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86B1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86B1
KR900002486B1 KR1019870003548A KR870003548A KR900002486B1 KR 900002486 B1 KR900002486 B1 KR 900002486B1 KR 1019870003548 A KR1019870003548 A KR 1019870003548A KR 870003548 A KR870003548 A KR 870003548A KR 900002486 B1 KR900002486 B1 KR 90000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am
trigger
lever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856A (ko
Inventor
겐이찌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 가이샤
하마 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 가이샤, 하마 고이찌 filed Critical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 B41J1/0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with types or dies carried on sliding bars or rods
    • B41J1/1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with types or dies carried on sliding bars or rods on side surfaces thereof, e.g. fix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04Mechanical power drives with driven mechanism arranged to be clutched to continuously- operating power source
    • B41J23/10Mechanical power drives with driven mechanism arranged to be clutched to continuously- operating power source and arrested in selec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Landscapes

  • Common Mechanism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동력 전달장치를 사용하는 임팩트 도트식 셔틀 프린터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프린터의 분해 부품 배열도.
제 3 도는 프린터의 종이 이송기구의 측면도.
제 4 도는 프린터의 트리거와 리본색 절환기구의 측면도.
제 5 도는 인쇄헤드의 부분 측면도.
제 6 도는 프린터의 리세트 신호 검출기구의 부분 측면도.
제 7 도는 각 부재의 동작과 캠리드를 도시하는 타임 챠트.
제 8 도는 리본색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
제 9a 및 9b 도는 프린터의 클러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 10a 및 10b 도는 인쇄 마트릭스를 도시하는 도면.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동력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프린터 사시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동력 전달장치의 부분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본카트리지 2 : 밸런서
3 : 프레임 4 : 리본 프레임
6 : 인쇄헤드 7 : 요동캠
21 : 트리거 코일 24 : 트리거 레버
27 : 종이 이송캠 36 : 종이 이송캠 레버
62 : 스위칭 캠 64 : 클러치 멈춤개
65 : 클러치판 66 : 클러치 기어
67 : 클러치 레버 69 : 제어레버
본 발명은 출력 회전각을 세트할 수 있는 클러치를 사용하는 동력 전달장치, 특히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수단은 예정위치에서 클러치를 정지하도록 그런 타이밍에서 여기되는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다수의 클러치 기구가 프린터내에 제공되며 각각 종이 이송, 리본색절환, 카드 이송제어, 스탬프 제어, 커터 제어용 등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각 클러치 기구는 하나의 전자트리거를 가지고 각각 작동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수의 기능이 제공되면 프린터는 어떻게 하여도 구조가 대형화하고 복잡화하여 비용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라 한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는 모터, 제 1 및 제 2 타이밍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으로 구동되는 트리거 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타이밍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1 및 제 2 제어수단, 상기 제 1 타이밍에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로크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제어수단과 결합속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제어수단이 상기 제 2 타이밍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 2 제어수단과 결합 밖으로 이동되는 제어부재, 상기 제어부재가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로크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제어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로킹 및 해제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트리거는 클러치 수보다 적고 하나의 전자트리거는 다른 타이밍에서 다수의 클러치를 구동할 수 있는 개선된 동력 전달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값비싸고 비교적 큰전자 트리거수가 감소되는 개선된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기와 비용이 감소되는 간단한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명세서를 참고로 한다.
이제 임팩트 도트식 셔틀 프린터에서 사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제 1 도는 검정 잉크리본(1a)과 빨간 잉크(1b)를 가지는 리본 카트리지(1)가 도시된 프린터의 사시도이며 밸런서(2)가 떼어져 있다. 3은 프레임, 4는 리본 카트리지(1)가 스냅피트에 의해 설치되는 리본 프레임, 5는 모터, 6은 프레임(3) 벽(3a,3b) 사이에서 화살표(A)방항과 화살표(A)방향 반대 방향에서 이동가능한 인쇄헤드, 7은 인쇄라인을 따라서 좌우로 인쇄헤드(6)를 이동하기 위한 요동캠, 8은 종이이송, 리본 이송, 리본색절환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부, 9는 종이 안내부를 나타낸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프린터의 분해 부품배열도이며 제 3 도는 종이 이송기구를 도시하며 제 4 도는 트리거와 리본색 절환기구를 도시하며 제 5 도는 인쇄헤드의 상세도이며 제 6 도는 리세트 신호 검출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모터(5)는 한 단부에 모터회전에 동기하여 펄스를 발생하는 회전계용 발전기(5a)가 제공되어 있으며 모터기어(10)가 출력축(5b)상에 압입설치되어 있다. 모터(5)는 모터기어(10)가 축(13)을 통해 모터홀터(12)상에 피봇설치된 감속기어(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나사(14)에 의하여 모터홀더(12)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홀더(12)는 프레임(3)의 노치(3b)에서 착석되는 볼록부(12b)를 가지며 프레임부(3c,3e)와 배선판(15)을 통해서 나사(16)에 의해 프레임(3)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5) 단자(5d)와 회전계용 발전기(5a) 단자(5c)는 각각 구멍(15b,15a)를 통해 연장하여 배전판(15)에 납땜되어 있다. 흠캠(7a), 리세트 신호 검출판(18)이 맞춰지는 리세트(7b), 감속기어(11a)와 맞물리는 내부기어(7c)를 가지는 요동캠(7)은 축방향을 따라서 양표면상에 다듬어진 캠축(17)에 압입된다. 또 캠축(17)상에 회전불가능하게 설치된 요크홀더(19)는 자성재료의 트리거 요크(20)가 압입된 기어(19a)를 가지고 있다. 캠축(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코일(21)은 구멍(15c)을 통해 연장해서 배선판(15)에 납땜된 단자(21a)을 가지고 있다. 자성재료로 만들어지는 트리거판(22)은 또한 캠축(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트리거판(22)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에 의해 화살표(B)방향으로 부가된 트리거 레버(24)의 돌기(24a)가 압축스프링(23)을 통해 맞춰져서 트리거 요크(20)의 단부면과 결합하는 구멍(22a)을 가진다. 캠축 지지부재(26)와 종이 이송캠(27)은 캠축(17)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종이 이송캠(27)은 압축스프링(28)에 의해 화살표 방향(C)으로 부가되며 외부주위와 단부면에 4개의 캠(27a,27b,27c,27d,27e, 제 3 도)을 가진다. 리본구동기어(29)는 캠축(17)상에 회전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둘레에 헬리컬기어(29a)와 그 단부면에 캠(29b)을 가지고 있다. 캠축(17)의 한 단부(17a)는 모터홀더(12)의 한부분(12a)에 의해 지지된다. 캠축 지지부재(26)는 프레임(3)의 절결부(3f)로 삽입되어 있다. 리세트 신호 검출브러시(40,41, 제 6 도)는 프레임(3)에 절결부(3g)에 삽입되는 홀더(39)에 부착되어 있다. 리세트신호 검출판(18)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동캠(7)이 회전하는 동안 홀더(39)의 일부분(39a)에 의해 편향된 리세트 신호 검출 브러쉬(40,41)이 리세트 신호 검출판하고만 접촉될 수 있도록 요동캠(7)의 외부 주위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리본구동기어(29a)와 맞물리는 베벨기어(30a)와 리본 권취기어(33)와 맞물리는 스퍼어기어(30b)를 가지는 리본전달기어(30)는 프레임(3)에 고정된 축(31)에 피봇설치되어 있다. 리본 권취기어(33)의 래칫휘일(33a)과 맞물리는 부분(34a)을 가지는 권취축(34)은 E형 링(35)에 의하여 프레임(3)에 피봇설치되어 있다. 프레임(3) 구멍(3h,3i)속으로 삽입된 돌출부(4a,4b)를 가지는 리본 프레임(4, 제 8 도)은 프레임(3) 후크(3n)와 리본 프레임(4) 후크(4e) 사이에서 걸린 장력 스프링(32)에 의해 화살표(D)방향으로 편위된다. 리본 프레임(4)의 회전량은 스프링(32) 후크(32a)와 리본 프레임(4) 부분(4d)에 의해 조절된다. 캠(27)의 캠부(27a, 27b)와 각각 결합할 수 있는 부분(36a,36b)과 트리거 레버(24)의 부분(24b)과 결합할 수 있는 부분(36c)을 가지는 종이 이송캠 레버(36)는 프레임(3)에 고정된 축(38)에 피봇설치되며 장력 스프링(37)에 의해 화살표(E)방향을 편위된다. 핀(42a,42b)를 가지는 종이 이송레버(42)는 축(43)에 의하여 프레임(3)에 피봇설치되어 있다. 핀(42a)은 제 3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이 이송캠(27d)과 결합할 수 있는 반면 핀(42b)은 종이 이송 구동 기어(45)의 노치(45b)와 결합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47)과 장력 스프링(52)에 의해 각각 화살표(F,G)방향으로 편위되는 종이 이송 구동기어(45)는 종이 이송기어(46)의 단부면에 형성되고 종이 이송축(48)에 고정된 래칫 이(46a)와 결합하는 래칫 이(45a)를 가진다. 종이 이송축(48)은 그둘레에 얼마간 종이 이송롤러(49)가 제공되며 베어링부재(50,51)에 의해 양단부에서 지지되고 있다. 해제 레버(44)는 종이 이송캠(27c)과 결합할 수 있는 부분(44a), 종이 이송 구동기어(45)의 볼록부(45c)와 결합할 수 있는 부분(44c), 프레임(3) 구멍(3j)에 피봇 삽입된 핀(44b)를 가지고 있다. 종이 안내보조판(55)이 제공된 내부 종이 안내부재(53)와 외부 종이 안내부재(54)는 베어링부재(50,5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탄성재료인 종이 안내 보조판(55)은 종이 누름 스프링대(57) 둘레에 설치된 종이 누름 롤러(56)를 지지한다. 베어링 부재(50,51)은 프레임(3)의 틈(3k,3l)에 각각 착석된다. 인자판(58)은 베어링 부재에 그리고 나사(59,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위칭 클러치 축(61)과 클러치 레버축(70)은 캠 지지부재(26)의 구멍속으로 압입된다. 스위칭 클러치축(61)는 스위칭 캠(62), 스프링(63), 클러치 멈추개(64)의 핀(64a)이 삽입되는 구멍(65a)을 가지는 클러치판(65), 클러치 기어(66)을 통해 차례로 삽입된다. 스위칭 캠(62)는 그의 한 단부면에서 리본 프레임(4) 부분(4c)과 결합할 수 있는 캠(62b)과 다른 단부면에서 클러치 멈추개(64)가 피봇 설치되는 핀(62a, 제 4 도)를 가진다. 스프링(63)은 화살표(H)방향으로 클러치 멈추개(64)를 편위시킨다. 클러치판(6)은 구멍(65a), 클러치판(65)의 외주를 불균등하게 분할하도록 그런방법에서 제공되는 돌기(65b,65c)를 가진다. 클러치 기어(66)는 요크 홀더(19)의 기어(19a)와 맞물리는 기어(66a), 클러치판(65)가 설치되는 축부분(66d), 클러치 멈추개(64)의 멈추개 부분(64b)과 결합할 수 있는 멈추개(66b,66c)와 단부면에서 제어레버(69)의 부분(69a)과 결합할 수 있는 캠(66e,제 4 도)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레버축(70)은 클러치 레버(67), 스프링(68), 제어레버(69)를 통해 삽입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67)는 트리거 레버(24) 부분(24c)과 결합할 수 있는 핀(67a), 클러치판(65)의 돌기(65b,65c)와 결합할 수 있는 부분(67b)를 가진다. 제어레버(69)는 클러치 기어(66)의 캠(66e)과 결합할 수 있는 부분(69a), 클러치판(65)의 돌기(65b,65c)와 결합할 수 있는 부분(69b)를 가진다. 클러치레버(67)와 제어레버(69)는 화살표(I)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각각 스프링(68)에 의해 부가된다.
이제 인쇄헤드의 구조가 제 2 도와 제 5 도를 참고로하여 기술된다. 핀(73)은 요동캠(7)의 홈캠(7a)과 결합되도록 자성재료의 요크(72)에 고정되어 있다. 다수의 고정코어(74)가 또한 헤드 이동방향에서 동일피치로 요크(72)에 고정되어 있으며 코일(75)는 고정코어(74)에 설치되어 있다. 또 자성재료의 코일 누름판(76), 윤활시트(77)와 인쇄판(78)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인쇄판(78)은 한 단부에서 인쇄종이에 도트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핀(80)과 그 다른 단부에서 거기에 고정된 작동코어(79)를 가진다. 인쇄판(78)의 부분(78a)은 코일(75)의 볼록부(7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크(72), 고정코어(74), 작동코어(79) 및 코일 누름판(76)이 자기 회로를 구성한다. 요크(72)는 FPC(81)를 통해 고정스프링판(83)에 의하여 캐리지(70)에 고정설치되어 그곳에 코일(75) 단자(75b)가 납땜된다. 캐리지(70)는 안내축(84)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축(84)의 단부는 구멍(70a,70b)를 통해 프레임(3)의 벽(3a,3b)에 있는 구멍속으로 삽입된다. 캐리지(70)의 부분(70c)은 프레임(3)의 부분(3m)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안내된다. L형판 스프링(82)는 부분(82a,82b,82c,82d)를 가진다. 부분(82a)은 요크(72)와 고정스프링판(8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부분(82b)은 윤활시트(77)와 코일 누름판(76)을 통해 고정코어(74)를 향해 코일(75)내측에 제공된 계단부(75c, 제 5 도)를 부가한다. 부분(82c)은 윤활시트(77)를 향해 인쇄판(78, 제 5 도)의 피봇점(78b)을 편위시킨다. 부분(82d)는 캐리지(70)에 부착된 댐퍼(71)와 접촉속으로 인쇄판(78)을 화살표(J)방향으로 부가한다. 밸런서(2)는 밸런서 프레임(88)과 밸런서커버(85)로 구성되어 있다. 납과 같은 웨이트를 포함하는 밸런서 프레임(88)은 안내구멍(88a,88b)를 통해 연장하는 안내축(84)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밸런서 기어(87)를 거쳐서 캐리지(70)의 래크(70d)와 결합되는 래크(88c)를 가진다. 밸런서 기어(87)는 밸런서 커버(85)의 축(86)에 피봇설치되어 있다. 밸런서 커버(85)는 밸런서 프레임(88)회전을 조정하기 위해 홀더(12)의 돌기(12c)에 맞춰지는 한단부(85a)와 나사(90)에 의해 프레임(3)의 벽(3a)에 고정된 다른 단부(85)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제어수단은 트리거 레버(24), 장력코일 스프링(25), 종이 이송캠(27), 압축스프링(28), 종이 이송캠 레버(36), 스프링(37)으로 구성되는 반면에 제 2 제어수단은 스위칭 클러치축(61), 스위칭 캠(62), 스프링(63), 클러치 멈추개(64), 클러치판(65), 클러치 기어(66), 클러치 레버(67), 스프링(68), 제어레버(69), 클러치 레버축(70)으로 구성된다. 트리거 수단은 요크홀더(19), 트리거 요크(20), 트리거 코일(21), 트리거판(22), 압축스프링(23)으로 구성된다.
이제 상술한 조립체의 작동을 제 7 도의 타이밍 챠트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1) 초기 세팅
모터(5)에 전류를 통전하면 요동캠(7), 캠축(17), 요크홀더(19), 트리거 요크(20), 종이 이송캠(27)과 리본 구동기어(29)는 모터기어(10)와 감속기어(11)를 거쳐서 화살표(K)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러치 기어(66)는 요크홀더(19)의 기어(19a)에 의하여 화살표(L)방향으로 회전된다. 권취축(34)은 리본 절단기어(30)와 리본 권취기어(33)를 통해 리본 구동기어(29)에 의하여 화살표(M)방향으로 회전된다. 인쇄 헤드(6)는 요동캠(7)의 홈캠(7a)에 의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리본 프레임(4)은 스위치캠(62)의 상태에 따라 제 8 도에서 도시된 실선(검정잉크 인쇄) 또는 2점 쇄선(빨간잉크 인쇄)의 상태로 위치된다. 그러므로 인쇄전에 리본 프레임(4)은 어느 한 상태로 세트되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리본프레임(4)은 실선위치(검정잉크 인쇄)로 세트되어 있다. 리본 프레임(4)과 스위칭 캠(62), 클러치판(65) 사이의 위상관계가 제 9a 도와 제 9b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9a 도는 리본 프레임(4)의 검정잉크 인쇄위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돌기(65b,65c)는 클러치판(65)을 틀린 각도(Q1,Q2)로 분할하도록 그런 방법에서 클러치판(65)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Q1+Q2=360。/n, n은 양의 정수이다. 클러치 레버(67) 부분(67b)은 돌기(65b)와 결합하는 반면 리본 프레임(4)의 부분(4c)은 스위칭 캠(62b)의 낮은 리드부와 결합한다. 제 9b 도는 리본 프레임(4)의 빨간 잉크 인쇄위치를 나타낸다. 클러치 레버(67)의 부분(67b)은 클러치 판(65)의 돌기(65c)와 결합하는 반면에 리본 프레임(4)의 부분(4c)은 스위칭 캠(62b)의 높은 리드 부분과 결합한다.
계속해서 초기 세팅방법은 기술된다. 모터(5)회전은 회전계용 발전기(5a)가 타이밍 펄스(103)를 발생하게 한다. 그러는 동안 요동캠(7)의 회전은 리세트 신호 검출판(18)을 리세트 신호 검출 브러쉬(40,41)에 접촉시켜서 그 때문에 리세트 펄스(102)가 발생한다. 타이밍 펄스(103)와 리세트 펄스(102)는 프린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모두의 기준신호이다.
트리거 코일(21)이 트리거 코일 통전(111a)의 타이밍에서 통전되면 트리거판(22)은 트리거요크(20)에 끌어당겨져서 화살표(K)방향으로 트리거판(22)과 트리거 요크(20)가 회전한다. 핀(24a)에 의해 트리거판(22)에 연결되는 트리거 레버(24)도 또한 화살표(K)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부분(24c)은 화살표(I)반대방향으로 클러치 레버(67)를 회전하며 그 때문에 클러치판(65)의 돌기(65b 또는 65c)로부터 클러치 레버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러는 동안 제어레버(69)도 클러치판(65)의 돌기(65b,65c)로부터 결합해제된다. 그 결과로써 클러치판(65)은 클러치 멈추개 스프링(63)에 의해 만들어진 화살표(H)방향으로클러치 멈추개(64)의 회전을 통해 화살표(L)방향으로에 회전되어서 클러치 멈추개(64)는 스위칭 캠(62)에 클러치 기어(66)의 회전을 전달하도록 클러치 기어(66)의 멈추개(66b 또는 66c)와 결합된다. 클러치 레버(67)로부터 결합해제된 클러치판(65)이 회전되고 클러치 멈추개(64)가 클러치 기어(66)의 회전위치로 되면 트리거 코일(21)은 여기해제된다. 또 클러치 기어(66), 클러치판(65), 클러치 멈추개(64), 스위칭 아암(62)은 회전되며 클러치판(65)은 트리거 코일(21)의 여기해제에 의해 대기상태로 이미 복귀된 클러치 레버(67)의 부분(67b)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판(65)의 돌기(65c 또는 65b)와 함께 정지된다. 그러면 클러치 멈추개(64)는 화살표(H)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클러치 기어(66)의 멈추개(66b 또는 66c)로부터 결합해제되어서 그 때문에 핀(62a)을 통해 클러치 멈추개(64)와 관계있는 스위칭 캠(62)도 정지된다. 이 작동은 단순히 제 9a 도 또는 제 9b 도에 도시된 상태를 제 9b 도 또는 9a 도에 도시된 상태로 각각 바꾸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트리거 코일(21)은 트리거 코일 통전 타이밍(111b)에서 다시 통전된다. 통전타이밍(111a와 111b) 사이의 간격은 타이밍(111a)으로부터 더작은 각도(Q1)를 통해서 클러치판(65)의 회전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보다 더 길게 그리고 더 큰각도(Q2)를 통해 그의 회전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보다 더 짧게 세트된다. 따라서 제 9a 도 상태에서 타이밍(111a)에서 트리거 코일(21)의 제 1 통전은 돌기(65c)가 돌기(65b)의 위치까지 회복될때까지 클러치판(65)이 회전을 개시하여 계속되게 한다. 이 시간동안 트리거 코일(21)의 제 2 통전(111b)이 수행될 지라도 클러치판(65)은 회전하며 그래서 어떤 영향도 받지 않으면서 회전을 계속하여 제 9b 도 상태에서 정지한다. 트리거 코일(21)의 제 1 통전이 제 9b 도 상태에서 수행되면 클러치판(65)은 돌기(65b) 돌기(65c) 위치까지 회복될때까지 회전을 개시하여 계속된다. 트리거 코일(21)의 제 2 통전(111b)은 각도(Q1)을 통해 클러치판(65)의 회전을 위해 요구된 시간의 경과후에 달성되므로 클러치판(65)은 일단 제 9a 도의 상태에서 정지한다. 그후 트리거 코일(21)의 제 2 통전(111b)이 달성되어 클러치판(65)은 제 9b 도의 상태까지 회전한다. 그러므로 클러치판(65)은 두개의 틀린 각도(Q1,Q2,Q1+Q2=360。/n, n의 양의 정수)로 분할되며 트리거 코일(21)의 통전이 두번 달성되어서 그 때문에 스위칭 캠(62)은 처음에는 제 9a 도로 되던지 제 9b 도로 되던지 어느상태로 필연적으로 세트된다. 트리거 코일(21)의 각각의 통전시간은 더 작은 각도(Q1)를 통해 클러치판(65)의 회전을 위해 요구된 시간보다 더 짧다.
이 실시예에서 리본 카트리지(1)를 검정잉크 인쇄위치로 세트하기 위하여 트리거 코일(21)은 클러치판(65)이 회전정지한 후 제 9a 도의 상태를 얻기 위해 다시 통전되어야 한다.
(2) 인쇄
문자는 도트 마트릭스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7도트 마트릭스형, 1도트의 항간, 제 10a 도 및 제 10b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3도트의 행간의 문자인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D1내지 D210은 인쇄핀(80)으로 인쇄된 도트이며 210도트는 제 10a 도의 1도트라인에 인쇄된다. H1내지 H7각각은 한 라인을 따라서 각각의 인쇄핀(80)의 이동범위를 도시한다. 제 10b 도는 하나의 인쇄핀의 인쇄영역을 나타내며 그안에서 5문자에 대응하는 30도트는 본 실시예에 따라 한 라인을 따라서 인쇄될 수 있다. 인쇄핀(80)이 인쇄 라인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므로 인쇄지(95)는 문자를 완성하도록 1도트 라인 인쇄마다로 이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쇄지(95)는 5×7도트 마트릭스 문자를 형성하기 위해 L1부터 L7까지 7회 이송되어야 한다.
(2-1) 1도트 라인 인쇄
제 7 도의 타이밍 챠트를 참고하면 요동캠(7)의 홈캠(7a) 리드(101)는 리세트 펄스(102)의 발생으로부터 직선(101a)이다. 이 직선부분(101a)은 각각 인쇄핀(80)용 인쇄영역 H1내지 H7에 대응한다.
리세트 펄스(102)의 발생후 바로 발생된 타이밍 펄스(103)가 T1이면 T1내지 T130는 각각 D1내지 D30, D31내지 D60, D61내지 D90, D91내지 D120, D121내지 D150, D151내지 D180, D181내지 D210에 대응한다. 7개 코일(75)이 타이밍 펄스(T1)을 발생할 때 각각 통전되면 작동코어(79)는 고정코어(74)에 끌어당겨져서 인쇄판(78)은 피봇점(78b)에서 화살표(j)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결과 인쇄핀(80)은 인쇄지(95)에 7개의 도트(D1,D31,D61,D91,D121,D151,D181)을 인쇄하도록 리본(1a)과인쇄지(95)를 통해 인자판(58)을 친다. 타이밍 펄스(T30)를 발생할때까지 동일한 작동이 반복되어서 그 때문에 인쇄지(95)에 한줄로 도트(D1내지 D210)를 인쇄한다. 문제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도트는 코일(75)의 통전에 의해 필요한 점에서 인쇄된다.
(2-2) 인쇄지의 1도트 라인 이송
마지막 도트가 타이밍 펄스(T30)의 발생에서 인쇄된 후 인쇄헤드(6)는 요동캠리드(101b)에 따라 화살표(A)반대방향 복귀한다. 이때 인쇄지(95)가 이송된다.
제 2 도와 제 3 도를 참고하면 화살표(K)방향으로 종이 이송캠(27)의 회전은 캠(27e 또는 27d)에게 종이 이송 레버(42)의 핀(42a)을 밀도록 하여 그 때문에 핀(42b)과 결합하는 종이 이송 구동기어(45)가 화살표(G)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화살표(N)방향으로 레버를 회전한다. 그때 래칫 이(45a)는 종이 이송기어(46)를 화살표(G)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인쇄지(95)는 종이 이송롤러(49)에 의해 이송된다. 여기에 캠(27e,27d)은 1도트 피치와 3도트 피치 종이를 각각 이송하기 위한 캠리드이다. 그러나 종이 이송캠(27)의 통상의 회전에 있어서 종이 이송캠 레버(36)의 부분(36b)과 종이 이송캠(27)의 캠(27b)은 종이 이송캠을 캠(27d 또는 27e)과 핀(42a)사이 결합상태에서 활살표(C)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캠(27d,27e)은 추력방향에서 핀(42a)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그러므로 종이 이송레버(42)는 작동하지 않으며 그래서 종이 이송은 종이 이송캠(27)이 회전해도 달성되지 않는다.
트리거 코일 통전 타이밍(104a)에서 트리거 코일(21)이 통전되자마자 트리거 레버(24)는 화살표(K)방향으로 회전되어 화살표(E)방향으로 종이 이송캠 레버(36)를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부분(36b)은 종이 이송캠(27)의 캠(27b)회전궤적으로부터 벗어나서 캠(27e)은 화살표(N)방향으로 레버를 회전하도록 종이 이송레버(42)의 핀(42a)과 결합한다. 다음에 종이 이송 구동기어(45), 종이 이송기어(46) 및 종이 이송롤러(49)는 인쇄지(95)를 1도트 라인으로 이송하도록 화살표(G)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일단 종이 이송캠 레버(36)가 화살표(E)방향으로 회전되면 트리거 코일(21)이 소세되고 트리거 레버(24)가 스피링(25)에 의해 화살표(K)반대방향으로 회전될지라도 트리거 레버(24)는 부분(36a)에서 인접대에 의해 화살표(K)방향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에서 대기한다(제 4 도에서 2도트 및 대쉬 라인). 종이 이송 다음에 종이 이송캠 레버(36)는 종이 이송캠(27)의 리세트 캠(27a)에 의해 밀려지는 이송캠 레버의 부분(36a)과 함께 화살표(E)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부분(24b,36a)은 서로 결합되며 모든 부재는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그래서 일련의 종이 이송작동은 완료된다.
트리거 코일(21)의 통전(104a)은 트리거 레버(24)를 종이 이송을 달성하기 위해 종이 이송캠 레버(36)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하며 또 클러치 레버(67)를 클러치판(65)으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화살표(I)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 시간동안 제어 레버(69)는 클러치판(65)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러치기어(66)의 클러치 캠(66e, 제어캠 리드(112))에 의하여 클러치판(65)의 돌기(65b)와 결합된다. 해제 레버캠(27C, 해제 레버캠 리드(110))와 종이 이송캠(27)의 캠(27b, 캠리드(108))은 대기상태에서 해제 레버(44)를 화살표(F)반대방향으로 종이 이송 구동기어(45)를 일정하게 이동하여서 종이 이송기어(46)와의 맞물림을 해제해서 종이 이송롤러(49)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하여 인쇄지(95)를 그로부터 쉽게 뽑아지게 된다.
종이 이송 작동 동안 종이 이송캠(27)은 추력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캠리드(110a)는 해제부재(44)가 화살표(F)반대방향으로 종이 이송 구동기어(45)의 잠금을 해제하게 하며 종이 이송 구동기어(45)는 인쇄지를 이송하기 위해 종이이송기어(46)의 맞물림속으로 화살표(F)방향으로 이송된다.
(2-3) 인쇄지의 3도트 라인 이송
1도트 라인 인쇄와 1도트 라인 종이 이송은 문자를 완성하기 위하여 7번 반복된다. 그때 인쇄지는 다음 문자 라인을 인쇄하기전 연속해서 한 행간(본 실시예에서는 3도트 라인)씩 이송되어야 한다.
1도트 라인 종이 이송은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3번 반복될 수 있지만 그러나 그런 방법은 총속도가 감소되므로 시간이 소비된다. 그러므로 3도트 라인 종이 이송은 한 작동으로 수행된다.
1도트 라인 종이 이송과 틀린점은 트리거 코일(21)의 통전이 104b의 타이밍에서 수행된다는 것이다. 트리거 코일(21)의 통전에 기인하는 각 부재의 작동은 104b의 통전은 종이 이송 레버(42)가 3도트 라인 종이 이송을 하도록 형성된 캠(27d)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외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1회 동작으로 3도트 라인 종이 이송이 가능하다.
(3) 리본색 절환
타이밍(111a 또는 111b)에서 트리거 코일(21)의 통전은 "(1) 초기세팅"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검정 및 빨강 사이에서 리본색 절환을 하게 한다.
트리거 코일(21)의 통전(111a 또는 111b)은 트리거 코일(21)을 회전시켜 종이 이송캠 레버(36)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한다. 통전 타이밍(111a 또는 111b)은 종이 이송 작동이 끝난후 발생하도록 세트되어 있으므로종이 이송캠 레버(36)가 회전하고 종이 이송캠(27)이 추력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종이 이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술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연속하여 인쇄된다.
또 밸런서(2)는 프린터 외부로 인쇄헤드(6)의 요동전달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밸런서 기어(87)는 인쇄헤드운동에 대해서 역위상운동으로 웨이트(89)를 쳐서 인쇄헤드(6)의 요동은 극복되고 프린터의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는 리본색 절환용으로 사용되지만 그러나 다음 실시예에서는 카드 이송용으로 사용된다.
제 11 도는 프린터의 전체 사시도이며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기구의 측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리본색 절환용으로 사용된 클러치 기구는 카드(220)를 이송하기 위한 카드 이송롤러(206)로 카드 누름롤러(213)를 누르기 위해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스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이 주차 이점이다.
슬롯(202a)은 그 양측벽 사이에서 거의 프레임(202)바닥에 제공되며 슬롯을 통해 카드(220)는 프레임(202)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트된다. 카드(220)에 대하여 한 측에서, 카드 이송축(203)이 시트 이송축 지지부재(204,205)에 의해 양단부에서 지지된다. 카드 이송롤러(206)는 시트 이송축 지지부재(204,205)의 내부에서 카드 이송축(203)에 설치된다. 카드 이송 구동기어(208)와 카드 이송기어(207)가 또한 시트 이송축 지지부재(204)의 외측에서 카드 이송축(203)상에 설치된다. 카드(220)에 대하여 다른 측에서는 누름 롤러축(214)과 카드 누름판(212)이 설치된다. 축(216)에 피봇 설치된 카드 누름롤러(213)는 카드 이송롤러(206)반대에 제공되어 있다. 카드 누름판(212)에는 카드 이송롤러(206)로 향해 누름 롤러축(214)을 편위시키기 위한 판스프링의 누름스프링(215)이 제공되어 있다.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리본색을 절환하기 위하여 리본프레임(4)과 결합하는 스위칭 캠(219)은 본 실시예에서는 카드 누름판(212)의 부분(212a)과 결합에 있어서 캠(219a)을 가진다. 핀(209a,209b)을 가지는 카드 이송레버(209)는 프레임(202)에 고정된 축(210)에 피봇 설치되며 카드 이송구동기어(208)에 매달린 스프링(211)에 의해 화살표(D)반대방향으로 편위되어 화살표(Q)반대방향으로 편위력을 발휘한다. 핀(209a)은 리본 구동기어(29)의 캠(29b)과 결합하는 반면 핀(209b)은 카드 이송구동기어(208)의 U형 슬롯(208a)과 결합한다.
이제 상기 구조의 작동을 설명한다.
인쇄방법, 리본이송, 인쇄지(95)이송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카드 이송방법만 기술한다.
프린터 작동중 리본 구동기어(29)는 항상 화살표(K)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카드 이송레버(209)와 카드구동기어(208)는 캠(29b)과 스프링(211)에 의해 회전된다. 카드 이송기어(207)와 결합하는 래칫이를 가지는 카드 이송구동기어(208)는 카드 이송롤러(206)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화살표(Q)방향으로 카드 이송롤러(206)의 회전속으로 회전을 바꾼다. 이 경우에서 회전량은 카드(220)의 1도트 라인 이송에 상당한다. 카드(220)를 삽입하자마자 트리거 코일(21)은 리본색 절환과 동일방법으로 통전되어 클러치는 화살표(L)방향으로 스위칭 캠(219)을 회전시키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캠(219a)은 카드(220)를 통해 카드 이송롤러(206)에 대항하여 카드 누름 롤러(213)을 누르기 위해 화살표(O)방향으로 카드 누름판(212)을 회전시킨다. 카드 이송롤러(206)와 카드 누름 롤러(213)사이에 삽입된 카드(220)는 카드 이송롤러(206)의 간헐회전에 의해서 1도트 라인 이송된다. 카드(220)에 인쇄가 완료된 다음에 트리거 코일(21)은 카드 이송롤러(206)로부터 대기상태까지 카드 누름롤러(213)를 결합해제하고 복귀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작동하도록 재통전된다. 이것은 카드(220)의 발취를 용이하게 한다.
카드(220)와 인쇄지(95)가 동시에 장착되어도 이들은 동시에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2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스탬프 구동, 커터구동 등의 각각의 조합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단 하나의 전자 트리거 부재는 종이 이송의 제어, 리본색 절환, 카드이송등을 위한 다수의 클러치 기구에 선택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헤드의 1싸이클 왕복운동에서 적어도 2타이밍에서 구동되며 각각의 클러치 기구는 각각의 예정된 구동시간 이외에는 제어부재에 의해서 동작이 규제되게 한다. 따라서 비싸고 비교적 큰 전자 트리거 부재는 그 수감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는 장치의 간략화와 크기나 비용에 있어서 감소를 달성한다.

Claims (2)

  1. 한방향으로 연속회전하는 모터와, 제 1 및 제 2 타이밍을 포함하는 적어도 2타이밍에서 구동되는 트리거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타이밍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 1 및 제 2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타이밍에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로크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제어수단의 결합속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제어수단이 상기 제 2 타이밍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제어 수단을 해제하기 위한 제 2 제어수단과 결합밖으로 이동되는 제어부재와, 상기 제어부재가 로크하거나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해제하는 상기 제어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로킹 및 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클러치이며 상기 클러치의 회전각은 더 작은 회전각(Q1)과 더큰 회전각(Q2)으로 분할되며 여기서 Q1+Q2=360。/n, n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트리거수단은 각도(Q1)을 통해서는 상기 클러치의 회전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보다 더 길고 각도(Q2)을 통해서는 상기 클러치의 회전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보다 더 짧으며, 상기 트리거 수단의 각 구동시간은 각도(Q1)를 통해서 상기 클러치의 회전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보다 더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1019870003548A 1986-04-16 1987-04-14 동력전달장치 KR900002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630 1986-04-16
JP86-87630 1986-04-16
JP61087630A JP2586009B2 (ja) 1986-04-16 1986-04-16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856A KR870009856A (ko) 1987-11-30
KR900002486B1 true KR900002486B1 (ko) 1990-04-16

Family

ID=1392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548A KR900002486B1 (ko) 1986-04-16 1987-04-14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87762A (ko)
JP (1) JP2586009B2 (ko)
KR (1) KR900002486B1 (ko)
IT (1) IT12058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2648B2 (ja) * 1987-05-28 199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5188467A (en) * 1990-06-16 1993-02-23 Citizen Watch Co., Ltd. Print head with energizing and return leaf springs
US5993095A (en) * 1998-01-09 1999-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cal transmission
JP2000218892A (ja) * 1999-01-29 2000-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熱転写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3075C3 (de) * 1971-03-18 1974-02-07 Lumoprint Zindler Kg, 2000 Hamburg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oder mehrerer Arbeitsvorgänge
JPS57109677A (en) * 1980-12-27 1982-07-08 Alps Electric Co Ltd Serial printer
JPS60104372A (ja) * 1983-11-10 1985-06-08 Seiko Epson Corp シリアルプリンタ
GB2149354B (en) * 1983-11-10 1988-05-25 Epson Corp Printer
JPS60104365A (ja) * 1983-11-10 1985-06-08 Seiko Epson Corp 活字シリアルプリンタ
JPS60139950A (ja) * 1983-12-27 1985-07-24 Seiko Epson Corp 動力伝達装置
JPS6099674A (ja) * 1984-07-20 1985-06-03 Canon Inc 小型プリンタ
JPS61240465A (ja) * 1985-04-18 1986-10-25 Clarion Co Ltd 間欠ギヤのロツ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86009B2 (ja) 1997-02-26
IT1205810B (it) 1989-03-31
IT8747845A0 (it) 1987-04-13
US4787762A (en) 1988-11-29
KR870009856A (ko) 1987-11-30
JPS62242549A (ja) 198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2343A (en) Selective hammer interposing means in high speed printers
KR900002486B1 (ko) 동력전달장치
US4551033A (en) Serial electric printer using single unidirectional motor
US3827543A (en) Typewriting mechanism for a typewriter machine
US3995547A (en) Compact flying printer
EP0065836B1 (en) Printing device, e.g. for use with a pocket computer
JPH025586B2 (ko)
JP2806375B2 (ja) プリンタ
US4632581A (en) Serial printer having trigger mechanism
JPH0223356B2 (ko)
US4328747A (en) Character ring-selecting type printer
US4423972A (en) Serial printer
US3643596A (en) High-speed in-line printer
US4452137A (en) Small-sized printer
US3949664A (en) Compact flying printer
GB2095181A (en) Character selection in type wheel printer
JP2720872B2 (ja) プリンタ
GB2057974A (en) Printer
GB2131350A (en) Dot printer
US4424743A (en) Printing device of type ring selection system
JP2713292B2 (ja) 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
JP2770745B2 (ja) ドットインパクト式シリアルプリンタ
JPS5989186A (ja) 小型プリンタ
USRE28796E (en) Compact flying printer
EP0442509A1 (en) Miniature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