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86B1 -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86B1
KR900002886B1 KR1019860008117A KR860008117A KR900002886B1 KR 900002886 B1 KR900002886 B1 KR 900002886B1 KR 1019860008117 A KR1019860008117 A KR 1019860008117A KR 860008117 A KR860008117 A KR 860008117A KR 900002886 B1 KR900002886 B1 KR 90000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miconductor
region
memory devic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655A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미즈
히로기 시마노
마사히데 이누이시
가쓰히로 쓰가모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기억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메모리셀 주변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다이나믹 RAM의 메모리셀 주변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다른 다이나믹 RAM의 메모리셀 주변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P-형 반도체기판 2:제 1 게이트전극
3:제2게이트전극 4:제1게이트절연막
5:제2게이트절연막 6,7:N+형역역
9:분리절연막 10,13,80 : P+형영역
11,12:공핍층 14 : 사이드 월
15,16:티탄 실리사이듭막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Figure kpo00001
선등의 방사선에 의한 소프트에러를 제거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기억장치로서 제 2 도에 도시된 것이 있었다. 제 2 도의 종래의 256K 다이나믹 RAM의 메모리셀 주변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이 메모리셀 주변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P+형 반도체기판(1)상에 반전, 기생방지를 위한 P+형영역(10)이 형성되고 있고 다시 P+형영역(10)상에 소자사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절연막(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P+형영역 분리절연막에 협삽되어 P-형 반도체 기판(1)상에 N+형영역(6)과 N+형형역(7)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N+형영역(6)과 N+형영역(7) 사이의 P-형 반도체기판(1)상에 P-형영역(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N+영역(6) 상 및 분리절연막(9)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게이트 절연막상에 전원에 접속된 제 1 게이트전극(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P+형영역(6)상 및 N+형영역(7)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게이트 절연막상에 워드선에 접속된 제 2 게이트전극(3)이 형성되어 있다.
N+형영역(6)은 좌측부분이 일측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이 되고 제 1 게이트절연막(4)하의 우측부분이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전하축적 영역이 된다. 이 전하 축적영역과 제 1 게이트절연막(4)과 제 1 게이트전극(2)과는 메모리셀을 구성한다. N+형영역(7)은 비트선(도시없음)에 접속되어 있고 이 N+형영역은 타측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이 된다. P+형영역(8)은 제 2 게이트전극(3)의 드레시홀드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P-반도체기판(1)과 N+형영역(6)과 N+형영역(7)과 P+형영역(8)과 제 2 게이트절연막(50)과 제 2 게이트전극(3)과는 트랜스퍼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11은 N+형영역(6)과 P-형 반도체기판(1) 사이에 형성되는 공핍층을 12는 N+형영역(7)과 P-형 반도체기판(1) 사이에 형성되는 공핍층을 표시한 것이다.
더우기 여기에서는 설명을 위해 편의상 N+형영역(6)의 노출된 부분상, 제 2 게이트전극(3)상 및 N+형영역(7) 상등에 형성되는 층간절연막, 이 층간절연막상에 형성되는 비트선등의 배선부분 및 이들 층간절연막상과 배선부분상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불순물을 확산영역인 N+형영역(6)을 형성하는 대신에 제 1 게이트전극(2)에 정전위를 부여하므로서 제 1 게이트절연막(4)을 통하여 P-형 반도체기판(1)상에 N+형영역(6) 상당부분에 N+형의 반전층을 유지시켜 이 반전층에 전하를 축적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은 이 메모리셀 주변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셀의 N+형영역(6)의 전하 측적영역에 전자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0"전자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1"로 한다. 그리고 비트선에 접속되어 있는 N+형영역(7)의 전위는 센스앰프(도시없음)의 작용에 의하여 미리 어떠한 중간전위에 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워드선의 전위가 상승하고 이 워드선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스퍼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제 2 게이트전극(3)의 전위가 드레시홀드전압보다도 높게되면 이 제 2 게이트전극의 직하에 N+형 반전층의 채널이 형성되어서 N+형영역(6)과 N+형영역(7)사이가 도통한다. 그리하여 이제 메모리셀의 기억정보가 "0", 즉 N+형영역(6)에 전자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의 경우에는 이 N+형영역(6)과 비트선에 접속되어 있는 N+형영역(7)이 도통하므로서 그때까지 중간전위로 유지되었던 N+형영역(7)의 전위가 하강하고 또한 반대로 메모리셀의 기억정보가 "1", 즉 N+형영역(6)에 전자 축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경우에는 이 도통에 의하여 중간전위에 있던 N+형영역(7)의 전위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 비트선의 전위의 변화를 센스앰프에 의하여 감지, 증폭하여 인출함과 동시에 같은 기억정보를 리프레쉬하여 동일 사이클내에 재차 메모리셀에 기록하도록 되었다.
종래의 메모리셀 주변부는 이와 같은 동작하지만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전하축적영역이 N+형영역 또는 N+형 반전층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Figure kpo00002
선등의 방사선이 메모리칩내에 입사하여 생성되는 전자 전공대안에서 전자가 N+형영역(6)이나 N+형영역(7)에 수집되어서 본래의 기억정보를 반전시키는 것으로 오동작(이하 소프트에러로 호칭한다)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N+형영역(6)의 주위에 P+형영역(13)을 형성하여 메모리셀용량을 증가시키고
Figure kpo00003
선등의 방사선으로 생성되는 전자가 N+형영역(6)에 수집되어도 오동작하지 않게 임계전하량을 크게하여 소프트에러를 방지하는 수단이 있지만 비트선에 접속되어 있는 N+형영역(7)은 전자의 수집에 대하여 보호되어 있지 않고 또한 부가적으로 이 N+형영역(7) 주위에 P+영역을 형성하면 겨우 2~3㎛이라는 좁은 간격내에 P+형영역이 대향되는 것이 되어 기생 pnp 트랜지스터동작을 발생하여 트랜스퍼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안정되게 동작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화구조라하여도 트랜지스터 특성을 손상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Figure kpo00004
선등의 방사선에 의한 소프트 에러를 제거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얻고져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기억장치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상에 이 반도체기판을 불순물농도보다 불순물 농도가 높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이 반도체층상에 그 일부가 일측의 소오스/드레인영역이 되고 기타 일부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전하축적영역이 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1 반도체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층상에 제 1 반도체영역과 간격을 두고 비트선에 접속되고 또한 타측의 소오스/드레인영역이 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반도체영역을 형성하고 제 1 반도체영역상에 제 1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고 이 제 1 게이트절연막 상에 제 1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간의 반도체기판상과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상에 제 2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고, 이 제 2 게이트 절연막상에 제 2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게이트절연막간의 제 1 반도체영역상, 제 2 반도체영역상 및 제 2 게이트전극상에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도전형의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이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의 불순물농도보다 불순물농도가 높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층으로 둘러싸여짐으로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과 이 반도체층간에 형성되는 공핍층의 폭이 좁아져서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의 용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에 축적되는 "0", "1"에 대응하는 전자의 수의 차가 커지게 되고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은
Figure kpo00005
선의 입사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자에 대하여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도체기판에서 확산된 전자는 반도체층에서 수명이 짧게되어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에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반도체기판과 반도체층과의 경계면에 전자에 대한 포텐셜 배리어가 형성되기 때문에 반도체기판에서 확산된 전자중에 에너지가 작은 것은 이 배리어에 의하여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 및 제 2 게이트전극이 미세화되어도 고융점금속 실리사이드막에 의하여 제 1 반도체영역의 소오스/드레인영역의 확산저항, 제 2 반도체영역의 확산저항 및 제 2 게이트전극의 배선저항이 하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반도체기억장치의 메모리셀 주변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이 메모리셀 주변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예를 들면 불순물농도가 1×1014~1×1016-3의 P-형 반도체기판(1)에 P형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이온주입 확산하여 반전, 기생방지를 위한 P+형영역(10)을 형성하고 이후 P+형영영역(10)상에 소자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절연막(9)을 형성한다. 다음에 P-형 반도체기판(1)에 N형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이온주입, 확산하여 N-형영역(6)내의 전하축적영역을 형성하고 이후 P-형 반도체기판(1)에 P형 불순물을 이온주입, 확산하여 이 전하축적영역의 주위에 예를들면 불순물농도가 1×1015~1×1017-3의 P-형영역(13)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1 게이트절연막(4), 제 1 게이트전극(2)을 형성한다. 다음에 P+형 반도체기판(1)의 트랜스퍼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형성하여야 할 영역에 P형 불순물을 이온주입, 확산하여 예를들면 불순물농도가 1×1015~1×1017-3의 P+형영역(80)을 형성하고 이후 제 2 게이트절연막(5), 제 2 게이트전극(3)을 형성한다. 이때 P+형영역(80)내의 제 2 게이트절연막(5)하의 영역은 제 2 게이트전극(3)의 드레시홀드 전압 제어용의 영역이 된다. 다음에 P+형영역(80)에 N형 불순물을 이온주입, 확산하여 N+형영역(6)내의 일측의 소오스/드레인이 되는 영역 및 비트선에 접속되어 타측의 소오스/드레인이 되는 N+형영역(8)을 형성한다. 이때 N+형영역(6) 내의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N+형영역(7)의 깊이를 P+형영역(80)의 깊이보다 얕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N+형영역(6)(7)은 P+형영역(13)(80)에 의하여 포위되게 된다.
그러나 N+형영역(6)내의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N+형영역(7)의 깊이를 P+형영역(80)의 깊이보다 얕게하므로서 이들 영역의 확산저항이 상승한다. 더우기 제 2 게이트전극(3)도 미세화됨에 따라 그 배선저항이 상승되어 간다. 그리하여 이들 저항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 2 게이트전극(3)의 측변에 산화막등이 사이드월(14)을 형성하고 N+형영역(6)내의 일측의 소오스/드레인이 되는 영역상, 타측의 소오스/드레인이 되는 N+형영역(7)상 및 게이트전극(3)상에 자기정합적으로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 예를들면 티탄 실리사이드막(15)(16)을 형성한다.
다음에 이 메모리셀 주변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소프트 에러는 칩내에
Figure kpo00006
선등의 방사선이 입사한때에 생성되는 전자 정공대내에 전자가 N+형영역(6)(7)에 수집되어 야기된다.
측 칩내에 입사한
Figure kpo00007
선은 에너지를 상실하여 정지될때까지의 그 비정에 따라서 다수의 전자 정공대를 생성하고 공핍층(11)(12)내에서 생성된 전자 정공대는 공핍층(11)(12)내부의 전장에 의하여 즉시 분리되고 전자는 N+형영역(6)(7)에 수집되고 정공은 P+형 반도체기판(1)을 통과하여 흘러 떨어진다. 또한 N+형영역 (6) (7)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자 정공대는 재결합하기 때문에 전자의 증감에는 전혀 기여하지 않고 P형 반도체기판(1)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자 정공대는 확산에 의하여 공핍층(11) (12)에 도달된 전자만이 N+형영역(6)(7)에 수집되어 소프트에러를 야기하고 다른 것은 P-형 반도체기판(1)내에서 재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N-형영역(6)(7)의 주위를 P-형 반도체기판(1)의 불순물농도보다 고불순물 농도의 P+형영역(13)(80)으로 포위하게 하므로서 제 1 은 N+형영역(6)(7)과 P+형영역(13)(80)사이에 형성되는 공핍층(11)(12)의 폭이 좁게되어 N+형영역(6)(7)의 용량이 커진다. 또 제 2 는 N+형영역(6)(7)이 P+형영역(13)(80)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P-형 반도체 기판(1)에서 확산한 전자는 P+형영역(13)(80)내에서그 수명이 짧게되어 N+형영역(6)(7)에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제 3 은 P-형 반도체기판(1)과 P+형영역(13)(80)과의 계면에 전자에 대한 포텐셜 배리어가 형성되기 때문에 P-형 반도체기판(1)에서 확산되는 전자중 에너지가 작은 것은 이 배리어에 의하여 통과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제 1 의 점에 의하여 N+형영역(6)(7)에 축적되는 "0", "1"에 대응하는 전자의 수의 차가 커지게 되고 N+형영역(6)(7)은
Figure kpo00008
선등의 입사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자에 대하여 여유를 갖게되고 또한 제 2 및 제 3의 점에 의하여 N+형영역(6)(7)에 확산되는 전자를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여 소프트 에러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비트선에 접속되는 N+형영역(7)은 P+형영역(80)과 접하고 있으므로 접합의 공핍층용량이 증가하고 비트선의 부유용량 DB가 커지게 된다. 센스앰프로 검출되는 신호전압 V는 VD를 트랜스퍼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압, VT를 트랜스퍼 게이트 트래지스터의 드레시홀드전압 CS를 메모리셀 용량으로 하여 V=(VD-VT)/{1+9CB/CS)}로 부여되므로 부유용량 CB가 커지게 되면 신호전압이 작아지고 기억장치로서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부유용량 CB가 커지게 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고 부유용량 CB를 저감하기 위하여 비트선의 하측층간의 절연막이나 비트선의 상측의 보호막을 유전율이 낮은 예를들면 산화실리콘막이나 인유리막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특히 바람직하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N+형영역(6)(7)을 P+형영역(13)(80)으로 포위하는 예를 예시하였지만 센스앰프의 N+형영역 및 주변회로의 N+형영역을 P+형영역으로 포위하므로서 이들 부분에는 발생하는 소프트에러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다이나믹 RAM에 적용한 경우이지만 본 발명은 스태틱 RAM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외에 N채널이 P채널의 경우에도 MOS디바이스가 아닌 바이폴러 디바이스에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이 티탄 실리사이드막일 경우에 대하여 표시하였지만 이 티탄 실리사이드막 대신에 타탄륨 실리사이드막 또는 텅스텔 실리사이드막 또는 몰리브덴 실리사이드막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상에 기 기판의 불순물농도보다 불순물농도가 높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충을 형성하고 이 반도체층상에 일측의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전하축적영역이 되는 제 2 도 전형의 제 1 반도체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층상에 제 1 반도체영역과 간격을 두고 비트선에 접속되고 또한 타측의 소오스/드레인영역이 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반도체영역을 형성하고 제 1 반도체영역상에 제 1 게이트절연막, 제 1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반도체기판상과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상에 제 2 게이트절연막, 제 2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제 1 반도체영역상, 제 2 반도체영역상 및 제 2 게이트전극상에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였으므로 미세화구조에 있어서도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Figure kpo00009
선등의 방사선에 의한 소프트 에러를 제거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전기 반도체기판상에 형성되며 전기 반도체기판의 불순물농도보다 불순물농도가 높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층과 전기 반도체층상에 형성되며 그 일부가 일측의 소오스/드레인영역이 되고 기타의 일부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전하축적영역이 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1 반도체영역과 전기 반도체층상에 전기 제 1 반도체영역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비트선에 접속되어 타측의 소오스/드레인영역이 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반도체영역과 전기 제 1 반도체영역상에 형성되는 제 1 게이트절연막과 제 1 게이트 절연막상에 형성되는 제 1 게이트전극과 전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간의 전기 반도체기판상과 전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상에 형성되는 제 2 게이트절연막과 전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상에 형성되는 제 2 게이트전극과 전기 제 1 및 제 2 게이트절연막간의 전기 제 1 반도체영역상 전기 제 2 반도체영역상과 전기 제 2 게이트전극상에 형성되는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과를 구비한 반도체 기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반도체기판의 불순물 농도는 1×1014~1×1015-3이고 전기 반도체층의 불순물 농도는 1×1015~1×1017-3인 반도체기억장치.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반도체층의 전기 제 2 게이트절연막하의 영역과 당해영역측부의 영역과는 전기 반도체기판에 제 1 도 전형의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므로서 동시에 형성되는 반도체기억장치.
  4.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 티탄 실리사이드막, 탄타륨 실리사이드막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또는 몰리브덴 실리사이드막으로된 반도체기억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은 티탄 실리사이드막 탄타륨 실리사이드막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또는 몰리브덴 실리사이드막으로된 반도체기억장치.
  6.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전기 비트선간에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이 층간 절연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전기 비트선간에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의 층간 절연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전기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전기 비트선간에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의 층간 절연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전기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전기 비트선간에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의 층간 절연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전기 비트선상에 형성되며 실리콘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의 보호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전기 비트선상에 형성되며 실리콘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의 보호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전기 비트선상에 형성되며 실리콘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의 보호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전기 비트선상에 형성된 실리콘산화막 또는 인유리막으로된 저유전율의 보호막을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
KR1019860008117A 1985-12-20 1986-09-27 반도체 기억장치 KR900002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88206A JPS62145859A (ja) 1985-12-20 1985-12-20 半導体記憶装置
JP60-288206 1985-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655A KR870006655A (ko) 1987-07-13
KR900002886B1 true KR900002886B1 (ko) 1990-05-01

Family

ID=1772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117A KR900002886B1 (ko) 1985-12-20 1986-09-27 반도체 기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23682A (ko)
JP (1) JPS62145859A (ko)
KR (1) KR900002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9440A (ja) * 1987-11-14 1989-05-22 Fujitsu Ltd 半導体装置
US5362662A (en) * 1989-08-11 1994-11-08 Ricoh Company, Lt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planar cell structure
US5308781A (en) * 1990-05-21 1994-05-03 Ricoh Company,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91512B1 (ko) 1998-11-26 2001-11-05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1523138B1 (ko) * 2013-09-04 2015-05-2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US10396082B2 (en) * 2017-07-05 2019-08-27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cells having a controlled-conductivity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0665A (en) * 1981-06-19 1982-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S5858766A (ja) * 1981-10-05 1983-04-07 Hitachi Ltd 絶縁ゲ−ト型電界効果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4641165A (en) * 1982-04-28 1987-02-0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ynamic memory device with an RC circuit for inhibiting the effects of alpha particle radiation
JPS5994451A (ja) * 1983-04-25 1984-05-31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S6015964A (ja) * 1983-07-08 1985-01-26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US4803539A (en) * 1985-03-29 1989-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pant control of metal silicide formation
JPS6260256A (ja) * 1985-09-10 1987-03-16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45859A (ja) 1987-06-29
US5023682A (en) 1991-06-11
KR870006655A (ko) 198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772B1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001438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0304811B1 (en) Mos transistor
US479456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high capacitance storage capacitor
US4688064A (en) Dynamic memo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175378A2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US4908682A (en) Power MOSFET having a current sensing element of high accuracy
KR850007718A (ko) 반도체 장치
US4780751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4622570A (en) Semiconductor memory
EP0046629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insu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as a fundamental element
KR900002886B1 (ko) 반도체 기억장치
JPS6050066B2 (ja) Mos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940001121B1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860000159B1 (ko) 반도체 메모리
KR900002913B1 (ko)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방법
JP2864576B2 (ja) 半導体装置
US5268321A (en) Method of making DRAM cell having improved radiation protection
JP2550119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960000955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4242603A (en) Dynamic storage element
KR900002887B1 (ko) 반도체 기억장치
JPH01143350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10189918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製造方法及び電荷蓄積方法
KR900002915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