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358Y1 -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 - Google Patents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358Y1
KR900002358Y1 KR2019820007828U KR820007828U KR900002358Y1 KR 900002358 Y1 KR900002358 Y1 KR 900002358Y1 KR 2019820007828 U KR2019820007828 U KR 2019820007828U KR 820007828 U KR820007828 U KR 820007828U KR 900002358 Y1 KR900002358 Y1 KR 900002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
circuit
diode
vtr
switch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479U (ko
Inventor
미게도시 마쯔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2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 H03J5/24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
제 1 도는 VTR과 텔레비젼 수상기의 접속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종래의 튜우너의 입력부를 나타낸 요부 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튜우너의 입력부를 나타낸 요부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VTR
3 : 텔레비젼수상기 4 : 신호전환회로
5 : 분배기 6, 8, 10 : 바이패스필터
7, 9, 11, 29 : 스위치 다이오드 12, 15 : 튜우너
13 : 녹화재생회로 14 : 변조기
22 : 분파기(分波器) 25 : 입력동조회로
26, 27 : 코일 28 : 베렉터다이오드
30, 31, 32 : 바이패스콘덴서 33, 34, 35, 36, 37, 38 : 저항
42, 43 : 밴드전환용 전압공급단자
44 : UHF: 튜우너부 46 : VHF 튜우너부
47: 다이오드
본 고안은 병설 사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나 VTR에 사용하는데 매우 유효한 튜우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근년 텔레비젼 수상기(이하 TV라 한다)와 VTR을 병설하여 TV의 수신 뿐만 아니라 VTR에 의한 녹화 재생 등을 행하고 TV를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 경우 TV와 VTR의 접속관계는 TV는 기존의 것이므로 통상 안테나와 TV와 VTR간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신호전환 장치를 VTR에 내장시켜 신호전환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조류의 신호전환장치로서는 TV 또는 VTR의 어느 하나는(예를 들어, VTR) 사용하지 않고, VTR의 전원을 단절시켜 다른쪽(예를 들어, TV)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위 오프스트형(OFF∼Throughtype)의 신호전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일반적인 TV와 VTR와의 접속을 제 1 도에 나타낸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안테나, 2는 VTR, 3은 TV, 4는 VTR(2)에 내장된 신호전환장치, 5는 분배기, 6,8,10은 필터, 7,9,11은 스위치 다이오드, 12,15는 각각 VTR(2)과 TV(3)에 내장되어 있는 튜우너, 13은 VTR(2)내의 녹화재생회로, 14는 VTR(2)내의 변조기이다. 그리고 제 1 도의 구성에 있어서 VTR(2)와 TV(3)는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도시없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 다이오드(7),(9),(11)를 절환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TV의 통상의 수신시는 스위치 다이오드(7),(9),(11)를 OFF하여 안테나(1)로부터의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기(5), 고역필터(6),(8),(10)를 거쳐 TV(3)의 튜우너(15)에 입력한다. 또 녹화한 것을 재생하는 경우는 스위치 다이오드(7),(9)를 ON하여 분배기(5)로부터의 신호를 감쇠시킴과 동시에 스위치 다이오드(11)도 ON시켜 녹화재생회로(13)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변조기(14)를 거쳐 TV(3)의 튜우너(15)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에 사용되는 종래의 튜우너(12),(15)의 입력회로의 요부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21은 튜우너의 입력단자, 22는 입력단자(21)에 입력된 VHF와 UHF가 혼재된 텔레비젼 신호를 재차 VHF와 UHF로 분리하기 위한 분파기( )로서 저역필터(23)과 고역필터(24)도 구성된다.
25는 VHF 튜우너부(46)의 입력동조회로이며, 코일(26),(27), 버랙터 다이오드(28), 수신 밴드전환용의 스위치 다이오드(29), 바이패스 콘덴서(30),(31),(32)로 구성된다.
39는 VHF 튜우너부(46)의 RF 증폭기이고, 그 출력(40)으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VHF 튜우너부(46)내의 다른 기능회로를 경유하여 영상중간주파 증폭회로 등의 TV본체의 내부회로에 접속된다.
그리고 44는 UHF 튜우너부이고, 그 출력(45)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VHF 튜우너부(46)내의 다른 기능회로의 일부에 접속된다.
41은 동조회로(25)의 버랙터(28)에 인가되는 동조전압의 단자이고, 이 단자(41)는 VHF 튜우너부(46)내와 UHF 튜우너부(44)내의 도시하지 않은 다른 동조회로나 국부발진회로 등의 버랙터 다이오드에도 접속된다.
42,43은 수신하는 텔레비젼 채널을 VHF의 저채널(Low channel)와 VHF의 고채널(high chaanel) 및 UHF 채널로 전환하기 위한 밴드전환용의 전압공급단자이고 밴드전환원 단자(42,43)에 인가되는 전압과, 스위치 다이오드(29)와 저항(34,37)의 협동에 의해 행해진다.
저항(36)은 상기의 밴드전환의 동작에 관계되어 있는 것외에 바이패스콘덴서(30)의 충전전압의 방전용으로서의 역할도 가지고 있다. 즉, 후술하는 밴드전환 동작중에서 VHF의 고채널 수신시로부터 VHF의 저채널로 전환시킨 때는 스위치 다이오드(29)가 정 바이어스로부터 역바이어스로, 다시말해, 도통상태로부터 비동통상태로 변화할 때이고, 이때 바이패스 콘덴서(30)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은 신속하게 방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저항(36)의 일단을 접지하여 방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신밴드의 전환동작은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먼저 VHF의 저채널 수신시에는 단자(42)를 개방하여(즉,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단자(43)에 예를 들어 15볼트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스위치 다이오드(29)에 역바이어스를 걸어 OFF시켜 코일(26)과 코일(27)을 직렬로 동작하도록 하여 동조회로(25)를 VHF의 저채널 수신에 필요한 정수(定數)로 형성한다. 또 VHF의 고채널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단자(43)을 개방하여 단자(42)에 예를 들어, 15볼트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스위치 다이오드(29)를 정방향으로 도통하고 ON시켜서 스위치 다이오드(29)에 의해 코일(27)의 양단을 교류와 같이 단락하여 동조회로(25)를 VHF의 고채널 수신에 필요한 회로정수를 형성한다. 그리고 UHF 수신시에는 단자(42)와 단자(43)를 모두 개방함과 동시에 RF증폭기(39)에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을 OFF하여 VHF 튜우너부(46)의 수신 기능을 정지시키고 반대로 UHF 튜우너부(4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튜우너를 모두 VTR(2)과 TV(3)에 사용하여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하고, 예를 들어, VTR(2)의 전원을 단절한 상태에서 TV(3)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을 단절한 상태의 VTR(2)로부터 방해신호가 발생하여 TV(3)에 영향을 미치는 결점이 있었다.
즉 VTR(2)의 전원을 단절한 상태에서는 VTR(2)내의 튜우너(12)에는 당연히 어떠한 전압도 인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위치 다이오드(29)는 저항(34),(35),(36),(37)과 함께 형성된 폐회로중에서 애노우드와 캐소우드사이에 전압이 존재하지 않는 소위 0바이어스로 된다.
한편, 안테나(1)로부터의 텔레비젼 신호는 분배기(5)를 통해 전원이 단절되어 있는 VTR(2) 튜우너(12)와, 사용상태에 있는 TV(3)의 튜우너(15)가 함께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된 텔레비젼 신호의 레벨이 특히 크면 전원이 단절되어 0바이어스된 VTR(2) 튜우너(12)의 스위치 다이오드(29)에는 스위치 다이오드(29)자체의 정류 작용에 의해 저항(34)→저항(35)→저항(36)→저항(37)의 바ㅎ양으로 정류된 전류가 흐른다. 일반적으로 다이오드는 비직선 소자이므로 상기 다이오드(29)에 텔레비젼 신호가 흐르면 다이오드(29)는 상기 텔레비젼 신호의 고조파(高調波)를 발생한다. 이 고주파는 튜우너(12)로부터 신호전원장치(4)내의 분배기(5), 고역필터(6),(8),(10)를 거쳐 TV(3)의 튜우너(15)에 입력된다. 이 상태에서 TV(3)에 의해 예를 들어, UHF의 텔레비젼 채널을 수신하는 경우는 상기 고조파의 주파수대가 UHF 대까지 미쳐 있으므로 상기 고조파가 방해신호로 되어 UHF 텔레비젼 채널의 정상적인 수신이 저해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 해소한 것이다. 이하 제3도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3 도에서는 제 2 도와 동일부품에 대해서 동일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47은 본 고안에 관한 다이오드이고 이 다이오드(47)는 스위치 다이오드(29)와 저항(34∼37)으로 이루어지는 폐회로중에서 스위치 다이오드(29)의 방향에 대해 역방향이 되도록 또 스위치 다이오드(29)의 애노우드측의 전압공급단자이고, 그 동작은 제 1 도와 같다. 즉 VHF의 저채널 수신시는 단자(42)를 개방하여 단자(43)에 15볼트를 인가함으로써 스위치 다이오드(29)를 OFF시키고, 코일(26)과 코일(27)를 직렬로 동작하도록 하여 동조회로(25)를 VHF의 저채널 수신시에 필요한 회로 정수를 한다.
한편 VHF의 고채널 수신시는 단자(43)를 개방하고, 단자(42)에 15볼트를 인가하여 스위치 다이오드(29)를 정방향으로 도통시켜 코일(27)의 양단을 교류와 같이 단락시켜 동조회로(25)를 VHF의 고채널 수신에 필요한 회로 정수로 한다.
그리고 UHF 채널 수신시에는 단자(42)와 (43)를 모두 개방하는 한편 RF 증폭기(39)에 공급되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OFF하여 VHF 튜우너부(46)의 수신기능을 정지시키고, 반대로 UHF 튜우너부(4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다이오드(47)가 스위치 다이오드(29)와 저항(34∼35)으로 이루어지는 폐회로중에서 스위치 다이오드(29)와 역방향으로 되므로 단자(42)와 단자(43)가 모두 개방되어 있을 때 강한 레벨의 텔레비젼 신호가 입력되어도 스위치 다이오드(29)와 다이오드(47)와 저항(34),(35),(36),(37)에 의해 형성되는 폐회로의 스위치 다이오드(29)에는 전류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다이오드(29)에는 입력된 강한 레벨의 텔레비젼 신호가 흐르지 않고 이로써 스위치 다이오드(29)에는 방해가 되는 고조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UHF 채널 수신시에 스위치 다이오드(29)가 바이어스로 되는 밴드전환 방식을 채용한 종래예의 튜우너에 본 고안을 적용하면 UHF 채널 수신시 뿐만 아니라 전원을 OFF 할 경우도 스위치 다이오드(29)에서 고조파를 발생하지 않아 동일 튜우너내의 튜우너부(44)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병설된 다른 튜우너에 방해를 주지도 않는다.
또 UHF 채널 수신시에 스위치 다이오드(29)에 강제적으로 역바이어스를 걸어서 고조파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 밴드전환방식(도시 않음)의 튜우너부에서도 제1도와 같은 2개의 튜우너가 병설되어 한쪽 전원이 OFF된 경우에 전원이 OFF된 쪽의 튜우너의 스위치 다이오드가 0바이어스로되어 다른쪽 튜우너에 대하여 방해를 주고 있었 으나 본 고안은 동조회로(25)의 중간점에 접속되고, 이 동조회로(25)의 일부를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단락상태에 비단락상태로 전환시키는 밴드전환용 스위치 다이오드(29)와 이 스위치 다이오드(29)에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저항회로(37)를 구비한 튜우너의 밴드전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29)와 저항(37)에 의해 형성되는 직류 폐회로에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29)와 극성을 역방향으로 하여 직렬 접속된 제2의 다이오드(47)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 방식의 튜우너에 의하여 본 고안은 병설된 다른쪽 튜우너에 방해를 주기 않고 특히 VTR이나 TV를 병설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실용적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다이오드(47)가 저항(36)과 직렬로 그리고 다이오드(47)의 캐소우드가 접지측으로 향하여 삽입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다이오드(29)의 밴드 전환을 위한 ON, OFF의 동작에 대해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동조회로의 중간점에 접속되고, 이 동조회로의 일부를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단락상태와 비단락상태로 전환시키는 밴드전환용 스위치 다이오드와 이 스위치 다이오드에 직류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저항회로를 구비한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와 저항회로에 의해 형성되는 직류폐회로에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와 극성을 역방향으로 하여 직렬 접속된 제2의 다이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
KR2019820007828U 1981-12-25 1982-10-05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 KR90000235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97325 1981-12-25
JP1981197325U JPS5899927U (ja) 1981-12-25 1981-12-25 チユ−ナのバンド切換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79U KR840002479U (ko) 1984-06-27
KR900002358Y1 true KR900002358Y1 (ko) 1990-03-22

Family

ID=1637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828U KR900002358Y1 (ko) 1981-12-25 1982-10-05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07391A (ko)
JP (1) JPS5899927U (ko)
KR (1) KR900002358Y1 (ko)
DE (1) DE3240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2030U (ja) * 1984-02-15 1985-09-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チユ−ナのバンド切換回路
DE3509516C1 (de) * 1985-03-16 1986-09-18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chaltungsanordnung der Eingangsstufen eines Fernsehtuners
US4996599A (en) * 1989-04-14 1991-02-26 Rca Licensing Corporation Television tuner oscillator with three point tracking
DE4006018A1 (de) * 1990-02-26 1991-08-29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r sperrspannung fuer schaltdioden
JP3224991B2 (ja) * 1996-07-31 2001-11-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チューナ回路
JP3597344B2 (ja) * 1997-07-30 2004-12-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チュ−ナおよびパ−ソナルコンピュ−タ用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ユニット
JP3828745B2 (ja) * 2000-12-14 2006-10-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3915674B2 (ja) * 2002-11-20 2007-05-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整合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678A (en) * 1977-08-18 1980-02-19 Sanyo Electric Co., Ltd. Combination VHF-UHF tuner for use in a television receiver
JPS6038063B2 (ja) * 1978-05-29 1985-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用チュ−ナ回路
JPS6046895B2 (ja) * 1978-08-04 1985-10-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同調チユ−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07391A (en) 1986-08-19
DE3240491A1 (de) 1983-07-07
JPS5899927U (ja) 1983-07-07
KR840002479U (ko) 1984-06-27
DE3240491C2 (ko) 198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381B1 (ko) 다대역 튜너용 튜닝 회로
US4291290A (en) UHF-VHF tuner having damping means to reduce interference in UHF band
US4593255A (en) Varactor tuned Colpitts oscillator with compensating varactor for wide band width
KR900002358Y1 (ko) 튜우너의 밴드 전환회로
US4189678A (en) Combination VHF-UHF tuner for use in a television receiver
US4160213A (en) Mixer injection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US5706060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pplying an antenna signal directly to T.V. receiver and bypassing a VCR
US5212824A (en) Mixer for frequency converting both ground and satellite broadcasting signals
KR930008713B1 (ko) 동조 전압 트래킹 장치
KR900002658Y1 (ko) 튜너의 밴드 절환회로
US4555808A (en) Tuner apparatus
US4461038A (en) Television tuner circuit
US7088984B2 (en) Electronic tuner
US4574201A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circuit device
US4122493A (en) Adaptive wideband AFC system
US3688198A (en) Vhf and uhf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ry derived from a single control voltage
KR900002659Y1 (ko) 텔레비젼 튜너
EP0990345A2 (en) Video recorder/reproducer apparatus
KR0177688B1 (ko) 튜너의 고주파 동조회로
JPH0238508Y2 (ko)
KR930004660Y1 (ko)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회로
KR0137047Y1 (ko) 표면 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회로
GB2181006A (en) Two-way radios
KR850000839B1 (ko) 고주파 증폭회로
GB2060294A (en)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tuner apparatus