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991A -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및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및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991A
KR900002991A KR1019890011793A KR890011793A KR900002991A KR 900002991 A KR900002991 A KR 900002991A KR 1019890011793 A KR1019890011793 A KR 1019890011793A KR 890011793 A KR890011793 A KR 890011793A KR 900002991 A KR900002991 A KR 90000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upport frame
sheet assembly
operating posi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위츠크 두안
조오지프 셀버어트 앨런
어얼 윌리엄즈 러본
Original Assignee
로버트 디이 구스틴
후버 유니버어설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디이 구스틴, 후버 유니버어설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로버트 디이 구스틴
Publication of KR90000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및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 조립체의 지지틀을 잡은 로봇 아암이 도어 개방부를 통해서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 바닥판에 놓고 있는, 조립중에 있는 차체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2 로봇 아암이 배치된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 바닥판에 부착시키고 있는 제 1 도와 유사한 사시도, 제 3 도는 시이트 쿠션이 지지들과 잠금 결합하는 아랫쪽을 회전하는, 제 1 도 및 제 2 도와 유사한 사시도.

Claims (5)

  1.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에 부착시키는 지지틀 ; 상기 시이트 조립체를 상기 자동차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위에서부터 상기 지지틀에 접근 가능한 설치위치로부터, 상기 지지틀 위헤서 대체로 수평한 작동 위치로 이동가능한 시이트 쿠션 ; 및 이 쿠션이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서 상기 쿠션을 상기 작동위치로 고정시키는, 상기 쿠션 및 상기 지지틀에 있는 협력수단 ; 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쿠션이 상기 지지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회전하여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과 상기 쿠션이 각기 후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쿠션과 상기 틀의 후미에서 상기 쿠션이 상기 지지틀에 부착되는,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후단부에서 위로 연장하는 등받이 시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이트 쿠션이 상기 지지틀에서부터, 상기 등받이 시이트 앞쪽에 있고 이 등받이 시이트에 대체로 평행한 평면으로 상향 연장하는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5.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에 부착시키는 지지틀 ; 설치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가능한 시이트 쿠션 ; 및 이 시이트 쿠션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함에 응답하여 상기 쿠션을 상기 작동위치로 고정시키는, 상기 쿠션과 상기 지지틀에 있는 협력수단 ; 을 갖는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이트 조립체를 상기 자동차내에 놓는 단계와; 상기 지지틀을 상기 자동차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상기 시이트 쿠션을 이동시켜서 상기 협력수단이 상기 쿠션을 상기 작동위치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 로 구성되는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11793A 1988-08-19 1989-08-18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및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 KR900002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373388A 1988-08-19 1988-08-19
US233733 1988-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91A true KR900002991A (ko) 1990-03-23

Family

ID=2287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793A KR900002991A (ko) 1988-08-19 1989-08-18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및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56004A3 (ko)
JP (1) JPH0299433A (ko)
KR (1) KR9000029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8335C2 (sv) * 1993-06-11 1998-09-28 Scania Cv Ab Arrangemang och förfarande för fastsättning av ett säte vid sätesunderlag i ett fordon
FR2987810B1 (fr) * 2012-03-09 2014-11-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ise en place d'un siege ou d'un ensemble de sieges de meme rang dans un vehicule, et procede associ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1232A1 (de) * 1978-09-22 1980-04-03 Trepel Ag Stuhlwagen
FR2563716B1 (fr) * 1984-05-07 1987-06-19 Renault Siege repliable avec dispositifs de verrouillage du dossier et de l'assise
FR2593440B1 (fr) * 1986-01-27 1988-05-06 Peugeot Cycles Armatu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ou analog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6004A3 (en) 1991-05-15
EP0356004A2 (en) 1990-02-28
JPH0299433A (ja) 1990-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8800526D0 (sv) Bilsete med uppvermningsanordning
ATE287347T1 (de) Kinder-sicherheitssitz
DE68903975T2 (de) Befestigungseinrichtung eines sitzueberzuges fuer fahrzeugsitze.
JPS61166746A (ja) トノボ−ド取付構造
CA1203270A (en) Visor actuating mechanism
KR940021325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900002991A (ko) 자동차용 시이트 조립체 및 시이트 조립체를 자동차내에 설치하는 방법
FR2401040A1 (fr) Appuie-tete
KR890012827A (ko) 차량의 시이트 장치
DE69014424D1 (de) Kraftfahrzeugsitzkissenabstützung.
JPS5835546Y2 (ja) シ−トスライド装置
KR970036415A (ko) 시트장착브라켓의 설치구조
EP0280638A3 (en) Portable umbrella support for vehicles
JPH0645381Y2 (ja) 自動車用ドア
JPH0634217Y2 (ja) フードサポートロッドの支持部構造
JPH0734617Y2 (ja) シートの間隙防止構造
KR970043891A (ko) 자동차의 쉬라우드 틸트 커버 힌지
JP3014785U (ja) 車載無線機取付金具
JPH0338558Y2 (ko)
FR2781440B1 (fr) Structure de rangement disposee au dos d'un appui-tete de vehicule, notamment automobile
KR0150323B1 (ko)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JPS6316579Y2 (ko)
KR970038623A (ko) 개조된 글로브박스
KR970020651A (ko) 자동차 등받이의 자동조절장치
KR970033498A (ko)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trunk panel) 교정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