는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은 상기 세로카타(81)의 원판칼날(82)의 갯수보다 1개 많은 수(도면에서는 8개)가 얻어지며, 그 폭은 최종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단위폭과 동일하게 되어 나온다.
제2도 및 제9도에서는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70)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의 설치 높이와 후술하는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의 설치 높이에 따라 전체 컨베이어 벨트라인의 설치 높이를 정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솜사탕 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와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의 상대 높이에 따라서는 수평 또는 하향 경사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랩퍼(84)는 세로절단시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의 상면을 안내하여 절단작용이 원활하게 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상기 세로절단수단(80)의 후방측에는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이송하는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90)가 베이스프레임(91)에 굴대 설치된 지지로울러(92)에 지지되어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구동로울러(93)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토록 설치되어 벨트받침판(94)에 의해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받혀져 있다.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90)의 후단측에는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가로절단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제2도 참조).
이 가로절단수단(100)은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90)의 베이스 프레임(91)의 양측에 수직설치된 지지대(101)에 가로방향으로 굴대설치되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02)과, 상기 지지대(101)와 후술하는 교정용 컨베이어 벨트(135)의 베이스 프레임(131)의 양측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103) 사이에 굴대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02)과 연동 회전되며 길이방향 안내키이(105)를 보유하는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과, 상기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에 의해 왕복 안내되는 한쌍의 왕복대(106)와, 상기 구동축(102)의 양측단에 설치된 크랭크(107)와, 상기 크랭크(107)와 상기 왕복대(106)를 연결하는 크랭크롯드(108)와, 상기 왕복대(106)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에 의해 슬라이드 및 회전되는 슬라이드기어(109)와, 상기 슬라이드 기어(109)와 맞물리는 전동기어(110)와, 상기 왕복대(106)에 굴대 설치되어 그 일단이 상기 전동기어(110)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크랭크돌기(112)가 형성된 크랭크축(111)과, 상기 크랭크돌기(112)가 삽입되는 크랭크공(114)을 보유하며 상기 왕복대(106)에 설치된 승강 안내레일(115)에 의해 승강 안내되는 승강램(113)과, 상기 승강램(113) 사이에 고정되는 승강절단칼날(116) 및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90)의 후단부와 교정용 컨베이어 벨트(130)의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칼날받침(1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은 각각 한쌍의 베벨기어(118)(119)에 의해 구동축(102)에 연동 회전되며, 상기 구동축(102)의 양단에 설치된 크랭크(107)는 그 크랭크 핀(120)이 구동축(102)에 고정된 조정틀(121)내에서 조절나사(122)로 슬라이드 조절되는 슬라이더(123)에 설치되어 구동축(102)과의 편심거리 즉, 회전반경을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왕복대(106)의 왕복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랭크롯드(108)는 길이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왕복대(106)의 왕복 양단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가로절단수단(100)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축(102)을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되는 것으로 구동축(102)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기어(109)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102)의 양단에 설치된 크랭크(107)와 크랭크롯드(108)에 의해 상기 왕복대(106)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 기어(109)는 상기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상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물린 전동 기어(110)와 이에 결합된 크랭크축(111)이 회전되면서 크랭크돌기(112)와 크랭크공(114)에 의해 승강램(113)을 상기 승강 안내레일(115)을 따라 승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양측 승강램(113)에 장착된 승강절단칼날(116)은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됨과 아울러 승강되면서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절단칼날(116)의 왕복 스토로크는 최종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단위길이에 따라 설정하며, 그 왕복 양단위치는 상기 칼날받침(117)의 설치위치와 그 위치에서 상기 단위길이만큼 전진된 위치가 되도록 설정하고, 그 승강위치는 상기 칼날받침(117)의 위치에서 하강하여 상기 단위길이만큼 전진된 위치까지 유지되고, 그 위치에서 다시 상승하여 다시 칼날받침(117)위치까지 유지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승강절단칼날(116)의 왕복 이동속도는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의 이송속도와 일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로절단수단(170)의 승강절단칼날(116)은 상기 칼날받침(117)의 위치에서 하강하여 이송되어 오는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절단하고 그 상태에서 전진하면서 절단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교정용 컨베이어 벨트(135)측으로 밀어 보내며 그 전진단부 위치에서 상승되어 다시 절단위치로 복귀되어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절단칼날(116)의 왕복 스트로크는 최종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단위길이와 일치되고, 왕복 이동속도는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의 이송속도와 일치되므로 항상 상기 단위길이로 균일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로절단수단(100)에 의해 1회 절단 동작에서는 다수개(도면에서는 8개)의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얻어진다.
이와같이 절단되어 나온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은 일행씩 교정수단(130)측으로 이송된다. 교정수단(130)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로절단수단(100)의 후방측에 연접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31)에 굴대 설치된 지지로울러(132)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구동로울러(133)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되며 벨트받침판(134)에 의해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받혀진 교정용 컨베이어 벨트(135)와, 상기 구동로울러(13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동 회전하는 교정용 로울러(1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정수단(130)은 상기 가로절단수단(100)에 의해 절단되어 나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절단시 변형부위(예컨대 모서리부분)를 교정용 로울러(136)에 의해 가볍게 눌러 줌으로써 교정하는 것이다.
교정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은 절단시 다소 흐트러진 상태로 이송되는 바, 상기 교정수단(130)의 후단부에 인접 설치된 정렬수단(147)에 의하여 일행씩 정렬되면서 이송된다.
상기 정렬수단(140)은 제1도와 제2도와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 프레임(141)에 굴대 설치된 지지로울러(132)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모터(미도시) 연결된 구동로울러(143)로 구동되며 벨트받침판(144)에 의해 밑으로 처지지 않게 받혀진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베이스 프레임(141)의 양측에 설치된 공압실린더(146)에 의해 승강되는 정렬판(147) 및 상기 정렬판(147)의 양측에서 벨트받침판(144)에 설치된 감지센서(148)로 구성된다.
정렬수단(140)은 가로절단시 흐트러진 상태로 일행씩 이송되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탄 완제품(E)이 상기 감지센서(148)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회로 및 공압장치(미도시)가 동작하여 상기 공압실린더(146)을 작동시켜 정렬판(147)을 하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I)은 일행씩 정렬판(147)에 의해 정렬되고 다시 제어회로와 공압장치에 의해 공압실린더(146)가 작동되어 정렬판(147)이 상승되며 정렬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은 정렬판(147) 밑을 통과하여 계속 이송된다.
이와같이 하여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은 일행씩 정렬된 상태로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상에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정렬수단(140)의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후단부에는 일행씩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으로 낙하시키거나 통과시켜 다음번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측으로 이송시키는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은, 제1도와 제2도 및 제16도 내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후단부에 연접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51)에 굴대 설치된 지지로울러(152)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구동로울러(153)로 구동되어 주행되며 벨트받침판(154)으로 받혀지는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양측에 수직 설치된 공압실린더(156)와, 이 공압실린더(156)에 양단이 연결되어 승강되는 차단판(157)과,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후단부와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의 양단부(도면에서는 전단부만 도시함)를 상부 내측에서 지지하는 길이 방향 이동 내측로울러(158),(159)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후단부와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로울러(142),(152)와 상기 길이방향 이동 내측로울러(158)(159)와의 사이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길이 방향 이동 외측로울러(160),(161)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41)(151) 양측에 길이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길이방향 이동 내.외측로울러(158)(159), (160)(161)를 지지하는 길이방향 이동지지판(162),(163)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41)(151) 양측에 수평 설치되어 상기 길이방향 이동지지판(162)(163)을 서로 접근 및 이격되게 동작시키는 공압실린더(164),(165)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사이의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66)에 지지된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벨트받침판(144) 양측에 설치되어 차단을 지령하는 차단지령용 감지센서(168)와 차단완료를 감지하여 낙하를 지령하는 낙하지령용 감지센서(169)와, 상기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의 베이스 프레임(166)의 양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 설치되어 낙하금지를 지령하는 낙하금지지령용 감지센서(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판(157)의 설치위치는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의 연접선에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중심선이 일치된 상태에서 차단되는 위치로 정하며, 상기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는 그 중심선이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의 연접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상기 차단지령용 감지센서(168)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차단판(157)에 이르기전에 이를 감지하여 제어회로(미도시)에 차단지령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낙하지령용 감지센서(169)는 차단판(157)에 의해 차단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감지하여 제어회로에 낙하지령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낙하금지지령용 감지센서(170)는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의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의 직하방에 먼저 낙하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있는 경우 차단지령용 감지센서(168)가 차단지령을 내리게 하더라도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 감지센서(168)(169)(170)는 포토센서등 광전소자를 사용한다.
상기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는 양단이 대칭구조로 구성 되는 것인 바, 도면에서는 지면관계로 전단부만 도시하였다.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상에서 일행씩 정렬되어 이송되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상기 차단지령용 감지센서(168)에 의해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가 제어회로(미도시)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어회로는 차단용 공압실린더(156)가 연결된 공압장치(미도시)에 차단지령을 내리게 되며 공압실린더(156)가 작동하여 차단판(157)을 강하시키게 되고 이송되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일행씩 차단된다.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차단판(157)에 의해 차단되면 상기 낙하지령용 감지센서(169)가 차단완료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회로와 공압장치에 의해 상기 낙하용 공압실린더(164)(165)가 동작되어 제18도와 같이 상기 길이방향 이동지지판(162)(163)을 서로 이격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길이방향 이동 내 외측로울러(158)(159)(160)(161)가 양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 사이를 벌어지게 하여 차단되었던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상기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에 낙하시킨다.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에 낙하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은 포장기(미도시)에 이송되어 포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 이동 내.외측로울러(158)(159)(160)(161)가 벌어지는 과정에서 길이방향 이동 내측로울러(158)(159)는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의 장력을 이완시키게 되지만 길이방향 이동 외측로울러(160)(161)는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의 장력을 긴장시키게 되며 이들 길이방향 이동 내측로울러(158)(159)와 길이방향 이동 외측로울러(160)(161)는 각각 동일 길이방향 이동지지판(162)(163)에 의해 일체로 이동되는 것이므로 상기 장력이 완량과 장력 긴장량이 서로 상쇄되어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 및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는 장력의 변화가 없게 되며, 주행상태에도 변화가 없게 된다.
낙하가 완료되면 제어회로와 공압장치에 의해 상기 낙하용 공압실린더(164)(165)가 복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도 제17도의 상태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차단용 공압실린더(156)도 복귀되어 차단판(157)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후행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상기 차단지령용 감지센서(168)에 의해 감지되더라도 상기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의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의 직하방 위치에 선행 낙하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차단판(157)이 강하되지 않으며, 후행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차단판(157) 밑을 통과하여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상으로 이송되고 상기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에 낙하된 단위매트상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없어지면 그후 후행되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이 상술한 방법으로 차단 및 낙하되는 것이다.
상기 낙하 및 이송 컨베이어 벨트(155)상으로 이송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은 그 후단부에 연접 설치된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과 동일 구성의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미도시)에 의해 다음번 포장기(미도시) 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을 다수개 설치하면 한개 설치한 경우보다 그 설치 배수만큼 빠른 속도로 이송 및 생산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을 4개 설치한 경우에는 정렬되어 이송되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각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에서 네번째마다 한번씩 낙하시켜 포장기에 공급하면 되므로 1개 설치한 경우에 비해 이송속도를 4배로 빠르게 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속도가 그만큼 빠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솜사탕섬유수집실(61)을 형성하는 토출기 지지프레임(60)에 다수개의 솜사탕섬유토출기(10)를 설치하여 각 토출기(10)에서 토출되는 솜사탕섬유(B)를 하나의 솜사탕섬유수집실(61)내에 하나로 수집하고 이를 하나의 솜사탕섬유 이송용 벨트(50)에 자동적으로 낙하되어 집결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 많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집결시키는 것에 비해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며 생산라인에서의 작업자의 감소 내지 무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대량생산과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10)에 투입되는 솜사탕원료(A)를 상부에 설치된 원료투입호퍼(48)에 투입하는 것만으로써 계속적으로 자동 공급되며, 원료투입호퍼(48)에 한번 투입으로 1일 생산량을 충당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일층 향상된다.
상기 토출기(10)에서 토출되는 솜사탕섬유(B)는 종래와 같이 그물말형 컨베이어 벨트와 흡입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자증과 솜사탕섬유수집실(61)내의 공기분산관(68)에서 하향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낙하되도록 하였으므로 컨베이어 벨트의 청소가 용이하고 종래 망목이 막히거나 흡입장치의 고장등에 따른 생산중지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토출기(10)는 다수개를 설치하였으면서도 각 토출기(10)를 별도로 인출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불필요한 생산중단없이 연속 가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솜사탕섬유 이송 컨베이어 벨트(50)에 의해 집결 이송되는 솜사탕섬유(B)를 폭성형가이드(56)와 다단 두께 성형로울러(59)에 의해 최종 단위폭보다 적어도 2배이상 수배 내지 십수배의 폭을 가지며 최종 두께로 되는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으로 성형하고, 이를 다수의 원판칼날(82)을 보유하는 세로절단수단(80)에 의해 최종 단위폭을 갖는 다수열의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으로 절단한 후 이를 가로절단수단(100)에 의해 단위길이로 절단하여 한번에 소정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얻도록 하였으므로 생산성 향상과 대량생산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가로절단수단(100)은 수강절단칼날(116)을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를 왕복 이동하면서 승강토록 하였으므로 가로절단면이 정확하고 깨끗하게 되며, 가로절단시 다소 변형된 부분이 있더라도 다시 한번 교정수단(130)으로 교정하는 것이므로 항상 정확하고 균일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로절단 및 교정후 가로절단시 다소 흐트러진 상태로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정렬수단(140)으로 일행씩 정렬시킨 후 포장기측에 공급토록 하였으므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이송 및 포장을 원할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렬수단에 의해 일행씩 정렬되어 이송되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를 하부에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가 설치되는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에 의하여 일행씩 차단하여 포장기용 컨베이어벨트(167)상에 낙하시켜 포장기에 자동 공급토록 하였으므로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제조에서 포장에 이르기까지 완전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을 다수개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각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에 의해 다수개의 포장기에 균등 분배함으로써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7)의 설치 배수만큼 빠른 속도로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대량생산에 더욱 효과적으로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및 사상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26)

  1. 솜사탕원료(A)를 다수의 솜사탕토출기(10)의 회전토출헤드(20)내에서 용융시켜 다수의 토출공(24)를 통해 솜사탕섬유(B)를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공정과. 상기 솜사탕섬유(B)를 하나의 솜사탕원료 수집실(61)내에 수집하는 공정과, 수집된 솜사탕섬유(B)를 상기 수집실(61) 하부의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상에 낙하시켜 연속적으로 집결시키는 공정과, 집결된 솜사탕섬유(A)를 이송하면서 상기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의 후단부측에서 폭성형가이드(56)와 두께 가압로울러(59)에 의해 소정단위 폭보다 2배이상의 폭과 소정단위 두께를 갖는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을 소정단위폭을 갖는 다수열의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으로 연속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를 소정길이의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교정로울러(136)에 의해 상기 절단공정에서 변형된 부분을 교정하는 공정과, 상기 절단공정에서 흐트러진 각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일행씩 정렬하는 공정과, 정렬되어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일행씩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에 낙하시켜 포장기로 연속공급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솜사탕원료(A)를 솜사탕토출기(10)의 상단에서 원료투입호퍼(48)로부터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솜사탕토출기(10)에서 토출된 솜사탕섬유(B)를 하향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에 낙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에 의해 이송되는 솜사탕섬유(B)를 다단계로 압축하여 단위두께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그 이송속도와 동일속도로 왕복이동하면서 승강되는 가로절단수단(100)으로 절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의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의 유무에 따라 이송되어 오는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낙하 또는 통과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방법.
  7. 솜사탕원료(A)를 고속회전하는 회전토출헤드(20)내에서 용융시켜 솜사탕섬유(B)로서 연속토출하는 다수의 솜사탕토출기(10)와, 상기 토출기(10)를 지지하는 토출기 지지프레임(60)에 의해 성형되는 솜사탕섬유수집실(61)과. 상기 수집실(61)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솜사탕섬유를 이송하는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와, 상기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의 후단부측에서 솜사탕섬유(B)의 폭을 제한하면서 두께를 압축하여 최종 단위폭보다 적어도 2배이상의 폭과 최종단위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연속매트상 농축 솜사탕 반제품(C)으로 성형하는 폭 및 두께 성형수단(55)과,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의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70)와,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C)을 최종단위폭을 갖는 다수열의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수단(80)과,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의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90)와,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D)을 최종단위길이로 절단하여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으로 완성하는 가로절단수단(100)과, 상기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이송하면서 가로절단시 변형된 부위를 교정하는 교정수단(130)과, 상기 가로절단시 흐트러진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E)을 일행씩 정렬시켜 이송하는 정렬수단(140)과, 정렬되어 이송되는 단위매트상 솜사탕 완제품(E)을 일행씩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상에 낙하시키거나 통과시키는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솜사탕토출기(10)는 상기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51)상에 설치되어 하나의 솜사탕섬유수집실(61)을 형성하는 토출기 지지프레임(60)에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 지지프레임(60)의 양측에 상기 토출기의 설치대수에 상용하는 다주의 U자형 지지간(62)을 형성하여 이 U자형 지지간(62)의 양측상단부에 한쌍의 지지안내레일(63)을 설치하고, 이 지지안내레일(63)에는 양측에 다수의 안내로울러(65)가 설치된 토출기 지지안내로을(64)을 측방으로 슬라이드 안내되게 지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 지지프레임(60)의 상단부와 상기 U자형 지지간(62)의 하단부 및 상기 토출기 지지안내틀(64)의 양측단부에 상기 솜사탕섬유수집실(61)의 주위를 차폐하는 투명커버(66)를 현수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솜사탕토출기(10)는, 상기 토출기 지지안내틀(64)에 다수의 지지나사봉(12)과 완충스프링(13)으로 완충지지되는 장착틀(11)과, 상기 장착틀(11)에 수직으로 굴대 설치되어 외주면 양측에 도선 삽입홈(15)(16)이 형성된 회전축(14)과, 상기 중공 회전축(14)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7)와, 상기 중공회전축(14)의 하단에 고정되어 내부에 용융실(25)이 형성되고 다수의 토출공(24)이 천공된 주면 내측에는 다수의 토출간극(32)를 갖는 전기 히터(31)가 주설된 회전토출헤드(20)와, 상기 회전축(14)의 외주면에 서로 절연되게 이격 설치되어 상기 히터(31)의 양단에 상기 도선 삽입홈(15)(16)을 통해 도선(33)(34)으로 연결된 히터 전원 접속링(35)(36)과, 상기 장착틀(11)에 지지되어 상기 히터 전원 접속링(35)(36)에 상기 접촉되는 카본접점(43)(44)를 갖는 카본 브러시(38)와, 상기 중공회전축(14)에 삽입되어 하단이 상기 용융실(25)내에 임하며 상기 장착틀(11)에 고정된 원료 투입관(46)과, 상기 원료투입관(46)의 상단에 연통설치된 원료투입호퍼(48)와, 상기 회전축(14)의 하반부를 위요하는 커버슬리브(4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토출헤드(27)는, 상부 회전체(21)와 하부 회전체(22)의 주연부 사이에 다수의 토출공(24)이 천공된 토출링(23)이 결착되어 그 사이에 용융실(25)을 형성하여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회전체(21)(22)는 내열성 절연체로 성형하여 상부 회전체(21)의 저면에는 원추형 요부(26)를, 하부 회전체(22)의 상면에는 상기 요부(26)에 상응하는 원추형 돌출부(27)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토출링(23)은, 상,하 한쌍의 ㄷ자형 단면의 링체를 접합하여 중간부의 구획벽(28)과 그 상,하의 용융부(29)(30)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31)은 얇고 좁은 띠 모양의 열선을 지그재그형으로 접어서 열선사이에 다수의 토출간극(32)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관(46)을 상기 장착틀(11)에 고정구(47)로써 고정지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브러시(38)는 상기 장착틀(11)에 고정된 지지구(39)에 한쌍의 브러시암(41)(42)을 힌지 설치하여 스프링(45)으로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력 설치하고, 브러시암(41)(42)의 선단에 상기 카본접점(43)(44)을 부착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10)의 주위에는 다수의 하향분사공(69)이 천공된 공기분사관(68)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및 두께 성형수단(55)은 솜사탕섬유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50)의 후방부에 양측에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부(57)와 직선부(58)를 보유하는 폭성형가이드(56)와, 솜사탕섬유(B)와의 접촉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배열된 다수개의 두께 성형로울러(5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70)의 양측에는 한쌍의 안내판(75)을 조절구(76)로 조절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절단수단(80)은 다수의 원판칼날(82)을 보유하는 세로카타(81)와, 받침로울러(83) 및 각 원판칼날(82)이 삽입되는 절개홈(85)을 보유하는 스크랩퍼(8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절단수단(100)은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90)의 베이스 프레임(91)의 양측에 수직설치된 지지대(101)(103)에 가로방향으로 굴대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동축(102)과, 상기 지지대(101)와 상기 교정수단의 교정용 컨베이어 벨트(135)의 베이스 프레임(131)의 양측에 수직설치된 지지대(103)사이에 굴대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02)과 연동 회전되며 길이방향안내키이(105)를 보유하는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과, 상기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에 의해 왕복 안내되는 한쌍의 왕복대(106)와, 상기 구동축(102)의 양측단에 설치된 크랭크(107)와, 이 크랭크(107)와 상기 왕복대(106)를 연결하는 크랭크롯드(108)와, 상기 왕복대(106)에 굴대 설치되어 상기 길이방향 안내회전축(104)에 의해 슬라이드 및 회전되는 슬라이드기어(109)와, 이 슬라이더기어(109)와 맞물리는 전동기어(110)와, 상기 왕복대(106)에 굴대 설치되어 그 일단이 상기 전동기어(110)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크랭크돌기(112)가 형성된 크랭크축(111)과, 상기 크랭크돌기(112)가 삽입되는 크랭크공(114)을 보유하며, 상기 왕복대(106)에 설치된 승강안내레일(115)에 의해 승강 안내되는 승강램(113)과, 그 승강램(113)사이에 고정되는 승강절단칼날(116) 및 상기 단위폭 연속매트상 농축솜사탕 반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90)의 후단부와 교정용 벨트(130)의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칼날받침(11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2)의 양단에 설치된 크랭크(107)는 그 크랭크핀(120)을 구동축(102)에 고정된 조정틀(121)내에서 슬라이드 조절되는 슬라이더(123)에 설치하며, 상기 크랭크롯드(108)는 길이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수단(130)은 상기 가로절단수단(100)의 후방측에 연접설치되어 주행하는 교정용 컨베이어 벨트(135)와, 이 컨베이어 벨트(135)상에서 회전되는 교정용 로울러(1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140)은 상기 교정수단(130)의 후방측에 연접 설치되는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한쌍의 공압실린더(146)에 의해 승가되는 정렬관(147) 및 상기 정렬판(147)의 양측부에 설치된 정렬용 감지센서(14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후단부에 연접설치된 베이스 프레임(51)에 굴대 설치된 지지로울러(152)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되는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양측에 수직설치된 공압된 공압실린더(156)와, 이 공압실린더(156)에 의해 승강되는 차단관(157)과,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후단부와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의 양단부를 상부 내측에서 지지하는 길이방향 이동 내측로울러(158)(159)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후단부와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로울러(142)(152)와 길이방향 이동 내측로울러(158)(159)와의 사이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길이방향 이동 외측로울러(160)(161)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41)(151)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외측로울러(158)(159), (160)(161)를 지지하는 길이방향 이동지지판(162)(163)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41)(151) 양측에 수평설치되어 상기 지지관(162)(163)을 서로 접근 및 이격되게 동작시키는 공압실린더(164)(165)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와 낙하 및 이송선택 컨베이어 벨트(155)사이의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된 포장기용 컨베이어 벨트(167)와, 상기 정렬용 컨베이어 벨트(145)의 벨트받침관(144) 양측에 설치된 차단지령용 감지센서(168)와 낙하지령용 감지센서(169)와, 상기 포장용 컨베이어 벨트(167)의 베이스 프레임 양측(166)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 설치된 낙하금지지령용 감지센서(1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및 이송선택수단(150)을 다수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KR1019880001153A 1988-02-08 1988-02-08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90000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153A KR900005690B1 (ko) 1988-02-08 1988-02-08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153A KR900005690B1 (ko) 1988-02-08 1988-02-08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549A KR890012549A (ko) 1989-09-18
KR900005690B1 true KR900005690B1 (ko) 1990-08-06

Family

ID=1927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153A KR900005690B1 (ko) 1988-02-08 1988-02-08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950B1 (ko) * 2001-09-07 2003-11-01 이기송 형틀 조립체를 이용한 솜사탕체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솜사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549A (ko) 198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9746A (zh) 茶叶连续杀青理条机
CN208649759U (zh) 一种非织造布裁切装置
CN111621881B (zh) 一种棉纱生产用抓棉装置
US477770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ndless needled paper machine felts
KR101891800B1 (ko) 솜사탕 제조장치
US2824610A (en) Mat segregating mechanism and methods
KR900005690B1 (ko)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13142728B (zh) 一种口罩生产用折叠机构
CN107021271B (zh) 一种自动棉球机
CN107962664A (zh) 全自动管桩成型模具清理一体机
CN111357788A (zh) 饼干整理浇注撒料一体化生产装置
US57687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multiple fiber bales
EP1048229B1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igaretten
US2213426A (en) Pottery-ware processing apparatus
CN113287647B (zh) 一种放饼机
CN210175952U (zh) 切丝机铜排链自动装销设备的销轴供料装置
CN115961389B (zh) 一种纺织生产用梳棉机
CN219788689U (zh) 一种成捆竹材锯切压片装筐一体化加工设备
US52377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fiber bales
CN117383138A (zh) 一种矿棉条的加工设备
CN220538014U (zh) 一种梳理效果好的无纺布生产用梳理机
CN116177261B (zh) 一种用于白茶茶叶生产的输送装置
CN219404397U (zh) 一种河粉切割机
CN211703513U (zh) 全自动除麻丝装置检修辅助装置
CN218082889U (zh) 一种自动化滤棉裁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