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753B1 -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753B1
KR900003753B1 KR1019870000670A KR870000670A KR900003753B1 KR 900003753 B1 KR900003753 B1 KR 900003753B1 KR 1019870000670 A KR1019870000670 A KR 1019870000670A KR 870000670 A KR870000670 A KR 870000670A KR 900003753 B1 KR900003753 B1 KR 90000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card
read
clock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380A (ko
Inventor
히데키요 쿠시마
츠토무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comprising a circuit for steering the operations of the card conn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 기록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출.기록장치의 외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외장체의 앞부분을 나타내는 전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따른 독출기록 장치내에 결합된 회로결선도.
제 4 도는 종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출.기록장치의 외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따른 외장체의 측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에 따른 외장체의 앞부분을 나타내는 전면도.
제 7 도는 제 4 도에 따른 독출. 기록장치내에 결합된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다이어그램.
제 8a 도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독출.기록장치내에 결합된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다이어그램.
제 8b 도는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로에 연결된 클럭발진기를 나타내는 블럭다이어그램.
제 8c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클럭발진기만을 나타내는 블럭다이어그램.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독출.기록장치의 외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10 도는 외장체의 앞부분을 나타내는 전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독출.기록장치와 외부제어장치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과 접속컨넥터를 나타내는 모델.
제 12 도는 외부제어장치와 독출.기록장치사이에 배치된 인터페이스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다이어그램.
제 13 도는 독출.기록장치의 동작설명을 보조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50, 60 : 기록매체의 독출. 기록장치
12, 51, 63 : 독출.기록장치의 외장체
13, 52 : 외장체의 전면판 14, 53 : IC카드삽입슬럿
15, 54 : 이젝트버튼 16, 55 : 동작표시램프
17 : 전원공급표시램프 18, 58, 73 : 케이불
19 : 접속컨넥터 21, 65 : IC카드장착장치
22, 56 : 접촉부 23 : 전원레귤레이터
24, 25, 26, 35, 36, 37, 41, 42 : 버퍼 26 : Vcc제어회로
27 : Vpp제어회로 28 : DC-DC컨버터
29, 32 : 앤드게이트 31 : Vcc모니터회로
33 : 클럭발진기 34 : IC카드장착검출센서
27, 38 : 인터페이스회로 57 : 솔레노이드
59 : 전기회로부 66 : IC카드장착장치제어회로
67 : IC카드인터페이스회로 68 :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발명은 IC카드와 같은 휴대가능한 기록매체를 외부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휴대가능한 기록매체를 외부제어장치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데이터의 독출.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C카드는 마이크로컴퓨터와 메모리장치(기록매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이 포켓형 플라스틱제 카드베이스에 매립되어 구성되는데, 이는 대개 마이크로컴퓨터와 메모리장치에 대한 전원공급단자등을 포함하는 8개의 외부단자가 그 카드베이스의 표면에 배열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록매체인 IC 카드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그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기 위해서는 IC카드의 독출.기록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바, 이에 대한 종래의 독출.기록장치로서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나타낸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독출.기록장치중 제1실시예의 외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 2 도는 그 외장체의 정면도이며, 제 3 도는 독출.기록장치내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 2 도에 도시된 외장체(51)의 전면판(52)상에서 IC카드삽입슬롯(53)과 이젝트 버튼(eject button : 54) 및 동작표시램프(5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3 도에서 56은 IC카드의 외부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동되는 접촉부를 나타내는데, 이 접촉부(56)는 솔레노이드(57)가 구비된 구동장치에 설치되어져 상기 솔레노이드(57)가 작동하게 될때 삽업된 IC카드의 외부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동작 전원전압 VCC는 접촉부(56)의 J2-5접점에 공급되고, 리셋트신호는 J2-4접점에 공급되며, 클럭신호는 J2-3접점에 공급된다. 또한, 기록전원전압 Vpp는 접점 J2-7에 공급되고, 접점 J2-8은 공급전원과 신호에 대한 공통접지접점으로 제공되며, 접점 J2-1과 접점 J2-2는 예비용 단자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56)의 접점 J2-3 내지 J2-8은 모두 케이블(58)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외부제어장치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종래장치의 동작관계는 다음과 같다.
IC카드가 IC카드삽입슬롯(53)에 삽입되면 그에 따라 구동장치가 작동되어 IC카드에 동작전원전압 VCC이 공급되게 되며, 삽입된 IC카드는 도시되지 않은 잠금장치와 이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독출.기록장치(50)에 내장된 전기회로부(59)에 의해 장착되어 감겨지게 되므로 독출.기록장치로부터 빠져나오는 경우가 방지되게 된다. 또 제 3 도에서 부호 61은 카드검출신호선이고, 62는 동작표시램프(55)에 연결되는 표시신호선인데, 이들 2개의 선(61,62)도 외부제어장치에 접속되게 된다. 그리하여, IC카드가 IC카드삽입슬롯(53)을 통해 삽입됨에 따라 구동장치가 활성화되어 접촉부(56)가 IC카드의 외부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동할때 IC카드가 외부제어장치에 접속되므로 IC카드와 외부제어장치 사이에서 동작전원전압 VCC와, 리셋트신호와 같은 제어신호, 2방향성 입,출력신호 및 클럭신호등이 모두 전송되게 되고, 이때 4.9MHZ의 고주파클럭신호가 케이블(58)을 통해 IC카드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독출.기록장치에서는 제어회로가 정보의 독출.기록장치(50)에 거의 내장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독출.기록장치가 보다 낮은 가격으로 된다는 잇점이 있지만, 특히 고주파수인 클럭신호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케이블상에 누화(혼선 : Cross talk)나 반사(reflection)가 발생되기 쉽고, 그에 따라 독출.기록장치와 외부제어장치사이에 접속되는 긴 케이블(58)을 통해 외부제어장치로 IC카드를 정확하게 제어하기가 곤란하였다.
여기서, 누화란 고주파수의 신호가 제1선(Wire)을 통해 전송될때 전압이 이 제1선에 인접되어 병렬로 배열된 제2선에 유도되는 현상이고, 또 반사는 배선에 표유용량(Stray capacity)과 잔류인덕턴스(residual inductance)가 존재하기 때문에 2개의 능동소자 사이에서 전압진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2개의 소자사이에서 정합(matching)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링깅전압(Ringing Voltage)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제 4 도 내지 제 7 도는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독출.기록장치(60)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4 도는 독출.기록장치(60)의 외장체(6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 5 도는 외장체의 측면도이며, 제 6 도는 외장체 전면판의 정면도이고, 제 7 도는 회로구성의 블럭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이러한 종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출.기록장치(60)에는 종래 제1실시예의 독출.기록장치에서 설명된 장치와 회로가 후술되는 회로와 더불어 거의 모두 포함되게 된다. 상기 제 7 도에서 부호 65는 상기 제 3 도에 도시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IC카드장착장치를 나타내고, 66은 IC카드장착장치 제어회로를 나타내며, 67은 IC카드 인터페이스회로를 나타내고, 68은 마이크로프로세서(CPU)를 나타낸다. 또한 69는 전원공급회로를 나타내고, 71은 마이크로프로세서 (68)와 외부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 사이를 조정하는 호스트인터페이스회로를 나타내며, 또 제 6 도에서 전면판(64)상에는 전원공급회로(69)의 동작을 나타내도록 된 동작표시램프(72)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독출.기록장치(60)는 제 4 도에 도시된 케이블(73)을 경유하여 외부제어장치에 접속되고, 독출.기록장치(60)의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정보코드의 교신을 제공하기 위한 IC카드의 프로토콜과는 다른 프로토롤이 정해지게 된다. 또 외부제어장치와 IC카드에서 교신되는 모든 제어신호와 2방향성 입, 출력데이터, 클럭신호 및 전원전압이 독출.기록장치(60)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68)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독출.기록장치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어장치[마이크로프로세서(68)]와 IC카드장착장치(65)에 구비되는 접촉부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짧아지게 되어 종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공통접지선과 입.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직렬데이터선 이외의 부가적인 케이블이 필요치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제2실시예의 장치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68)가 내장되기 때문에 장치가 고가로 됨과 더불어 외부치수가 커지게 되어 경우에 따라 단말장치의 동작부에 독출.기록장치를 내장하기가 곤란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외부제어장치에는 Z 80형(자이로그사 제품)이나 8086형(인텔사 제품)과 같은 강력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사용되게 되는 바, 여기에다 수개의 IC와 트랜지스터, 콘덴서 및 다이오드등으로 구성되는 버퍼회로를 포함시켜주게 되면 독출.기록장치에 고가의 마이크로세서를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수킬로바이트의 프로그램에 따라 IC카드를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수의 클럭신호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때 종래 제1실시예에서 수반되는 문제점을 해졀하면서 IC카드를 직접제어할 수 있도록 된 IC카드의 데이터독출.기록장치에 대한 실현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발명된 것으로, 외부치수와 가격의 상승없이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있는 휴대가능한 기록배체의 독출,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제어용인 외부제어장치에 기록매체의 외부단자를 접속시켜주기 위한 접촉부와 기록매체장착부를 갖추고 있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데이터독출.기록장치에 있어서, (1) 접촉부를 매개하여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는 동작클럭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발진기수단과, (2)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2진 논리신호에 따라 상기 클럭발진기수단으로부터의 동작클럭을 기록매체에 선택적으로 공급해주기 위한 논리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휴대가능한 기록매체가 기록매체장착장치에 장착되면, 구동장치가 작동되어 접촉부가 기록매체의 외부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동되게 되고, 이때 기록매체의 장착을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기록매체장착센서에 의해 감지되어져 외부제어장치에 전송되게 되며, 이 검출신호에 따라 외부제어장치에서는 논리회로수단을 제어하는 독출.기록장치에 2진논리신호를 공급하게 되고, 클럭발진기수단으로부터 동작클럭신호가 접촉부를 매개로 기록매체에 공급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전원전압, 리셋트신호등과 같은 제어신호가 접촉부를 통해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어 기록매체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외부제어장치가 기록매체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주파수의 동작클럭신호가 외부제어장치로부터 독출.기록장치를 경유하여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지 않고, 독출.기록장치에 내장된 클럭발진기로부터 발생되어 외부제어장치의 제어하에 클럭발진기로부터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긴 케이블을 매개로 케이블상에서의 누화(혼선)나 반사의 발생없이 외부장치로 기록매체를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클럭발진기는 IC카드에 대한 독출.기록장치의 공급전압또는 IC카드의 2진공급전압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인 한편, 논리회로는 외부제어장치로부터 클럭이네이블 2진논리신호나 휴대가능한 기록매체, 즉 IC카드에 대한 2진공급전압에 응답하도록 된 앤드게이트이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독출.기록장치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8 도 내지 제 13 도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9 도에서 참조부호 12는 독출.기록장치(20)의 외장체를 나타내는데, 이 외장체(12)의 전면판(13)상에는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IC카드삽입 슬롯(기록매체장착장치;14)과 이젝트 버튼(15), 동작표시램프(16) 및 전원공급표시램프(17)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표시램프(17)는 전원전압이 독출.기록장치(20)에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외부제어장치에 접속되는 케이블(18)이 독출.기록장치(20)의 외장체(12)의 후면판에서 도출됨과 더불어 외부제어장치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속컨넥터(19)가 케이블(18)의 자유선단부에 연결되게 된다.
다음, 제 8a 도에서 21은 IC카드의 접촉부(22)가 배치된 IC카드장착장치를 나타내는데, 이 접촉부(22)는 IC카드가 IC카드삽입슬롯(14)으로 삽입될때 IC카드장착장치(21)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IC카드의 외부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외장체(12)의 내부기능에 대해 제 8a 도 내지 제 11 도를 참조하여 케이블(18)에 포함되는 다수의 신호선에 관련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외부제어장치의 접속컨넥터(19)의 각 핀번호에 대응되게 각 신호선을 표시하여 설명한다.
전원레귤레이터(23)가 접속된 No.1 신호선에는 외부제어장치로부터 예를들면 +12V의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전원레귤레이터(23)는 +12V의 전원전압을 예를들면 +5V로 조정되는 전압으로 발생시키게 되며, 이 조정된 +5V의 전압이 전원전압으로서 독출.기록장치(20)에 공급되게 된다. No.2신호선은 모든 신호와 전원전압에 대한 공통접지로서 사용되게 되고, No.3신호선은 외부제어장치로부터 IC카드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선으로서, 이 No.3신호선은 버퍼(24)를 매개로 접촉부(22)에 접속되며, No.4신호선은 IC카드로부터 외부제어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선으로, 이 No.4신호선은 버퍼(25)를 매개하여 접촉부(22)로부터 접속컨넥터(19)에 접속되는데, 이들 No.3과 No.4신호선들은 2방향성데이터 신호선으로 제공되도록 접촉부(22)에 대해 와이어-오아(wire-ORed)된다. No.5신호선은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01
가 공급전원전압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도록 외부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됨에 따라 IC카드의 동작전원을 통제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켜주기 위한 제어신호선으로서, 이 No.5신호선은 전원레귤레이터(23)의 출력신호선에 접속된 VCC제어회로(26)를 거쳐 접촉부(22)에 접속되게 되고,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02
가 로우레벨이면 동작전원전압 VCC가 VCC제어회로(26)로부터 IC카드에 공급된다. 이 VCC제어회로(26)는 과전류방지회로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No.6신호선은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03
가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됨에 따라 IC카드의 기록가능전압 Vpp를 통제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켜주기 위한 제어신호선으로서, 이 No.6신호선은 DC-DC컨버터(28)를 매개로 전원레귤레이터(23)의 출력신호선이 접속된 Vpp제어회로(27)를 거쳐 접촉부(22)에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전원레귤레이터(23)로부터의 +5V 출력전압은 기록가능전압 Vpp로 사용될 수 있도록 DC-DC컨버터(28)를 통해 예컨대 +21V로 승압되게 되고, 이 기록가능전압 Vpp로 사용될 수 있도록 DC-DC 컨버터(28)를 통해 예컨대 +21V로 승압되게 되고, 이 기록가능전압 Vpp는 Vpp제어회로(27)로부터 IC카드에 공급된다. 또 상기 실시예의 기록가능전압 Vpp는 IC카드의 메모리로서 EPROM(Erasable Program mable ROM)이 사용될때 효과적이게 된다.
No.7신호선은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04
가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됨에 따라 IC카드의 리셋트신호를 통제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켜주기 위한 제어신호선으로서, 이 No.7신호선은 앤드게이트(29)를 매개하여 접촉부(22)에 접속되고, VCC제어회로(26)의 출력신호선은 VCC전압레벨을 모니터하기 위한 VCC모니터 회로(31)를 거쳐 앤드게이트(29)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데, 상기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05
가 로우레벨이고, 동작전원VCC가 VCC 제어회로(26)로부터 출력될때 리셋트신호가 앤드게이트(29)를 통해 IC카드에 인가되게 된다.
No.8 신호선은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06
가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됨에 따라 IC카드의 클럭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시켜주기 위한 제어신호선으로서, 이 No.8신호선은 2입력 앤드게이트(32)의 1입력만에 접속되고, 상기 앤드게이트(32)의 다른 입력단에는 클럭발진기(33)가 접속되는데, 상기 클럭발진기(33)는 약 4.9MHZ 주파수를 갖는 IC카드의 동작용 클럭을 발진하여 출력하게 되고, 발진된 클럭신호는 앤드게이트(32)가 로우레밸의 2진 논리신호
Figure kpo00007
에 따라 개로(開路)될때 IC카드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으로 No.9신호선은 IC카드장착장치(21)에 설치된 IC카드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선으로서, IC카드가 IC카드삽입슬롯(14)에 삽입되면 로우레벨의 IC카드검출신호
Figure kpo00008
가 이 No.9신호선에 출력되고, 그에 따라 외부제어장치는 IC카드가 독출.기록장치(20)에 장착되었음을 검출하게 된다. No.10신호선은 온(ON).오프(OFF) 제어신호
Figure kpo00009
가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됨에 따라 동작표시램프(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선으로서, 이 신호선은 버퍼(36)를 매개로 동작표시램프(16)에 접속되게 되므로 이 동작표시램프(16)는 온.오프제어신호 LED가 로우레벨일때 점등되게 된다. 그리고, No.11신호선은(제 11 도에 도시됨)은외장체(12)의 접지레벨에 접속된 차페접지선(shieled ground line)이다.
제 12 도는 외부제어장치(ECP)와 독출.기록장치(R/W)사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상기 제 12 도에 있어서 부호 37은 예를들어 No.3 신호선에 의해 외부제어장치로부터 독출.기록장치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회로이고, 이와는 달리 부호 38은 예를들어 No.4신호선에 의해 독출.기록장치로부터 외부제어장치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 2개의 인터페이스 회로(37,38)는 통상적인 구성의 버퍼(41,42)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는 제 8a 도와 제 8b 도 및 제 8c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럭발진기(33) 와 앤드게이트(3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8a 도에 도시된 회로를 실선 ⓐ로 표시된 제 1 실시예에서는 클럭발진기(33)가 전원레귤레이터(23)로부터 공급되는 +5V의 공급전압에 의l해 상시 활성화되어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이네이블신호
Figure kpo00010
에 따라 앤드게이트(32)를 통해 발생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반면, 제 8a 도에 도시된 회로중 점선ⓑ로 표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클럭발진기(33)가 Vcc 제어회로(26)로부터 공급되는 2진공급전원 전압 VCC에 의해 활성화되어 발생된 클럭신호를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이네이블신호
Figure kpo00011
에 따라 앤드게이트(32)를 통해 IC카드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클럭발진기(33)는 간헐적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외부제어장치가 소형의 휴대가능한 형태로 되면서 전력소비를 현저하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서 앤드게이트(32)는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이네이블신호
Figure kpo00012
에 따라 개로되어 활성화되게 되고, 이와 달리 독출.기록장치의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2진논리신호에 따라서 기록될 수 있게 된다.
제 8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앤드게이트(32)는 실선 ⓒ로 표시된 IC카드에 대한 2진공급전압 Vcc에 따라 직접 개로되어 활성화 되게 되고, 또한 상기 제 8b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앤드게이트(32)는 점선 ⓓ로 표시된 바와같이 Vcc 모니터회로(31)를 통해 공급되는 IC카드에 대한 2진공급전압 Vcc에 따라 개로되어 활성화되게 된다.
그리고, 제 8c 도는 제 8a 도와 제 8b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클럭발진기(33)가 Vcc제어회로(26)에서 인가되는 2진공급전압 Vcc에 따라 활성화되어 발생된 클럭을 논리회로 없이 IC카드에 직접 공급하게끔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독출.기록장치의 동작에 대해 제 13 도에 도시된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IC카드가 IC카드삽입슬롯(14)에 삽입되어 IC카드장착장치(21)에 의해 소정위치에 장착되면, 접촉부(22)가 구동장치에 의해 IC카드의 외부단자와 접촉되게 되고, 이와 더불어 IC카드장착검출센서(34)에 의해 IC카드의 장착상태가 검출되어 제 13 도(a)와 같은 카드검출신호
Figure kpo00013
가 No.9신호선을 경유하여 외부제어장치로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제어장치에서는 IC카드검출신호
Figure kpo00014
에 따라 제 13 도(b),(c),(d)와 같은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신호를 연속적으로 독출.기록장치(20)에 전송하게 되므로, VCC 제어회로(26)가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18
에 따라 IC카드에 동작전원전압 VCC을 공급하도록 활성화 됨과 더불어, 앤드게이트(32)가 클럭발진기(33)로 부터의 약 4.9MHZ인 클럭신호를 IC카드에 공급하도록 개로되어 활성화 되며, 또한 VCC 전압이 VCC모니터 회로(31)를 통해 앤드게이트(29)에 공급되므로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19
와 VCC감시회로(31)의 출력은 모두 IC카드에 리셋트신호
Figure kpo00020
를 공급하도록 앤드게이트(29)에서 논리 곱(ANDed)되게 된다. 그에 따라 IC카드가 초기화되고, No.3신호선과 No.4신호선을 통해 제 13 도 (e)(f)에 나타낸 것처럼 외부제어장치와 기록매체인 IC카드사이에서 데이터가 송. 수신되게 된다. 여기서 No.3 신호선과 No.4신호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는 예를들면 9600bps의 디지탈신호 즉, "1"과 "0"이 반복되는 최고치 9600HZ의 저주파신호이다.
상기 독출.기록장치(20)에서 데이터는 IC카드와 외부제어장치사이에서 교신되게 되고, 이 데이터 송.수신동작에서 클럭발진기(33)는 고주파수를 발생하는 클럭발진기(33)와 IC카드사이의 거리를 감축함과 더불어 신호레벨의 변화에 기초하여 논리회로를 제어하는 2진논리신호만이 외부제어장치와 독출.기록장치(20)사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독출.기록장치(20)에 내장되게 되고, 그에 따라 신호선상에 누화나 반사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IC카드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와 클럭발진기를 제어하기 위한 논리회로를 활성화시키는 클럭발진기가 독출.기록장치에 내장되게 되고, 또 논리회로는 클럭발진기로부터 발생된 동작클럭신호를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해주기 위해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2진논리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고주파클럭신호가 전송되는 클럭발진기와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제어장치와 독출.기록장치사이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통해서 2진논리신호만이 전송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길이가 비교적 길어지게 되더라도 누화나 반사의 발생없이 IC카드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또 독출.기록장치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독출.기록장치가 소형으로 됨과 더불어 낮은 가격으로 되며, 단말장치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만드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9)

  1. 기록매체제어용 외부제어장치에다 장착된 기록매체의 외부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촉부(22)와 기록매체장착장치(21)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2)를 통해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는 동작클럭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발진기수단(33)과, 상기 클럭발진기수단(33)으로 부터의 동작클럭을 기록매체에 선택적으로 공급해주도록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2진논리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논리회로수단(3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럭발진기수단(33)은 독출.기록장치에 공급되는 공급전원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클럭발진기수단(33)은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는 2진공급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논리회로수단(32)은 상기 클럭발진기수단(33)에 접속되는 제1입력단자와 외부제어장치에 접속되는 제2입력단자를 갖는 앤드게이트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앤드게이트(32)는 제2입력단자는 외부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이네이블 2진논리신호
    Figure kpo00021
    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앤드게이트(32)의 제2입력단자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는 2진공급전압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앤드게이트(32)의 제2입력단자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는 2진공급전압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게 될때 VCC모니터회로(31)로부터 출력되는 2진전압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가능한 기록매체는 IC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9. 기록매체제어용 외부제어장치에다 장착된 기록매체의 외부단자를 접속시켜주기 위한 접촉부(22)와 기록매체장착장치(21)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2)를 통해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는 동작클럭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공급되는 2진공급전압에 따라 활성화 되는 클럭발진기수단(33)의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 기록장치.
KR1019870000670A 1986-03-31 1987-01-28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KR900003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71064 1986-03-31
JP61071064A JPS62229491A (ja) 1986-03-31 1986-03-31 携帯可能記録媒体の読取り/書込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80A KR870009380A (ko) 1987-10-26
KR900003753B1 true KR900003753B1 (ko) 1990-05-31

Family

ID=1344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670A KR900003753B1 (ko) 1986-03-31 1987-01-28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67918A (ko)
JP (1) JPS62229491A (ko)
KR (1) KR900003753B1 (ko)
FR (1) FR2596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997B2 (ja) * 1986-09-17 1995-1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cカ−ドリ−ダ−ライタ−
FR2611954B1 (fr) * 1987-03-02 1992-02-14 Crouzet Sa Embase universelle de terminal de paiement electronique
JPH01288982A (ja) * 1988-05-16 1989-11-21 Minolta Camera Co Ltd Icカードの接続装置
JP2739964B2 (ja) * 1988-09-28 1998-04-15 株式会社東芝 クロック切替回路
US5210846B1 (en) * 1989-05-15 1999-06-29 Dallas Semiconductor One-wire bus architecture
US5438185A (en) * 1990-06-27 1995-08-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C card apparatus for connecting a reference potential terminal of a card connector to a main frame without a data transfer control portion being connected therebetween
US5149945A (en) * 1990-07-05 1992-09-22 Micro Car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coupler for interfacing a portable data carrier with a host processor
US5517015A (en) * 1990-11-19 1996-05-14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Communication module
US5638418A (en) * 1993-02-05 1997-06-10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Temperatur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US5994770A (en) * 1991-07-09 1999-11-30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ata carrier
US5552999A (en) * 1991-07-09 1996-09-03 Dallas Semiconductor Corp Digital histogram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JPH06139414A (ja) * 1992-10-28 1994-05-20 Sony Corp Icカード検出装置
US5563396A (en) * 1993-08-20 1996-10-0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ng device
US5848541A (en) * 1994-03-30 1998-12-15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Electrical/mechanical access control systems
US5831827A (en) * 1994-04-28 1998-11-03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Token shaped module for housing an electronic circuit
US5604343A (en) * 1994-05-24 1997-02-18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cure storage of monetary equivalent data systems and processes
US5679944A (en) * 1994-06-15 1997-10-21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module having EPROM memory, systems and processes
DE19742459C2 (de) * 1997-09-26 2000-02-03 Orga Kartensysteme Gmbh Einrichtung für den Betrieb einer Chipkarte und den Datenaustausch zwischen einer Chipkarte und einem mikroprozessorgestützten System
CN1130008C (zh) * 1998-12-01 2003-12-03 瑞士电信流动电话公司 具有集成激光振荡器的芯片卡及用户呼叫结算方法
GB0027810D0 (en) * 2000-11-15 2000-12-27 Pace Micro Tech Plc Signal sequencing control means
EP1239400A1 (en) * 2001-03-09 2002-09-1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Dual smartcard controller
KR100903792B1 (ko) * 2002-11-28 2009-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처리용 메모리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JP4923552B2 (ja) * 2005-12-14 2012-04-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への電力供給方法、及び、印刷装置
DE102013104142B4 (de) * 2013-04-24 2023-06-15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kar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82391A5 (ko) * 1972-07-21 1976-11-30 Maymarev Nikolay
US3971916A (en) * 1974-03-25 1976-07-27 Societe Internationale Methods of data storage and data storage systems
US4004133A (en) * 1974-12-30 1977-01-18 Rca Corporation Credit card containing electronic circuit
US4373158A (en) * 1980-07-30 1983-02-08 Orloff Leslie M Device for altering encoded data
JPS59212949A (ja) * 1983-05-18 1984-1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ド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ならびにicカ−ド
JPS59229686A (ja) * 1983-06-09 1984-12-24 Toshiba Corp Icカ−ド
JPS60225289A (ja) * 1984-04-23 1985-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Icカ−ド
JPS6120185A (ja) * 1984-07-05 1986-01-2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カ−ド読取システム
JPS61264485A (ja) * 1985-05-18 1986-11-22 Hitachi Maxell Ltd Icカ−ドのリ−ダ−・ライ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80A (ko) 1987-10-26
FR2596549A1 (fr) 1987-10-02
FR2596549B1 (fr) 1992-09-04
US4767918A (en) 1988-08-30
JPS62229491A (ja) 198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753B1 (ko)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의 독출.기록장치
US5206495A (en) Chip card
US4829166A (en) Computerized data-bearing card and reader/writer therefor
US5576936A (en) Compact electronic data module with nonvolatile memory
DE69935518D1 (de) Zwei-Schnittstellenspeicherkarte und Anpassungsmodul dafür
TW375766B (en) Anti-tamper integrated circuit
KR100247671B1 (ko) 오디오 메모리 칩 장치
KR940006883A (ko) 게임 단말기
KR100438875B1 (ko) 데이터처리및저장장치
US4449206A (en) Portable memory device
US6199764B1 (en) UART with an IC card reading interface and IC card reading system using the same
DE69328946D1 (de) Datenintegritätsvorrichtung für einen Plattenantrieb bei einer Stromversorgungsunterbrechnung
CA2060336C (en) Ic card information read/write system
JPS62119696A (ja) メモリパツケ−ジユニツト
US5373478A (en) Non-volatile memory board
JPH05189626A (ja) コイン形情報媒体
JPS61147386A (ja) Icカ−ド読取り・書込み装置
KR100351095B1 (ko) 아이씨카드 데이터리드/라이트 장치
DE69233533D1 (de) Aufzeichnungsgerät
JPS63159992A (ja) 携帯可能媒体の読取り/書込み装置
KR200209740Y1 (ko) 아이씨카드 데이터리드/라이트 장치
JP2661190B2 (ja) カードケース
JP2728677B2 (ja) 情報媒体
JPH04360296A (ja) Icカードホルダー
JP2001014431A (ja)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用端子ドライ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