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873B1 -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 콜릿과 이 단추 콜릿을 형성하는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 콜릿과 이 단추 콜릿을 형성하는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873B1
KR900004873B1 KR1019880006648A KR880006648A KR900004873B1 KR 900004873 B1 KR900004873 B1 KR 900004873B1 KR 1019880006648 A KR1019880006648 A KR 1019880006648A KR 880006648 A KR880006648 A KR 880006648A KR 900004873 B1 KR900004873 B1 KR 90000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flange
shank
cap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052A (ko
Inventor
헤인즈 스패로우 티모디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10Setting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4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aberdashery, e.g. buckles, combs; pronged fasteners, e.g. staples
    • B21D53/4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aberdashery, e.g. buckles, combs; pronged fasteners, e.g. staples buttons, e.g. press-buttons, snap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51Separable
    • Y10T24/3655Spring
    • Y10T24/366Resilient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7Covers
    • Y10T24/3672Metal or plastic c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1Sizing mating parts during final positional assoc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29/53061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 Y10T29/53065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with 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 콜릿과 이 단추 콜릿을 형성하는 방법과 장치
제1도는 리벳에 의해 한 장의 유연한 물질에 고정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탄면 캡이 있는 단추의 측면도.
제2도는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를 나타내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단추 콜릿과 택을 한 장의 유연한 물질에 고정시키는 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단추 콜릿과 택을 얇은 물질에 부착함과 동시에 도옴형 콜릿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
제6도는 도옴형 콜릿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콜릿(collet) 12 : 택(tack)
14 : 직물 16 : 생크(shank)
18 : 플랜지 20 : 캡
30 : 펀치 32 : 램
42 : 구멍 52 : 테이블
이 발명은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 콜릿과 이 콜릿을 생산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단추는 단추 콜릿과 택 부재로 구성되며 단추 콜릿과 택 부재는 의류 직물과 같은 유연한 물질에 부착될때 함께 결합하여 단추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단추의 캡 또는 헤드의 표면에는 의장이 있어 장식물로서 또는 단추를 파지하여 의류의 단추 구멍에 삽입하는 보조물로서 작용한다. 게다가, 단추의 헤드는 최소한 두개의 다른 형태, 즉 평탄형 또는 도옴형으로 나타난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면이 있는 단추는 미합중국 특허 제4,457,050호에 개시되어 있고, 여기서 장식 원판이 콜릿의 기판과 결합하도록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475,273호에는 도옴형 단추가 개시되어 있고, 여기서 단추 콜릿의 앞부분은 오그라들어 단추 콜릿의 뒷부분의 외주원을 감싼다. 평탄형과 도옴형 단추들 모두는 고객의 실질적 요구 또는 스타일에 따라 사용되며 제조업자는 이들 필요를 빠르게 만족시키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평탄한 단추들과 도옴형 단추를 모두가 단추면에 적당한 정보가 있는 단추들의 공급이 즉시 가능하도록 부품창고에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요 문제점은 명백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추 콜릿은 최소한의 구조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요소들의 캡은 평탄형태에서 도옴형태로 즉시 손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 발명은 도옴형 단추 콜릿과 이것을 만드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요약되며, 이 단추 콜릿은 탄성몸체와 캡 부재로 구성되고, 탄성몸체에는 생크 부재와 부재의 한끝에 위치한 판형 플랜지 부재가 있고, 캡 부재는 상기 플랜지 부재의 외면에 놓여있고 플랜지 부재의 외주연부에 고정되고, 플랜지와 캡 부재는 플랜지와 캡 부재들을 동시에 실질적인 볼록 도움형태로 굽히는 압력을 받아 변형되며, 이 압력이 제거되면, 캡 부재는 자신의 도옴형태를 유지하며 플랜지 부재는 자신의 원래의 판형 형태로 되돌아간다.
이 발명의 한 목적은 손쉽게 도옴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캡 부재가 있는 단추 콜릿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에 부착됨과 동시에 캡이 도옴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단추 콜릿이다.
이 발명의 하나의 장점은 단추 콜릿들이 동일형태로 생산될 수 있으나 평탄형 캡 또는 도옴형 캡 중 어느 쪽의 캡형태로도 제품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추 콜릿(10)에 실현될 때 특히 유용하며, 단추 콜릿(10)은 직물(14)과 같이 사이에 끼인 한장이 유연한 물질에 리벳(12)으로 부착되어 단추를 형성한다.
탄성물질로 형성된 단추 콜릿(10)은, 생크(15)와 판형 풀랜지 부재(18)와 펀치 작동의 압력하에 평탄 시이트에서 굽어진 도옴형 캡으로 영구 변형될 수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전성재(展性材)로 형성된 캡(20)으로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의 외주원 부위(22)는 콜릿(10)의 플랜지(18) 아래로 오그라져 캡(20)을 플랜지(18)에 영구 고정시킨다. 콜릿(10)의 생크(16)는 직물(14)의 상부면위로 플랜지(18)와 캡(20)을 이격시킨다.
제2도는 캡(20)이 콜릿(10)에 유사하게 고정되며 24에서 볼록 도옴형태가 되는 단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특별한 도안이나 장식이 캡(20)에 새겨지거나 그와 달리 배치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제품 확인 또는 단추 파지 보조물이 기능을 제공한다.
제3도에 도시된 도옴형 단추 콜릿(10)은 캡(20)의 외주원 부위(22)가 아래로 접혀 플랜지(18)위에 크림프되어 캡(20)을 콜릿(10)에 영구 고정시키는 방법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설명상, 단추 콜릿(10)과 그 플랜지(18) 및 캡(20)은 형태가 원형이지만, 위에서 볼때 단추는 사각형, 팔각형 등 어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헤드(26)와 갈퀴형 부재(28)가 있는 리벳 또는 택(12)은 단추 콜릿(10)을 물질(14)에 고정시킨다. 플랜지(18)의 외주원 부위는 생크(16)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뻗고, 캡(20)이 크림프되어 자신을 지지할 수 있는 립(lip)을 제공한다.
제4,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 헤드 단추를 도옴형 헤드 단추로 전환시키는 장치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동일 축선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장착된 펀치(30) 및 램(32)을 포함하며, 이 방식은 슈미트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803,698호에 더 잘 설명되어 있다. 단추 콜릿(10)과 택(12)은 각각의 저장 공급 용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이송되어 펀치(30)와 램(32)에 대하여 각각 배치된다. 아암들(34,36)은 장치가 작동될때까지 콜릿(10)을 펀치(30)상의 정위치에 파지한다. 또한, 콜릿(10)과 택(12)은 각각 펀치(30)와 램(32)에 수동으로 이송될 수 있다. 펀치(30)는 궁형면(40)을 포함하며, 궁형면(40)은 플랜지(18)의 연부둘레로 크림프되는 캡 외주원 부위(22)를 포함해서 캡(20)의 직경에 마주 대하는 요홈부(38)를 형성한다. 아암들(34,36)은 초기에서 콜릿(10)을 요홈부(38)안에 지지하지만 펀치(30)의 하향행정시에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결합상태에서 벗어난다. 구멍(42)는 생크(16)의 중앙에 위치하며 콜릿(10)의 바닥면(44)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리벳 또는 택(12)은 램(32)의 요홈부(46)에 지지되고 직물(14)아래에 배치되며, 갈퀴형 부재(28)는 콜릿(10)의 구멍(42)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구멍(42)과 갈퀴형 부재(28)의 종방향 축선은 펀치(30) 및 램(32)의 종축선과 동일하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장치가 가동될 때, 램(32)은 위쪽으로 이동하며 택(12)의 갈퀴형 부재(28)는 직물(14)을 뚫고 이동하며 콜릿(10)의 구멍(42)으로 들어간다. 램(32)의 상향이동과 동시에, 콜릿(10)을 붙든 펀치(30)는 생크(16)의 바닥면(44)이 직물(14)과 맞닿을 때가지 하강한다. 이제 갈퀴형 부재(28)의 선단(48)은 직물(14)을 뚫고 구멍(42)으로 들어간다.
펀치(30)는 하향이동하여 캡(20)의 외주원 부위와 콜릿(10)의 탄성플랜지(18)를 더 밑으로 이동시키어, 펀치(30)의 궁형면(40)이 캡(20)과 플랜지(18)에 작용하여 볼록 도옴형태를 형성한다.
택 또는 리켓(12)은 갈퀴형 부재(28)가 구멍(42)에 완전히 자리잡을 때까지 계속 상향이동하며, 이때 직물(14)이 콜릿(10)의 바닥면(44)과 택(12)의 헤드(26) 사이에 끼이므로, 헤드(26)는 더이상 상향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펀치(30)가 사이클을 마치고 철회되고 이 펀치(30)로 인한 압력이 제거되면, 캡(20)은 자신의 볼록 형태를 유지하는 반면, 플랜지(18)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평탄한 자신의 본래 형태로 되돌아간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클램프들 또는 나사들(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고정된 호울더(50)는 테이블(52)에 장착되어 있다. 호울더(50)의 중앙 구멍(54)은 콜릿(10)의 생크(16)를 수용하며, 생크(16)의 축선이 테이블(52)의 수평면에 수직으로 있는 수직위치에 콜릿을 유지한다. 호울더(50)의 상부벽(56)은 구멍(54)의 최상단부로부터 아래로 경사진다. 제4,5도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궁형면(40)이 있는 펀치(30)는 플랜지(18)와 캡(20)에 작용하며 이를 변형시켜, 제3도에 도시된 것과 일치하는 도옴형태(24)의 캡(20)이 있는 콜릿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도옴형태의 콜릿은 상술된 펀치와 램 기구와 비슷한 장치를 사용하여 제품에 부착하기 위해 단추 제조업자로부터 의복 제조업자에게 공급되어질 수 있다.
현재, 이 발명의 단추 콜릿들은 평탄 헤드 형태 또는 도옴 헤드 형태로 단추 제조업자에 의해 의류 제조업자에게 납품된다. 그러므로 단추 제조업자뿐 아니라 의류 제조업자도 두가지 재고품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르면 의류 제조업자뿐 아니라 단추 제조업자 모두 한가지 재고품만 유지하면 된다.

Claims (16)

  1. 생크 부재와 상기 생크 부재의 한 단부에 위치한 판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탄성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재의 윗면에 놓여 상기 플랜지 부재의 외연부에 고정되는 캡 부재로서, 상기 캡부재와 상기 플랜지 부재를 실질적인 볼록 도움형태로 구부리도록 압력의 일시적인 작용으로 변형되며, 상기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캡 부재는 도옴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플랜지 부재는 자신의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상기 캡 부재; 로 구성되는 단추 콜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 부재에 중앙 축선이 있고 상기 플랜지 부재와 상기 캡 부재는 각자 상기 생크 부재의 중앙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각각 놓여있고 각각 동일한 주변 형태를 가진 단추 콜릿.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의 바닥에는 상기 생크와 동일한 중앙 축선을 가진 중앙 구멍이 있으며, 상기 구멍은 유연한 판 물질 위에 놓이며, 택 부재는 상기 판 물질을 뚫고 상기 생크 부재의 상기 중앙 구멍에 삽입되어 보유되기 적합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택 부재가 상기 유연한 물질을 뚫고 상기 생크 부재의 상기 중앙 구멍에 들어가 그 안에 보유될 때 변형되는 단추 콜릿.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 부재가 원통 형태인 단추 콜릿.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는 초기에는 평탄한 연속 평면상에 놓여 있어 윗면이 상기 캡 부재와 접촉해 있다가 차후에 압력이 일시적으로 작용하고 제거된 뒤 상기 캡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단추 콜릿.
  6. 중앙 축선이 있는 생크 부재와 상기 생크 부재의 한 단부에 위치한 판형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 콜릿 몸체와, 상기 플랜지 부재의 표면에 놓여있고 상기 플랜지 부재의 외주 연부에 고정된 캡 부재를 소정 위치에 보유하는 공정; 궁형면이 있는 펀치 부재를 상기 중앙 축선을 따라 상기 콜릿 몸체를 향해 이동시켜 상기 캡 부재와 결합시키는 공정; 상기 캡 부재와 상기 플랜지 부재를 실질적인 볼록 도옴형태로 동시에 굽히는 공정; 그리고 상기 펀치 부재를 상기 캡 부재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캡 부재는 도옴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플랜지 부재는 판 형태로 돌아가는 공정; 으로 구성되는, 단추 콜릿에 도옴형 캡을 형성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공정은 생크 부재를 지지하여 생크 부재의 중앙 축선을 소정 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한 단부에 중앙 구멍이 있는 생크와, 상기 구멍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생크위의 판형 플랜지와, 유연한 물질로 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위에 놓여 상기 플랜지의 외주 연부에 고정되는 전성재질의 캡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재의 단추 콜릿과; 헤드와 상기 구멍에 들어가기 적합한 갈퀴형 부재가 있는 택 부재; 를 한장의 유연한 물질에 부착하는 동안 도옴형 캡 단추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한 장의 유연한 물질을 상기 콜릿과 상기 택 부재 사이의 소정의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공정; 상기 캡과 맞물리는 궁형면이 있는 펀치 부재밑에서 상기 단추 콜릿을 상기 물질의 한면에 위치 조정시키는 공정; 상기 갈퀴형 부재가 상기 콜릿 몸체의 상기 구멍과 동축선 정렬된채 상기 택 부재를 상기 물질의 반대편에 있는 가동 램 부재위에 위치조정시키는 공정; 상기 펀치 부재와 상기 램 부재를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갈퀴형 부재가 상기 물질을 뚫고, 상기 구멍에 들어가 자리잡아 상기 콜릿의 생크와 상기 택의 헤드 사이에 상기 물질을 붙들게 하는 공정; 상기 펀치 부재가 상기 탄성 단추 콜릿을 이동시켜 상기 갈퀴형 부재와 결합시킬 때 상기 캡부재와 상기 플랜지를 실제적인 볼록 도옴형태로 동시에 굽히는 공정; 그리고 상기 펀치 부재와 상기 램부재를 상기 콜릿과 상기 택에서 각자 떨어지도록 철회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캡 부재가 도옴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플랜지 부재가 자신의 본래의 판 형태로 돌아가게 되는 공정; 으로 구성되는 도옴형 캡 단추의 형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펀치부재와 램 부재가 철회되면 개개의 단추 콜릿들을 상기 펀치 부재에 이송시키고 개개의 택 부재들을 상기 램 부재에 이송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단추 콜릿을 상기 펀치 부재에 지지하고 상기 택을 램 부재에 지지하여 각자의 중앙 축선을 동축선으로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생크와 상기 생크의 한 단부에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탄성몸체와, 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외주 연부위에 놓여 거기에 크림프되는 캡 부재가 있는 단추 콜릿에 도옴형 캡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사기 단추 콜릿을 종축선을 따라 지지하는 수단; 중앙 배치된 궁형면이 있고 상기 종축선을 따라 이동하여 캡 부재를 상기 콜릿의 플랜지와 결합시키는 펀치 부재; 그리고 상기 펀치 부재를 왕복이동시켜 압력으로 상기 캡 부재와 상기 플랜지 부재를 볼록 도옴형태로 동시에 굽히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캡 부재는 도옴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플랜지부재는 자신의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게 되어 있는 상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콜릿을 지지하는 상기 수단은, 중앙에 있는 구멍이 상기 생크를 받아들이기에 적합하도록 동일한 종축선으로 되어 있는 호울더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상기 생크를 둘러싸는 상기 호울더 내면의 높이가 상기 생크의 길이와 거의 같고, 상기 플랜지 아래에 위치한 반경방향 연장면이 상기 호울더의 상기 상단부로부터 아래로 경사져 있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생크의 단면이 원형인 단추 콜릿과 함께 사용되며, 상기 호울더가 링 모양이라서 상기 구멍이 상기 콜릿의 생크를 받아들이게 되는 장치.
  15. 단추 콜릿과 택 부재를 한 장의 직물에 부착하는 동안 단추에 도옴형 캡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단추 콜릿에는 생크, 상기 생크의 한 단부에 종축선이 있는 중앙 구멍, 그리고 다른 단부에 반경방향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는 탄성몸체와; 상기 플랜지의 외주 연부위에 놓여 거기에 크림프되는 전성재질의 캡 부재; 가 있고, 상기 택 부재에는 헤드와 상기 중앙 구멍에 들어가기 적합한 갈퀴형 부재가 있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추 콜릿을 상기 중앙 구멍의 종축선상에 지지하는 왕복 펀치 수단; 상기 콜릿을 이동시킬 때 상기 캡 부재와 결합하는 상기 펀치 수단 위의 궁형면; 상기 택 부재를 상기 종축선상에 지지하는 왕복 램수단; 상기 펀치수단과 상기 램수단을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작동시켜서 상기 갈퀴형 부재가 우선 상기 직물을 뚫고나서 상기 콜릿의 상기 중앙 구멍에 들어가 자리잡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펀치 부재가 상기 단추 콜릿을 구동시켜 상기 택 부재의 갈퀴형 부재와 결합시킬때 상기 궁형면은 상기 캡 부재와 상기 플랜지를 실제적인 볼록 도옴형태로 동시에 굽히며, 그래서 상기 펀치 수단과 상기 램수단이 모두 역방향 왕복 이동하면 상기 캡 부재가 도옴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플랜지 부재가 자신의 본래의 판 형태로 돌아가는 도옴형 캡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펀치 수단이 상기 콜릿을 움직여 상기 플랜지의 밑면을 상기 직물의 표면에 자리잡게 하며, 그와 거의 동시에 상기 램수단이 이동하여 상기 갈퀴형 부재의 선단이 상기 직물을 뚫는 장치.
KR1019880006648A 1987-06-03 1988-06-02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 콜릿과 이 단추 콜릿을 형성하는 방법과 장치 KR900004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038 1987-06-03
US07/057,038 US4782559A (en) 1987-06-03 1987-06-03 Button coll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57308 1987-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052A KR890000052A (ko) 1989-03-11
KR900004873B1 true KR900004873B1 (ko) 1990-07-09

Family

ID=2200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648A KR900004873B1 (ko) 1987-06-03 1988-06-02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 콜릿과 이 단추 콜릿을 형성하는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82559A (ko)
EP (1) EP0293758B1 (ko)
JP (1) JPS63302803A (ko)
KR (1) KR900004873B1 (ko)
BR (1) BR8802773A (ko)
CA (1) CA1299345C (ko)
DE (1) DE3874968T2 (ko)
ES (1) ES2034024T3 (ko)
HK (1) HK1909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655A (en) * 1992-09-30 1994-07-12 Chrysl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alignment
US5644820A (en) * 1994-08-12 1997-07-08 Ho; Wen-Lung Crown button of a cap
US5513422A (en) * 1994-10-26 1996-05-07 Wen-Lung; Ho Crown button of a cap
US6568044B1 (en) * 2000-04-10 2003-05-27 Susan F. Kidd Attachment device for pliant material
KR100784799B1 (ko) * 2006-07-06 2007-1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궤도 지지강성 측정장치
US20110056049A1 (en) * 2009-09-08 2011-03-10 Rice Jason W Button assembly with detachable button cover
CN112548578B (zh) * 2019-09-25 2023-07-21 Ykk株式会社 扣子止挡件用部件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US20230225443A1 (en) * 2022-01-20 2023-07-20 Joshua Eckdish Button Accessory for Hat, Beanie, or Cap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859A (en) * 1896-06-30 Joseph r
US553938A (en) * 1896-02-04 Carl fr
DE379101C (de) * 1922-10-31 1923-08-18 Wilhelm Wirths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Druckknopfmatrizen am Stoff
GB359687A (en) * 1930-10-13 1931-10-29 James Clement Newey Improvements in tools for eyeletting snap-fasteners on to fabric or other material
US2211322A (en) * 1937-03-25 1940-08-13 Scovill Manufacturing Co Method of forming domed buttons
US2835948A (en) * 1955-07-15 1958-05-27 Scovill Manufacturing Co Removable button
GB867888A (en) * 1957-09-25 1961-05-10 Koh I Noor Praha Spozene Kovop A two-part button
US3500507A (en) * 1967-09-11 1970-03-17 Anna Frances Malhenzie Button assembly
US3517874A (en) * 1968-01-18 1970-06-30 Clifford E Cressy Fastener attachment
US3644965A (en) * 1968-10-16 1972-02-29 Togs Inc Snap fastener
IT969721B (it) * 1971-10-20 1974-04-10 C And C Button And Trimming Co Gruppo di bottone metallico
US3973296A (en) * 1973-08-20 1976-08-10 C & C Metal Products Corporation Metal button assembly
SE389008B (sv) * 1975-08-29 1976-10-25 S A J Liljendahl Knapp
JPS6017112B2 (ja) * 1980-02-21 1985-05-01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S6241605Y2 (ko) * 1980-11-27 1987-10-24
JPS57129410U (ko) * 1981-02-06 1982-08-12
JPS5837285U (ja) * 1981-09-02 1983-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局線切替回路
US4541148A (en) * 1983-02-14 1985-09-17 Nippon Notion Kogyo Co., Ltd. Tiltable tack button
JPS6070307A (ja) * 1983-09-28 1985-04-22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道路勾配測定方法
US4662033A (en) * 1985-07-12 1987-05-05 Trw Inc. Tack butt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3758A1 (en) 1988-12-07
HK190995A (en) 1995-12-29
US4782559A (en) 1988-11-08
JPS63302803A (ja) 1988-12-09
DE3874968T2 (de) 1993-03-04
ES2034024T3 (es) 1993-04-01
BR8802773A (pt) 1988-12-27
DE3874968D1 (de) 1992-11-05
EP0293758B1 (en) 1992-09-30
CA1299345C (en) 1992-04-28
KR890000052A (ko) 198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873B1 (ko) 도옴형 캡이 있는 단추 콜릿과 이 단추 콜릿을 형성하는 방법과 장치
US3030700A (en) Retaining ring setting tool
US4596349A (en) Machine for applying articles of hardware to textile materials and the like
EP0287059B1 (en) Ornamental button
EP1834538A1 (en) Decorative button
US2118665A (en) Electrical unit and fastener member for the same
GB2033217A (en) Upholstery button
WO2013118262A1 (ja) 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保持ダイ
GB2164239A (en) A button assembly for attachment to a garment fabric
EP0341655B1 (en) Parts applying apparatus
US23616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fasteners
EP0140248B1 (en) Button for garment
US3942225A (en) Supporting button for articles of luggage, etc.
JPH0761287B2 (ja) 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自動停止装置付きスライダーの板バネ組込方法
US2635316A (en) Prong cap for snap fasteners
GB2188827A (en) Attaching buttons
JPH0342017Y2 (ko)
US2244287A (en) Button
EP0212395B1 (en) Button holder/die assembly in a device for attaching buttons to sheet members
EP0540223B1 (en) Ornamental button body with clas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876854A (en) Button
US2631282A (en) Spring clip holding means for initial tags
JPH088641Y2 (ja)
JPH09157929A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における雄型嵌合体の保持部材
US3273427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buttons consisting of several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