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536B1 -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3536B1 KR900003536B1 KR1019860007510A KR860007510A KR900003536B1 KR 900003536 B1 KR900003536 B1 KR 900003536B1 KR 1019860007510 A KR1019860007510 A KR 1019860007510A KR 860007510 A KR860007510 A KR 860007510A KR 900003536 B1 KR900003536 B1 KR 900003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working platform
- stack
- external
- elev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공방법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연돌과 내,외부 거푸집을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장치를 구성하는 내,외부 작업대를 보인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내부작업대의 승강수단을 보인 정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에서 보인 외부 거푸집에 외부 작업대의 승강안내용 채널이 부착된 것을 보인 정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2 도에서 보인 외부작업대에 승강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에서 보인 승강안내용 채널에 외부작업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제 6 도의 평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연돌을 시공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연돌시공의 초기단계를 나타낸정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에서 내부 작업대를 상승시키지 않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최하부의 거푸집을 해체하여 상단에 재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에서 재조립된 거푸집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기 위해 내부 작업대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장치중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주보와 보조보로 이루어지는 내부작업대 프레임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작업대 2 : 외부작업대
3 : 하부작업대 4 : 중간작업대
5 : 상부작업대 7 : 하부발판
8 : 중간발판 9 : 상부발판
E1: 내부작업대 승강수단 E2:외부작업대 승강수단
T : 탑구조물 36 : 내부거푸집
37 : 외부거푸집
본 발명은 비교적 내경이 크고 높은 연돌을 설치하기 위한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부 작업대를 지상에서 조립 및 설치하여 승강수단인 레버블럭의 손잡이를 작동시켜가면서 내,외부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와 콘크리트 타설을 반복하는 연돌을 설치하기 위한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재래식 공법은 연돌상부에 소위 용마대라 불리우는 지붕구조물을 설치하여 작업발판을 콘크리트턱에 장목과 널판지를 걸쳐 비게를 사용한 것으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자는 단순히 지붕구조물에 현수된 작업발판에서 위험하게 작업을 해야만 하였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돌내부의 지상에서 발판을 세워 철근조립과 내,외부 거푸집의 조립및 해체 그리고 콘크리트 몰탈 타설작업을 하면서 연돌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내,외부의 발판을 연장시켜주어야 하고,발판에서의 작업범위 높이가 제한되어 거푸집을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된 다음 하단 발판에서 해체, 청소한후 상단에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로프에 의지한채 상기 거푸집 해체작업을 실시하게되어 많은 위험성을 갖는 것 일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를 반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기 단축의 효과를 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외부 작업대를 지상에서 조립 및 설치하고 이들을 승강수단인 레버블록으로 승강시키되 내부작업대는 절근이나 거푸집 또는 콘크리트 몰탈을 운반하는 탑구조들을 포함한체 승강시키며, 외부작업대는 외부 거푸집의 안내채널과 접속된체 독자적으로 승강시켜서 거푸집의 조립, 해체와 재조립 및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을 반복할 수 있는 연돌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외부 작업대를 거푸집을 해체하는 하부 작업대와 거푸집을 조립하는 중간작업대 그리고 철근의 배근과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작업을 실시하는 상부작업대로 구성하여 연돌이 높이가 높을수록 작업대 설치작업의 반복회수를 감소시킬수 있게 하므로써 작업대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연돌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제 1 도-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돌시공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제 1 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탑구조물(T)이 중앙에 세워 설치되는 내부작업대(1)와 외부작업대(2)로 구성된다.
내부작업대(1)는 나중에 설명되는 승강수단(E1)과 연결되는 하부작업대(3)와 중간작업대(4) 및 상부작업대(5)로 형성된다.
외부작업대(2)는 로울러(6)가 단부에 축설된 하부발판(7)과 중간발판(8) 및 상부발판(9)을 연결하는 앵글(10)과 이에 끼워지는 난간(11)으로 형성되며 승강수단(E2)을 포함한다.
제 2 도는 내부작업대(1)와 외부작업대(2)가 연돌(C)의 내,외부에 설치된것을 보인 것으로 내부작업대(1)의 승강수단(E1)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11)와 턴버클(12)을 연결하는 연결고리(13)를 핀(14)으로 끼워서된 지지수단(15)과, 후크(16)가 연결된 체인(17)의 길이를 조절하는 레버블록(18)으로 구성되며, 레버블록(18)은 링크(19)로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작업대(1)를 구성하는 주보(20)와 보조보(21)중 주보(20)의 8개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들 지지수단(15)과 레버블록(18)은 매다는 지주(22)에 의해 현수된다.
매다는 지주(22)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단부에 절개된 끼움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슬로트(24)가 형성되고 끼움핀(25)과 고정핀(26)이 각각 설치된 것으로 앵커브래키트(27)(28)에 지지 된다.
앵커브래키트(27)(28)는 콘크리트 몰탈 타설시 끼움구멍(29)이 형성된 일측단부가 연돌(C) 내부로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매설된다.
매다는 지주(22)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부(23)는 하부에 위치하는 앵커브래키트(27)에 끼워지며, 상단부 슬로트(24)는 상부에 위치하는 앵커브래키트(28)의 끼움구멍(29)과 일치시킨뒤 끼움핀(30)으로 끼워 고정하고, 끼움핀(25)에는 지지수단(15)의 링크(11)가 걸려지는 것이며, 고정핀(26)에는 레버블록(18)과 연결된체인 (17)의 후크(16)가 걸려지는 것이다.
레버블록(18)의 하단부 후크(31)에 걸려지는 링크(19)와 턴버클(12)의 하단고리(32)는 주보(20)의 단부(21)와 브래키트(33)사이에 위치하는 핀(34)(35)에 각각 걸려진다.
제 4 도와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부 거푸집(36)(37)을 보인 것으로, 외부 거푸집(37)의 일측에 다수개의 연결관(38)을 돌출되게 부착하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보울링조립하고 이에 한쌍의 "ㄴ"자형앵글(39)(40)을 융착하여 외부작업대(2)의 승강안내용 채널(41)을 형성한 것이다.
제 6 도는 외부작업대(2)의 승강장치(E2)를 보인것으로 레버블록(42)은 외부작업대(2)의 일축 프레임(43)에 측설된 핀(44)에 후크(45)로 고정되며 레버블록(42)의 체인(42')은 승강안내용 채널(41)의 상단부(41')에 형성시킨 구멍(41")에 고정된다(고정수단은 도시하지 않았음).
외부작업대(2)의 상부프레임(46)(47)의 내측에는 한쌍의 로울러(48)(49)가 측설되며,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 프레임(43)과 상기 로울러(48)(49) 사이에 상기 외부 거푸집(37)에 돌설된 승강안내용 채널(41)이 끼워지는 곳이며, 상부프래임(46)(47)사이에 난간(11) 끼움용 관체(50)가 부착된 것이다.
탑구조물(T)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작업대(1)의 중앙에 세워설치되는 것으로, 철근이나 거푸집등 자재를 운반하는 기중기(51)와 콘크리트 몰탈운반용 버킷트(52)가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3은 레버블록(18)의 손잡이, 54는 래버블록(42)의 손잡이 ,55, 56은 내,외부 거푸집(36)(37)의 긴장 조절구, 57은 윈치, 58은 안전네트, 59는 사다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돌시공장치를 사용하여 연돌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8 도-제 10 도는 연돌의 시공상태를 보인것으로,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서 탑구조물(T)과 내부작업대(1)를 조립, 설치하고 내,외부 거푸집(36)(37)을 조립한 다음 앵커브래키트(27)(28)를 일정간격으로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는 것으로 이때 거푸집(36)(37)의 높이를 1.5 정도로 할 경우 내부작업대(1)의 전체높이를 5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된 연돌(C)의 하부에 조립되어 있던 내,외부 거푸집(36a)(37a)을 해체하여 이미 조립되어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된 내,외부 거푸집(36b,36c),(37b,37c)의 상단에 재조립할 경우, 내부작업대(1)를 종래와 같이 번거롭게 상승시키거나 작업자가 로프에 의지한채 작업을 해야하는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돌시공장치를 사용하여 연돌을 4.5m높이로 시공할 경우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작업대(1)를 1회 승강시키면 되는 것이므로 신속하고도 안정성있게 연돌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내부작업대(1)의 승강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내부작업대(1)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는 내부작업대(1)의 하중이 상,하부 앵커브레키트(27)(28)에 끼워고정된 매다는 지주(22)에 링크(11)와 턴버클(12) 및 연결고리(13)로 이루어지는 지지수단(15)과 후크(16)가 연결된 체인(17)과 레버블록(18)에 의해 2중으로 지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작업대(1)를 승강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레버블록(18)의 체인(17)을 이완시켜서 후크(16)를 매다는 지주(22)의 고정핀(26)으로부터 이탈시킨다음(이때 내부작업대(1)의 하중은 지지수단(15)에 작용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다는 지주(22)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앵커브래키트(27)의 상방향에 매설된 다른 앵커브래키트(27')에 형성된 끼움구멍(29')에 이완된 체인(17)의 후크(16)를 끼우고 레버블록(18)으로 체인(17)을 긴장시켜서 내부작업대(1)를 승강시킨다(이때 내부작업대(1)의 하중은 지지수단(15)으로 부터 체인(17)에 이동되어 작용한다). 이어서, 지지수단(15)의 링크(11)와 매다는 지주(22)를 연결하고 있던 끼움핀(25)을 제거하고, 매다는 지주(22)의 상단부에서 매다는 지주(22)와 앵커브래키트(27)를 연결하고 있던 끼움핀(23)을 제거시킨후 메다는 지주(22)를 앵커브레키트(27)(28)로부터 이탈시켜서 앵커브래키트(27)(28)F재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작업대(2)의 승강은 외부작업대(2)가 외부 거푸집(37)에 돌설된 승강안내용 채널(41)에 끼워진체 외부작업대(2)의 일측 프레임(43)에 설치된 승강수단(E2)으로 외부거푸집(27)의 측면에서 독립적으로 승,하강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연돌시공장치는 내부작업대(1)가 거푸집(36)을 조립, 해체하는 하부작업대(1)가 거푸집(36)을 조립, 해체하는 하부작업대(3)와 거푸집(36)을 조립하는 중간작업대(4) 및 거푸집(36)의 조립 또는 철근의 배근과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 작업을 실시하는 상부작업대(5)로 구성되고, 외부작업대(2) 또한 로울러(6)가 단부에 측설되며 거푸집(37)을 조립하는 중간발판(8) 및 거푸집(37)의 조립 또는 철근의 배근과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작업을 내,외부 작업대(1)(2)가 정지된 상태에서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연돌시공장치와 방법은 매연등 공해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비교적 규모와 높이가 높은 연돌의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게 연돌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 내부작업대(1)를 주보(20)와 보조보(21)로 구성하되 하부작업대(3)와 중간작업대(4) 및 상부작업대(5)로 구성하며 탑 구조물(T)을 중앙에 세워 설치하고 하부작업대(3)에 링크(11)와 턴버클(12)을 연결하는 연결고리(13)로 끼워서된 지지수단(15)과 후크(16)가 연결된 체인(17)과 레버블록(18)을 링크(19)로 연결하며, 연돌(C)의 내부에 돌출되게 일정간격으로 매설되는 앵커브래키트(27)(28)에 끼워지는 매다는 지주(22)로 이들을 현수하는 승강수단(E1)을 설치하고 외부 거푸집(37)에 승강안내용 채널(41)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로울러(6)가 단부에 측설된 하부발판(7)과 중간발판(8) 및 상부발판(9)을 연결하는 앵글(10)과 상부프레임(46)(47)의 내측에 한쌍의 로울러(48)(49)가 축설된 외부작업대(2)에 레버블록(42)을 후크(45)로 고정하고, 체인(42')이 상기 승강안내용채널(41)의 상단부(41')에 형성시킨 구멍(4'')에 고정되는 승강수단(E2)을 설치하여서 된 연돌의 시공장치.
- 지상에 탑구조물(T)을 포함하여 상,하 3단으로된 내부작업대(1)를 조립설치하고 내,외부에 3단의 거푸집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철근의 배근과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되 앵커브레키트(27)(28)를 연돌(C)의 내부로 돌출되게 매설하고, 연돌(C)의 최하부를 시공하기 위해 조립되었던 내,외부의 단위 거푸집을 해체하여 연돌(C)의 상부를 시공하기 위해 조립된 내,외부의 단위 거푸집 상부에 재조립한 다음, 내부작업대(1)를 통상의 승강수단(E1)으로 승강시키고, 상,하 3단으로 된 외부작업대(2)를 외부 거푸집(37)의 측면으로 돌설된 승강안내용 채널(41)에 끼워 결합한 다음 일축프레임(43)에 설치된 승강수단(E2)으로 외부작업대(2)를 승강시켜서, 내,외부 단위 거푸집 상부에 재조립된 단위거푸집에 앵커브레키트(27')를 매설한 채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다음 매다는 지주(22)를 앵커브레키트(27)(28)에 설치하고, 내부작업대(1)의 지지수단(15)을 앵커브레키트(27)에 설치하여 내부작업대(1)의 하중이 지지수단(15)에 걸리게 한 다음 다시 승강수단(E1)으로 내부작업대(1)를 승강시키고, 이에 상응하여 외부작업대(2)를 외부 거푸집(37)의 측면에서 승강수단(E2)으로 독립되게 승강시키면서 단위 거푸집 조립과 해체 및 재조립공정 그리고 철근의 배근과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작업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실시하는 연돌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60007510A KR900003536B1 (ko) | 1986-09-08 | 1986-09-08 |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60007510A KR900003536B1 (ko) | 1986-09-08 | 1986-09-08 |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4190A KR880004190A (ko) | 1988-06-02 |
KR900003536B1 true KR900003536B1 (ko) | 1990-05-21 |
Family
ID=1925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7510A KR900003536B1 (ko) | 1986-09-08 | 1986-09-08 |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35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32023A (zh) * | 2010-03-25 | 2010-09-15 | 中冶实久建设有限公司 | 烟囱滑模防止支承杆失稳的方法 |
KR101408781B1 (ko) * | 2013-08-07 | 2014-06-18 | 주식회사 그룹원 | 스트랜드 인발을 위한 웨지 및 체인블록을 장착하기 위한 러그 및 이를 포함한 버팀대 |
-
1986
- 1986-09-08 KR KR1019860007510A patent/KR9000035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32023A (zh) * | 2010-03-25 | 2010-09-15 | 中冶实久建设有限公司 | 烟囱滑模防止支承杆失稳的方法 |
KR101408781B1 (ko) * | 2013-08-07 | 2014-06-18 | 주식회사 그룹원 | 스트랜드 인발을 위한 웨지 및 체인블록을 장착하기 위한 러그 및 이를 포함한 버팀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4190A (ko) | 1988-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59993A (en) |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 |
KR20030093680A (ko) | 하부지지형 이동식 비계공법에 의한 더블-티 교량의시공방법 | |
JPH11181725A (ja) | コンクリート製主塔の水平梁の施工法 | |
KR102059552B1 (ko) |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 |
KR900003536B1 (ko) | 연돌시공장치 및 그 방법 | |
CN213774554U (zh) | 装配式自控滑移提升建筑施工卸料平台 | |
KR100647977B1 (ko) |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
CN210857952U (zh) | 一种新型附着式升降脚手架 | |
JPH07233508A (ja) | 橋脚および自昇式型枠工法による橋脚施工方法 | |
KR100377868B1 (ko) | 교각용 틀비계를 이용한 교각 시공 방법 | |
KR20120117363A (ko) | 교량 가설용 메인 거더 설치 및 해체 방법 | |
JPH03125755A (ja) | 筒状高層構造物の施工方法 | |
JP2712121B2 (ja) | 鉄筋の建込み方法及び、該建込み方法において使用される吊下げ治具及び、案内器具 | |
JP4372674B2 (ja) | 超高筒状構造物の解体方法 | |
CN215519870U (zh) | 电梯井操作平台 | |
CN221855280U (zh) | 一种用于斜拉桥施工的鞍桥 | |
RU1832144C (ru) | Опалубка перекрытий | |
CN115898038A (zh) | 一种钢结构楼梯安装方法 | |
CN115321336A (zh) | 基于复合吊具山区超高索塔竖向主筋与构造钢筋整体吊装施工方法 | |
KR100473612B1 (ko) | 거푸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골조 구축 방법 | |
JPH01158177A (ja) | 昇降式足場 | |
JP3018947B2 (ja) | バルコニー付き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構築工法 | |
JP2000160834A (ja) | 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のステップアップ構築方法 | |
JPH0978836A (ja) | 壁・梁一体組鉄筋と、それを使用した型枠の形成方法 | |
JPH08218638A (ja) | 吊下げ治具及び、該吊下げ治具を用いた鉄筋の建込み方法及び、該吊下げ治具に用いる鉄筋揺動防止治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04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