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904B1 -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 Google Patents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904B1
KR900004904B1 KR1019870007889A KR870007889A KR900004904B1 KR 900004904 B1 KR900004904 B1 KR 900004904B1 KR 1019870007889 A KR1019870007889 A KR 1019870007889A KR 870007889 A KR870007889 A KR 870007889A KR 900004904 B1 KR900004904 B1 KR 90000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ransistor
relay
diod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808A (ko
Inventor
하정용
Original Assignee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filed Critical 기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904B1/ko
Publication of KR89000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시동을 걸었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3도는 주행 중 회전속도감지부가 고장났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4도는 정차 중 제동페달만 밟고 있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5도는 정차 중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고 있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6도는 제동작동 후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7도는 제동작동 후 자동페달과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8도는 제동작동 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 당겼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9도는 제동작동 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 당긴 후 시동을 끌 경우의 동작상태도.
제10도는 제동작동 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 당기지 않고 시동을 끌 경우의 동작상태도.
제11도는 제동작동 중 출발할 때의 동작상태도.
제12도는 자동제어스위치 대신 반자동푸시버튼스위치를 사용하도록 된 반자동시의 동작상태도.
제13도는 주행 중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밟았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14도는 경사도로에서 기어가 중립이 아닌 상태로 정차시켰을 때의 동작상태도.
제15도는 경사도로에서 정차한 다음 다시 출발할 때의 동작상태도.
제16도는 제동작동 중 잠금스위치를 작동시켜 놓고 출발할 때의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피드센서 2 : 리이드스위치
3 : 회전속도감지부 4 : 타이머
5 : 부저 6 : 제동램프
7 : 접지 8 : 밧데리전원
9 : 파이롯트램프 10 : 작동솔레노이드
11 : 해제솔레노이드 12 : 제동페달
13 : 마스터실린더 14 : 제동제어장치
15 : 제동휠실린더 16 : 펄스발생회로
RL1 : 회전감지릴레이 RL2 : 작동릴레이
RL3 : 해제릴레이 RL4 : 주차릴레이
RL5 : 중립릴레이 SW1 : 자동제어스위치
SW2 : 반자동푸시버튼스위치 SW3 : 잠금스위치
SW4 : 시동스위치 SW5 : 중립스위치
SW6 : 가속스위치 SW7 : 클러치스위치
SW8 : 백스위치 SW9 : 주차스위치
SW10 : 부저스위치 SW11 : 경사스위치
T1~T19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요구하는 시기에 작동 및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상황에 따른 고장 및 비정상 상태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차중에는 제동력이 계속 유지되고 출발시에는 자동적으로 제동이 해제되도록 된 제동제어장치가 장착된 자동차가 평지를 달리는 도중 제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아 제동제어장치의 압력스위치를 온되게 하여 제동제어장치를 작동시킨 다음 제동페달에서 먼저 발을 떼어야 제동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그후 제동페달에서 발을 뗀 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밟음과 동시에 클러치페달에서 천천히 발을 떼게 되면 자동차가 출발하게 되므로 제동제어장치에 가해졌던 유압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자동차주행중 회전속도감지부가 고장난 상태에서 자동차를 제동시키고자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게 되면 제동이 계속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정차된 자동차를 다시 출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부위가 고장났는지를 쉽게 감지할 수가 없게 된다.
또, 자동차를 제동정차 시켜주기 위해서는 제동제어장치를 작동시킨 다음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기고 시동스위치를 꺼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제동제어장치가 제동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어 자동차의 제동휠실린더에 무리가 가게 되고, 또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기지 않고 시동스위치를 끄게 되면 예컨대 경사도로등에서는 자동차가 뒤로 밀리게 되어 후방차량과의 접촉사고 및 전복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한편, 경사도로에서 제동제어장치가 작동되어 기어를 중립에 두고 정차하고 있던 중 운전자가 무심코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제동이 해제되어 자동차가 움직이게 됨으로써 운전자를 당황하게 만드는 경우도 있었고, 또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겨 놓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부주위로 주차제동레버를 해제시키지 않고 자동차를 주행시키게 되면 제동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라이닝의 마모는 물론 엔진 및 동력전달장치에도 무리를 주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자동차를 주차시키고자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아 제동제어장치가 작동된 후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고 제동페달만 밟고 있어도 계속 제동제어장치가 작동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후 제동페달에서 발을 떼면 그때부터 유압에 의해 제동이 유지되게 되고, 회전속도감지부 고장시에는 부저와 파이롯트램프가 동시에 동작해서 회전속도감지부의 고장을 알려주게 되며, 장시간 제동정차시에 발생하게 되는 제동휠실린더의 무리와 경사도로에서 자동차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해주게 될 뿐만 아니라 제동상태에서 주행할 때 발생하게 되는 브레이크라이닝의 마모는 물론 엔진 및 동력전달장치의 무리를 방지해주게 되고, 또 중립스위치를 설치해서 기어가 중립에 있을 때에는 가속페달을 밟아도 제동이 해제되지 않고 기어를 작동시킨 후 가속페달을 밟아야 제동이 해제되게 하여 운전자를 당황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 잠금장치를 설치해서 도난방지 및 경사도로에서의 주차시 완전제동상태를 유지해 줄 뿐만 아니라 주행 중 제동시에는 제동표시등이 점등되지 않고 정지중에만 점등되도록 하여 운행중에 운전자의 시력현혹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된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의 구체적인 회로구성도로서, 밧데리전원(8)에는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과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가 각각 접속됨과 더불어 시동스위치(SW4)를 매개해서 다이오드(D2)와 중립릴레이(RL5)의 코일, 파이롯트램프(9), 압력스위치(P2)의 한쪽 단자, 트랜지스터(T19)의 콜렉터 및 펄스발생회로(16)의 저항(R11~R14)이 각각 접속되는 바, 그 중에서 다이오드 (D2)에는 회전속도감지부(3)가 접속됨과 더불어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와 다이오드(D1), 자동제동스위치(SW1), 반자동푸시버튼스위치(SW2), 도난방지용 잠금스위치(SW3) 및 저항(R5)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코일에는 0.8±0.2초로 설정된 타이머(4)가 접속됨과 더불어 회전속도감지부(3)와 리이드스위치(2) 및 스피드센서(1)가 순차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중립릴레이(RL5)의 코일에는 중립스위치(SW5)를 통해 접지(7)가 접속되고, 그 접점(RL5, RL6)에 가속스위치(SW6)와 클러치스위치(SW7), 백스위치(SW8) 및 경사스위치(SW11)를 통해 접지(7)가 접속됨과 더불어 잠금스위치(SW3)와 정항(R8), 트랜지스터(T9)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가 각각 접속되고, 자동제동스위치(SW1)와 누름스위치(SW2)가 연결된 잠금스위치(SW3)에는 해제릴레이(RL3)의 코일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4)의 에미터와 다이오드(D5)가 각각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4)의 베이스에 접속된 저항(R4)에는 다이오드(D6)가 접속됨과 더불어 콘덴서(C2)를 매개해서 회전속도감지부(3)와 콘덴서(C1, C3), 각 트랜지스터(T3, T11, T12, T14~T19)의 에미터, 작동 및 해제솔레노이드(10, 11)의 접지 및 접지(7)가 각각 접속된다. 여기서, 콘덴서(C1)에는 다이오드(D1)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1)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가 접속된다.
또, 파이롯트램프(9)에는 순차적으로 트랜지스터(T6)와 저항(R6) 및 트랜지스터(T5)를 매개해서 저항(R5)이 접속됨과 더불어 다이오드(D12)를 매개로 주차스위치(SW9)와 다이오드(D8, D9)가 각각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8, T9)의 에미터가 접속된 다이오드(D9)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8)에는 주차릴레이(RL4)의 코일을 매개로 그 접점(RS4)과 압력스위치(P2)의 다른쪽 단자 및 다이오드(D7)가 각각 접속되며, 이 다이오드(D7)에는 트랜지스터(T5)의 콜렉터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D7) 및 트랜지스터(T8)를 매개해서 저항(R8)과 트랜지스터(T9)의 베이스가 접속된다.
또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에는 다이오드(D5, D6, D10)와 저항(R2) 및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가 각각 접속됨과 더불어 제동램프(6)를 매개해서 접지(7)가 접속되고, 상기 저항(R2)에는 트랜지스터(T2)를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3)의 콜렉터와 압력스위치(P1)의 한쪽 단자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다이오드(D10)에는 콘덴서(C3)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15)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19)와 저항(R16), 트랜지스터(T18) 및 접지(7)가 순차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제동제어장치(14)에는 압력스위치(P1, P2)와 마스터실린더(13), 제동휠실린더(15), 제동페달(12), 작동솔레노이드(10) 및 해제솔레노이드(11)가 각각 접속되는 바, 그 중에서 작동솔레노이드(10)의 한쪽 단자에는 저항(R3, R9, R19, R20)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3, T7, T14, T16)의 베이스가 각각 접속됨과 더불어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과 다이오드(D4)가 각각 접속되고, 또 해제솔레노이드(11)의 한쪽 단자에는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을 매개해서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이 접속되고 그 코일에 다이오드(D3, D4)와 압력스위치(P1)의 다른쪽 단자가 각각 접속되게 된다.
또, 다이오드(3)에는 자동제동스위치(SW1)가 접속됨과 더불어 부저(5)를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7, T10)의 콜렉터가 각각 접속 되는 바, 트랜지스터(T7)의 에미터에는 부저스위치(SW10)를 매개해서 주차스위치(SW9)와 접지(7)가 각각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10)에는 저항(R10~R14)과 콘덴서(C4, C5) 및 트랜지스터(T11, T12)로 구성되는 펄스발생회로(16)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17)과 트랜지스터(T17, T18)를 매개해서 접지(7)가 접속되며, 상기 펄스발생회로(16)에는 다이오드(D11)와 트랜지스터(T13)를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6, T14, T15)와 저항(R18)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14~T16)의 에미터가 접지(7)에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제동제어장치(14)는 자동차가 정차중에는 제동력을 계속 유지시켜 주는 한편 출발시에는 자동적으로 제동을 해제시켜 주도록 된 것이고, 또 회전속도감지부(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회로부를 나타낸다.
제2도는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시동을 걸었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긴 상태[주차스위치(SW9)가 온된 상태]에서는 부저스위치(SW10)와 중립스위치(SW5), 자동제어스위치(SW1) 및 경사스위치(SW11)가 온되게 하므로, 이때 시동을 걸게되면[시동스위치(SW4)가 온되면],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에 공급됨과 더불어 온된 시동스위치(SW4)를 통해 다이오드(D2)에도 공급되고, 또 파일롯트램프(9)와 중립릴레이(RL5)의 코일, 압력스위치(P2), 트랜지스터(T19)의 콜렉터 및 펄스발생회로(16)의 저항(R11~R14)에도 각각 공급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류는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과 회전속도감지부(3)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회전속도감지부(3)에 접속된 타이머(4)가 예컨대 0.8±0.2초 후에 동작하게 되므로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을 통과한 전류는 순차적으로 자동제동스위치(SW1)와 부저(5) 및 트랜지스터(T10)의 콜렉터에 공급되고, 또 회전속도감지부(3)를 통과한 전류는 콘덴서(C1~C3)와 작동솔레노이드(10)의 접지, 해제솔레노이드(11)의 접지, 트랜지스터(T12, T14~T18) 이 에미터 및 접지(7)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펄스발생회로(16)의 저항(R11~T14)과 콘덴서(C4, C5)를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10~T12)의 베이스에 공급되기 때문에 이들 트랜지스터(T10~T12)가 턴온되게 되는 바, 그 중에서 트랜지스터(T10)가 간헐적으로 턴온되기 때문에 부저(5)를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10, T17)를 통해 접지(7)로 간헐적으로 흐르게 되므로 부저(5)가 간헐적으로 울리게 된다. 여기서는 또 중립스위치(SW5)가 온되어 있으므로 중립릴레이(RL5)도 동작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주차스위치(SW9)가 온되어 있으므로 밧데리전원(8)의 전류는 순차적으로 시동스위치(SW4)와 파이롯트램프(9), 다이오드(D12) 및 주차스위치(SW9)를 통해 접로 흐르게 되어 파이롯트램프(9)가 점등되게 되고, 그에 따라 부저(5)와 파이롯트램프(9)가 온되어 자동차의 상태를 점검하게 되므로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긴 상태에서는 출발할 수 없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라이닝의 마모는 물론 엔진 및 동력전달장치의 무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주행중에 회전속도감지부가 고장 났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에 공급됨과 더불어 온된 시동스위치(SW4)를 통해 다이오드 (D2)에도 공급되고, 또 파이롯트램프(9)와 중립릴레이(RL5)의 코일, 압력스위치(P2), 트랜지스터(T19)의 콜렉터 및 펄스발생회로(16)의 저항(R11~R14)에도 각각 공급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류는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과 회전속도감지부(3)에 각각 공급되게 되지만, 이번에는 회전속도감지부(3)에 접속된 타이머(4)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곧바로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을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자동제동스위치(SW1)와 부저(5) 및 트랜지스터(T10)의 콜렉터에 공급되고, 또 회전속도감지부(3)를 통과한 전류는 콘덴서(C1~C3)와 작동 및 해제솔레노이드(10, 11)의 접지, 트랜지스터(T12, T14~T18)의 에미터 및 접지(7)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펄스발생회로(16)의 저항(T11~R14)과 콘덴서(C4, C5)를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10~T12)의 베이스에 공급되기 때문에 이들 트랜지스터(T10~T12)가 턴온되게 되는 바, 그 중에서 트랜지스터(T10)가 간헐적으로 턴온되기 때문에 부저(5)를 통과한 전류는 트랜지스터(T10, T17)를 통해 접지(7)로 간헐적으로 흐르게 되므로 부저(5)가 간헐적으로 울리게 된다. 여기서는 또 주차스위치(SW9)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파이롯트램프(9)가 소등되게 되고, 또 중립스위치(SW5)가 온되어 있으므로 중립릴레이(RL5)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정차중 회전속도감지부(3)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제동제어장치(14)의 제동이 해제되게 되므로 압력스위치(P2)가 턴온되지 않아 상기한 바와 같은 주행중 회전속도감지부(3)가 고장났을 때와 마찬가지로 부저(5)가 간헐적으로 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는 회전속도감지부(3)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주행중 자동차를 정차시키고자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밟을 때 제동이 계속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주행중 정차한 다음 제동페달(12)만 밟고 있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계속 정차시키기 위해 제동페달(12)을 밟고 있는 것이므로 제동제어장치(14)의 압력스위치(P1, P2)가 턴온되는 바, 이때는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시동스위치(SW4)를 통해 다이오드 (D2)에 공급됨과 더불어 중립릴레이(RL5)의 코일과 압력스위치(P2) 및 파이롯트램프(9)에도 각각 공급되게 되는 데, 압력스위치(P2)가 턴온되어 있으므로 그 전류가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 및 코일, 다이오드(D7)에도 각각 공급되게 되고, 또 중립릴레이(RL5)의 코일을 통과한 전류는 중립스위치(SW5)를 통과해서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중립릴레이(RL5)가 동작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류는 회전속도감지부(3)와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에 각각 공급되어 회전속도감지부(3)에 접속된 타이머(4)가 0.8초후에 동작하게 되므로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과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5)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7)를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5)와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6)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게 되어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시동스위치(SW4)와 파이롯트램프(9) 및 트랜지스터(T6, T15)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파이롯트램프(9)가 점등되게 되고, 또 압력스위치(P2)를 통과한 전류는 주차릴레이(TL4)의 접점(RS4) 및 제동램프(6)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제동램프(6)도 점등되게 된다. 여기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을 통과한 전류는 다이오드(D10)와 저항(R15)을 통해 트랜지스터(T19)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19)가 턴온됨으로써 상기 전류가 저항(R16)을 통해 트랜지스터(T18)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되므로 이 트랜지스터(T18)도 턴온되어 전류가 접지로 흐르게 된다.
그러나, 주행중 운전자가 제동페달(12)을 밟게 되면 회전속도감지부(3)가 동작하게 되어 회전감지릴레이(기1)의 접점(RS1)이 단절되게 되므로 저항(R5)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5)가 턴오프되어 파이롯트(9)의 점등회로가 구성되지 않게 되므로 이번에는 파이롯트램프(9)가 점등되지 않게 된다.
제5도는 정차중 제동페달(12)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고 있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제동페달(12)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고 있으므로 클러치스위치(SW7)가 온됨과 더불어 중립스위치(SW5)와 압력스위치(P1, P2)도 온되게 되는 바, 이때는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에 공급됨과 더불어 시동스위치(SW4)를 통해 다이오드(D2)와 파이롯트램프(9), 중립릴레이(RL5)의 코일, 압력스위치(P2), 트랜지스터(T19)의 콜렉터 및 펄스발생회로(16)의 저항(R11~R14)에 공급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류는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과 회전속도감지부(3)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또 압력스위치(P2)를 통과한 전류는 다이오드(D7)에 공급됨과 더불어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을 통해 다이오드(D5, D6, D10)와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 및 저항(R2)에 각각 공급되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속도감지부(3)에 접속된 타이머(4)가 0.8초 후에 동작하게 되므로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을 통과한 전류는 다이오드(D1)와 자동제동스위치(SW1), 푸시버튼스위치(SW2), 잠금스위치(SW3) 및 저항(R5)에 각각 공급되게 되며, 또 회전속도감지부(3)를 통과한 전류는 콘덴서(C1~C3)에 충전될 뿐만 아니라 작동 및 해제솔레이노이드(10, 11)의 접지와 트랜지스터(T3, T12, T14~T18)의 에미터 및 접지(7)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먼저, 저항(R2)을 통과한 전류는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에 공급되므로 이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게 되어 자동제동스위치(SW1)와 다이오드(D3)를 통과한 전류가 순차적으로 작동릴레이(RL2)의 코일과 압력스위치(P1) 및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중립릴레이(RL5)의 접점(RS6)과 경사스위치(SW11)에 각각 공급되게 되고, [여기서는 중립스위치(SW5)가 온되어 있기 때문에 중립릴레이(RL5)가 동작하게 됨], 그에 따라 상기 전류는 클러치스위치(SW7)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작동릴레이(RL2)가 동작하게 되어 그 접점(RS2)이 위로 붙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을 통과한 전류가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을 통해 다이오드(D4)와 저항(R3, R9, R19, R20) 및 작동솔레노이드(10)에 각각 공급되게 되는데, 그중에서 다이오드(D4)를 통과한 전류는 작동릴레이(RL2)의 코일에 다시 공급되는 한편 저항(R3, R9, R19, R20)을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3, T7, T14, T16)의 베이스에 공급되므로 이들 트랜지스터가 모두 턴온되게 된다. 그리고, 작동솔레노이드(10)가 동작해서 제동제어장치(14)를 작동시켜주게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므로 자동제동스위치(SW1)를 통과한 전류가 순차적으로 부저(5)와 트랜지스터(T7) 및 부저스위치(SW10)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어 부저(5)가 계속 울리게 되며, 또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을 통과한 전류가 제동램프(6)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제동램프(6)가 점등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저항(R5)을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5)의 베이스에 공급되므로 이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7)를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5)와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6)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어 밧데리전원(8)의 전류는 시동스위치(SW4)와 파이롯트램프(9) 및 트랜지스터(T6)를 통해 트랜지스터(T13)의 콜렉터에 공급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펄스발생회로(16)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다이오드(D11)를 통과한 간헐적인 전류가 트랜지스터(T13)의 베이스에 공급되므로 이 트랜지스터(T13)가 간헐적으로 턴온되게 되는 바, 이때 트랜지스터(T14, T16)가 턴온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13)를 통과한 간헐적인 전류가 접지로 흐르게 되어 파이롯트램프(9)가 계속 점등되지 않고 간헐적으로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정차중 제동페달(12)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게 되면 제동제어장치(14)의 작동솔레노이드(10)가 작동될 뿐만 아니라 부저(5)와 제동램프(6)가 계속 동작하고 파이롯트램프(9)도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제6도는 제동제어장치(14)의 작동솔레노이드(10)가 작동된 후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고 제동페달(12)만 밟고 있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고 있으므로 클러치스위치(SW7)가 오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의 동작상태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의 동작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제5도의 동작상태도에서와는 달리 클러치스위치(SW7)가 오프되어 있으므 트랜지스터(T2)는 턴오프되지만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작동릴레이(RL2)의 코일을 통과한 전류가 순차적으로 압력스위치(P1)와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접지로 흐르기 때문에 작동릴레이(RL3)가 계속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과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을 통해 제동제어장치(14)의 작동솔레노이드(10)에 공급되게 되므로 클러치스위치(SW7)가 오프되어 있더라도 제동제어장치(14)는 제5도와 같이 계속 작동되게 된다.
제7도는 제동제어장치(14)의 솔레노이드(10)가 작동된 후 제동페달(12)과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경우에는 운전자가 제동페달(12)과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고 있으므로 클러치스위치(SW7)와 압력스위치(P1)가 오프되어 작동릴레이(RL2)의 코일을 통과한 전류가 접지로 흐르지 않기 때문에,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이 단절되어 작동솔레노이드(10)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게 되므로 작동솔레노이드(10)의 작동이 해제되게 된다.
그와 더불어, 트랜지스터(T14, T16)의 베이스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파이롯트램프(9)를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6, T15)를 통해 접지로 흘러 점멸되어 있던 파이롯트램프(9)가 계속 점등되게 되고, 또 트랜지스터(T7)의 베이스에도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부저(5)를 통과한 전류가 접지로 흐르지 않게 되어 부저(9)가 울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동제어장치(14)의 압력스위치(P2)가 온되어 있으므로 압력스위치(P2)를 통과한 전류는 순차적으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과 제동램프(6)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어 제동램프(6)가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제동제어장치(14)가 작동된 후 제동페달(12)과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게 되면 작동솔레노이드(10)의 동작이 해제되면서 제동램프(6)와 파이롯트램프(9)가 점등되게 된다.
제8도는 제동작동 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겼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장기적으로 주차시키기 위해 제동작동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겨 주게 되면 제동제어장치(14)의 압력스위치(P2)가 온됨과 더불어 주차스위치(SW9)가 온되게 되는 바, 이때는 압력스위치(P2)가 온되어 있으므로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시동스위치(SW4)와 압력스위치(P2)를 통해 주차릴레이(RL4)의 코일과 접점(RS4) 및 다이오드(D7)에 각각 공급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주차릴레이(RL4)의 코일을 통과한 전류가 다이오드(D8)와 주차스위치(SW9)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주차릴레이(RL4)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이 아래로 붙게되어 제동램프(6)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제동램프(6)가 소등되게 되고, 또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순차적으로 시동스위치(SW4)와 파이롯트램프(9), 다이오드(D12) 및 주차스위치(SW9)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파이롯트램프(9)는 계속 점등되게 된다.
제9도는 제동작동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긴 후 시동을 끌 경우(시동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제동작동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긴 후 시동을 끄게 되므로 시동스위치(SW4)와 압력스위치(P2)가 오프되고, 주차스위치(SW9) 및 중립스위치(SW5)가 온되게 된다. 이때는 시동스위치(SW4)가 오프되어 있지만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과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충전되었던 콘덴서(C2)가 저항(R4)을 통해 방전하기 시작하므로 저항(R4)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게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4)를 통과한 전류가 순차적으로 해제릴레이(RL3)의 코일과 도난방지용 잠금스위치(SW3), 트랜지스터(T9), 다이오드(D9) 및 주차스위치(SW9)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해제릴레이(RL3)는 콘댄서(C2)가 방전되는 동안 작동하게 되므로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을 통해 해제솔레노이드(11)에 공급되므로 해제솔레노이드(11)가 동작하게 되어 제동제어장치(14)의 작동이 해제되게 되고, 그에 따라 압력스위치(P2)가 온되지 않게 되므로 제동램프(6)가 소등될 뿐만 아니라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시동스위치(SW4)에서 차단되게 되므로 파이롯트램프(9)도 소등되게 된다.
제10도는 제동제어장치(14)의 제동작동중 주차제동레버를 잡아당기지 않고 시동을 끌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제동작동중 시동만 끄게 되면 시동스위치(SW4)와 주차스위치(SW9)가 오프되고, 압력스위치(P2)가 온되게 되는 바, 이때는 충전되었던 콘덴서(C2)가 저항(R4)을 통해 방전하게 되지만 주차스위치(SW4)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T4)를 통과한 전류가 접지로 흐르지 않게 되어 해제릴레이(RL3)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동스위치(SW4)와 주차스위치(SW9)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파이롯트램르(9)가 점등되지 않게 되고, 또 압력스위치(P2)가 온되어 있으나 밧에리전원(8)의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제동램프(6)가 소등될 뿐 유압에 의해 제동제어장치(14)의 제동력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제11도는 제동제어장치(14)의 제동작동중 지동차가 출발할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제동작동중 시동을 걸어 자동차를 출발시키게 되므로 주차스위치(SW4)와 중립스위치(SW5) 및 클러치스위치(SW7)가 오프되고, 시동스위치(SW4)와 가속스위치(SW6) 및 제동제어장치(14)의 압력스위치(P2)가 온되게 되는 바, 먼저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시동스위치(SW4)와 압력스위치(P2)를 통해 순차적으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과 디이오드(D5) 및 해제릴레이(RL3)의 코일에 공급된 다음 잠금스위치(SW3)와 중립릴레이(RL5)의 접점(RS5), 가속스위치(SW6) 및 클러치스위치(SW7)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이 위로 붙게 된다.
그러면,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에 공급됨과 더불어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을 통해 해제솔레노이드(11)에 공급되어 해제솔레노이드(11)가 동작하게 되므로, 제동제어장치(14)의 작동이 해제될 뿐만 아니라 압력스위치(P2)도 온되지 않게 되어 점등되었던 제동램프(6)와 파이롯트램프(9)가 소등되게 된다.
이어, 자동차가 출발하게 되면 스피드센서(1)의 회전에 따라 리이드스위치(2)가 온/오프되게 되므로 회전속도감지부(3)와 타이머(4)를 통해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어 접점(RS1)이 아래로 붙게 되고, 그에 따라 콘덴서(C1)에 충전되었던 전류가 방전되어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1)에 베이스에 공급됨으로써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회전감지릴레이(RL1)이 접점(RS1)을 통과한 전류는 트랜지스터(T1)와 다이오드(D5) 및 해제릴레이(RL4)의 코일을 통과한 다음 잠금스위치(SW3)와 중립릴레이(RL5)의 접점(RS5), 가속스위치(SW6) 및 클러치스위치(SW7)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해제릴레이(RL3)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C1)가 방전하는 동안에만 해제릴레이(RL3)가 동작하게 되어 해제솔레노이드(11)에 전류가 공급되게 되므로 제동제어장치(14)의 제동이 완전히 해제되게 된다.
제12도는 자동제동스위치(SW1)대신 반자동푸시버튼스위치(SW2)를 사용하도록 된 반자동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반자동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자동제어스위치(SW1)가 오프되고 푸시버튼스위치(SW2)가 온되어 밧데리전원(8)으로부터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를 통과한 전류는 자동제동스위치(SW1)를 통과하지 않고 반자동푸시버튼스위치(SW2)를 통과하도록 된 것 이외에는 제5도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동작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3도는 주행중 제도페달(12)과 클러치페달을 밟았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회전감지릴레이(RL1)에 변화가 없으므로 밧데리전원(8)으로부터 작동릴레이(RL2)의 코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작동릴레이(RL2)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작동솔레노이드(10)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제동제어장치(14)는 작동하지 않게 되고, 또 제동페달(12)을 밟고 있으므로 압력스위치(P2)가 온되어 밧데리전원(8)으로부터 압력스위치(P2)를 통과한 전류가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과 제동램프(6)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제동램프(6)가 점등되게 된다. 그러나, 주차스위치(SW9)가 오프되어 있고, 또 트랜지스터(T5, T6)의 베이스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파이롯트램프(9)는 점등되지 않게 된다.
제14도는 경사도로에서 기어가 중립이 아닌 상태로 제동페달(12)과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정차시켰을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중립스위치(SW5)와 주차스위치(SW9) 및 경사스위치(SW11)가 오프되고 클러치스위치(SW7)와 압력스위치(P2)가 온되게 되는 바, 이때는 중립릴레이(RL5)의 접점(RS6)과 경사스위치(SW11)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작동릴레이(RL2)의 코일을 통과한 전류가 압력스위치(P1)와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접지로 흐르지 않게 되므로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이 변화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솔레노이드(10)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제동장치(14)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동페달(12)을 밟고 있으므로 압력스위치(P2)가 온되게 되어 그 전류가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과 다이오드(D7)에 각각 공급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을 통과한 전류가 다이오드(D5, D6, D10)에 각각 공급되어 제동램프(6)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제동램프(6)가 점등될 뿐만 아니라 저항(R15, R16)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19, T18)가 턴온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류는 회전속도감지부(3)와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에 각각 공급되어 회전속도감지부(3)에 접속된 타이머(4)가 0.8초 후에 동작하게 되므로 순차적으로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과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5)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7)를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5)와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6)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어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시동스위치(SW4)와 파이롯트램프(9) 및 트랜지스터(T6, T15)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파이롯트램프(9)가 계속 점등되게 된다.
제15도는 경사도로에서 정차한 다음 다시 출발할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주차스위치(SW9)와 중립스위치(SW5) 및 압력스위치(P2)가 오프되고 가속스위치(SW6)와 클러치스위치(SW7) 및 경사스위치(SW11)가 온되게 되는데, 먼저 가속스위치(SW6)와 클러치스위치(SW7)가 온되어 있으므로 밧데리전원(8)의 전류는 시동스위치(SW4)와 압력스위치(P2)를 통해 순차적으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과 다이오드(D5) 및 해제릴레이(RL3)의 코일에 공급된 다음 잠금스위치(SW3)와 중립릴레이(RL5)의 접점(RS5), 가속스위치(SW6), 백스위치(SW8) 및 경사스위치[SW11; 후진시에는 클러치스위치(SW7)]을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이 위로 붙게 된다.
그러면,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에 공급됨과 더불어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을 통해 해제솔레노이드(11)에 공급되어 해제솔레노이드(11)를 동작시켜 주게 되므로, 제동제어장치(14)의 작동이 해제될 뿐만 아니라 압력스위치(P2)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점등되었던 제동램프(6)와 파이롯트램프(9)가 소등되게 된다. 이어 자동차가 출발한 때의 회로동작은 제11도의 회로동작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6도는 제동제어장치(14)의 제동작동중 잠금스위치(SW3)를 작동시켜 놓고 출발할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주차스위치(SW9)와 중립스위치(SW5) 및 경사스위치(SW11)가 오프되고 잠금스위치(SW3)와 가속스위치(SW6)가 온되게 되는 바, 이때는 잠금스위치(SW3)와 가속스위치(SW6)가 온되어 있으므로 밧데리전원(8)의 전류는 시동스위치(SW4)와 압력스위치(P2)를 통해 순차적으로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과 다이오드(D5) 및 해제릴레이(RL3)의 코일에 공급된 다음 잠금스위치(SW3)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그 전류가 잠금스위치(SW3)에 의해 접지로 흐르지 않게 되므로 해제릴레이(RL3)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해제솔레노이드(11)도 동작하지 않게되고, 그에 따라 제동제어장치(14)는 계속 제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류가 회전속도감지부(3)와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점접(RS1)에 각각 공급되어 회전속도감지부(3)에 접속된 타이머(4)가 0.8초 후에 동작하게 되므로 순차적으로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과 저항(R5)를 통해 트랜지스터(T5)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른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7)을 통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T5)와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6)의 베이스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어 밧데리전원(8)의 전류가 시동스위치(SW4)와 파이롯트램프(9), 트랜지스터(T6, T15)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파이롯트램프(9)가 점등되게 되고, 또 압력스위치(P2)를 통과한 전류는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 및 제동램프(6)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제동램프(6)도 점등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시키고자 제동페달과 클러치페달을 동시에 밟은 다음에 클러치페달에서 발을 떼고 제동페달만 밟고 있어도 계속 제동제어장치가 작동하게 될 뿐 아니라 그 후에 제동페달에서 발을 떼게 되면 그 때부터 유압에 의해 제동이 유지되게 되고, 회전속도감지부 고장시에는 부저와 파이롯트램프가 동시에 동작되어 회전속도감지부의 고장을 알려주게 되며, 장시간 제동정차시 발생하게 되는 제동휠실린더의 무리와 경사도로에서 자동차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제동상태에서 주행할 때 발생하게 되는 브레이크라이닝의 마모는 물론 엔진 및 동력전달장치의 무리를 방지해주게 되고, 또 중립스위치를 설치해서 기어가 중립에 있을 때에는 가속페달을 밟아도 제동이 해제되지 않고 기어를 작동시킨 후 가속페달을 밟아야 제동이 해제되게 하여 운전자를 당황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 잠금장치를 설치해서 도난방지 및 경사도로에서의 주차시 완전제동상태를 유지해 줄 뿐만 아니라 주행중 제동시에는 제동표시등이 점등되지 않고 정차중에만 점등되도록 하여 운행중에 운전자의 시력현혹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된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제동페달(12)에 접속되는 마스터실린더(13)와 압력스위치(P1, P2), 작동 및 해제솔레노이드(10, 11) 및 제동휠실린더(15)로 구성되는 제동제어장치(14)와, 스피드센서(1)의 회전에 따라 리이드스위치(2)에 전류를 유통 및 단절시켜서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전속도감지부(3) 및, 상기 스피드센서(1)가 회전정지한 다음 0.8±0.2초 후에 동작하는 타이머(4)를 구비하고 있는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에 있어서, 밧데리전원(8)에는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과 트랜지스터(T5)의 콜렉터가 각각 접속됨과 더불어 시동스위치(SW4)를 매개해서 다이오드(D2)와 중립릴레이(RL5)의 접점(RS5) 및 코일, 파이롯트램프(9), 압력스위치(P2)의 한쪽 단자, 트랜지스터(19)의 콜렉터 및 펄스발생회로(16)의 저항(R11~R14)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S2)에는 상기 회전속도감지부(3)가 접속됨과 더불어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접점(RS1)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및 다이오드(D1), 자동제동스위치(SW1), 반자동푸시버튼스위치(SW2), 도난방지용 잠금스위치(SW3) 및 저항(R5)이 각각 접속되며 상기 회전감지릴레이(RL1)의 코일에는 상기 타이머(4)가 접속되고; 상기 중립릴레이(RL5)의 코일에는 중립스위치(SW5)를 통해 접지(7)가 접속되고 그 접점(RS5, RS6)에 가속스위치(SW6)와 클러치스위치(SW7), 백스위치(SW8) 및 경사스위치(SW11)를 통해 접지(7)가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잠금스위치(SW3)와 저항(R8), 트랜지스터(T9)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자동제어스위치(SW1)와 푸시버튼스위치(SW2)가 연결된 상기 잠금스위치(SW3)에는 해제릴레이(RL3)의 코일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4)의 에미터와 다이오드(D5)가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T4)의 베이스에 접속된 저항(R4)에는 다이오드(D6)가 접속됨과 더불어 콘덴서(C2)를 매개해서 회전속도감지부(3)와 콘덴서(C1, C3), 각 트랜지스터(T3, T11, T12, T14~T19)의 에미터, 상기 작동 및 해제솔레노이드(10, 11)의 접지 및 접지(7)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콘덴서(C1)에는 다이오드(D1)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1)을 매개해서 상기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파이롯트램프(9)에는 순차적으로 트랜지스터(T6)와 저항(R6) 및 트랜지스터(T5)를 매개해서 상기 저항(R5)이 접속됨과 더불어 다이오드(D12)를 매개로 주차스위치(SW9)와 다이오드(D8, D9)가 각각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8, T9)의 에미터가 접속된 다이오드(D9)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B)에는 주차릴레이(RL4)의 코일을 매개로 그 접점(RS4)과 압력스위치(P2)의 다른 쪽 단자 및 다이오드(D7) 가 각각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D7)에는 상기 트랜지스터(T5)의 콜렉터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7) 및 트랜지스터(T8)를 매개해서 저항(R8)과 트랜지스터(T9)의 베이스가 접속되며; 상기 주차릴레이(RL4)의 접점(RS4)에는 다이오드(D5, D6, D10)와 저항(R2) 및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가 각각 접속됨과 더불어 제동램프(6)를 매개해서 접지(7)가 접속되고; 상기 저항(R2)에는 트랜지스터(T2)를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3)의 콜렉터와 상기 압력스위치(P1)의 한쪽 단자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다이오드(D10)에는 콘덴서(C3)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15)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19)와 저항(R16), 트랜지스터(T18) 및 접지(7)가 순차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작동솔레노이드(10)의 한쪽 단자에는 저항(R3, R9, R19, R20)을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3, T7, T14, T16)의 베이스가 각각 접속됨과 더불어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과 다이오드(D4)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해제솔레노이드(11)의 한쪽 단자에는 상기 해제릴레이(RL3)의 접점(RS3)을 매개해서 상기 작동릴레이(RL2)의 접점(RS2)이 접속됨과 더불어 작동릴레이(RL2)의 코일에는 다이오드(D3, D4)와 압력스위치(P1)의 다른 쪽 단자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D3)에는 자동제동스위치(SW1)가 접속됨과 더불어 부저(5)를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7, T10)의 콜렉터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7)의 에미터에는 부저스위치(SW10)를 매개해서 주차스위치(SW9)와 접지(7)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10)에는 저항(R10~R14)과 콘덴서(C4, C5) 및 트랜지스터(T11, T12)로 구성되는 펄스발생회로(16)가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17)과 트랜지스터(T17, T18)를 매개해서 접지(7)가 접속되며; 상기 펄스발생회로(16)에는 다이오드(D11)와 트랜지스터(T13)를 매개해서 트랜지스터(T6, T14, T15)와 저항(R18)이 접속되고, ; 상기 트랜지스터(T14~T16)의 에미터가 접지(7)에 접속되어 요구하는 시기에 작동 및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상황에 따른 고장 및 비정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KR1019870007889A 1987-07-21 1987-07-21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KR90000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889A KR900004904B1 (ko) 1987-07-21 1987-07-21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889A KR900004904B1 (ko) 1987-07-21 1987-07-21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808A KR890001808A (ko) 1989-04-06
KR900004904B1 true KR900004904B1 (ko) 1990-07-09

Family

ID=1926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889A KR900004904B1 (ko) 1987-07-21 1987-07-21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9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808A (ko) 198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554B1 (ko)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 조종회로
CA1328128C (en) Pedestrian signal system signal for automobiles
KR900004904B1 (ko)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조정회로
JPH0218141A (ja) 電気自動車用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US5156444A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vehicle stop-light switch
KR100405500B1 (ko)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
KR910006283B1 (ko) 자동차용 전자제어장치
KR100380614B1 (ko) 자동차의 자동 파킹장치
KR0157836B1 (ko) 주차 브레이크 경고장치
GB2098939A (en) Illness and drowsiness detector and safety/security system for motor vehicle drivers
KR960015702B1 (ko)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KR200218247Y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19990033777A (ko) 경사로 주차시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KR19990021348U (ko) 차량의 브레이크램프 점등장치
KR0134220Y1 (ko) 차량 급제동 알림 장치
KR100228987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35016B1 (ko) 차량의 감속 제어 장치
KR19980022569U (ko) 주차브레이크 로크된 상태로 운행시 경고음발생장치
JPH0329236Y2 (ko)
GB2290621A (en) Means for verifying the functioning of a vehicle's brake lighting system
KR19990019533U (ko) 사이드 브레이크 장치
KR19980025651U (ko) 파킹 레버 작동시 주행을 경고하는 장치
KR19980084004A (ko) 주차브레이크 작동여부 경고 방법 및 장치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950003244Y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와 전후접촉방지 및 전조등 자동 점·소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