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628B1 -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28B1
KR900003628B1 KR1019870009398A KR870009398A KR900003628B1 KR 900003628 B1 KR900003628 B1 KR 900003628B1 KR 1019870009398 A KR1019870009398 A KR 1019870009398A KR 870009398 A KR870009398 A KR 870009398A KR 900003628 B1 KR900003628 B1 KR 900003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ervice
continuous
subscriber
dig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533A (ko
Inventor
임인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628B1/ko
Publication of KR89000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4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voicemail mess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제 3 도는 가입자 테이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입자 20 : 교환기
30 : 음성 우편장치 31 : 중앙처리장치
32 : 트렁크회로 33 : 음성 제어장치
34 : 하드 디스크
본 발명은 음성 우편장치의 서비스 요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서비스를 종료한 상태에서 새로운 콜 없이 연속 디지트를 조작하여 연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음성 우편장치의 서비스를 받고자 할시 음성 우편장치를 호출(call)하여 서비스를 요구하여야 한다.
종래의 음성 우편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받은후 연속적으로 음성 우편장치를 통한 서비스를 받고자 할 경우, 음성 우편장치를 재호출하여 서비스를 요구해야 했었으므로, 연속 서비스 요구시 음성 우편장치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우편장치의 서비스를 제공받은후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요구할시 연속 디지트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최초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로서 가입자(10)와 음성 우편장치(30)가 교환기(20)를 통해 접속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중 음성 우편장치(30)는 시스템을 제어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3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하에 교환기(20)의 트렁크 측과 접속하여 음성 데이타 및 시그날을 입출력하는 트렁크 회로(3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하에 트렁크 회로(32) 및 후술하는 하드디스크(34)의 음성 데이타를 제어하며 음성 안내문을 출력하는 음성 제어장치(3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하에 음성 제어장치(33)으로 음성데이타를 출력 및 입력하는 하드 디스크(34)로 구성되며 제 2 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임의의 서비스 실행후 해당 가입자 테이블을 분석하여 연속 서비스 가능한 가입자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트렁크를 분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연속 서비스 가능한 가입자일시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을 방송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 수행후 안내문 방송중 연속 서비스 디지트 입력인가 검사하며 안내중 입력일시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을 단절하고 연속 서비스 준비 단계로 진행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에서 음성안내중 연속 디지트 입력이 아닐시 음성 안내 완료후 연속 디지트 입력인가 검사하며 안내 완료후 입력일시 연속 서비스 준비단계로 진행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에서 연속 디지트 입력이 없을시 연속 디지트 대기시간 완료인가를 검사하며 아닐시 상기 제 4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5과정과, 상기 제 5과정에서 디지트 대기시간 완료일시 연속 서비스 기능을 받는 것으로 간주하고 연속 서비스 준비단계로 진행하는 제 6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제 3 도는 각 가입자 테이블 구성예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 1,2,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음성 우편장치(30)는 교환기(20)와 접속되어 가입자(10)의 요구에 따라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거나 재생하며 또한 음성안내를 실행하게 된다.
즉 음성 우편장치(30)는 음성 데이타 기록 및 재생 그리고 음성 안내의 기능을 가져야 하며 그 기능은 하기와 같다.
음성 데이타의 기록 및 재생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음성 데이타 기록시 트렁크회로(32)에서 교환기(20)를 통한 음성데이타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31)는 이를 인지하여 음성제어장치(32)를 제어하며 해당 음성 데이타를 하드 디스크(34)에 기록한다.
이때 음성 제어장치(33)는 입력한 음성 데이타를 압축시켜 음성 정보량을 줄이고 음성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은 무음 시간을 검출하여 하드 디스크(34)의 메모리 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음성 데이타 재생시는 상기 사항과 반대로 진행한다.
중앙처리장치(31)는 하드 디스크(34)를 제어하여 해당 음성 데이타를 출력하며, 이때의 음성 데이타는 압축 및 무음 검출한 데이타이므로 음성 제어장치(33)를 통하여 원상태로 복구한다.
즉 재생시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하에 음성 제어장치(33)는 하드 디스크(34)에 기록되어 있는 무음 검출 및 압축한 정보를 본래의 음성 데이타로 복구하여 트렁크회로(32)로 출력하며, 이 재생 데이타는 교환기(20)를 통해 해당 가입자(10)로 출력된다.
음성 안내라 함은 사용자가 음성우편장치(30)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안내하고, 가입자가 원하는 내용의 결과를 알려주는 등 다기능의 서비스를 안내할 수 있는데, 필요한 음성 안내정보를 하드디스크(34)에 저장한다.
음성 안내시 중앙처리장치(31)는 하드 디스크(34)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고, 이 음성 정보를 음성 제어장치(33)를 통해 원래의 음성 데이타로 변환한후, 트렁크회로(32)를 통하여 교환기(20)로 출력한다.
음성 우편장치(30) 사용시 임의의 서비스를 종료한 상태에서 다시 음성 우편장치(30)를 호출하지 않고 연속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흐름은 하기와 같이 진행한다.
임의의 가입자(10)가 소정 음성 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받은후 해당 서비스가 종료된 상태에서 음성 우편장치(30)의 중앙처리장치(31)는 현재의 가입자(10)가 연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제 3 도와 같은 가입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처리한다.
즉 제 3 도와 같은 가입자 테이블은 중앙처리장치(3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가입자 테이블에 따라 중앙처리장치(31)는 서비스를 제한한다.
(a)와 같은 가입자 번호(user ID)영역에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고유 번호를 저장하고, (b)와 같은 비밀번호(pass word) 영역에는 해당 가입자만이 해당 영역의 메모리를 억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이며, (c)와 같은 가입자 형태(user type)영역에는 해당 가입자의 형태(type)를 지정할 수 있으며 개인 소유, 광고, 예약용 등을 나타낼 수 있고, (d)와 같은 전화번호 영역에는 전화기의 번호를 저장하며, (e)와 같은 현재 메일(cuvrent mail)갯수 영역에는 현 상태에서 자기가 등록한 메시지나 임의의 사람이 자기에게 보내온 메시지를 나타내며 (f)와 같은 최대 메일(MAX mail)갯수 영역에는 해당 가입자가 최대로 억세스 할수 있는 메시지를 나타내며, (g)와 같은 서비스 등급(service class)영역에는 해당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 등급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영역에 서비스 등급에 따라 음성 우편장치(30)의 연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31)는 제 3 도의 (g)와 같은 서비스 등급 영역을 참조로 하여 해당 가입자(10)가 서비스 가능한 가입자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강제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하고 트렁크회로(32)와 교환기(20)의 접속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가)단계에서 연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입자이면, (나)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제어장치(33)를 제어하며 하드 디스크(34)에 저장되어 있는 연속 서비스의 실행 유무를 묻는 안내문을 재생시킨다.
이때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을 재생하고 있는 동안 중앙처리장치(31)에서는 연속 서비스 디지트가 입력하기를 대기하는데, (다)단계에서 음성 안내중 연속 디지트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며, 안내문 재생도중 해당 가입자(10)의 키 패드상의 버튼을 이용하여 연속 서비스 디지트를 입력하면 음성 제어장치(33)를 제어하며, (라)단계에서 재생중인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을 단절하고, (마)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우편장치(30)의 기능처리 소프트웨어(soft ware)의 최초 번지로 되돌아가 음성 우편장치(30)를 다시 호출하지 않고 연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연속 서비스 안내문을 완료했을시까지 연속 서비스 디지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음성 제어장치(33)는 중앙처리장치(31)로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 재생 완료를 보고한다.
중앙처리장치(31)가 음성안내 완료를 인지하면 중앙처리장치(31)내의 타이머를 동작시켜 일정 시간동안 연속 디지트가 입력하기를 대기하는데, (바)단계에서 음성 안내 완료후 연속 서비스 디지트가 입력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바)단계에서 연속 서비스 디지트가 입력되면 이는 음성 안내문을 완전히 청취한후 연속 서비스 디지트 입력 대기 시간안에 연속 서비스 디지트가 입력한 경우이므로, (마)단계로 진행하여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최초의 번지로 진행한다.
상기 (바)단계에서 연속 서비스 디지트가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사)단계에서 디지트 입력 대기 시간 완료인가를 검사하며, 아닐시는 중앙처리장치(31)의 타이머가 아직 동작하고 있는 중이므로, (바)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연속 서비스 디지트의 입력을 검사한다.
상기 (사)단계에서 디지트 입력 대기 시간이 완료했을시는 중앙처리장치(31)의 타이머 동작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며, 연속 서비스 디지트 대기 시간내에 연속 디지트가 입력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31)는 타이머의 동작에 의해 연속 서비스를 받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사)단계에서 타이머에 의해 연속 디지트 입력 대기시간 종료를 인지하면, (마)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우편장치(30)를 호출하여 연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준비단계로 수행한다.
상기의 흐름 과정을 키 조작 순서(key sequence)로 설명하면, 연속 서비스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가입자(10)에 대한 소정 서비스가 종료된 상태에서 음성 제어장치(33)를 통한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이 재생되며,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을 청취한 가입자(10)가 연속 서비스 디지트를 누르고 이 연속 서비스 디지트를 인지한 음성 우편장치(30)는 모든 서비스의 최초 상태로 복귀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때 소정의 연속 디지트 입력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연속 서비스 디지트가 입력되지 않을시에도 연속 서비스 기능을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음성 우편장치의 사용자가 임의의 서비스를 받은 후 해당 서비스가 종료된 상태에서 연속 디지트의 입력 또는 소정 시간의 대기로 음성 우편장치를 재 호출하지 않고도 연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음성 우편장치의 서비스질을 향상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가입자(10)와, 교환기(20)와, 각 가입자(10)의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음성 우편장치를 제어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3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하에 교환기(10)의 트렁크와 접속하는 트렁크 회로(3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하에 음성 데이타 및 음성 안내 데이타를 제어 처리하는 음성 제어장치(3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하에 음성 제어장치(33)의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고 저장한 음성 및 안내 데이타를 음성 제어장치(33)로 출력하는 하드 디스크(34)를 구비한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서비스 실행후 해당 가입자 테이블을 분석하여 연속 서비스 가능한 가입자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트렁크를 분리하는 제 1과정(가)와, 상기 제 1과정(가)에서 연속 서비스 가능한 가입자일시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을 방송하는 제 2과정(나)과, 상기 제 2과정(나) 수행후 안내문 방송중 연속 서비스 디지트 입력인가 검사하며 안내중 입력일시 연속 서비스 요구 안내문을 단절하고 연속 서비스 준비 단계로 진행하는 제 3과정(다,라,마)과, 상기 제 3과정(다,라,마)에서 음성 안내중 연속 디지트 입력이 아닐시 음성 안내 완료후 연속 디지트 입력인가 검사하며 안내 완료후 입력일시 연속 서비스 준비단계로 진행하는 제 4과정(바,마)과, 상기 제 4과정(바,마)에서 연속 디지트 입력이 없을시 연속디지트 대기시간 완료인가를 검사하며 아닐시 상기 제 4과정(바,마)으로 되돌아가는 제 5과정(사)과, 상기 제 5과정(사)에서 디지트 대기시간 완료일시 연속 서비스 기능을 받는 것으로 간주하고 연속 서비스 준비단계로 진행하는 제 6과정(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KR1019870009398A 1987-08-27 1987-08-27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KR900003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398A KR900003628B1 (ko) 1987-08-27 1987-08-27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398A KR900003628B1 (ko) 1987-08-27 1987-08-27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33A KR890004533A (ko) 1989-04-22
KR900003628B1 true KR900003628B1 (ko) 1990-05-26

Family

ID=1926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398A KR900003628B1 (ko) 1987-08-27 1987-08-27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6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33A (ko) 198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231A (en) Telephone call on hold service for a party placed on hold by another party
RU2001132548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лоумышленного вызова и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20000038425A (ko)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의 음성메시지 녹음/재생 장치 및 방법
KR900003628B1 (ko)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US5991397A (en) Voice paging service control method in a switching system
KR960003984B1 (ko) 음성우편장치의 통화음성신호 녹음장치 및 방법
KR100213661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발신전화번호 등록 및 다이얼링방법
JP3060244B2 (ja) 音声蓄積装置
JP3593580B2 (ja) 電話装置
KR930002586B1 (ko) 음성축적 기능을 가지는 구내 교환 시스템
JP2002185617A (ja) 通話中着信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方法
KR100285304B1 (ko) 녹음 및 재생 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4306947A (ja) 音声蓄積装置
KR100206306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전환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방법
KR100234128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녹음메시지 동보 전송방법
KR100325136B1 (ko)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KR100189252B1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사서함 녹음방법
KR100438436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의동화상메일링방법및시스템
KR970011424B1 (ko) 자동응답장치의 호출 자동 전환 방법
KR100418474B1 (ko) 키폰 시스템에서 음성 축적 내부 방송 방법
KR100233101B1 (ko) 교환시스템의 페이징 메시지 서비스방법
JP3115027B2 (ja) 音声蓄積装置
JPH08265438A (ja) ボタン電話装置
JPS6310631B2 (ko)
JP2001036635A (ja) 電話機とその留守番応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