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136B1 -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136B1
KR100325136B1 KR1019990033419A KR19990033419A KR100325136B1 KR 100325136 B1 KR100325136 B1 KR 100325136B1 KR 1019990033419 A KR1019990033419 A KR 1019990033419A KR 19990033419 A KR19990033419 A KR 19990033419A KR 100325136 B1 KR100325136 B1 KR 100325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one signal
unit
external telephon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754A (ko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1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0Applications of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6A/D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matic Response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DSP를 제어하여, 자동 음성 안내 서비스중, 사용자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입력되는 DTMF 톤 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에이디변환부, 디에스피부, 메모리부, 시피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응답시스템에 의하여 외부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용 톤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전화기가 자동응답 시스템에 접속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제1 과정에서 외부전화기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메모리로부터 압축되어 저장된 음성 신호를 읽어내고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 인가하므로써 음성 안내 서비스를 하는 제2 과정과; 외부전화기로부터 제어용 톤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제3 과정에서 판단하여 외부전화기로부터 제어용 톤 신호가 인가되면,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제어용 톤 신호 수신이 가능한 묵음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4 과정과; 제4 과정에서 인가되어 수신된 제어용 톤 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자동응답 시스템의 각 기능부에 해당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5 과정과; 외부전화기의 접속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이 진행 중일 경우는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고 종료하는 경우는 상기 제1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6 과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A METHOD OF DETECTING TONE SIGNAL FOR ARS}
본 발명은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matic Response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제어하여, 자동 음성 안내 도중, 사용자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입력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응답시스템(ARS)은 호출자에 대한 서비스 차원으로, 일정한 규모를 갖는 회사나 단체의 경우, 필요한 부서에 대한 구내번호 안내 또는 음성으로 공개되는 일반 정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목적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호출자 또는 호출용 전화기의 다이얼 버튼(Dial Button) 입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톤(Tone) 신호인 제어용 DTMF 톤 신호를 수신하므로써 제어되는 장치이므로, 상기 호출용 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톤 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여, 즉, 제어용 DTMF 톤 신호 감시능력에 의하여 자동응답 시스템의 성능이 결정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순서도 이고, 도3 은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순서도 이다.
상기와 같이 첨부된 도면에 의한 종래 기술의 자동 응답 시스템은,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디지털(Digital) 신호로 또는 디지털(Digital) 신호를 아날로그(Analog)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0)와,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 또는 압축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DSP부(20)와,
상기 DSP부(20)로부터 인가된 압축 음성 신호를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음성 신호를 상기 DSP부(20)에 인가하는 메모리부(30)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화기의 다이얼 톤 신호인 DTMF 신호를 감지하는 DTMF 감지부(50)와,
자동응답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40)로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톤 신호 감지 방법은, 사용자의 전화기로부터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접속의 확인 단계(S1)와,
상기의 확인 단계(S1)에서, 접속이 확인되면, CPU(40)의 제어에 의하여 메모리부(30)에 압축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내어 복원 처리하는 DSP 재생 모드(Mode)의 재생 단계(S2)와,
상기 전화기 사용자로부터 다이얼을 이용한 제어용 DTMF 톤 신호가 DTMF 감지부(50)를 통하여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 단계(S3)와,
상기의 감지 단계(S3)에서 DTMF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재생 단계(S2)로 궤환하고, 상기 DTMF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DSP부(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음성안내 서비스를 하지 않는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하는 대기 단계(S4)와,
상기의 감지 단계(S3)에서 감지된 DTMF 신호를 CPU(40)에서 분석 처리하여 해당되는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처리단계(S5)와,
상기 처리 단계(S5)의 처리 결과, 종료 인지를 판단하여 종료의 경우는 상기 확인 단계(S1)로 궤환하고, 상기의 처리 결과, 다른 음성 응답 서비스를 요구하는경우는 상기 재생단계(S2)로 궤환 하는 종료 단계(S6)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톤 신호 감지 방법은, 전화기로부터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외부 접속의 확인 단계(S11)와,
상기의 확인 단계(S11)에서, 외부의 접속이 확인되면, CPU(40)의 제어에 의하여 메모리부(30)에 압축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읽어내어 복원 처리하는 DSP 재생 모드(Mode)의 재생 단계(S12)와,
상기 전화기 사용자로부터 다이얼을 이용한 DTMF 신호가 DSP부(20)를 통하여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 단계(S13)와,
상기의 감지 단계(S13)에서 DTMF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재생 단계(S12)로 궤환하고, 상기 DTMF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DSP부(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메모리부(30)로부터 압축된 음성 신호를 압축해제 하여, 상기 A/D 변환부(10)에 제공하지 못하게 하는, DSP부(20)의 기능 정지 상태인,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하는 대기 단계(S14)와,
상기의 단계(S14)에 의한 DSP부(20)의 아이들 상태는 상기 DSP부(20)가 그 기능을 정지한 상태이므로, 메모리부(30)로부터 읽어들인 압축 신호를 해제하는 기능만 정지되고, 선로를 통하여 외부에서 접속된 전화기로부터 A/D변환기(10)를 통하여 인가되는 DTMF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CPU(40)에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의 선로감시 및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감시 단계(S15)와,
상기의 감지 단계(S13)에서 감지된 DTMF 신호를 CPU(40)에서 분석 처리하여 해당되는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처리단계(S16)와,
상기 처리 단계(S16)의 처리 결과, 종료 인지를 판단하고, 종료의 경우는 상기 확인 단계(S11)로 궤환하며, 상기의 처리 단계(S16)에 의한 결과, 다른 음성 응답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는 상기 재생단계(S12)로 궤환하는 종료 단계(S17)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응답시스템(ARS)은 자동 응답 안내에 필요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A/D 변환부(10)에 인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CPU(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DSP(20)는 상기 A/D 변환부(10)로부터 인가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처리하고, 또한, 상기 CPU(40)로부터 주소(Address) 신호를 인가 받은 메모리부(30)는 상기 DSP(20)로부터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주소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음성 신호는, 안내에 필요한 모든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음성 안내 신호이므로, 상기 메모리부(30)는 메모리의 크기 또는 용량이 커야 한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부(30)에 기록된 음성 안내 신호는 외부로부터 접속된 전화 사용자의 접속 신호 및 다이얼링 신호에 의한 DTMF 신호를 상기 DTMF 감지부(50)로부터 인가 받아 분석하고, 상기 CPU(40)에 인가하므로써, 상기 CPU(40)는 상기 DTMF부(5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하여 해당되는 음성 안내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읽어내고, 상기 DSP부(20)에 인가하여, 압축을 해제또는 복구되도록 한다.
상기 DSP(20)에서 복구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상기 A/D 변환기(10)에 인가되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접속된 전화 가입자에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ARS)이,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전화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선로를 통하여 외부의 전화기가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ARS)에 접속되었는지 확인하여(S1), 접속되지 않았으면, 상기 접속 확인 단계(S1)로 궤환 하므로써, 계속 외부로부터의 접속을 학인 하고, 외부의 전화기로부터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CPU(40)는 메모리부(30)와 DSP부(20)에 각각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초기의 압축된 음성 안내 신호를 메모리부(30)로부터 읽어내고, DSP(20)에서 압축을 해제하여 복구하며, 상기 A/D 변환부에서 아날로그 음성 안내 신호로 출력하여 방송하는 재생모드(S2)를 수행한다.
외부 전화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음성 안내 신호를 청취하고, 다음 단계의 필요한 음성 안내를 받고자 하면, 전화기의 해당되는 다이얼 버튼을 입력한다.
상기 다이얼 버튼의 입력에 의한 제어 신호는 DTMF 감지부(50)에서 인가 받아 분석처리하고, 상기 CPU(40)에 인가한다(S3).
상기 CPU(40)는 기존에 음성 안내되고 있었던 신호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DSP(20)와 메모리부(30)에 아이들 모드(Idle Mode)의 제어 신호를 인가하므로써, 기존의 음성 안내를 중지한다(S4).
상기 CPU(40)는 상기 DTMF 감지부(50)로부터 인가된 제어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메모리부(30)와 DSP(20)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S5).
이때, CPU(40)는, 상기 제어 신호가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가 아닐 경우, 상기 재생모드(S2)로 궤환 하여, 상기의 처리단계(S5)에서, 메모리부(30)에 인가된 주소(Address)로부터 압축된 음성 신호를 읽어들이고, 상기 DSP(20)에 상기 압축된 신호를 인가하여, 압축이 해제 되도록 복구한 후, 상기 A/D 변환부(10)에 인가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므로써, 접속된 외부 사용자는 새로운 음성 안내 방송 신호를 계속하여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종래 기술은, 음성신호 안내 도중에 인가되는 것으로써, 외부의 호출용 또는 호출자 전화기로부터 다이얼 버튼 입력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어용 DTMF 톤 신호만을 감지하는 DTMF 감지부(50)를 자동응답 시스템(ARS)에 별도로 추가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자동응답 시스템의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점과, 부피가 커지고 고장 발생부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제를 해결한,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DTMF 감지부(5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DSP부(20)의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의 접속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 신호를 감지하는 기술이다.
이하, 종래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톤 신호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응답 시스템(ARS) 장치의 구성은 도1 에서의 DTMF 감지부(50)가 없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톤신호 감지 방법은, 외부의 전화기로부터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1), 외보로부터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가 인가되었으면, 상기 CPU(40)는 메모리부(30)와 DSP부(20)에 각각 제어 신호를인가하여, 메모리부(30)에서는 지정된 주소의 영역으로부터 압축된 초기의 음성 안내 방송 신호를 읽어 들이고, 상기 DSP부(20)에 인가한다.
상기 DSP부(20)는 상기 압축신호를 복구하여 A/D 변환부(10)에 인가 하므로써, 초기 음성 안내 방송을 시작하게 된다.
외부의 사용자 또는 호출자는 상기 초기 음성 안내 방송을 듣고, 호출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다이얼 버튼을 입력하므로써 필요한 제어를 한다.
상기 호출자 전화기의 다이얼 버튼 입력신호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어용 DTMF 신호는, A/D 변환부(10)를 거쳐, DSP부(20)에 인가되고, 상기 DSP부(20)에서는 제어용으로 인가된 DTMF 신호를 분석 처리한 후, 다시 CPU(40)에 인가한다(S13).
상기의 제어용 DTMF 신호를 인가 받은 CPU(40)는, 기존에 방송되고 있는 음성 안내 신호가 계속 송출되는 것을 즉시 중단하여야 하므로, 상기 DSP부(20) 및 메모리부(30)에 아이들 모드(Idle Mode)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메모리부(30)는 기록된 신호를 더 이상 읽어내지 않고, DSP부(20)는 동작하지 않는 아이들(Idle) 상태가 된다(S14).
상기 DSP부(20)가 아이들 상태에서는 전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외부 접속 전화에 의하여 입력되는 DTMF 신호가 분석 및 처리되지 못하고, 상기 CPU(40)에도 인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CPU(40)는 곧바로, 상기 DSP부(2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외부와 연결된 선로를 통하여 외부 접속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 신호를 감시할 수 있는 감시 모드로 전환시킨다(S15).
상기 DSP부(20)를 대기 단계(S14)에서 감시 단계(S15)로 전환시키는 경우, 일 실시예로서, 약 90㎳ 내지 120㎳의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CPU부(40)는 인가 받은 DTMF 제어 신호에 의하여 해당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30) 및 DSP부(20)에 인가하므로써(S16) 해당되는 음성신호 안내서비스를 호출자에게 제공하는 동시에 종료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여, 계속되는 음성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는 상기 재생단계(S12)로 궤환 시키므로써(S17), 상기 재생단계(S12) 내지 처리단계(S16)는 계속 반복되어 서비스를 계속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상기 일예에 의한 구성과 같이 DTMF 감지부(50)를 사용하지 않고, CPU부(40)의 제어에 의하여 DSP부(20)가 호출자 전화기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용 DTMF 신호를 감시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DTMF감지부(50)를 사용하지 않음에 의한 원가 절감, 소형화 등의 일부 개선 효과가 있었으나, 상기 DSP부(20)가 대기단계(S14)로부터 감시단계(S15)로 전환되는 시간, 즉, 상기 일 예에 의한 것으로 약 90㎳ 내지 120㎳의 전환시간 동안에 DSP부(20)에 입력되는 제어용 DTMF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는 해당 제어용 DTMF 신호를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자동응답 시스템(ARS)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것으로, DTMF 감지부를 사용하지 않고, 동작상태에 있는 DSP부에 묵음제어 신호를 인가하므로써, 자동응답시스템의 크기를 작게하고 가격을 싸게 하는 동시에, 진행되는 음성 안내 방송을 차단하여 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호출용 외부전화기로부터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제어용 DTMF 신호를 빠짐없이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에이디변환부, 디에스피부, 메모리부, 시피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응답시스템에서 외부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톤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화기가 자동응답 시스템에 접속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외부전화기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메모리로부터 음성신호를 읽어내고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 인가하므로써 음성 안내 서비스를 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외부전화기로부터 톤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서 외부전화기로부터 톤 신호가 인가되면,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톤 신호 수신이 가능한 묵음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인가된 톤 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자동응답 시스템의 각 기능부에 해당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5 과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순서도 이고,
도3 은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순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동응답 시스템의 기능블록도 이고,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60 : A/D변환부 20,70 : DSP부
30,80 : 메모리부 40,90 : CPU부
50 : DTMF 감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동응답 시스템의 기능블록도 이고,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상기와 같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또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60)와,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 또는 압축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부(70)와, 상기 DSP부(70)로부터 인가된 압축 음성 신호를 저장 및 저장된 압축 음성 신호를 상기 DSP부(20)에 인가하는 메모리부(80)와, 자동응답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90)로 구성되는 장치로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과동일하다.
또한,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은, 호출용 외부전화기가 자동응답 시스템(ARS)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되지 않았으면, 다시 초기로 궤환하므로써 접속상태를 계속하여 판단하는 제1 과정(S20)과,
상기의 제1 과정(S20)에서 외부전화기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CPU(9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메모리부(80)에 압축되어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읽고(Read),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부(70)에 인가하므로써, 압축이 해제되고 상기 A/D 변환부(60)에 인가되므로써,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안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제2 과정(S30)과,
상기 외부전화기로부터 다이얼 버튼 입력에 의한 제어용 DTMF 톤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어용 DTMF 톤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2 과정(S30)으로 궤환하는 제3 과정(S40)과,
상기의 제3 과정(S40)에서, 제어용 DTMF 톤 신호가 상기 외부전화기로부터 인가되면,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부(70)를, 제어용 DTMF 톤 신호 수신이 가능한 묵음모드(Mute Mode)로 동작하도록 CPU(90)로부터 해당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제4 과정(S50)과,
상기의 제4 과정(S50)에서, 외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어 수신된 제어용 DTMF 톤 신호를 분석한 CPU(90)는, 메모리부(80)에 주소(Address)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압축저장된 해당 음성안내 서비스 신호를 상기 DSP부(70)에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DSP부(70)에는 압축 해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메모리부(80)로부터 인가된 압축음성신호를 압축해제하고 A/D변환부(60)로 출력하도록 하는 등, 자동응답 시스템(ARS)의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5 과정(S60)과,
상기 외부전화기의 접속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 종료하였을 경우는 상기 제1 과정(S20)으로 궤환하고, 계속 접속 중일 경우는 상기 제2 과정(S30)으로 궤환하는 제6 과정(S7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 시스템은 통신선로를 통하여, 호출용 외부전화기가 연결되어 접속되었는지 확인하며(S20), 접속되지 않은 경우는 다시 접속을 확인하고, 접속이 되었을 경우, CPU(90)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80)에는 초기 음성 안내 방송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주소(Address) 제어 신호가 인가되므로써, 압축된 초기 음성 안내 신호가 상기 DSP부(70)에 출력되고, 상기 DSP부(70)에는 압축을 해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메모리부(80)로부터 인가된 초기 음성 안내 신호가 압축 해제되면서, 상기 A/D 변환기(60)에 인가되어, 디지털 음성 신호가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의 호출용 전화기에 인가됨으로써 초기의 음성 안내 방송이 시작된다(S30).
상기의 초기 음성 안내 방송을 청취한 사용자는 안내되는 내용에 따라, 해당되는 다이얼 버튼을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CPU(90)는 접속된 외부전화기로부터 제어용 DTMF 톤 신호가 상기 A/D변환부(60)와 DSP부(7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
상기 제어용 DTMF 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2 과정(S30)으로 궤환하여, 계속 초기 음성 안내 방송을 하도록 하고, 상기 접속된 호출용 외부전화기로부터 특정한 제어용 DTMF 톤 신호가 상기 DSP부(70)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CPU(90)는 기존에 음성 안내 방송을 하고 있는 내용을 중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부(80)에 기록된 음성 신호를 더 이상 읽어 내지 못하도록 하는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DSP부(7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압축된 음성 신호의 압축해제를 하지 못하도록 하며, 일부 압축이 해제된 신호는 A/D변환부(60)에 출력되지 못하고 삭제 되도록 하는 동시에 호출용 외부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용 DTMF 톤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묵음 모드(Mute Mode)로 전환시킨다(S50).
상기 묵음 모드로 동작하는 DSP(70)는 상기 메모리부(80)로부터 인가된 신호는 출력하지 않지만, A/D 변환부(60)를 통하여 인가된 DTMF 톤 신호는 분석 처리하여 상기CPU(90)에 인가한다.
상기의 제3 과정(S40)에의하여 호출용 외부전화기로부터 인가된 제어용 DTMF 톤 신호의 내용을 상기 CPU(90)에서 분석 처리하므로써, 상기 메모리부(80)에는 해당되는 주소(Address) 신호를 인가하여 해당되는 압축음성신호를 읽어 DSP부(70)에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DSP부(70)에는 상기 압축되어 인가된 음성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CPU(90)는 접속된 외부전화기로부터 접속을 종료하는 신호가 인가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 종료 신호가 인가되었으면, 상기 제1 과정(S20)으로 궤환하여, 외부 전화기의 접속을 대기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접속된 호출용 외부전화기로부터 접속을 종료하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으면, 상기의 제2 과정(S30)으로 궤환하여, 상기의 제5 과정에서 처리된 신호가 상기 A/D 변환부(60)에 인가되도록 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재생하고, 접속된 상기 외부전화기에 음성 안내신호가 방송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DSP부(70)의 기능을 중지(STOP)시켜, 압축된 음성 신호의 재생(REPLAY)을 중단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DSP부(70)가 정상 동작하는 상태에서, 음성신호가 A/D변환부(60)로 출력되지 못하도록 묵음(Mute)처리 하는 것이므로, 호출용 외부 전화기로부터 인가된 제어용 DTMF 톤 신호는 상기 A/D 변환부(60), DSP부(70)를 통하여 상기 CPU(90)에 정확하게 인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과정(S50)에 의한 묵음모드(MUTE MODE)는 음성 신호의 재생 중단과 동일한 작용을 하면서, 호출용 외부전화기로부터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제어용 DTMF 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용 DTMF 감지부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DSP부만을 사용하여, 전용 DTMF 감지부를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제어용 DTMF 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새로운 제어용 DTMF 제어 신호가 순간적으로 입력되었을 경우, 기존에 방송되는 음성 안내 신호를 묵음(Mute) 처리 하므로써, 음성신호의 재생을 중단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동시에 순간적으로 인가된 제어용 DTMF 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응답 시스템의 가격을 싸게 하고, 크기를 작게하며, 제어용 DTMF 신호의 인식율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신뢰도를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정)에이디변환부, 디에스피부, 메모리부, 시피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응답시스템에서 외부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톤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화기가 자동응답 시스템에 접속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외부전화기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메모리로부터 음성신호를 읽어내고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 인가하므로써 음성 안내 서비스를 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외부전화기로부터 톤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서 외부전화기로부터 톤 신호가 인가되면,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톤 신호 수신이 가능한 묵음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인가된 톤 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자동응답 시스템의 각 기능부에 해당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5 과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2. (신설)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화기의 접속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이 진행 중일 경우는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고 종료하는 경우는 상기 제1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6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KR1019990033419A 1999-08-13 1999-08-13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KR100325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19A KR100325136B1 (ko) 1999-08-13 1999-08-13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19A KR100325136B1 (ko) 1999-08-13 1999-08-13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754A KR20010017754A (ko) 2001-03-05
KR100325136B1 true KR100325136B1 (ko) 2002-02-25

Family

ID=1960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419A KR100325136B1 (ko) 1999-08-13 1999-08-13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1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75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136B1 (ko) 자동응답 시스템의 톤 신호 감지 방법
KR100236930B1 (ko) 통화중 통화내용 녹음서비스 방법
KR100211521B1 (ko) 디지털 자동응답장치
US7088991B2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KR100330081B1 (ko) 컴퓨터를 이용한 통화음 녹음장치와 그 제어방법
KR900003628B1 (ko) 음성 우편장치의 연속 서비스 제어방법
KR20000046207A (ko) 엠피3 재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폰
KR100285304B1 (ko) 녹음 및 재생 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7734B1 (ko) 음성인식 전화기에서 잡음에 따른 음성 인식 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247052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JPS61280149A (ja) 音声蓄積装置
KR19980065571A (ko) 음성인식에 의해 통화수행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407135B1 (ko) 콜러 아이디 기능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S6346044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00506245B1 (ko) 자동응답통신단말장치에서녹음모드종료방법
KR100213661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발신전화번호 등록 및 다이얼링방법
JPH04306947A (ja) 音声蓄積装置
JPH05176060A (ja) 音声蓄積装置
KR100283167B1 (ko) 음성인식전화기의음성메모장치
KR19990002685A (ko) Ars/vms 시스템에서의 dtmf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10054254A (ko) 녹음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녹음방법
JPS6346042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6346041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9990016846A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메시지 재생 방법
JPS62132460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